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996A - 조립형 부유체 - Google Patents

조립형 부유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996A
KR20230067996A KR1020210153837A KR20210153837A KR20230067996A KR 20230067996 A KR20230067996 A KR 20230067996A KR 1020210153837 A KR1020210153837 A KR 1020210153837A KR 20210153837 A KR20210153837 A KR 20210153837A KR 20230067996 A KR20230067996 A KR 20230067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rizontal
support unit
buoyancy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516B1 (ko
Inventor
조진택
Original Assignee
조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택 filed Critical 조진택
Priority to KR1020210153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516B1/ko
Publication of KR2023006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지지부와, 상기 제1 수평지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수평지지부와, 상기 제1 수평지지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수평지지부와, 상기 제3 수평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평지지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수평지지부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부와, 상기 제1 수평지지부와 제2 수평지지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수직지지부와, 상기 제3 수평지지부와 제4 수평지지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부력재 지지부 및 상기 제1 부력재 지지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부력재 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의 타단에 형성된 제3 부력재 지지부 및 상기 제3 부력재 지지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4 부력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부력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제1 부력재 지지부와 제2 부력재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제3 불겨재 지지부와 제4 부력재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부력재; 상기 연결부재 및 부력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 지지대; 및 상기 상판 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된 상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형 부유체{FLOATING BODY}
본 발명은 격자형의 트러스 구조를 가지는 조립형 부유체에 관한 것이다.
해상이나 호수에서 많이 사용하는 부유체로써, 부잔교와 바지선을 예시할 수 있다.
부잔교는 부두에 설치한 도교와 바지선을 연결한 해상 접안 시설로서 해수면 높낮이에 의한 상, 하 이동과 파고에 의한 좌, 우 움직임에도 각종 선박의 안전한 정박은 물론 선박에서 하선한 사람들이 부잔교를 이용하여 육지로의 안전한 이동 또는 육지에서 부잔교를 이용하여 선박으로의 안전한 승선을 위한 시설로 이용된다. 부잔교는 해상 작업장 및 수상레저용 시설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바지선은 운하, 하천, 항내에서 사용하는 화물 운반선을 말하는데, 대부분 이동 속도가 느리거나 자체 동력이 없는 경우가 많다.
부유체는 부잔교와 바지선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부유체가 육지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 부잔교가 되고, 육지와 연결되지 않고 사용되는 경우에는 바지선이 된다.
한편, 종래의 부유체는 부력재로서 PE 또는 PP 재질의 드럼통이나 철제 드럼통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부유체는 통상 갑판 상면의 중앙에 화물이 적재되는데, 이 경우 갑판 중앙부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부유체의 중앙부가 휘는 현상이 발생되어 부유체의 구조적 변형이 발생되거나 부유체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10-1099448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의 조립형 부유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이하게 조립하여 확장할 수 있고 충격과 뒤틀림에 강한 연결부재를 이용한 조립형 부유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격자형의 트러스 구조를 통해 하중을 분산하여 뒤틀림이나 파손이 감소된 조립형 부유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지지부와, 상기 제1 수평지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수평지지부와, 상기 제1 수평지지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수평지지부와, 상기 제3 수평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평지지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수평지지부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부와, 상기 제1 수평지지부와 제2 수평지지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수직지지부와, 상기 제3 수평지지부와 제4 수평지지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부력재 지지부 및 상기 제1 부력재 지지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부력재 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의 타단에 형성된 제3 부력재 지지부 및 상기 제3 부력재 지지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4 부력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부력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제1 부력재 지지부와 제2 부력재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제3 불겨재 지지부와 제4 부력재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부력재; 상기 연결부재 및 부력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 지지대; 및 상기 상판 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된 상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의 조립형 부유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이하게 조립하여 확장할 수 있고 충격과 뒤틀림에 강한 연결부재를 이용한 조립형 부유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격자형의 트러스 구조를 통해 하중을 분산하여 뒤틀림이나 파손이 감소된 조립형 부유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에서 연결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에서 와이어가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에서 연결부재에 부력재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부력재의 구조 및 부력재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에서 상판 지지대가 결합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에서 상판이 결합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에서 연결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에서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 영역 또는 구조물들이 각 층, 영역, 구조물들의 "상/위"에 또는 "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와 "아래"는 "직접" 또는 "다른 층, 영역 또는 구조물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 영역 또는 구조물들의 상/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두께나 크기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에서 연결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에서 와이어가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는 연결부재(100)를 포함하는데, 상기 연결부재(10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지지부(11)와, 상기 제1 수평지지부(1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수평지지부(12)와, 상기 제1 수평지지부(11)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수평지지부(13)와, 상기 제3 수평지지부(13)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평지지부(12)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수평지지부(14)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부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00)는 상기 제1 수평지지부(11)와 제2 수평지지부(12)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수직지지부(15)와, 상기 제3 수평지지부(13)와 제4 수평지지부(14)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수직지지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지지부(15)와 상기 제2 수직지지부(16)는 적어도 일부가 보강부재(15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지지부(15)와 제2 수직지지부(16)는 각각 와이어 지지대(15a,16a)가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부재(100)의 제1 방향을 따라 양단에 결합된 와이어(17)가 상기 와이어 지지대(15a,16a)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견고한 구조를 이루게 한다.
