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338B1 - 부잔교 - Google Patents

부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338B1
KR101886338B1 KR1020170061401A KR20170061401A KR101886338B1 KR 101886338 B1 KR101886338 B1 KR 101886338B1 KR 1020170061401 A KR1020170061401 A KR 1020170061401A KR 20170061401 A KR20170061401 A KR 20170061401A KR 101886338 B1 KR101886338 B1 KR 101886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tting
space
buoyancy unit
floating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주
Original Assignee
(주)씨케이아이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케이아이피엠 filed Critical (주)씨케이아이피엠
Priority to KR1020170061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부잔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부잔교는, 수평 방향 중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바디; 상기 제1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바; 그리고 상기 바디의 하부에 연결된 부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부력 유닛의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미들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 그리고 상기 지지 미들 프레임에서 상기 부력 유닛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미들 프레임과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잔교{PONTOON}
본 발명은, 다수의 바디와 부력 유닛이 연결되어 구성된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부력 유닛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하여 편의성과 경제성이 강화된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부잔교는 물에 뜨도록 만든 상자형의 부체(浮體)를 물에 띄우고 그 위에 철근콘크리트, 강판, 목재 등으로 상판(데크)을 깔아 여객의 승하선, 화물의 적양(積楊)에 편하도록 만든 구조물이며, 수위에 따라 상판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조석간만의 차이가 큰 곳이나 그 밖의 수위변화가 많은 곳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부체 여러 개를 결합하여 부잔교를 만드는 경우, 부체를 서로 연결하여주기 위한 연결기구가 필요하다. 특히 파도가 심한 바다, 강, 호수 등의 수상에 부체 여러 개를 연결하여 부잔교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부체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여주면서도 연결부위에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되는 경우 힘을 완충할 수 있는 연결기구가 필요하다.
이에,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09-0002683호 '부유도크의 조립구조'와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130254호 '수상 도크' 등에는 부체를 연결하면서 작용하는 힘을 완충할 수 있는 연결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부유도크의 조립구조'의 경우 연결된 부체끼리 큰 힘으로 충돌할 우려가 있고, 부체를 연결하는 커플러에서 상하 및 좌우 방향의 힘을 받아 주어야 하기 때문에 유동이 크게 발생하여 이탈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종래기술들은 부체를 연결하는 연결기구들이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파도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부체 중 일부가 부잔교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들은 다양한 부체(부력 유닛)를 이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종래 기술들은 부체의 부력을 조절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부력 유닛(부체)이 용이하게 연결되는 부잔교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부력 유닛이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부잔교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력 유닛의 부력이 조절 가능한 부잔교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력 유닛을 장착하는 바디의 내구성이 향상된 부잔교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평 방향 중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바디; 상기 제1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바; 그리고 상기 바디의 하부에 연결된 부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부력 유닛의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미들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 그리고 상기 지지 미들 프레임에서 상기 부력 유닛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미들 프레임과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 프레임을 포함하는 부잔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부잔교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력 유닛(부체)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여러 종류의 부력 유닛이 바디(body)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다수의 부력 유닛의 부력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바디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부력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부잔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P)는 바디(100)와 부력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부력 유닛(200)은 바디(1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부력 유닛(200)은 바디(100)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부잔교(P)는 부잔교(P)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데크(DK)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데크(DK)는 종방향(DR1)을 길이 방향으로 가지며 횡방향(DR2)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디(100)는 복수 개의 열바디(100a, 100b, 100c, 100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열바디(100a, 100b, 100c, 100d)는 예를 들어 제1열 바디(100a), 제2열 바디(100b), 제3열 바디(100c), 그리고 제4열 바디(10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열 바디(100a)는 예를 들어, 제1열 제1 바디(100a1), 제1열 제2 바디(100a2), 제1열 제3 바디(100a3), 그리고 제1열 제4 바디(100a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열의 각 바디(100a1, 100a2, 100a3, 100a4)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연결될 수 있다. 제1열의 각 바디(100a1, 100a2, 100a3, 100a4)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방향을 제1 방향(DR1)이라 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은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의 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은 종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제2열 바디(100b)는 제1열 바디(100a)의 옆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열 바디(100b)와 제1열 바디(100a)는, 제2 방향(DR2)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는 제1 방향(DR1)과 다른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방향(DR2)는 수평방향의 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은 횡방향(transverse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제2열 바디(100b)는,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연결되는 제2열 제1 바디(100b1), 제2열 제2 바디(미도시), 제2열 제3 바디(미도시), 그리고 제2열 제4 바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열 바디(100c)와 제4열 바디(100d)는, 제1열 바디(100a) 또는 제2열 바디(100b)와 유사한 패턴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열 바디(100c)는 제3열 제1 바디(100c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열 바디(100d)는 제4열 제1 바디(100d1)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열의 각 바디(100a1, 100a2, 100a3, 100a4, 100b1, 100c1, 100d1)는 바디(100)라 칭할 수 있다.
