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626B1 - 침수형 부상 조립체 - Google Patents

침수형 부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626B1
KR102391626B1 KR1020200070218A KR20200070218A KR102391626B1 KR 102391626 B1 KR102391626 B1 KR 102391626B1 KR 1020200070218 A KR1020200070218 A KR 1020200070218A KR 20200070218 A KR20200070218 A KR 20200070218A KR 102391626 B1 KR102391626 B1 KR 10239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plate bodies
bodies
pip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3319A (ko
Inventor
강흥묵
Original Assignee
강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흥묵 filed Critical 강흥묵
Priority to KR1020200070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62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3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침수형 부상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부판체와 하부판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갖추고,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선,후단에 접하여 상기 상부판체와 하부판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전,후방판체를 갖추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 ; 상기 상부판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전,후방판체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판체에 타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전,후방판체를 매개로 상기 상,하부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1연결체를 갖추고, 상기 상부판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각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판체에 타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매개로 상기 상,하부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2연결체를 갖추며, 상기 전방판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후방판체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매개로 상기 전,후방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3연결체를 갖추어 복수개의 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판체 연결부; 를 포함하여, 상기 부력체가 배치되는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물이 채워지면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 일부는 수면아래에 침수되고, 상기 부력체에 의해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 나머지는 수면에 부상되어 노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침수형 부상 조립체{a Submerged Floating Assembly}
본 발명은 부력을 갖는 부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수면 위로 몸체 일부가 부상되고 몸체 나머지가 수면 아래에 침수되도록 물이 채워지면서 외력에 의한 수평 평행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외란에 의한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침수형 부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상 조립체는 바다, 강 또는 호수와 같은 곳에서 물 위에 뜨게 해주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부력체로서, 통상 공기를 이용하거나 스티로폼과 같이 물 보다 가벼운 물체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부상 조립체는 바다에 어장을 만들거나 호수에 태양광 발전설비와 같은 구조물을 설치할 때 또는 이와 유사한 목적의 구조물 등을 만들 때 사용되는 박스 형태의 부재로서 이러한 구조물은 모두 물 위에 뜨게 해주는 공통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해변이나 강가의 수면 위에 시공되어 보트나 선박 등이 접안되는 선착장으로 사용되거나 군사 훈련 중에 강 등에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가설 교량 등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부상 조립체는 스티로폼을 이용한 부상 조립체, 드럼통을 이용한 부상 조립체, 폴리에틸렌 재질의 파이프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등이 알려져 있다.
스티로폼을 이용한 부상 조립체는 장시간 사용시 스티로폼이 떨어져서 수질 오염을 일으킬 수 있고 부력을 감소시켜서 부유식 해상시설물의 선체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드럼통, 파이프 등을 이용한 부상 조립체는 철사 등으로 설치되어 부식에 의해 조립체로부터 부분적으로 이탈되어 수질 오염을 일으킬 수 있고, 드럼통 사이 또는 파이프 사이에 각종 수상 쓰레기가 끼어들어가 부패되면서 악취 발생 등의 주범이 될 수 있으며, 파손 위험에 따라 부력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부상 조립체는 어장이나 선착장 등과 같은 수상의 접안 구조물을 축조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경우 수상에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로프 또는 체인 등을 이용하여 하천 등의 바닥이나 근처 땅에 연결시켜 계류하게 된다.
