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936A -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 Google Patents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936A
KR20050002936A KR1020030042280A KR20030042280A KR20050002936A KR 20050002936 A KR20050002936 A KR 20050002936A KR 1020030042280 A KR1020030042280 A KR 1020030042280A KR 20030042280 A KR20030042280 A KR 20030042280A KR 20050002936 A KR20050002936 A KR 20050002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upling
cylindrical pipe
pipe
offshor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김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진 filed Critical 김경진
Priority to KR102003004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2936A/ko
Publication of KR20050002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93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8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9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forming a crossed-over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 F16L11/133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buoy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08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for pipes being in an angled relationship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에 설치되는 해상 구조물에서 원통형의 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파이프를 상호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복수 개의 원통형 파이프를 원하는 형태로 상호 연결한 상태에서 그 상면에 최소한의 목재를 사용하고도 바닥 역할을 하는 패널을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체(11)의 중심부에 원통형 파이프(12)가 통과하는 통공(13)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의 직각 방향으로는 원통형 파이프(14)가 융착 고정되는 보스 (15)를 형성하며 상기 통공의 상부로는 통공과 삽입공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16)를 형성함과 동시에 연장부의 상면에는 합성수지 각재(17)가 안치되는 요입부(18)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omitted}
본 발명은 바다에 설치되는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바다에 사각 형상으로 설치되는 해상 구조물에서 원통형의 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에 설치되는 해상 구조물로는, 어부들의 작업을 보조하는 바지선, 수상스키 또는 윈드서핑을 위한 정박 시설 등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해상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로서, 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 형상의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여러 개의 부구(1)를 끈(도시는 생략함)으로 상호 연결하여 상기 부구의 부력에 의해 해상 구조물이 바다에 떠 있도록 되어있고 끈으로 연결된 여러 개의 부구 상면에는 장기간 바다에 감겨 있더라도 해수에 잘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목재(2)를 가로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한 다음 상기 목재와 같은 재질의 목재(3)를 세로 방향으로 고정하여 상면에 일정 폭(약 10cm 내외)을 갖는 목재 패널(4)을 고정하여 상기 패널이 바닥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렇게 시공된 해상 구조물을 바다에 띄워 놓으면 패널(4)의 상면에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해상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갖는다.
첫째, 해상 구조물을 장기간 사용시 부력재인 부구 사이로 해수가 스며들거나, 태풍 등에 의한 파도로 인해 스티로폼의 내구성이 떨어져 부구가 파손되므로 해상 구조물의 수명(약 2년 정도)이 대폭 단축된다.
둘째, 부구 역할을 하는 스티로폼이 파손될 경우에는 스티로폼이 파도에 휩쓸려 해안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주위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셋째, 해상 구조물을 제작하는데 작업 공정이 매우 번거로워 작업기간이 길어지게 된다.
넷째, 여러 개의 부구를 끈으로 묶어 그 상면에 여러 개의 목재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고정한 후 패널을 고정하므로 내구성이 떨어져 대형 해상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내구성이 강하고 작업 능률이 양호한 원통형 파이프를 이용하여 해상 구조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원통형 파이프를 상호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원통형 파이프를 원하는 형태로 상호 연결한 상태에서 그 상면에 바닥 역할을 하는 패널을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본체의 중심부에 원통형 파이프가 통과하는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의 직각 방향으로는 원통형 파이프가 융착 고정되는 보스를 형성하며 상기 통공의 상부로는 통공과 삽입공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연장부의 상면에는 합성수지 각재가 안치되는 요입부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해상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커플링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원통형 파이프를 시공한 상태의 평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본체 12, 14 : 원통형 파이프
13 : 통공 15 : 보스
16 : 연장부 17 : 합성수지 각재
18 : 요입부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평면도로서, 본 발명은 본체(11)의 중심부에 원통형 파이프(12)가 통과되는 통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13)의 직각 방향으로는 원통형 파이프(14)가 융착 고정되는 보스(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보스(15)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체(11)의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 위치되게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상 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커플링의 경우에는 원통형 파이프(14)가 커플링을 구성하는 본체(11)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만 연결되지만, 해상 구조물의 중심에 위치하는 커플링의 경우에는 본체(11)의 양측으로 원통형 파이프(14)가 연결되므로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보스(15)가 본체(11)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에 통공(13)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연장부(16)의 상면에는 합성수지 각재(주로 PE관)(17)가 안치되는 요입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16)에 형성되는 요입부(18)는 전체에 걸쳐 형성하여도 되지만, 합성수지 각재(17)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연장부(16)상에 격벽(19)을 형성하여 요입부(16)가 양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편의상, 해상 구조물의 좌측에 위치되는 원통형 파이프(12)상에 일정 간격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커플링을 끼워 고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은 본체(11)의 우측면으로 보스(15)가 형성된 커플링의 통공(13)을 차례로 끼워 융착고정하므로써, 가능해지게 된다.
원통형 파이프(12)를 본체(11)에 융착 고정시키는 작업은 접속면을 깨끗이 닦은 다음 공지의 융착기에 의해 열을 가하여 이들을 상호 융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공정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해상 구조물의 좌측에 위치하는 원통형 파이프(12)상에 복수 개의 커플링을 고정하고 나면 해상 구조물의 우측에 위치하는 원통형 파이프(12)상에도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커플링을 고정하여야 되는데, 이 경우에는 본체(11)의 좌 측면으로 보스(15)가 형성된 커플링을 원통형 파이프상에 차례로 끼워 융착 고정하여야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작업으로 본체(11)의 일측으로만 보스(15)가 형성된 커플링을 해상 구조물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원통형 파이프(12)상에 일정 간격으로 융착 고정시키고 나면 중간에 위치하는 원통형 파이프(12)상에도 일정 간격으로복수 개의 커플링을 각각 고정하여야 되는데, 상기 원통형 파이프(12)상에 고정되는 커플링의 본체(11)에는 좌, 우측면에 보스(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는, 해상 구조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중간에 위치하는 원통형 파이프(12)에 고정된 커플링에는 해상 구조물의 내구성을 위하여 좌, 우측으로 또 다른 원통형 파이프(14)를 각각 연결 고정하여야 되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시 각 원통형 파이프(12)(14)상에 고정되는 커플링의 간격은 상호 일치되도록 작업되어야 각 원통형 파이프(12)의 직각 방향으로 또 다른 원통형 파이프(14)를 연결하여 융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해상 구조물을 구성하는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된 원통형 파이프(12), 그리고 중간에 위치된 원통형 파이프(12)상에 고정된 각각의 커플링 본체(11)에 형성된 보스(15)에 길이가 짧은 원통형 파이프(14)를 밀착시키고 융착 고정하여 해상 구조물의 부구 역할을 하는 원통형 파이프가 사각틀 형태를 이루고 나면 연장부(16)상에 형성된 요입부(18)내에 사각형상의 합성수지 각재(17)을 각각 끼운 다음 그 상면에 일정 폭을 갖는 패널(20)을 고정하므로써, 해상 구조물의 제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플링을 이용하여 제작된 해상 구조물은 종래의 해상 구조물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해상 구조물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부력재인 원통형 파이프가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어 유연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내파성이 커 파손되지 않으므로 종래의 해상 구조물에 비하여 사용 수명을 2년에서 15년 이상으로 대폭 증대시킬 수있게 된다.
둘째, 부구 역할을 하는 원통형 파이프가 파도 등에 의해 파손되거나, 유실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셋째, 해상 구조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원통형 파이프상에 본 발명의 커플링을 일정 간격으로 끼워 융착 고정하면서 원통형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면 되므로 해상 구조물의 제작에 따른 작업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넷째, 원통형 파이프를 커플링으로 연결하여 일정 이상의 내구성을 갖게 되므로 용도에 따라 대형 해상 구조물의 제작도 가능해지게 된다.

