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467B1 - 부유체 - Google Patents

부유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467B1
KR101995467B1 KR1020170087851A KR20170087851A KR101995467B1 KR 101995467 B1 KR101995467 B1 KR 101995467B1 KR 1020170087851 A KR1020170087851 A KR 1020170087851A KR 20170087851 A KR20170087851 A KR 20170087851A KR 101995467 B1 KR101995467 B1 KR 101995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t
coupling ring
direction end
wir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756A (ko
Inventor
조진택
Original Assignee
조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택 filed Critical 조진택
Priority to KR1020170087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4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는 복수의 부력재; 상기 복수의 부력재와 결합되는 결합링; 상기 결합링과 결합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부력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갑판; 상기 갑판을 고정하고 상기 결합링과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복수의 부력재 중 제1 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와 제2 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체{FLOATING BODY}
본 발명은 부유체에 관한 것이다.
해상이나 호수에서 많이 사용하는 부유체로써, 부잔교와 바지선을 예시할 수 있다.
부잔교는 부두에 설치한 도교와 바지선을 연결한 해상 접안 시설로서 해수면 높낮이에 의한 상, 하 이동과 파고에 의한 좌, 우 움직임에도 각종 선박의 안전한 정박은 물론 선박에서 하선한 사람들이 부잔교를 이용하여 육지로의 안전한 이동 또는 육지에서 부잔교를 이용하여 선박으로의 안전한 승선을 위한 시설로 이용된다. 부잔교는 해상 작업장 및 수상레저용 시설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바지선은 운하, 하천, 항내에서 사용하는 화물 운반선을 말하는데, 대부분 이동 속도가 느리거나 자체 동력이 없는 경우가 많다.
부유체는 부잔교와 바지선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부유체가 육지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 부잔교가 되고, 육지와 연결되지 않고 사용되는 경우에는 바지선이 된다.
한편, 종래의 부유체는 부력재로서 PE 또는 PP 재질의 드럼통이나 철제 드럼통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부유체는 통상 갑판 상면의 중앙에 화물이 적재되는데, 이 경우 갑판 중앙부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부유체의 중앙부가 휘는 현상이 발생되어 부유체의 구조적 변형이 발생되거나 부유체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10-1099448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의 부유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이하게 조립하여 확장할 수 있고 충격에 강한 연결부재를 이용한 부유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와이어를 통해 갑판의 하중을 분산하여 변형이나 파손이 감소된 부유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와이어를 통해 갑판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므로 연결부재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할 수 있어 부력재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부유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는 복수의 부력재; 상기 복수의 부력재와 결합되는 결합링; 상기 결합링과 결합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부력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갑판; 상기 갑판을 고정하고 상기 결합링과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복수의 부력재 중 제1 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와 제2 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의 부유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이하게 조립하여 확장할 수 있고 충격에 강한 연결부재를 이용한 부유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와이어를 통해 하중을 분산하여 변형이나 파손이 감소된 부유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와이어를 통해 갑판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므로 연결부재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할 수 있어 부력재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부유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에서 갑판을 제거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형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형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합링과 연결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 영역 또는 구조물들이 각 층, 영역, 구조물들의 "상/위"에 또는 "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와 "아래"는 "직접" 또는 "다른 층, 영역 또는 구조물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 영역 또는 구조물들의 상/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두께나 크기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에서 갑판을 제거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형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형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100)는 복수의 부력재(10)와, 상기 복수의 부력재(10)와 결합되는 결합링(20)과, 상기 결합링(20)과 결합링(2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0)와, 상기 부력재(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갑판(50)과, 상기 갑판(50)을 고정하고 상기 갑판(50)의 하부에 상기 결합링(20)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부력재(10)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는 와이어(60)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재(10)는 원기둥 형태의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PE, PP, PV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력재(10)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거나 부력을 강화하기에 적절한 재질의 물질이 채워질 수도 있다.