(특허문헌 1) KR10-1806125 B1
특허문헌 1에는 판상의 중공 제1케이싱과 상기 제1케이싱의 내부에 충전된 발포체와 상기 제1케이싱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며 하부영역 배치되는 제1체결암나사부를 갖는 제1체결공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부력패널을 가지고 수평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부력층과, 판상의 중공 제2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의 내부에 충전된 발포체와 상기 제2케이싱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며 상기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제2머리안착부를 갖는 제2체결공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부력패널을 가지고 상기 제1부력층의 상부에서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2부력층과, 상기 제2머리안착부에 안착되는 나사머리와, 상기 나사머리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제1체결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부를 갖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는 부력패널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력패널 조립체는 중량물이 적재되거나 사용자가 탑승하게 되어 전체 무게중심이 낮아지더라도 낮아지는 무게중심의 위치와 부력중심의 위치가 서로 멀어지거나 일측으로 치우치면서 전후요동 및 좌우요동이 발생되면, 불평형 상태를 평형상태로 유지하게 되는 복원력이 급격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전복사고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면 아래에 몸체 일부가 잠겨지도록 물이 채워지면서 수평 평행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한편,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확장성이 용이한 침수형 부상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침수형 부상 조립체는, 상부판체와 하부판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갖추고,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선,후단에 접하여 상기 상부판체와 하부판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전,후방판체를 갖추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 ; 상기 상부판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전,후방판체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판체에 타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전,후방판체를 매개로 상기 상,하부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1연결체를 갖추고, 상기 상부판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각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판체에 타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매개로 상기 상,하부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2연결체를 갖추며, 상기 전방판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후방판체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매개로 상기 전,후방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3연결체를 갖추어 복수개의 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판체 연결부; 를 포함하여, 상기 부력체가 배치되는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물이 채워지면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 일부는 수면아래에 침수되고, 상기 부력체에 의해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 나머지는 수면에 부상되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체는 상기 상부판체의 양측단에 관통형성된 제1상부연결공에 대응결합되어 걸림고정되는 제1고정구를 일단에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제1연결파이프를 갖추며, 상기 전,후방판체의 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하부판체의 양측단에 관통형성된 제1하부연결공을 관통하는 제1연결파이프의 타단 외주면과 접하여 압착고정하면서 상기 하부판체에 단부가 접해지는 제1파이프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연결체는 상기 상부판체의 양측테두리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된 제2상부연결공에 대응결합되어 걸림고정되는 제2고정구를 일단에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제2연결파이프를 갖추며,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각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하부판체의 양측테두리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된 제2하부연결공을 관통하는 제2연결파이프의 타단 외주면과 접하여 압착고정하면서 상기 하부판체에 단부가 접해지는 제2파이프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연결체는 상기 전방판체의 각 모서리마다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전방연결공과 대응하는 전방판체에 단부가 접해지는 제3파이프고정구를 갖추고, 상기 제3파이프고정구에 관통배치되면서 외주면이 압착고정되는 일정길이의 제3연결파이프를 갖추며,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후방판체의 각 모서리마다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후방연결공과 대응하는 후방판체를 통과하는 제3연결파이프의 외주면과 접하여 압착고정하면서 상기 후방판체에 단부가 접해지는 다른 제3파이프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전,후방판체에 형성된 전,후방연결공과 대응하는 전,후방보조연결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전,후방판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후방보조연결공을 통과하여 노출되는 제3연결파이프의 외주면과 접하여 압착고정하는 제3파이프고정구의 단부가 접해지는 전,후방보조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 및 3파이프고정구 중 어느 하나의 파이프고정구는 상기 제1,2 및 3연결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연결파이프가 관통배치되는 내부공을 갖추어 상기 하부판체의 제1,2하부연결공 및 전,후방연결공 중 어느 하나에 콘형 일단 외주면이 압입고정되는 제1케이싱과, 상기 제1케이싱의 타단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외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제1,2 및 3연결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연결파이프가 관통배치되는 내부공을 갖는 제2케이싱 및 상기 제1,2케이싱과의 결합시 상기 제1,2 및 3연결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연결파이프의 외부면에 삽입된 밀착링체를 제1케이싱 측으로 가압하여 밀착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링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판체 중 어느 하나의 판체에 형성되는 길이방향 내부통로를 통과하는 제1연결부재에 의해서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본체부가 직렬로 배열되어 서로 연결되는 직렬집합형 부상 조립구조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전,후방판체 또는 그 외측에 구비되는 전,후방보조판체에 형성되는 폭방향 내부통로를 통과하는 제2연결부재에 의해서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본체부가 나란하게 병렬로 배열되어 서로 연결되는 병렬집합형 부상 조립구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하부판체, 좌우한쌍의 측벽판체 및 전,후방판체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부력체를 배치하고, 판체에 형성되는 내부통로에 물이 채워져 구속됨으로써, 수면 아래에 몸체 일부가 침수되고 몸체 일부가 부상된 부상 조립체의 이동시 큰 파도와 같은 외란에 의해서 부상 조립체가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수상안전사고의 발생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한,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되는 집합형 부상 조립체의 상,하부판체 및 전,후방판체의 각 통로를 통하여 일련의 연결부재를 삽입배치하여 구속시킴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본체부들을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파도와 같은 외란이 발생되는 수면에 부유된 부상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부상유지할 수 있는 한편, 서로 인접하는 부상 조립체들을 견고하게 결속하여 사용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수형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수형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수형 부상 조립체에 구비되는 상,하부판체, 측벽판체 및 전,후방판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형 부상 조립체에 구비되는 제1,2 및 3연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는 도 1의 5a-5a 선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5b 는 도 1의 5b-5b 선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형 부상 조립체에서 전,후방보조판체를 적용한 사시도이다.
