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949B1 -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 - Google Patents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949B1
KR102165949B1 KR1020190131960A KR20190131960A KR102165949B1 KR 102165949 B1 KR102165949 B1 KR 102165949B1 KR 1020190131960 A KR1020190131960 A KR 1020190131960A KR 20190131960 A KR20190131960 A KR 20190131960A KR 102165949 B1 KR102165949 B1 KR 102165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ootbridge
pier
sub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령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령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령피앤씨
Priority to KR1020190131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동 파이프를 포함하는 도교 본체; 및 해안에 설치되어 도교 본체의 연동 파이프가 상하 및 좌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교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좌우 비틀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도교 연결부 측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Floating Pier connected to Bridge Assembly}
본 발명은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잔교와 해안을 연결하여 부잔교의 상하 및 좌우 움직임을 지지할 수 있는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잔교는 수면의 높이에 따라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하는 수상 구조물로서, 사람이 타고 내리거나 하역 작업을 하는데 사용된다. 부잔교는 물에 부상 가능한 부력체를 구비하며, 부력체의 위에 일정면적의 상판이 설치된다.
이러한 부잔교는 도교를 이용하여 해안과 연결된다. 도교는 부잔교와 연동되어 상하 및 좌우로 움직이며, 부잔교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도교는 해안과 연결시 연결부 측이 통상적으로 힌지 방식이 사용되어 상하 회동시에는 연결부 측의 무리가 없으나, 좌우 비틀림에 대해서는 연결부 측에 응력이 집중되어 연결부가 파손 또는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교 연결부의 교체주기가 크게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476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073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연결부 측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동 파이프를 포함하는 도교 본체; 및 해안에 설치되어 도교 본체의 연동 파이프가 상하 및 좌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교 연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에 있어서, 도교 연결 장치는 해안의 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함체와, 함체의 내부에 대칭으로 기립되며 마주하는 개구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와,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탄성부재와, 도교 본체의 연동 파이프가 결합되어 양측이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개구를 각각 관통 배치되는 축부재와, 축부재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탄성부재에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함체 내면 사이에 곡면지게 기립되어 롤러의 좌우 회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안내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는 축부재와 직교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축부재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개구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함체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에 있어서, 안내 플레이트는 롤러의 좌우 회전반경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복수의 파이프가 서로 연결된 베이스 프레임이 구비되고, 복수의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가 구비되며,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는 서로 이웃하는 것과 파이프의 측면에 삽입되는 각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에 의하면, 좌우 비틀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도교 연결부 측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를 보인 전체 도면이다.
도 2은 도 1의 부잔교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잔교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부잔교 본체의 파이프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부력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부잔교 본체의 수용 공간에 부력체가 결합되는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부잔교에 파이프 보강재가 파이프에 결합되는 일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는 도 1의 부잔교에 파이프 보강재가 파이프에 결합되는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도 1의 부잔교에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가 파이프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는 도 1의 부잔교에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가 파이프에 3개의 각도로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는 도 1의 부잔교에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가 서로 다른 제1 각도와 제2 각도를 이루도록 파이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은 도 1의 부잔교의 부잔교 본체의 하부 파이프에 앵커용 체인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부잔교의 계선주에 파이프 보강재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은 도 1의 부잔교가 또 다른 