각 바디(100)는 인접하는 바디(100)에 종방향(DR1)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하는 각 바디(100)는 데크(DK) 또는 연결바(400)에 의해 제1 방향(DR1)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열 바디(100a)는 데크(DK) 또는 제1 연결바(4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열 바디(100d)는 데크(DK) 또는 제2 연결바(4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바(400)는 목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바디(100)는 인접하는 바디(100)에 횡방향(DR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하는 각 바디(100)는 볼트(bolt, 미도시)와 너트(nut, 미도시)에 의해 제2 방향(DR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열 제1 바디(100a1)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제2열 제1 바디(100b1)에 연결될 수 있다.
바디(100)의 하부에 부력 유닛(200)이 장착될 수 있다. 부력 유닛(200)은, 부잔교(P)가 물에 잠기면, 물에 잠겨 부력을 생성할 수 있다. 부력 유닛(200)은 예를 들어 종방향(DR1)으로 길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력 유닛(200)은 제1열 부력 유닛(200a), 제2열 부력 유닛(200b), 제3열 부력 유닛(200c), 그리고 제4열 부력 유닛(20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열 부력 유닛(200a)은 제1열 바디(100a)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각 열의 부력 유닛(200a, 200b, 200c, 200d)은, 복수 개의 바디(100)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열 부력 유닛(200a)은, 제1열 제1 바디(100a1), 제1열 제2 바디(100a2), 제1열 제3 바디(100a3), 그리고 제1열 제4 바디(100a4)에 대응되며 연결될 수 있다. 제2열 내지 제4열 부력 유닛(200b, 200c, 200d)는 제1 부력 유닛(200a)과 유사한 패턴으로 바디(1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부잔교(P)의 상부와 하부가 용이하게 분리되는 모습이 나타난다. 부잔교(P)의 상부는 바디(100)와 연결바(400)와 데크(DK)를 포함할 수 있다. 부잔교(P)의 하부는 부력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부잔교(P)의 상부와 하부는 여러 가지 이유로 서로 교체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잔교(P)의 하부를 구성하는 부력 유닛(200)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었을 경우, 하나의 부력 유닛(200)만 교체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를 들어 부잔교(P)의 상부를 구성하는 바디(100) 중 어느 하나의 바디(100)가 파손될 경우 하나의 바디(100)만 교체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등에 있어서, 바디(100)와 부력 유닛(200)의 교체가 용이하게 됨으로써, 부잔교(P)의 유지가 용이할 수 있다.