도 7a 와 도 7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형 부상 조립체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형 부상 조립체(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면 아래에 몸체일부가 침수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의 몸체 나머지가 수면 위에 부상되어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부(10)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20) 및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판체들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판체 연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상,하부판체(11,12), 좌우한쌍의 측벽판체(13,14) 및 전,후방판체(15,16)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30)의 제1,2 및 3연결체(30a,30b,30c)에 의해서 직육면체상으로 조립되면서 상기 부력체(20)를 내부수용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판체 조립구조물이다.
상기 상,하부판체(11,12)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 천정 및 하부 바닥을 각각각 형성하는 대략 사각판상의 판체이며,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13,14)는 상기 상부판체(11)와 하부판체(12)와의 사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양측 벽체를 형성하는 대략 사각판상의 판체이다.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13,14)의 각 상,하부단은 상기 상부판체(11)의 양측테두리 하부면과 상기 하부판체(12)의 양측 테두리 상부면과 각각 접해진 상태에서 조립된다.
상기 전,후방판체(15,16)는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13,14)의 선,후단에 각 일측면이 접하도록 상기 상,하부판체(11,12)의 각 선,후단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전,후방 벽체를 형성하는 대략 사각판상의 판체이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판체(11,12), 좌우한쌍의 측벽판체(13,14) 및 전,후방판체(15,16)는 도 3a, 도 3b 및 도 3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판상의 제1판체(P1)와 제2판체(P2)와의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격판(P3)을 구비하여 서로 인접하는 격판(P3)들사이에 상기 본체부의 수면 부상설치 및 침수시 물이 자유롭게 유동되면서 채워질 수 있는 내부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부판체(11,12), 좌우한쌍의 측벽판체(13,14) 및 전,후방판체(15,16)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0)에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체(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대략 직육면체상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부력체(20)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와 그 상부면에 올려지는 구조물이 수면 아래로 완전히 침수되지 않도록 일정크기의 부력을 발생시켜 상기 본체부에 제공하는 부력구조물이다.
이러한 부력체(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적어도 하나이상 배치되어 침수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부력용기(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력용기(21)는 일단인 상부단에 기체가 주입되도록 개방되는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를 밀봉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주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갖는 주입구 마개(22)를 포함하여 주입된 기체가 밀봉처리되는 용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부력용기(21)는 복수개의 용기고정공을 관통형성한 용기홀더(25)에 조립되어 정렬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력체(20)는 기체가 주입되어 채워지는 복수개의 부력용기(21)와 이를 위치고정하는 용기홀더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부력체(20)는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스치로폼과 같은 부력소재로 이루어지거나 공기와 같은 기체가 충전된 튜브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력체(20)가 배치되어 부력이 발생되는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상,하부판체(11,12), 좌우한쌍의 측벽판체(13,14) 및 전,후방판체(15,16)들사이의 조립부위를 통하여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면설치시 상기 본체부(10)의 몸체 일부는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서 수면아래로 잠기는 반면에 상기 본체부(10)의 몸체 나머지는 상기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서 수면위로 부상되어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부상 조립체(100)가 수면에 부상설치되어 몸체 일부가 수면아래로 침수되면, 상기 하부판체(12)를 구성하는 제1,2판체들사이의 격판들사이에 형성된 내부유로에 채워지는 물에 의해서 본체부가 구속되고, 상기 부력체가 배치되는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수면높이까지 채워지는 물에 의해서 부상 조립체(100)의 좌우요동 및 전후요동을 최소화하면서 수하물이 올려지거나 사람이 올라서게 되는 부상 조립체(100)의 평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판체 연결부(30)는 도 2, 도 5a, 도 5b 및 도 5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상,하부판체(11,12), 좌우한쌍의 측벽판체(13,14) 및 전,후방판체(15,16)를 서로 연결하도록 제1,2 및 3연결체(30a,30b,30c)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체(30a)는 상기 상부판체(11)에 일단인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전,후방판체(15,16)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상기 하부판체(12)에 타단인 하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전,후방판체(15,16)를 매개로 