상기 수평지지부의 양측에는 부력재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부력재 지지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부력재 지지부(21)와, 상기 제1 부력재 지지부(2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부력재 지지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력재 지지부(21)와 제2 부력재 지지부(22)는 각각 제1 수평부(21a,22a)와, 상기 제1 수평부(21a,22a)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수평부(21b,22b)와, 상기 제1 수평부(21a,22a)와 제2 수평부(21b,22b)의 양단을 잇는 제1 수직부(21c,22c)와 제2 수직부(21d,22d)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부(21a,22a)는 상기 제1 수평지지부(11) 및 제3 수평지지부(13)와 결합되고, 상기 제2 수평부(21b,22b)는 상기 제2 수평지지부(12) 및 제4 수평지지부(14)와 결합된다. 상기 제1 부력재 지지부(21)와 제2 부력재 지지부(22)는 부력재가 설치되기에 적합한 거리로 이격된다.
또한, 상기 부력재 지지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타단에 형성된 제3 부력재 지지부(23)와, 상기 제3 부력재 지지부(23)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4 부력재 지지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부력재 지지부(23)와 제4 부력재 지지부(24)는 각각 제3 수평부(23a,24a)와, 상기 제3 수평부(23a,24a)의 하부에 배치된 제4 수평부(24b,24b)와, 상기 제3 수평부(23a,24a)와 제4 수평부(23b,24b)의 양단을 잇는 제3 수직부(23c,24c)와 제4 수직부(23d,24d)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수평부(23a,24a)는 상기 제1 수평지지부(11) 및 제3 수평지지부(13)와 결합되고, 상기 제4 수평부(23b,24b)는 상기 제2 수평지지부(12) 및 제4 수평지지부(14)와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에서 연결부재에 부력재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와 도 5는 부력재의 구조 및 부력재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100)의 일단에는 상기 제1 부력재 지지부(21)와 제2 부력재 지지부(22), 상기 연결부재(100)의 타단에는 상기 제3 부력재 지지부(23)와 제4 부력재 지지부(24)를 포함하는 부력재 지지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부력재 지지부(21)와 제2 부력재 지지부(22)에는 두개의 부력재(200)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3 부력재 지지부(23)와 제4 부력재 지지부(24)에도 각각 두개의 부력재(2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력재(200)는 하우징(201)과, 상기 하우징(201)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부력재 지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202)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재(202)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부력재 지지부와 볼트와 너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02)는 'ㄱ'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재(202)의 수직부분은 상기 부력재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202)의 수평 부분은 후술하는 상판 지지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1)의 내부에는 충전재(204)가 설치되는데, 상기 충전재(204)는 예를 들어 EPS충전재와 같은 부력이 큰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1)에는 커버(203)가 설치되어 상기 충전재(20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하우징(201)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1)의 측면에는 외부 물체와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방현재(205)가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에서 상판 지지대가 결합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에서 상판이 결합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100) 및 부력재(200)의 상부에는 상판 지지대(300)가 설치된다.