부력 유닛(200)이 다양한 크기 또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디(100)는 다양한 부력 유닛(200)에 대해 용이하게 탈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부력 유닛(200)의 활용도가 상승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디(100)는, 상부 프레임(110), 미들 프레임(120), 수직 프레임(130), 지지 프레임(140), 보조 프레임(150), 바닥 프레임(160), 끼움 프레임(170), 그리고 돌출부(PRT)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은 바디(100)의 상부 또는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은 제1 상부 프레임(111), 제2 상부 프레임(113), 그리고 제3 상부 프레임(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부 프레임(113)은, 제1 상부 프레임(111)과 제3 상부 프레임(11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1, 113, 115)의 각 사이에 돌출부(PRT)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돌출부(PRT) 사이에 각 상부 프레임(111, 113, 115)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부 프레임(111)은 제1 돌출부(PRT1)와 제2 돌출부(PRT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상부 프레임(113)은 제2 돌출부(PRT2)와 제3 돌출부(PRT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상부 프레임(115)은 제3 돌출부(PRT3)와 제4 돌출부(PRT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PRT)는 상부 프레임(110)에서 수직으로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미들 프레임(120)은 상부 프레임(1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120)은 상부 프레임(110)에 나란할 수 있다. 미들 프레임(120)은 제1 미들 프레임(121), 제2 미들 프레임(123), 제3 미들 프레임(125), 그리고 제4 미들 프레임(127)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미들 프레임(121, 123, 125, 127)의 배치는, 각 상부 프레임(111, 113, 115)에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부 프레임(111)은 제1 미들 프레임(121)과 제2 미들 프레임(123)에 중첩될 수 있다. 제2 상부 프레임(113)은 제2 미들 프레임(123)과 제3 미들 프레임(125)에 중첩될 수 있다. 제3 상부 프레임(115)은 제3 미들 프레임(125)과 제4 미들 프레임(127)에 중첩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과 미들 프레임(120)의 중첩 방향은 수직 방향일 수 있다. 수직 방향은 수평 방향(DR1, DR2, 도 1 및 2 참조)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30)은 상부 프레임(110)과 미들 프레임(120)을 연결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30)은 바디(1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30)은 제1 수직 프레임(131)과 제2 수직 프레임(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 프레임(131)과 제2 수직 프레임(133)의 사이에, 상부 프레임(110)과 미들 프레임(120)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40)은 제1 수직 프레임(131)과 제2 수직 프레임(13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40)은 상부 프레임(110)과 미들 프레임(120)을 연결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40)은, 상부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하중(load)을 미들 프레임(120)에 분산하여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부 프레임(111)에 가해지는 하중은, 제1 수직 프레임(131)과 제1 내지 제3 지지 프레임(141, 142, 143)을 통해, 미들 프레임(120)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상부 프레임(113)에 가해지는 하중은, 제2 내지 제5 지지 프레임(142, 143, 144, 145)을 통해 미들 프레임(120)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상부 프레임(115)에 가해지는 하중은, 제4 내지 제6 지지 프레임(144, 145, 146)과 제2 수직 프레임(133)을 통해 미들 프레임(120)에 전달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산은 바디(100)의 내구성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는 정도(이하 '분산 균일도')가 높을수록, 바디(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100)는, 상부 프레임(110)과 미들 프레임(120)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140)의 구성에 의해, 향상된 내구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보조 프레임(150)은 인접하는 지지 프레임(1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프레임(150)은 제3 지지 프레임(143)과 제4 지지 프레임(14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지지 프레임(143)과 제4 지지 프레임(144)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 프레임(150)은 상부 프레임(110)과 미들 프레임(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프레임(150)과 상부 프레임(110), 그리고 지지 프레임(14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 프레임(150)과 상부 프레임(110)의 사이에 내부 연결바(미도시)가 종방향(DR1, 도 1 및 2 참조)으로 배치되어, 서로 다른 바디(100)가 종방향(DR1, 도 1 및 2 참조)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닥 프레임(160)은 미들 프레임(1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닥 프레임(160)은 바디(100)의 바닥(bottom)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바닥 프레임(160)은 제1 수직 프레임(131)과 제2 수직 프레임(13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끼움 프레임(170)은 바닥 프레임(16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끼움 프레임(170)은 제1 끼움 프레임(173)과 제2 끼움 프레임(175)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 프레임(170)은 수직 프레임(1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끼움 프레임(173)은 제1 수직 프레임(131)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제2 끼움 프레임(175)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끼움 프레임(175)는 제2 수직 프레임(133)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제1 끼움 프레임(173)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끼움 프레임(173)과 제2 끼움 프레임(175)은 서로 마주하며 돌출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끼움 프레임(170)은 바닥 프레임(160)에 대하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끼움 프레임(173)의 적어도 일부는 바닥 프레임(160)에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끼움 프레임(175)의 적어도 일부는 바닥 프레임(160)에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장착 유닛(250)은 부력 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장착 유닛(250)은 부력 유닛(200)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유닛(250)은 부력 유닛(200)의 일부 형상에 대응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유닛(250)의 본체(251)는 부력 유닛(200)의 일부 형상에 대응된 원호(arc)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장착 유닛(250)은 바디(100)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 유닛(250)은 끼움부(253, 255)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253, 255)는 제1 끼움부(253)와 제2 끼움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253, 255)는 장착 유닛(250)의 본체(251)에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끼움부(253, 255)는 바디(10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끼움부(253)는, 제1 끼움 프레임(173)과 바닥 프레임(160)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끼움부(255)는, 제2 끼움 프레임(175)과 바닥 프레임(160)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부력 유닛(200)은 본체(201)와 주입구(205)를 포함할 수 있다. 부력 유닛(200)의 본체(201)는 부력 유닛(200)의 전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부력 유닛(200)의 본체(201)는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부력 유닛(200)의 본체(201)는 장착 유닛(250)에 연결될 수 있다. 주입구(205)는 본체(201)에 형성될 수 있다. 주입구(205)는 본체(201)의 내외부를 개폐(開閉)할 수 있다.