하여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하부판체(11,12)를 일체로 연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체(30a)는 상기 상부판체(11)의 양측단에 관통형성된 제1상부연결공(11a)에 대응결합되어 걸림고정되는 제1고정구(32a)를 일단인 도면상 상단에 일체로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제1연결파이프(31a)를 갖추며, 상기 전,후방판체(15,16)의 격판들사이의 통로를 경유한 다음 상기 하부판체(12)의 양측단에 관통형성된 제1하부연결공(12a)을 관통하는 제1연결파이프(31a)의 타단 외주면과 접하여 압착고정하는 제1파이프고정구(37a)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파이프고정구(37a)는 상기 제1하부연결공(12a)을 관통형성하는 하부판체의 외면에 단부가 접해지면서 위치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파이프(31a)는 상기 전,후방판체의 내부를 관통하여 수직하게 배치되고, 이러한 제1연결파이프의 상단은 상기 제1상부연결공에 걸림고정되는 제1고정구(32a)에 의해서 상부판체(11)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판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연결파이프의 하단은 상기 제1하부연결공을 관통형성한 하부판체에 접해지는 제1파이프고정구에 의해서 상기 하부판체에 고정됨으로써, 서로 직교하는 상,하부판체와 전,후방판체를 서로 일체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체(30b)는 상기 상부판체(11)에 일단인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13,14)의 각 외측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하부판체(12)에 타단인 하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13,14)를 매개로 하여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하부판체(11,12)를 일체로 연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체(30b)는 상기 상부판체(11)의 양측테두리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된 제2상부연결공(11b)에 대응결합되어 걸림고정되는 제2고정구(32b)를 일단인 도면상 상단에 일체로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제2연결파이프(31b)를 갖추며,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13,14)의 각 외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하부판체(12)의 양측테두리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된 제2하부연결공(12b)을 관통하는 제2연결파이프(31b)의 타단 외주면과 접하여 압착고정하는 제2파이프고정구(37b)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파이프고정구(37b)는 상기 제2하부연결공(12b)을 관통형성하는 하부판체의 외부면에 단부가 접해지면서 위치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연결파이프(31b)는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각 외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이러한 제2연결파이프의 상단은 상기 제2상부연결공에 걸림고정되는 제2고정구(32b)에 의해서 상부판체(11)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판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연결파이프의 하단은 상기 제2하부연결공을 관통형성한 하부판체에 접해지는 제2파이프고정구에 의해서 상기 하부판체에 고정되면서 압착고정됨으로써, 서로 직교하는 상,하부판체와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서로 일체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3연결체(30c)는 상기 전방판체(15)에 일단인 도면상 좌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후방판체(16)에 타단인 우측단이 연결되어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13,14)를 매개로 하여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전,후방판체(15,16)를 일체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3연결체(30c)는 상기 전방판체(15)의 각 모서리마다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전방연결공(15a)을 관통형성하는 전방판체의 외면에 단부가 접해지는 제3파이프고정구(37c)를 갖추고, 상기 제3파이프고정구에 관통배치되면서 외주면이 압착고정되는 일정길이의 제3연결파이프(31c)를 갖추며,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격판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후방판체(16)의 각 모서리마다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후방연결공(16a)을 통과하는 제3연결파이프(31c)의 외주면과 접하여 압착고정하면서 상기 후방연결공(16a)을 관통형성하는 후방판체에 단부가 접해지는 다른 제3파이프고정구(37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연결파이프(31c)는 상기 부력체와 접하여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통로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후방판체의 전,후방연결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전,후방판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3연결파이프의 각 외부면은 상기 전,후방연결공을 형성하는 전,후방판체에 단부가 접해지는 한쌍의 제3파이프고정구(37c)에 의해서 압착고정됨으로써, 서로 직교하는 전,후방판체와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서로 일체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복수개의 본체부가 직렬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경우, 최외측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본체부의 전,후방판체 중 어느 하나의 판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3연결파이프(31c)의 단부에는 상기 전,후방판체에 관통형성된 전,후방연결공에 대응결합되어 걸림고정되는 제3고정구(32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2 및 3고정구(32a,32b,32c)는 상기 제1,2 및 3연결파이프의 각 일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2 및 3연결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고 각 연결공에 걸림연결되는 플랜지를 갖는 중공원통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2 