상기 상판 지지대(300)는 서로 교차하는 다수의 지지빔이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상판 지지대(300)는 상기 부력재(200)이 형성된 결합부재(202)의 수평 부분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 지지대(300)의 상부에는 상판(400)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는 부잔교 또는 바지선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하중을 효과적으로 견디면서 안정적으로 수면 위에서 부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에서 연결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00)는 조립형 부유체의 크기나 길이 또는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체에서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조립형 부유체는 상기 연결부재(100)를 따라 다수의 부력재(200)가 설치되는데, 상기 부력재(200)와 부력재(200) 사이에는 부력재 연결부재(5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력재 연결부재(500)는 상기 연결부재(100)와 같이 트러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부력재(200)의 측면에 설치된 결합 브라켓(206)에 의해 상호간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경우 보다 견고하게 부력재(200)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연결부재, 200; 부력재, 300; 상판 지지대, 400; 상판

Claims (5)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지지부와, 상기 제1 수평지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수평지지부와, 상기 제1 수평지지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수평지지부와, 상기 제3 수평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평지지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수평지지부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부와,
    상기 제1 수평지지부와 제2 수평지지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수직지지부와, 상기 제3 수평지지부와 제4 수평지지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부력재 지지부 및 상기 제1 부력재 지지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부력재 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의 타단에 형성된 제3 부력재 지지부 및 상기 제3 부력재 지지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4 부력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부력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제1 부력재 지지부와 제2 부력재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제3 불겨재 지지부와 제4 부력재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부력재;
    상기 연결부재 및 부력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 지지대; 및
    상기 상판 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된 상판을 포함하는 조립형 부유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지지부와 상기 제2 수직지지부는 적어도 일부가 보강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는 조립형 부유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지지부와 제2 수직지지부는 각각 와이어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제1 방향을 따라 양측에 결합된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지지대의 하부를 지지하는 조립형 부유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부력재 지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ㄱ'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부분은 상기 부력재 지지부와 결합되고 수평 부분은 상기 상판 지지대와 결합되는 조립형 부유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충전재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충전재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조립형 부유체.
KR1020210153837A 2021-11-10 2021-11-10 조립형 부유체 KR102551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837A KR102551516B1 (ko) 2021-11-10 2021-11-10 조립형 부유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837A KR102551516B1 (ko) 2021-11-10 2021-11-10 조립형 부유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996A true KR20230067996A (ko) 2023-05-17
KR102551516B1 KR102551516B1 (ko) 2023-07-05

Family

ID=8654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837A KR102551516B1 (ko) 2021-11-10 2021-11-10 조립형 부유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51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410U (ja) * 1993-04-07 1994-10-28 テイヒュー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製浮遊構造体
KR101005500B1 (ko) * 2010-08-04 2011-01-04 주식회사 혁신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20150006520A (ko) * 2013-07-08 2015-01-19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수상설치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160011446A (ko) * 2014-07-22 2016-02-01 최문수 수상시설물 설치장치
KR20160034705A (ko) * 2014-09-22 2016-03-30 박정빈 조립식 바지선
KR20180031954A (ko) * 2016-09-21 2018-03-29 조진택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 부유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410U (ja) * 1993-04-07 1994-10-28 テイヒュー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製浮遊構造体
KR101005500B1 (ko) * 2010-08-04 2011-01-04 주식회사 혁신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20150006520A (ko) * 2013-07-08 2015-01-19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수상설치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160011446A (ko) * 2014-07-22 2016-02-01 최문수 수상시설물 설치장치
KR20160034705A (ko) * 2014-09-22 2016-03-30 박정빈 조립식 바지선
KR20180031954A (ko) * 2016-09-21 2018-03-29 조진택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 부유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516B1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91566B1 (en) Deep draft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RU2133690C1 (ru) Плавучее устройство
US20020067957A1 (en) Floating concrete dock sec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3022759A (en) Concrete floating wharf
KR102107297B1 (ko) 부유체
KR102166383B1 (ko) 파일 가이드가 연결된 부잔교
KR102224206B1 (ko) 해상 부유 구조물
KR102551516B1 (ko) 조립형 부유체
KR102166382B1 (ko) 부력체가 연결된 부잔교
USRE24837E (en) Floating wharf structure made of concrete float units
KR102105709B1 (ko) 해상부유 구조물
US4834014A (en) Floating platform structure
KR101830963B1 (ko) 부잔교
US20090304448A1 (en) A floating pontoon body to be tied together with at least another pontoon body
KR102064125B1 (ko) 조인트 파이프를 구비한 부잔교
JP2022178448A (ja) 浮体構造物支持構造、浮体構造物の設置方法
JP7413074B2 (ja) 浮体連結装置および浮体運搬方法
KR101934895B1 (ko)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 부유체
KR101995467B1 (ko) 부유체
JPS60144408A (ja) 船舶侵入防護施設
EP3828073B1 (en) Floating module and floating structure
KR101924779B1 (ko) 다기능 해상부유구조물
KR102165949B1 (ko)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
CN211080126U (zh) 一种趸船系留和连岸组合结构
KR102608885B1 (ko) 연결 유닛,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