부력 유닛(200)의 전체 밀도는 예를 들어 1g/cm3 보다 작을 수 있다. 부력 유닛(200)의 밀도는 조절될 수 있다. 부력 유닛(200)의 본체(201)는 물질을 담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력 유닛(200)의 본체(201)는 물(액체 상태의 물)을 담을 수 있다. 물은 주입구(205)를 통해 본체(201)의 내외부로 출입할 수 있다. 물이 본체(201)의 내외부로 출입하면, 부력 유닛(200)의 전체 밀도는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본체(201)의 내부로 유입되면, 부력 유닛(200)의 전체 밀도는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본체(201)의 외부로 유출되면, 부력 유닛(200)의 전체 밀도는 감소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디(100)의 일 단면이 관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100)의 횡방향(DR2, 도 1 및 2 참조) 단면이 관찰될 수 있다.
바디(100)의 상부는, 상부 프레임(110), 미들 프레임(120)의 적어도 일부, 수직 프레임(130)의 적어도 일부, 그리고 지지 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40)은 상부 프레임(110)과 미들 프레임(120)을 연결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40)은 상부 프레임(110)과 미들 프레임(120) 사이의 힘을 매개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40)은, 상부 프레임(110)과 미들 프레임(120)과 함께 트러스(truss)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미들 프레임(120)과 상부 프레임(110)은, 지지 프레임(140)에 의해 비틀림에 대한 저항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상부 프레임(111, 113, 115)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상부 프레임(111, 113, 115)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141, 142)은, 제1 상부 프레임(111)의 하부에 위치하며 서로 연결되어 역삼각형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지지 프레임(143, 144)은, 제2 상부 프레임(113)의 하부에 위치하며 서로 연결되어 역삼각형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5 및 제6 지지 프레임(145, 146)은, 제3 상부 프레임(115)의 하부에 위치하며 서로 연결되어 역삼각형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역삼각형 구조는, 상부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미들 프레임에 분산할 수 있다. 관점에 따라 지지 프레임(140)과 미들 프레임(120)은 삼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100)의 하부는, 미들 프레임(120)의 적어도 일부, 수직 프레임(130)의 적어도 일부, 그리고 바닥 프레임(16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의 하부는, 내부에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의 하부는, 부력 부재(60)를 수용할 수 있다. 부력 부재(60)는, 1g/cm3 보다 작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력 부재(60)는 폴리에스터(polyester)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의 하부는, 끼움 프레임(170)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 프레임(170)은 제1 끼움 프레임(173)과 제2 끼움 프레임(17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끼움 프레임(173)과 제2 끼움 프레임(175)은 서로 마주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끼움 프레임(173)과 제2 끼움 프레임(175)의 적어도 일부는 바닥 프레임(160)에서 하부로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의 부잔교(P)를 AA로 자른 단면이 관찰될 수 있다. 도 1의 AA는 부잔교(P)의 횡방향(DR2)일 수 있다. 즉 도 5는 바디(100)의 횡방향(DR2) 연결을 나타낼 수 있다.
바디(100)는 횡방향(DR2)으로 배치되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열 제4 바디(100a4), 제2열 제4 바디(100b4), 제3열 제4 바디(100c4), 그리고 제4열 제4 바디(100d4)는, 횡방향(DR2)으로 배치되고 연결될 수 있다.