및 3연결파이프의 각 외주면과 접하여 압착고정하면서 제1,2 및 3연결파이프를 본체부에 구속 고정하는 제1,2 및 3파이프고정구(37a,37b,37c)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 및 3연결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연결파이프가 관통배치되는 내부공을 갖추어 상기 상,하부판체의 상,하부연결공 및 상기 전,후방판체 전,후방 연결공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는 판체의 외부면에 단부가 접해지면서 상기 제1,2 및 3연결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연결파이프의 외주면이 압착고정되는 제1케이싱(33a,33b,33c)을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싱의 타단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외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제1,2 및 3연결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연결파이프가 관통배치되는 내부공을 갖는 제2케이싱(36a,36b,36c)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과의 사이에는 제1,2케이싱과의 결합시 상기 제1,2 및 3연결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연결파이프의 외부면에 삽입된 밀착링체(34a,34b,34c)를 제1케이싱 측으로 가압하여 연결파이프에 대한 밀착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링체(35a,35b,3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링체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2 및 3연결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연결파이프의 외부면과 밀착시 쐐기작용을 발생시키도록 톱니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부(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판체에 형성된 전,후방연결공(15a,16a)과 대응하는 전,후방보조연결공(17a,18a)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전,후방판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후방보조연결공을 통과하여 노출되는 제3연결파이프의 외주면과 접하여 압착고정하는 제3파이프고정구(37c)의 단부가 접해지는 전,후방보조판체(17.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후방보조판체(17,18)는 상기 전,후방판체(15,16)와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 대략 사각판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후방판체의 격판과 직교하는 격판을 갖추어 상기 전,후방판체의 내부통로와 직교하는 내부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전,후방판체에 대하여 대략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그 외측에 배치되어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상,하부판체(11,12)의 서로 인접하는 격판들사이에 형성되는 길이방향 내부통로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본체부(10)를 구속하는 일정길이를 갖는 제1연결부재(41)를 통과시켜 복수개의 본체부를 서로 직렬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전,후방보조판체(17,18)의 서로 인접하는 격판들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판체의 내부통로와 직교하는 폭방향 내부통로를 통하여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본체부를 구속하는 제2연결부재(42)를 통과시켜 복수개의 본체부를 서로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보조판체(17,18)는 상기 전,후방판체를 대체하는 판체로서 상기 상부판체(11와 하부판체(12)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후방보조판체의 전,후방보조연결공을 통하여 외부노출되는 제3연결파이프를 밀착고정하는 제3파이프고정구에 의해서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매개로 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후방판체(15,16) 및 그 외측면에 구비되는 전,후방보조판체(17,18)에는 부상 조립체의 수면 부유설치 이후 하중변화시 수면아래로 본체부의 일부가 하강침수하면서 상기 부력체가 배치되는 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물이 자유롭게 유입되거나 본체부의 일부가 상승부상하면서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물이 외부로 자유롭게 유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이상의 유출입공을 관통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형 부상 조립체(100)는 도 7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정길이의 제3연결파이프 및 상,하부판체 중 어느 하나의 판체에 형성되는 길이방향 내부통로를 통과하는 일련의 제1연결부재(41)에 의해서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본체부(10)가 직렬로 배열되어 서로 연결되는 직렬집합형 부상 조립구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침수형 부상 조립체(100)는 설치면적을 길이방향과 더불어 폭방향으로 늘릴 수 있도록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판체(15,16) 또는 전,후방보조판체(17,18)에 형성되는 폭방향 내부통로를 통과하는 일련의 제2연결부재(42)에 의해서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본체부(10)가 나란하게 병렬로 배열되어 서로 연결되는 병렬집합형 부상 조립구조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부상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직렬집합형 부상 조립구조물에서 최외측단에 위치하는 상,하부판체로부터 노출되는 제1연결부재(41)의 단부는 상기 상,하부판체에 선단이 접해지면 압착고정되는 압착고정구(41a)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위치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구는 상기 제1,2 및 3연결파이프를 압착고정하는 파이프고정구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부상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병렬집합형 부상 조립구조물에서 최외측단에 위치하는 전,후방판체 또는 전,후방보조판체로부터 노출되는 제2연결부재(42)의 단부도 다른 고정구에 의해서 폭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위치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2연결부재(41,42)는 