상기 부력재(10)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3개 이상의 부력재(10)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4개의 부력재(10)가 사용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 부력재(10)의 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합링(20)은 상기 부력재(10)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부력재(10)를 지지하며, 상기 연결부재(30)에 의해 상호 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링(20)은 상기 갑판(5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4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갑판(50)은 고정부재(40)에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재(40)는 H-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갑판(50)은 평판 형태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부재(40)가 복수개의 격자 형태로 구획되어 상기 고정부재(40)에 결합이 될 수 있는 크기로 분할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60)는 양단에 배치된 결합링(20)에 고정되는데, 상기 와이어(60)는 양단에 배치된 부력재(10)의 결합링(20)에 고정되고, 양단의 부력재(10) 사이에 배치된 부력재(10)의 상측 또는 하측을 지나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60)는 제1방향(예를 들어 도 3에서 좌측)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10)에 고정되어 상기 제1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10)의 상측을 지나 양단의 부력재(10)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부력재(10)의 하측을 통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예를 들어 도 3에서 우측)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10)의 상측을 지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60)는 제1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10)에 고정되어 상기 제1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10)의 하측을 지나 양단의 부력재(10)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부력재(10)의 상측을 통해 제2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10)의 하측을 지나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두개의 와이어(60)가 설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와이어(6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60)는 제1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10)에 고정되어 상기 제1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10)의 상측을 지나 양단의 부력재(10)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부력재(10) 중 하나의 하측을 지나 다른 하나의 상측을 통해 제2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10)의 하측을 지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60)는 제1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10)에 고정되어 상기 제1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10)의 하측을 지나 양단의 부력재(10)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부력재(10) 중 하나의 상측을 지나 다른 하나의 하측을 통해 제2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10)의 상측을 지나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두개의 와이어(60)가 설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와이어(6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60)는 상기 연결부재(30)가 상기 결합링(20)과 결합링(20)을 고정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부력재(10)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부력재(1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60)는 상기 복수의 부력재 중 제1 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10)와 제2 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10)를 연결하는데, 상기 복수의 부력재(10)는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60)는 상기 제1 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10)의 중심과 상기 제2 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10)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을 적어도 2회 이상 교차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합링과 연결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링(20)은 복수의 결합링 구성부(21,22,23)가 결합되어 하나의 결합링(20)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결합링 구성부(21,22,23)는 제1 결합링 구성부(21)와, 제2 결합링 구성부(22)와, 제3 결합링 구성부(23)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 결합링 구성부(21)와 상기 제2 결합링 구성부(22)는 각각 1/4 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링 구성부(23)는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결합링(20)과 부력재(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합링(20)은 반원 형태의 결합링 구성부와 반원 형태의 결합링 구성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링(20)의 양측에는 체결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4)는 일측이 상기 결합링(20)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부재(30) 또는 와이어(6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24)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4개의 결합구(24a)에 의해 상기 결합링(20)에 고정될 수 있고, 볼트 및 너트와 같은 2개의 결합구(24b)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24)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4개의 결합구(24a)에 의해 상기 결합링(20)에 고정될 수 있고, 볼트 및 너트와 같은 2개의 결합구(24b)에 의해 상기 와이어(60)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구(25)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링(20)의 양측에는 체결부(24)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30) 또는 와이어(6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력재(10)와 부력재(10)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부(24)에는 상기 연결부재(30)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 끝단 및 제2 방향 끝단에 배치된 체결부(24)에는 상기 와이어(6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0)에는 관통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1)은 상기 와이어(60)가 관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60)는 부력재(10)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31)을 지나 인접한 부력재(10)의 하측 또는 상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링 구성부(21) 및 제2 결합링 구성부(22)에는 상기 부력재(10)와 간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홈(21a,22a)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60)가 상기 부력재(10)와 상기 제1 결합링 구성부(21) 및 제2 결합링 구성부(22) 사이의 틈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60)가 상기 부력재(10)와 결합링(20) 사이 및 상기 연결부재(30)에 결합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부력재(10)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기 부력재(10)와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는 복수의 부력재(10)가 결합링(20) 및 연결부재(30)에 의해 결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와이어(60)를 통해 결합되므로 외부 충격에 변형이나 손상이 적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갑판(50)의 일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함으로써 부유체(100)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부력재, 20; 결합링, 30; 연결부재, 40; 고정부재, 50; 갑판, 60; 와이어, 100; 부유체