부력 유닛(200)은 바디(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부력 유닛(20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력 유닛(200)은 제1열 부력 유닛(200a), 제2열 부력 유닛(200b), 제3열 부력 유닛(200c), 그리고 제4열 부력 유닛(200d)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유닛(25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유닛(250)은 제1열 장착 유닛(250a), 제2열 장착 유닛(250b), 제3열 장착 유닛(250c), 그리고 제4열 장착 유닛(250d)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열 장착 유닛(250a, 250b, 250c, 250d)은 각 열 부력 유닛(200a, 200b, 200c, 200d)을 각각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열 장착 유닛(250a)은 제1열 부력 유닛(200a)을 수용할 수 있다. 각 열 장착 유닛(250a, 250b, 250c, 250d)은 각 열 바디(100a, 100b, 100c, 100d)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열 장착 유닛(250a)은, 제1열 바디(100a)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볼트(BLT)와 복수 개의 너트(NT)는, 서로 인접한 바디(100)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BLT)와 너트(NT)는, 제1열 제4 바디(100a4)와 제2열 제4 바디(100b4)를 횡방향(DR2)으로 연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볼트(BLT)와 너트(NT)는, 제2열 제4바디(100b4)와 제3열 제4 바디(100c4)를, 제3열 제4 바디(100c4)와 제4열 제4 바디(100d4)를, 횡방향(DR2)으로 체결할 수 있다. 볼트(BLT)와 너트(NT)는, 데크(DK)와 바디(100)를 체결할 수 있다. 볼트(BLT)와 너트(NT)는, 장착 유닛(250)과 바디(100)를 체결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P)는 바디(100)와 부력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부잔교(P)는 부잔교(P)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데크(DK)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데크(DK)는 횡방향(DR2)을 길이 방향으로 가지며 종방향(DR1)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디(100)와 유사한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바(400)는 제1 연결바(410)와 제2 연결바(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바(410)와 제2 연결바(420)는, 복수 개의 바디(100)를 종방향(DR1)으로 연결할 수 있다.
각 열 부력 유닛(300a, 300b, 300c, 300d)은, 각 열 바디(100a, 100b, 100c, 100d)의 하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열 부력 유닛(300a)은, 제1열 바디(100a)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열 부력 유닛(300a)은 예를 들어, 제1열 제1 부력 유닛(300a1), 제1열 제2 부력 유닛(300a2), 그리고 제1열 제3 부력 유닛(300a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각 열 부력 유닛(300a, 300b, 300c, 300d)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열 부력 유닛(300a)은, 제1열 제1 부력 유닛(300a1), 제1열 제2 부력 유닛(300a2), 그리고 제1열 제3 부력 유닛(300a3)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열 부력 유닛(300a, 300b, 300c, 300d) 각각이 복수 개의 부력 유닛(300)으로 구분됨으로써, 각 부력 유닛(300)의 교환이 용이할 수 있다.
제1열 제1 부력 유닛(300a1)은, 제1열 제1 바디(100a1)와 제1열 제2 바디(100a2)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열 제2 부력 유닛(300a2)은, 제1열 제3 바디(100a3)와 제1열 제4 바디(100a4)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열 제3 부력 유닛(300a1)은, 제1열 제5 바디(100a5)와 제1열 제6 바디(100a6)에 장착될 수 있다.
내측 연결바(451, 452, 453, 454)는, 제1 내측 연결바(451), 제2 내측 연결바(452), 제3 내측 연결바(453), 그리고 제4 내측 연결바(45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연결바(451, 452, 453, 454)는 각 열 바디(100a, 100b, 100c, 100d)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측 연결바(451)는, 제1 열 바디(100a)에 배치되어, 제1열 제1 바디 내지 제4 바디(100a1 ~ 4)을 순차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내측 연결바(451 ~ 454)는, 예를 들어 목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부력 유닛(300)은, 상판(310)과 바구니(3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구니(35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바구니(350)에 형성된 공간은 상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판(310)은 바구니(350)에 형성되어 상부를 향해 개방된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상판(310)과 바구니(350)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주입구(320)는, 상판(310)과 바구니(3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구(320)는 상판(310)에 형성될 수 있다. 주입구(320)는 부력 유닛(300)의 내외부의 출입 통로가 될 수 있다.