제1,2판체사이의 격판들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를 통한 진출입이 용이하도록 가볍고 강성을 갖는 중공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일정길이의 와이어로프와 같은 로프부재 또는 중실형 파이프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2연결부재(41,42)가 내부공을 갖는 중공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2연결부재의 내부공으로 계류용 로프재를 삽입하여 통과시키고, 외측으로 노출되는 계류용 로프의 단부를 부둣가에 설치되는 고정앵커나 수면 바닥에 설치된 고정앵커에 연결하여 구속함으로써 부상설치된 침수형 부상 조립체가 떠내려가지 않도록 안전하게 계류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본체부의 몸체 하부 일부가 침수되고 나머지 몸체 상부가 수면위에 부상되어 사용되는 집합형 부상구조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본체부는 상,하부판체의 격판들사이의 통로를 통과하는 제1연결부재에 의해서 직렬로 묶음연결되고, 전,후방보저판체의 격판들사이의 통로를 통과하는 제2연결부재에 의해서 병렬로 묶음연결되어 수면에 부상설치시 집합형 부상구조물의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수면에 몸체 하부 일부가 침수되고 나머지 몸체 상부가 수면위에 부상되어 사용되는 부잔교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본체부
11 : 상부판체
11a,11b : 제1,2상부연결공
12 : 하부판체
12a,12b : 제1,2하부연결공
13,14 : 측벽판체
15 : 전방판체
16 : 후방판체
15a,16a : 전,후방연결공
17 : 전방보조판체
18 : 후방보조판체
20 : 부력체
30 : 제1,2 및 3연결체
31a,31b,31c : 제1,2 및 3연결파이프
37a,37b,37c : 제1,2 및 3파이프고정구
41,42 : 제1,2연결부재

Claims (7)

  1. 상부판체와 하부판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갖추고,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선,후단에 접하여 상기 상부판체와 하부판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전,후방판체를 갖추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 ;
    상기 상부판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전,후방판체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판체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1연결파이프를 갖추어 상기 전,후방판체를 매개로 상기 상,하부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1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각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판체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2연결파이프를 갖추어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매개로 상기 상,하부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2연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판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후방판체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3연결파이프를 갖추어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를 매개로 상기 전,후방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3연결체를 포함하여 복수개의 판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판체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체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침수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주입구에 주입구 마개를 나사결합하여 주입된 기체를 밀봉처리하는 복수개의 부력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판체, 좌우한쌍의 측벽판체 및 전,후방판체는 사각판상의 제1판체와 제2판체와의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격판을 구비하여 서로 인접하는 격판들사이에 상기 본체부의 수면 부상설치 및 침수시 물이 자유롭게 유동되면서 채워질 수 있는 내부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부력체가 배치되는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물이 채워지면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 일부는 수면 아래에 침수되고, 상기 부력체에 의해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 나머지는 수면에 부상되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형 부상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체는 상기 상부판체의 양측단에 관통형성된 제1상부연결공에 대응결합되어 걸림고정되는 제1고정구를 일단에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제1연결파이프를 갖추며, 상기 전,후방판체의 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하부판체의 양측단에 관통형성된 제1하부연결공을 관통하는 제1연결파이프의 타단 외주면과 접하여 압착고정하면서 상기 하부판체에 단부가 접해지는 제1파이프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형 부상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체는 상기 상부판체의 양측테두리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된 제2상부연결공에 대응결합되어 걸림고정되는 제2고정구를 일단에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제2연결파이프를 갖추며,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각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하부판체의 양측테두리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된 제2하부연결공을 관통하는 제2연결파이프의 타단 외주면과 접하여 압착고정하면서 상기 하부판체에 단부가 접해지는 제2파이프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형 부상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체는 상기 전방판체의 각 모서리마다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전방연결공과 대응하는 전방판체에 단부가 접해지는 제3파이프고정구를 갖추고, 상기 제3파이프고정구에 관통배치되면서 외주면이 