부잔교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서로 인접한 두 부잔교의 제1 연결 파이프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에서 서로 결합된 부잔교의 결합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는 도 1의 부잔교가 또 다른 부잔교에 결합되는 다른 예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의 'A'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에 연결된 도교 조립체의 도교 연결 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에 연결된 도교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부잔교에 연결된 도교 조립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를 보인 전체 도면이고, 도 2은 도 1의 부잔교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부잔교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에 연결된 도교 조립체(200)는 부잔교(100)와 해안(S)을 연결하여 부잔교(100)의 상하 및 좌우 움직임을 지지한다. 부잔교(100)는 부잔교 본체(110), 부잔교 상판(120), 부력체(130), 파이프 보강재(140), 앵커용 체인(150), 조인트 파이프(160), 계선주(1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교 조립체(200)는 도교 본체(210) 및 도교 연결 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잔교 본체(110)는 복수의 파이프(111, 112, 113, 114)가 서로 연결되어 트러스 형상을 이루며, 복수의 파이프(111, 112, 113, 114)에 의해 복수의 수용 공간(110a)이 형성된다. 파이프(111, 112, 113, 114)는 부식을 방지하도록 SUS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작비용과 무게를 고려하여 적정한 두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파이프(111, 112, 113, 114)는 단면이 원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부잔교 본체(110)는 복수의 상부 파이프(111), 복수의 하부 파이프(112), 복수의 제1 연결 파이프(113), 복수의 제2 연결 파이프(1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파이프(111)와 하부 파이프(112)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1 연결 파이프(113)는 상부 파이프(111)와 하부 파이프(112)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상부 파이프(111), 복수의 하부 파이프(112), 복수의 제1 연결 파이프(113)에 의해 부잔교 본체(110)가 육면체 형상이 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제2 연결 파이프(114)는 복수의 상부 파이프(111)와 복수의 하부 파이프(112)에 사선으로 결합된다. 부잔교 본체(110)가 제2 연결 파이프(114)를 구비함으로써 트러스 형상인 부잔교 본체(1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부잔교 본체(110)는 직육면체가 적층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잔교(100)가 수상에 설치시, 하부 파이프(112)는 수면(L) 아래에 위치하고 상부 파이프(111)는 수면(L) 위에 위치한다. 부잔교 본체(110)가 직육면체가 적층된 형태인 경우에는 일부 하부 파이프(112)만이 수면(L) 아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파이프(111, 112, 113, 114)가 접하는 부분을 용접하여 복수의 파이프(111, 112, 113, 114)를 결합시킨다. 이때 원통 형상인 파이프(111, 112, 113, 114)의 측면에 결합되는 파이프가 유격없이 접합되도록 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는 파이프의 끝단을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가공한다. 도 4는 도 1의 부잔교 본체의 파이프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잔교 상판(120)은 부잔교 본체(110)의 복수의 상부 파이프(111) 상측에 결합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철근콘크리트, 강판, 목재 등의 재질로 제작되어 여객의 승하선, 화물의 적양에 이용될 수 있다. 부잔교 상판(120)의 가장자리에는 난간(121)이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부력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부잔교 본체의 수용 공간에 부력체가 결합되는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체(130)는 부잔교 본체(110)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 공간(110a)에 설치될 수 있다. 부력체(130)는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부력체(130)는 부잔교 본체(110)에 형성된 모든 수용 공간(110a)에 설치될 경우, 부잔교(100)에 유체(파도 및 바람)가 미치는 영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체(130)는 수용 공간(110a) 중 일부에 설치되어 유체가 통과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부잔교 본체(110)에서 도교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부력체(130)를 밀집되게 배치하여 부력을 보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부력이 필요한 부분에는 부력체(130)를 집중하여 배치하고, 외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 부분에는 부력체(130)의 수를 줄임으로써 부잔교(100)의 효율적인 제작이 가능하다.
부력체(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상 가능하게 형성되는 폼부재(131)와, 폼부재(131)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복수의 금속 커버(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폼부재(131)는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 재질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폼부재(131)는 수용 공간(110a)의 형상에 따라 육면체 형상이다. 복수의 금속 커버(132)는 폼부재(131)의 육면을 둘러싸 폼부재(131)를 내부에 은닉시킨다. 금속 커버(132)는 SUS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금속 커버(132)에 의해 부력체(130)는 외부의 충격(파도, 바람 등)이나 충돌(선박)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기재된 부력체(130)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구성으로 대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폼부재(131)를 대체하여 내부에 단일의 부력공간을 형성하여 내부가 밀폐될 수 있는 사각 또는 원형 구조의 기둥 구조물이 있을 수 있다.