결합돌기(330)는 상판(310)과 바구니(350)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돌기(330)는, 상판(310)의 외부 경계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돌기(330)는 제1 결합돌기(333)와 제2 결합돌기(3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333)와 제2 결합돌기(335)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돌기(330)는, 바디(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 프레임(160, 도 4 참조)과 끼움 프레임(170, 도 4 참조)의 사이에 안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6의 부잔교(P)를 BB로 자른 단면이 관찰될 수 있다. 도 6의 BB는 부잔교(P)의 횡방향(DR2)일 수 있다. 즉 도 9는 바디(100)의 횡방향(DR2) 연결을 나타낼 수 있다.
복수 개의 볼트(BLT)와 복수 개의 너트(NT)는, 서로 인접한 바디(100)를 연결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볼트(BLT)와 복수 개의 너트(NT)는, 내측 연결바(451 ~ 454)와 바디(100)를 연결할 수 있다. 너트(NT)는 볼트(BLT)에 체결될 수 있다.
사각 바구니 타입의 부력 유닛(300)은, 바디(100)에 체결될 수 있다. 사각 바구니 타입의 부력 유닛(300)은, 바디(100)에 체결될 때, 바디(100)의 바닥 프레임(160, 도 4 참조)과 이격될 수 있다. 바디(100)의 바닥 프레임(160, 도 4 참조)이 부력 유닛(300)과 이격되지 않고 밀착되면, 부력 유닛(300)의 바디(100)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은 이후에 기재된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사각 바구니 타입의 부력 유닛(300)의 일 단면이 관찰될 수 있다. 사각 바구니 타입의 부력 유닛(300)은 상판(310)과 바구니(35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구(320)는 상판(310)에 형성될 수 있다. 바구니(350)는 물(WTR)을 담을 수 있다. 사각 바구니 타입의 부력 유닛(300)에 담긴 물(WTR)은, 주입구(320)를 통해 부력 유닛(300)의 내외부로 유출입할 수 있다. 사각 바구니 타입의 부력 유닛(300)에 담긴 물(WTR)은, 부력 유닛(300)의 부력을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원통형 타입의 부력 유닛(200)의 일 단면이 관찰될 수 있다. 원통형 타입의 부력 유닛(200)은 본체(201)와 주입구(20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1)는 밀폐된 중공부를 포함하는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주입구(205)는 본체(201)에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 타입의 부력 유닛(200)에 담긴 물(WTR)은, 주입구(205)를 통해 부력 유닛(200)의 내외부로 유출입할 수 있다. 원통형 타입의 부력 유닛(200)에 담긴 물(WTR)은, 부력 유닛(200)의 부력을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바디(100)가 단면으로 관찰될 수 있다. 바디(100)는, 미들 프레임(120)과 바닥 프레임(160)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수직 프레임(130)과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19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9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프레임(190)은 제1 하부 프레임(191)과 제2 하부 프레임(19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프레임(191), 제1 미들 프레임(121), 그리고 제1 수직 프레임(131)은,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하부 프레임(193), 제4 미들 프레임(133), 그리고 제2 수직 프레임(133)은,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91)이 형성하는 삼각형 단면 형상은, 수직 프레임(130)의 하부에 체결공(CH)이 형성되기 용이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직 프레임(131)에 제1 체결공(CH1)과 제2체결공(CH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공(CH1)은 제1 수직 프레임(131)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2 체결공(CH2)은 제1 수직 프레임(13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직 프레임(133)에 제3 체결공(CH3)과 제4 체결공(CH4)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공(CH3)은 제2 수직 프레임(133)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4 체결공(CH4)은 제2 수직 프레임(133)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공(CH)에 볼트(bolt)가 삽입되고 볼트의 양 측에 너트가 체결될 수 있다.
바디(100)는 대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대면부(180)는 바닥 프레임(160)에 형성될 수 있다. 대면부(180)는 바디(100)의 아래를 향할 수 있다. 대면부(180)는 평탄부(181)와 곡면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부(181)는 바닥 프레임(160) 또는 끼움 프레임(170)과 나란할 수 있다.