압착고정되는 일정길이의 제3연결파이프를 갖추며, 상기 좌우한쌍의 측벽판체의 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후방판체의 각 모서리마다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후방연결공과 대응하는 후방판체를 통과하는 제3연결파이프의 외주면과 접하여 압착고정하면서 상기 후방판체에 단부가 접해지는 다른 제3파이프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형 부상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전,후방판체에 형성된 전,후방연결공과 대응하는 전,후방보조연결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전,후방판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후방보조연결공을 통과하여 노출되는 제3연결파이프의 외주면과 접하여 압착고정하는 제3파이프고정구의 단부가 접해지는 전,후방보조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형 부상 조립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및 3파이프고정구 중 어느 하나의 파이프고정구는 상기 제1,2 및 3연결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연결파이프가 관통배치되는 내부공을 갖추어 상기 하부판체의 제1,2하부연결공 및 전,후방연결공 중 어느 하나에 콘형 일단 외주면이 압입고정되는 제1케이싱과, 상기 제1케이싱의 타단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외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제1,2 및 3연결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연결파이프가 관통배치되는 내부공을 갖는 제2케이싱 및 상기 제1,2케이싱과의 결합시 상기 제1,2 및 3연결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연결파이프의 외부면에 삽입된 밀착링체를 제1케이싱 측으로 가압하여 밀착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링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형 부상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판체 중 어느 하나의 판체에 형성되는 길이방향 내부통로를 통과하는 제1연결부재에 의해서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본체부가 직렬로 배열되어 서로 연결되는 직렬집합형 부상 조립구조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전,후방판체 또는 그 외측에 구비되는 전,후방보조판체에 형성되는 폭방향 내부통로를 통과하는 제2연결부재에 의해서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본체부가 나란하게 병렬로 배열되어 서로 연결되는 병렬집합형 부상 조립구조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형 부상 조립체.
KR1020200070218A 2020-06-10 2020-06-10 침수형 부상 조립체 KR102391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218A KR102391626B1 (ko) 2020-06-10 2020-06-10 침수형 부상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218A KR102391626B1 (ko) 2020-06-10 2020-06-10 침수형 부상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319A KR20210153319A (ko) 2021-12-17
KR102391626B1 true KR102391626B1 (ko) 2022-04-27

Family

ID=7903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218A KR102391626B1 (ko) 2020-06-10 2020-06-10 침수형 부상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6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223A (ja) * 1998-08-26 2000-02-29 Sekisui Plastics Co Ltd 浮体構造物用構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27185B1 (ko) * 2012-08-27 2013-01-28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안정성이 높은 콘크리트 부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3832A (ja) * 1996-03-13 1997-09-19 Fujikura Ltd ケーブル貫通部の防水構造
KR101260926B1 (ko) * 2010-10-20 2013-05-06 김준성 조립형 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223A (ja) * 1998-08-26 2000-02-29 Sekisui Plastics Co Ltd 浮体構造物用構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27185B1 (ko) * 2012-08-27 2013-01-28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안정성이 높은 콘크리트 부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319A (ko)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9492B1 (en) Jacket frame floating structures with buoyancy capsules
US4979453A (en) Floating dock system
KR101207609B1 (ko) 부유식 방파제
US6701861B2 (en) Semi-submersible floating production facility
US7413384B2 (en) Floating offshore drilling/producing structure
CN103608256A (zh) 模块化半潜式结构及其制造方法
KR101448948B1 (ko) 부력체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잔교
US5911542A (en) Unsinkable floating dock system
CN102227349A (zh) 半潜式海上结构物
CN1642807B (zh) 摆动式停泊浮码头
CN101678878A (zh) 可配置的多功能浮船
KR860007432A (ko) 재킷타워 구조물 및 그의 설치방법
US8220406B2 (en) Off-shore structure, a buoyancy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KR102050997B1 (ko) 해상부유 구조물
KR102391626B1 (ko) 침수형 부상 조립체
KR101616689B1 (ko) 해양플랫폼
KR101097422B1 (ko) 부잔교
KR102105709B1 (ko) 해상부유 구조물
CN101287883A (zh) 用于水中运动的漂浮场站
KR102275983B1 (ko) 부유식 방파제
KR101948641B1 (ko) 부력 장치
KR102562002B1 (ko)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KR102186902B1 (ko) 침수형 부상 조립체
KR101995467B1 (ko) 부유체
KR20140017796A (ko) 부력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