KR102111478B1 - 이종배율 부표 - Google Patents

이종배율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478B1
KR102111478B1 KR1020180076449A KR20180076449A KR102111478B1 KR 102111478 B1 KR102111478 B1 KR 102111478B1 KR 1020180076449 A KR1020180076449 A KR 1020180076449A KR 20180076449 A KR20180076449 A KR 20180076449A KR 102111478 B1 KR102111478 B1 KR 102111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amed polymer
skin
magnific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3542A (ko
Inventor
허봉립
홍재원
한주택
강철구
나영준
윤동환
이제연
Original Assignee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주)경인이피에스
주식회사 신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주)경인이피에스, 주식회사 신명 filed Critical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6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4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배율 부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발포 고분자 재질의 외피유닛; 및 상기 외피유닛 내에 삽입되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발포 고분자 재질의 내피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유닛의 발포고분자의 배율은 상기 내피유닛의 발포 고분자의 배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종배율 부표{Buoys with different magnifications}
본 발명은 이종배율 부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 형상의 외피유닛 및 외피유닛 내부에 삽입되는 내피유닛을 포함하는 부표에 관한 것으로, 외피유닛은 저배율의 발포 고분자의 재질이고, 내피유닛은 고배율의 발포 고분자의 재질로 구성되어, 내구성의 증대와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부표는 인근 해역에 양식장을 설치하기 위하여 그물이나 줄과 같은 양식 구조물을 원통형상의 몸체에 매달아 해상에 띄워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식장을 설치 및 표시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된다.
김이나 미역 또는 굴 등과 같은 부착성 생물을 해수중에서 양식하는 수산업 분야에서는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부표는 스티로폼(EPS) 재질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스티로폼 재질이 가볍고 부력이 강하며, 부식성이 없고, 설치작업이 용이하며,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티로폼 재질의 경우 재질이 약하여 마모가 쉽고, 장기간 사용시 수분이 흡수되면서 부력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면과의 마찰 또는 수면 위를 떠다니는 물체와 충돌되었을 때 파손되기가 쉽고, 스티로폼 자체가 가공이 크고 많기 때문에 해수에서 약 1년 정도 사용하게 되면 해수의 응집으로 부력이 저하되어 부표로서의 본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부표의 파손에 의한 스티로폼 파편이 수면에 부유하게 됨에 따라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발포폴리프로필렌(EPP)과 같은 고가의 소재를 이용하여 부표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 속이 비어 있는 형태의 부표를 개발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속이 비어 있는 형태의 부표는 특정 부분에 손상이 발생되어 물이 유입되면, 물이 저장되는 구조이므로 배출될 수 없어 가라앉게 되었고,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0209호
본 발명은 이종배율 부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 형상의 외피유닛 및 외피유닛 내부에 삽입되는 내피유닛을 포함하는 부표에 관한 것으로, 외피유닛은 저배율의 발포 고분자 재질이고, 내피유닛은 고배율의 발포 고분자의 재질로 구성되어, 내구성의 증대와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종래의 내부가 텅 빈 발포 고분자의 내구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종배율 부표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발포 고분자 재질의 외피유닛; 및 상기 외피유닛 내에 삽입되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발포 고분자 재질의 내피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유닛의 발포 고분자의 배율은 상기 내피유닛의 발포 고분자의 배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종배율 부표는 상기 내피유닛의 중심부를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되, 상기 외피유닛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피유닛의 발포 고분자의 배율과 동일한 배율을 지니는 제1 격벽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종배율 부표는 상기 내피유닛의 중심부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되, 상기 외피유닛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피유닛의 발포 고분자의 배율과 동일한 배율을 지니는 제2 격벽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종배율 부표의 제조방법은 반기둥 형상이되, 내부에 반기둥 형상의 홈이 형성된 외피부를 준비하는 단계; 반기둥 형상의 내피부를 상기 홈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내피부가 삽입된 상기 외피부를 한 개 더 준비하는 단계; 및 한 쌍의 상기 외피부 및 상기 내피부의 각각의 내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종배율 부표의 제조방법의 상기 외피부 및 상기 내피부의 내측면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종배율 부표의 제조방법의 상기 외피부 및 상기 내피부는 발포 고분자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종배율 부표의 제조방법의 상기 외피부의 발포 고분자의 배율은 상기 내피부의 발포 고분자의 배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종배율 부표의 제조방법의 상기 외피부에는, 상기 내피부의 중심부를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되, 상기 외피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피부의 발포 고분자의 배율과 동일한 배율을 지니는 제1 격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종배율 부표의 제조방법의 상기 외피부에는, 상기 내피부의 중심부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되, 상기 외피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피부의 발포 고분자의 배율과 동일한 배율을 지니는 제2 격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피유닛은 저배율의 발포 고분자 재질이고, 내피유닛은 고배율의 발포 고분자의 재질로 구성되어, 내구성의 증대와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1 격벽부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2 격벽부의 구성으로 인해, 장기간 수중에 노출된 부표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피부의 홈에 외피부의 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내피부를 삽입함으로써 부표를 완성시키는 작업 속도가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의 구성으로 인해, 외피부, 커버부 및 내피부 순서로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방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부표의 수명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 및 내피부의 분해 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 및 내피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 및 내피부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 및 내피부의 분해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 및 내피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 및 내피부의 분해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 및 내피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 커버부 및 내피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제조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외피 유닛의 높이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외피 유닛의 직경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에 동시에 수직하는 방향이다. 또한, 상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 및 내피부의 분해 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 및 내피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 및 내피부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 및 내피부의 분해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 및 내피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 및 내피부의 분해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 및 내피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 커버부 및 내피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제조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부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부표(1)는 외피유닛(10) 및 내피유닛(20)을 포함한다.