곡면부(185)는 원호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185)는 바디(100)의 하부를 향하여 오목할 수 있다. 평탄부(181)는 제1 평탄부(182)와 제2 평탄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탄부(182)와 제2 평탄부(183)의 사이에 곡면부(185)가 위치할 수 있다. 평탄부(181)는 곡면부(185)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평탄부(182)는 제1 끼움 프레임(173)에 인접하고, 제2 평탄부(183)는 제2 끼움 프레임(175)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평탄부(182)는 제1 끼움 프레임(173)과 곡면부(18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평탄부(183)는 제2 끼움 프레임(175)과 곡면부(18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바닥 프레임(160)은 제1 바닥 프레임(161)과 제2 바닥 프레임(163)을 포함할 수 있다. 대면부(180)는, 제1 바닥 프레임(161)과 제2 바닥 프레임(16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사각 바구니 타입의 부력 유닛(300)은, 바디(100)에 체결될 수 있다. 사각 바구니 타입의 부력 유닛(300)은, 바디(100)의 대면부(180, 도 11 참조)에 밀착될 수 있다. 사각 바구니 타입의 부력 유닛(300)의 상판(310, 도 8 참조)은, 대면부(180, 도 11 참조)의 평탄부(181, 도 11 참조)에 밀착될 수 있다.
부력 유닛(300)의 상부가 바디(100)의 하부에 밀착됨으로써, 사각 바구니 타입의 부력 유닛(300)의 바디(100)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원통형 타입의 부력 유닛(200)은, 장착 유닛(250)을 이용하여 바디(100)에 장착될 수 있다. 원통형 타입의 부력 유닛(200)은, 바디(100)의 대면부(180, 도 11 참조)에 밀착될 수 있다. 원통형 타입의 부력 유닛(200)의 일부는, 대면부(180, 도 11 참조)의 곡면부(185)에 밀착될 수 있다.
부력 유닛(200)의 상부가 바디(100)의 하부에 밀착될 수 있다. 특히 부력 유닛(200)의 일정 면적 영역이 바디(100)의 하부에 밀착됨으로써, 원통형 타입의 부력 유닛(200)의 바디(100)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대면부(180, 도 11 참조)는, 평탄부(181, 도 11 참조)와 곡면부(185)를 포함함으로써 복수 개 유형(type)의 부력 유닛(200, 300)에 모두 밀착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바디 110: 상부 프레임
120: 미들 프레임 130: 수직 프레임
140: 지지 프레임 150: 보조 프레임
160: 바닥 프레임 170: 끼움 프레임
200: 사각 바구니 타입의 부력 유닛 300: 원통형 타입의 부력 유닛
400: 연결바 P: 부잔교

Claims (13)

  1. 수평 방향 중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바디;
    상기 제1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바; 그리고
    상기 바디의 하부에 연결된 부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부력 유닛의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미들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미들 프레임에서 상기 부력 유닛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미들 프레임과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 프레임;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에서 하부로 연장되되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을 향하여 굽어져 상기 바닥 프레임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닥 프레임과의 사이에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끼움 프레임;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에서 하부로 연장되되 상기 제1 끼움 프레임을 향하여 굽어져 상기 바닥 프레임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닥 프레임과의 사이에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끼움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바닥 프레임의 바닥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사이에 위치하는 대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면부는,
    상기 바디의 하부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곡면부;
    상기 곡면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 끼움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닥 프레임과 나란한 제1 평탄부; 그리고
    상기 곡면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2 끼움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닥 프레임과 나란한 제2 평탄부를 포함하는,
    부잔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 그리고 상기 미들 프레임은,
    트러스(truss) 구조를 형성하는,
    부잔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은 역삼각형을 형성하는,
    부잔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미들 프레임은 삼각형을 형성하는,
    부잔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내지 제3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어 역삼각형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어 역삼각형을 형성하는 제3 및 제4 지지 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3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어 역삼각형을 형성하는 제5 및 제6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부잔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2 끼움 프레임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제1 끼움 프레임을 향해 개방된,
    부잔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유닛과 상기 바디를 연결하는 장착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 유닛은,
    상기 부력 유닛을 장착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끼움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위치하는 제1 끼움부; 그리고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 끼움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위치하는 제2 끼움부를 포함하는,
    부잔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유닛은,
    상기 바디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판;
    상기 상판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바구니;
    상기 상판과 상기 바구니의 경계에 인접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끼움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위치하는 제1 결합돌기; 그리고
    상기 상판과 상기 바구니의 경계에 인접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2 끼움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위치하는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부잔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유닛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개폐하는 주입구를 포함하는,
    부잔교.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미들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의 사이에서 상기 미들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을 연결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에서 이격된 하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부잔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면부는,
    상기 제1 끼움 프레임과 상기 제2 끼움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잔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은,
    상기 제1 끼움 프레임을 마주하는 제1 바닥 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2 끼움 프레임을 마주하는 제2 바닥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대면부는,
    상기 제1 바닥 프레임과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잔교.