Claims (5)

  1. 복수의 부력재;
    상기 복수의 부력재와 결합되는 결합링;
    상기 결합링과 결합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부력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갑판;
    상기 갑판을 고정하고 상기 결합링과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복수의 부력재 중 제1 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와 제2 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링의 양측에는 체결부가 결합되고, 상기 부력재와 부력재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 끝단 및 제2 방향 끝단에 배치된 체결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부유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부유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력재는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의 중심과 상기 제2 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을 적어도 2회 교차하여 설치되는 부유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력재는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의 상측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와 상기 제2방향 끝단에 배치된 부력재 사이에 배치된 부력재의 하측을 따라 연장되어 설치되는 부유체.
  5. 삭제
KR1020170087851A 2017-07-11 2017-07-11 부유체 KR101995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851A KR101995467B1 (ko) 2017-07-11 2017-07-11 부유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851A KR101995467B1 (ko) 2017-07-11 2017-07-11 부유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756A KR20190006756A (ko) 2019-01-21
KR101995467B1 true KR101995467B1 (ko) 2019-07-02

Family

ID=6527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851A KR101995467B1 (ko) 2017-07-11 2017-07-11 부유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4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219B1 (ko) 1999-03-23 2001-09-24 이근희 조립식 작업선
KR101536278B1 (ko) 2015-02-04 2015-07-13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371Y2 (ja) * 1989-04-03 1995-02-22 株式会社ダイトー 浮桟橋構造
KR20020045588A (ko) * 2002-04-02 2002-06-19 나대균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결속구
KR20150135892A (ko) * 2014-05-26 2015-12-04 주종대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219B1 (ko) 1999-03-23 2001-09-24 이근희 조립식 작업선
KR101536278B1 (ko) 2015-02-04 2015-07-13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756A (ko) 201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948B1 (ko) 부력체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잔교
KR101119854B1 (ko) 탄화수소의 시추 또는 생산을 위한 해양 플랫폼
JP6279147B2 (ja) 海上浮遊構造物用浮力パイプの連結ソケット
US20110206466A1 (en) Tension Leg Platform With Improved Hydrodynamic Performance
KR101500283B1 (ko) 다목적 수상구조물용 폰툰
EP1725447B1 (en) Floating structure
KR20010085480A (ko) 저요동성 반잠수형 선박
KR102107297B1 (ko) 부유체
CN101027213B (zh) 船舶
KR101995467B1 (ko) 부유체
JP2010247646A (ja) 浮体式洋上風力発電における浮体式構造物とその係留方法
KR102105709B1 (ko) 해상부유 구조물
KR101830963B1 (ko) 부잔교
KR101899664B1 (ko)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부유체
KR101948641B1 (ko) 부력 장치
KR101934895B1 (ko)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 부유체
KR101948639B1 (ko) 부력 장치
WO2017112505A2 (en) Buoyant offshore structure
KR20180003768A (ko) 부력체
KR100544858B1 (ko) 해상 접안 시설물 시공을 위한 가교 바지선의 연결장치
KR20230067996A (ko) 조립형 부유체
KR102391626B1 (ko) 침수형 부상 조립체
KR20170036268A (ko) 극한환경에서의 안벽 계류 능력이 우수한 해상 부유체
KR101948644B1 (ko) 부력 장치
KR101924779B1 (ko) 다기능 해상부유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