외피유닛(10)은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피유닛(10)의 내에는 내피유닛(20)이 삽입된다.
본 발명에서, 외피유닛(10)은 한 쌍의 외피부(100)의 집합체를 지칭하며, 내피유닛(20)은 한 쌍의 내피부(200)의 집합체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위해 외피부(100) 및 내피부(2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반기둥 형상의 외피부(100)의 내부에는 홈(101)이 형성된다. 홈(101)은 내피부(200)와 암수 결합이 가능하도록 내피부(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101)에 내피부(200)를 삽입하는 구조로 외피부(100) 및 내피부(200)가 결합되어 생산 속도가 향상되고,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외피부(100)의 내측면과 내피부(200)의 내측면은 가상의 동일한 평면(A) 상에 위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홈(101)은 내피부(200)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길이가 동일하며, 반원의 반지름 또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외피부(100)와 내피부(200) 사이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외피부(100)와 내피부(200) 사이의 틈이 커지게 되면, 외피부(100)를 거친 물이 틈 사이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부표의 무게가 증대되어 가라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피부(200)가 삽입된 외피부(100)를 한 쌍을 구비하고, 각 외피부(100) 간 내측면이 맞닿고, 각 내피부(200)의 내측면이 맞닿도록 하면 원통 형상의 외피유닛(10) 및 내피유닛(20)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외피부(100) 및 내피부(200)의 재질은 발포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 고분자는 EPP, EPE, EPS, Elastomer Foam 등이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외피부(100)의 발포 고분자의 배율은 내피부(200)의 발포 고분자의 배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 고분자의 특성 상, 발포 고분자의 배율이 낮은 것은(저배율) 상대적으로 밀도가 고밀도이고, 발포 고분자의 배율이 높은 것은(고배율) 상대적으로 밀도가 저밀도임을 뜻한다.
이로 인해, 물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외피부(100)는 고밀도의 발포 고분자로 제작하여 방수성을 최대로 높이되, 고밀도의 발포 고분자는 원가가 높으므로 이를 최소화 하기 위해 홈(101)을 형성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는 달리 외피부(100) 내부에 내피부(200)를 삽입하여 외피부(100) 내부에 외부에서부터 유입된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내피부(200)는 수중에 직접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저밀도의 발포 고분자으로 제작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피부(100)와 내피부(200)의 밀도를 상이하게 제작하므로, 중량을 절감하여 부표로써의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부표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외피부(110)에는 외피부(110)에서 연장 형성되되, 길이 방향으로 외피부(110)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제1 격벽부(112)가 형성된다. 이때, 제1 격벽부(112)가 한 쌍으로 구성되면 제1 격벽유닛이다.
따라서, 외피부(110)의 내부에는 제1 격벽부(112)를 중심으로 한 쌍의 홈(111)이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홈에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내피부(21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 홈(111)과 암수 결합이 가능하도록 홈(1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격벽부(112)의 구조로 인해,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소위 '리브'역할을 하는 지지대가 형성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발생되므로, 장기간 수중에 노출됨에 따른 부표의 휨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내피부(210)가 삽입된 외피부(110) 또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원리로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내측면이 맞닿아 원통 형상의 부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부표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3 실시 예에 의한 부표는 외피부(120)의 중심부를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 격벽부(122) 및 외피부(120)의 중심부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2 격벽부(123)가 형성된다. 이때, 제2 격벽부(123)가 한 쌍으로 구성되면 제2 격벽유닛이다.
따라서, 제2 실시 예와 달리 제1 격벽부(122) 및 제2 격벽부(123)로 인해, 홈(121)이 4개가 형성된다.