KR1020170061401A 2017-05-18 2017-05-18 부잔교 KR101886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401A KR101886338B1 (ko) 2017-05-18 2017-05-18 부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401A KR101886338B1 (ko) 2017-05-18 2017-05-18 부잔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338B1 true KR101886338B1 (ko) 2018-08-09

Family

ID=6325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401A KR101886338B1 (ko) 2017-05-18 2017-05-18 부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226B1 (ko) 2022-02-24 2022-07-28 주식회사 마텍 선박헐 타입의 부잔교
RU219583U1 (ru) * 2023-05-05 2023-07-2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ехрезерв" Звено плавучей конструкци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332A (ko) * 2000-05-26 2001-12-07 김남수 가두리 양식장의 구조물 설치구조
KR20040041231A (ko) * 2002-11-09 2004-05-17 신승호 합성수지 관을 부력 재로 이용한 부잔 교의 구조와 장치
KR20050002936A (ko) * 2003-06-26 2005-01-10 김경진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448442Y1 (ko) * 2009-12-31 2010-04-09 오세진 체결구조를 단순화한 일체형 부구
KR101026543B1 (ko) * 2010-10-20 2011-04-01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부력체 지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101270949B1 (ko) * 2012-10-16 2013-06-11 주식회사 프라코 조립식 수상 부유구조물 연결체 및 그 연결체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332A (ko) * 2000-05-26 2001-12-07 김남수 가두리 양식장의 구조물 설치구조
KR20040041231A (ko) * 2002-11-09 2004-05-17 신승호 합성수지 관을 부력 재로 이용한 부잔 교의 구조와 장치
KR20050002936A (ko) * 2003-06-26 2005-01-10 김경진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448442Y1 (ko) * 2009-12-31 2010-04-09 오세진 체결구조를 단순화한 일체형 부구
KR101026543B1 (ko) * 2010-10-20 2011-04-01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부력체 지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101270949B1 (ko) * 2012-10-16 2013-06-11 주식회사 프라코 조립식 수상 부유구조물 연결체 및 그 연결체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226B1 (ko) 2022-02-24 2022-07-28 주식회사 마텍 선박헐 타입의 부잔교
RU219583U1 (ru) * 2023-05-05 2023-07-2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ехрезерв" Звено плавучей конструкци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9453A (en) Floating dock system
US3967569A (en) Floating dock
US7273018B2 (en) Modular floating dock frame and interconnection system
KR101252422B1 (ko) 조립식 폰툰
KR100692296B1 (ko) 고강도 경량 부잔교
CN1964886A (zh) 浮动平台方法和装置
CN101678878A (zh) 可配置的多功能浮船
KR101886338B1 (ko) 부잔교
CN113226916A (zh) 海上结构物用浮体
KR100947584B1 (ko) 바지선의 확장 구조 및 그 방법
US3022759A (en) Concrete floating wharf
KR100804057B1 (ko) 플로트 조립체의 부속물 설치구조
US4085696A (en) Utility chase for floating units
KR102224206B1 (ko) 해상 부유 구조물
KR102166383B1 (ko) 파일 가이드가 연결된 부잔교
KR101830963B1 (ko) 부잔교
KR102110426B1 (ko)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AU2009332806B2 (en) Docking bridge for the loading and unloading a roll-on/roll-off ship
KR20090017001A (ko) 조립식 도크의 연결장치
US20150027358A1 (en) Frame shaped submersible deck box structure comprising at least one structural module
JP3701083B2 (ja) 浮体構造物用単位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浮体構造物
KR100544858B1 (ko) 해상 접안 시설물 시공을 위한 가교 바지선의 연결장치
US7325503B1 (en) Watercraft lift
KR20210091871A (ko) 조립형 부유체
KR102391626B1 (ko) 침수형 부상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