Claims (3)

  1. 본체의 중심부에 원통형 파이프가 통과하는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의 직각 방향으로는 원통형 파이프가 융착 고정되는 보스를 형성하며 상기 통공의 상부로는 통공과 삽입공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연장부의 상면에는 합성수지 각재가 안치되는 요입부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보스가 본체의 좌측 또는 우측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보스가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20030042280A 2003-06-26 2003-06-26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50002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280A KR20050002936A (ko) 2003-06-26 2003-06-26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280A KR20050002936A (ko) 2003-06-26 2003-06-26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568U Division KR200326843Y1 (ko) 2003-06-27 2003-06-27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936A true KR20050002936A (ko) 2005-01-10

Family

ID=3721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280A KR20050002936A (ko) 2003-06-26 2003-06-26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293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22B1 (ko) * 2010-01-20 2010-04-16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해수면 및 내수면 부유용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부유 구조체
WO2010128806A2 (ko) * 2009-05-08 2010-11-11 Kim Min Woo 다층 부력 부재의 연결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력 낚시터
KR101285522B1 (ko) * 2011-05-25 2013-07-17 박남수 부력 구조물
US20170095322A1 (en) * 2014-03-25 2017-04-06 Knonklijke Philips N.V. Brush head manufacturing methods
KR101886338B1 (ko) * 2017-05-18 2018-08-09 (주)씨케이아이피엠 부잔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8806A2 (ko) * 2009-05-08 2010-11-11 Kim Min Woo 다층 부력 부재의 연결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력 낚시터
WO2010128806A3 (ko) * 2009-05-08 2011-03-10 Kim Min Woo 다층 부력 부재의 연결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력 낚시터
KR100952922B1 (ko) * 2010-01-20 2010-04-16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해수면 및 내수면 부유용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부유 구조체
KR101285522B1 (ko) * 2011-05-25 2013-07-17 박남수 부력 구조물
US20170095322A1 (en) * 2014-03-25 2017-04-06 Knonklijke Philips N.V. Brush head manufacturing methods
KR101886338B1 (ko) * 2017-05-18 2018-08-09 (주)씨케이아이피엠 부잔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5307A (en) Concrete marine float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KR100971941B1 (ko) 조립형 부구
CN201563485U (zh) 水产养殖浮框及其支撑件
KR100944183B1 (ko) 계류구조물용 부력튜브 연결블록
KR20050002936A (ko)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2117573B1 (ko) 친환경 발포형 부표
KR200326843Y1 (ko)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140053427A (ko) 수산물 양식용 부이
KR101715289B1 (ko) 부력 집합체를 구비한 부이
KR20200003542A (ko) 이종배율 부표
KR101188910B1 (ko) 중공 다중셀 부구
KR102495544B1 (ko) 친환경 김발용 부표시스템
KR200211165Y1 (ko) 소파용 피복블럭
KR100896515B1 (ko) 수산양식용 부구의 제조방법
KR101503867B1 (ko) 발포금속을 활용한 해상 부유체
KR200383827Y1 (ko) 보트
KR200194974Y1 (ko) 양식장용 부자
KR200491375Y1 (ko) 브라켓 일체형 부자
KR101656071B1 (ko)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KR100444883B1 (ko) 양식장용 부자
KR100388892B1 (ko) 양식장용 부구
KR100520114B1 (ko) 수상차단막 부력체
KR20090097609A (ko)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에코개량부구
KR102541881B1 (ko) 간답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김발부표시스템
CN217523690U (zh) 水下诱虫灯锚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