이때, 홈(121)에 삽입되도록 내피부(220)는 4개로 구비되고, 각 홈(121)과 암수 결합이 가능하도록 홈(1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표는 길이 방향으로만 격벽이 형성되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폭 방향으로의 격벽이 형성되어, 제2 실시 예보다 휨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더욱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부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부표와 같이 반기둥 형상의 외피부(130) 및 외피부(130)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피부(230)를 지니되, 외피부(130)와 내피부(230) 사이에 커버부(300)가 형성된다.
커버부(300)는 반기둥 형상이며, 반원의 반지름이 외피부(130)보다 짧고, 내피부(230)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300)의 내부에는 반기둥 형상의 홈(301)이 형성된다. 이때, 내피부(230)는 홈(301)과 암수 결합이 가능하도록 홈(30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부(300)는 외피부(130)를 관통하여 유입된 물이 내피부(230)에 유입되기전 이를 막는 역할을 한다. 즉, 외피부(130)가 1차적으로 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커버부(300)가 2차적으로 물의 유입을 방지하며, 내피부(230)가 3차적으로 물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보다 방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으며, 부표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커버부(300)는 방수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 코팅층은 방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수축 필름, 진공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수축 필름, 진공 필름의 재질은 PP, PE 등이 활용된다.
상기 방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 바인더; 무기 입자; 계면 활성제 및 분산제를 포함한다:
Figure 112018064817515-pat00001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바인더, 우레탄계 바인더, 실리콘계 바인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바인더이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폴리하이드로실록산을 바인더로 이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알킬베타인계, 아미드베타인계, 술포베타인계, 히드록시술포베타인계, 아미도술포베타인계, 포스포베타인계 및 이미다졸리늄베타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산제는 카본계 필러의 분산제로 당업계에서 채용하는 공지된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분산제, 폴리올레핀계 분산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분산제, 폴리아릴레이트계 분산제, 폴리아미드계 분산제, 폴리아미드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아릴설폰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설폰계 분산제, 폴리페닐렌 설피드계 분산제, 폴리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케톤계분산제, 폴리벤족사졸계 분산제, 폴리옥사디아졸계 분산제, 폴리벤조티아졸계 분산제, 폴리벤즈이미다졸계 분산제, 폴리피리딘계 분산제, 폴리트리아졸계 분산제, 폴리피롤리딘계 분산제, 폴리디벤조퓨란계 분산제, 폴리설폰계 분산제, 폴리우레아계 분산제, 폴리우레탄계 분산제, 폴리포스파젠계 분산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무기 입자는 티타늄졸, 알루미나졸, 실리카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졸 및 실리카졸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은 바인더를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 30 내지 50 중량부; 무기 입자 5 내지 10 중량부; 계면 활성제 10 내지 20 중량부 및 분산제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코팅 조성물의 구성 성분 간의 혼합 작용에 의해, 방수 효과가 나타나며, 범위 미만 이거나 범위 초과인 경우 방수 효과가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방수 코팅 조성물은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 방수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방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방수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스프레이 코팅법 이외에 다른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부표의 제작 단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반기둥 형상이고, 내부에 반기둥 형상의 홈(101)이 형성된 외피부(100)를 준비하는 단계를 거친다(S1).
이후, 반기둥 형상의 내피부(200)를 홈(101)에 삽입하는 단계(S2)를 거친다. 이때, 내피부(200)의 형상은 홈(101)과 암수 결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바 중복 설명은 방지한다.
이후, 내피부(200)가 삽입된 외피부(100)를 한 개 더 준비하는 단계(S3)를 거친다.
마지막으로, 외피부(100) 및 내피부(200)의 각각의 내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하여 결합하는 단계(S4)를 거친다. 이로 인해, 원통 형상의 부표가 완성된다.
제2 실시 예 내지 제4 실시 예 모두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원리로 부표를 완성한다. 또한, 각 단계에서의 구성요소로 인해 발생되는 효과는 전술한 바,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부표, 10:외피유닛,
20:내피유닛, 100:제1 실시예에 의한 외피부,
101:제1 실시예에 의한 홈, 110:제2 실시예에 의한 외피부,
111:제2 실시예에 의한 홈, 112:제2 실시예에 의한 제1 격벽부,
120:제3 실시예에 의한 외피부, 121:제3 실시예에 의한 내피부,
122:제3 실시예에 의한 제1 격벽부, 123:제3 실시예에 의한 제2 격벽부,
130:제4 실시예에 의한 외피부, 131:제4 실시예에 의한 내피부,
200:제1 실시예에 의한 내피부, 210:제2 실시예에 의한 내피부,
220:제3 실시예에 의한 내피부, 300:커버부.

Claims (9)

  1.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발포 고분자 재질의 외피유닛;
    상기 외피유닛 내에 삽입되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발포 고분자 재질의 내피유닛;
    상기 내피유닛의 중심부를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되, 상기 외피유닛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피유닛의 발포 고분자의 배율과 동일한 배율을 지니는 제1 격벽유닛;
    상기 내피유닛의 중심부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되, 상기 외피유닛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피유닛의 발포 고분자의 배율과 동일한 배율을 지니는 제2 격벽유닛; 및
    상기 외피유닛과 상기 내피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유닛의 발포 고분자의 배율은 상기 내피유닛의 발포 고분자의 배율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방수코팅 조성물로 형성되는 방수 코팅층을 구비하고,
    상기 방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 바인더; 무기 입자; 계면 활성제 및 분산제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 코팅 조성물은 상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 30 내지 50 중량부; 무기 입자 5 내지 10 중량부; 계면 활성제 10 내지 20 중량부 및 분산제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배율 부표.
    [화학식 1]
    Figure 112019123886091-pat00012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76449A 2018-07-02 2018-07-02 이종배율 부표 KR102111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449A KR102111478B1 (ko) 2018-07-02 2018-07-02 이종배율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449A KR102111478B1 (ko) 2018-07-02 2018-07-02 이종배율 부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542A KR20200003542A (ko) 2020-01-10
KR102111478B1 true KR102111478B1 (ko) 2020-05-15

Family

ID=6915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449A KR102111478B1 (ko) 2018-07-02 2018-07-02 이종배율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907B1 (ko) * 2023-05-11 2023-09-06 주식회사 포리폼 친환경 부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574908B1 (ko) * 2023-05-11 2023-09-06 주식회사 포리폼 친환경 부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475B1 (ko) 2013-08-01 2014-05-15 주식회사 창신산업 어구용 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76025B1 (ko) 2015-06-01 2015-12-09 주식회사 아이에프엘 발포우레탄 발포체를 이용한 양식장 부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18097B1 (ko) * 2016-09-27 2018-01-12 동신산업(주) 수상 구조물용 부력체
KR101843422B1 (ko) 2017-05-23 2018-03-30 주식회사 태양케미칼 발포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부표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482B1 (ko) 2011-11-07 2013-12-10 동신산업(주) 발포폴리프로필렌(EPP : Expanded Poly-Propylene)를 이용한 부력체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력체
KR101853824B1 (ko) * 2016-02-03 2018-05-10 주식회사 씨라이프 Epp 부력체 제조 방법
KR101875501B1 (ko) * 2016-12-01 2018-07-09 동신산업(주) 가두리 양식장용 부력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475B1 (ko) 2013-08-01 2014-05-15 주식회사 창신산업 어구용 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76025B1 (ko) 2015-06-01 2015-12-09 주식회사 아이에프엘 발포우레탄 발포체를 이용한 양식장 부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18097B1 (ko) * 2016-09-27 2018-01-12 동신산업(주) 수상 구조물용 부력체
KR101843422B1 (ko) 2017-05-23 2018-03-30 주식회사 태양케미칼 발포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부표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542A (ko)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478B1 (ko) 이종배율 부표
KR101636748B1 (ko) 어업용 부구
KR101861759B1 (ko) 어업용 부구
KR101563211B1 (ko) 친환경 소재가 적용된 수상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수상 부력체
KR101843422B1 (ko) 발포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부표 및 그 제조 방법
KR200475806Y1 (ko) 부표
KR101965130B1 (ko) 부표
KR101369456B1 (ko) 하천용 어도블럭
KR20170002519U (ko) 포켓을 갖는 부력체
KR101763100B1 (ko) 친환경 부자의 제조 방법
KR101867569B1 (ko) 다공성 폼이 내장된 부력체
KR20170083000A (ko) 친환경 부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76943A (ko) 부표
KR200487098Y1 (ko) 부표
KR101338482B1 (ko) 발포폴리프로필렌(EPP : Expanded Poly-Propylene)를 이용한 부력체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력체
KR20190086977A (ko) 코코넛 섬유를 이용한 회전식 부표
KR101103808B1 (ko) 바다양식장 부표
KR102275641B1 (ko) 수상 구조물용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수상 구조물
Shaik et al. Numerical Investigation on Different Configurations of Offshore Fish Cages in Submerged Conditions Subjected to Regular Waves
KR101773016B1 (ko) 어망용 부자
TW201708041A (zh) 超浮力材料與系統
KR20050002936A (ko)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2050405B1 (ko) 메인시트부가 구비된 다공성 부력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T1396189E (pt) Jangada de forma arredondada para a criacao de bivalves
KR20210073648A (ko) 보조무게추가 구비된 부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