부력체(130)를 부잔교 본체(110)에 결합시키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잔교 본체(110)의 제1 연결 파이프(113)에는 파이프 이음관(115)이 부착된다. 파이프 이음관(115)의 끝단에는 플랜지(115-1)가 형성된다. 부력체(130)의 금속 커버(132)에는 부력체 이음관(135)이 부착된다. 부력체 이음관(135)의 끝단에도 플랜지(135-1)가 형성된다. 부력체(130)가 부잔교 본체(110)의 수용 공간(110a)에 위치하면, 파이프 이음관(115)의 플랜지(115-1)와 부력체 이음관(135)의 플랜지(135-1)가 서로 접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플랜지(115-1, 135-1)를 볼팅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킨다. 도 6에는 부력체(130)를 부잔교 본체(110)에 결합시키기 위해 사방에 플랜지(115-1, 135-1)가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각각의 플랜지(115-1, 135-1)를 상하로 복수로 형성하여 부력체(130)를 부잔교 본체(11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부력체 이음관(135)은 금속 커버(132)의 평평한 면에 부착될 수도 있지만, 부력체(13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서는 금속 커버(132)의 모서리 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부력체 이음관(135)의 결합되는 끝단이 내측으로 부력체(130) 모서리에 대응되는 각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부잔교에 파이프 보강재가 파이프에 결합되는 일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는 도 1의 부잔교에 파이프 보강재가 파이프에 결합되는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은 도 1의 부잔교에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가 파이프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는 도 1의 부잔교에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가 파이프에 3개의 각도로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는 도 1의 부잔교에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가 서로 다른 제1 각도와 제2 각도를 이루도록 파이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파이프 보강재(140)는 본체(110)를 이루는 파이프들(111, 112, 113, 11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파이프(111, 112, 113, 114)에 파이프 보강재(140)가 삽입됨으로써 파이프(111, 112, 113, 114)의 강성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이 부잔교(100)의 본체(110)가 트러스 형상인 경우, 파이프(111, 112, 113, 114)의 강성이 증가되는 것은 중요하다. 파이프 보강재(140)는 원기둥 형상, 각기둥 형상, 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본체(110)의 강도를 보강하고자 하는 점을 고려하면 파이프 보강재(140)가 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판 형상의 파이프 보강재(140)가 파이프(111, 112, 113, 114)의 직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굽힘 모멘트)에 대한 대항력이 보다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예로서, 파이프 보강재(140)는 도 7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11)의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를 위해 파이프(111) 측면의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에 각각 슬롯홀이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보강재(140)는 제1 위치(P1)의 슬롯홀로 삽입되어 제2 위치(P2)의 슬롯홀에 도달하게 된다. 파이프 보강재(140)의 삽입이 완료되면 각 슬롯홀에서 파이프 보강재(140)와 파이프(111)를 용접(W)한다. 용접(W)을 통해 파이프 보강재(140)를 고정하며, 파이프(111)의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8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11) 측면의 제1 위치(P1)에는 슬롯홀이 형성되고, 제2 위치(P2)에는 파이프 보강재(140)가 통과할 수 없는 천공홀이 형성된다. 천공홀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보강재(140)는 제1 위치(P1)의 슬롯홀로 삽입되어 제2 위치(P2)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파이프 보강재(140)가 천공홀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파이프 보강재(140)는 파이프(111)의 내벽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롯홀과 천공홀에서 파이프 보강재(140)와 파이프(111)를 용접(W)한다. 이와 같이 제2 위치(P2)에 천공홀을 형성하여 파이프 보강재(140)를 고정하면 슬롯홀을 형성하는 것보다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파이프 보강재(140)는 복수일 수 있다. 하나의 파이프(111)에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140)가 파이프(11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면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파이프 보강재(140)는 서로 이웃하는 파이프 보강재(140)와 파이프(111) 측면에 삽입되는 각도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140)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삽입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140a, 140b, 140b)가 3개 이상의 각도로 삽입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제1 파이프 보강재(140a)와 제2 파이프 보강재(140b)가 서로 다른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를 이룰 수 있다. 제2 각도(θ2)가 제1 각도(θ1)보다 작다. 파이프(111)가 가해지는 외력(F)에 대해 보다 강한 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2 각도(θ2)가 외력(F)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체(110)는 파이프(111)에 가해지는 외력(F)의 방향을 고려하여 파이프 보강재(140)의 삽입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2은 도 1의 부잔교의 부잔교 본체의 하부 파이프에 앵커용 체인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100)는 하부 파이프(112)에 앵커용 체인(150)이 결합될 수 있다. 부잔교(100)는 고정을 위해 앵커가 필요한데, 앵커는 부잔교(100)와 수중 바닥면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앵커용 체인은 수면 위로 자주 노출이 되면 빨리 부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앵커용 체인(150)이 수면 아래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부 파이프(112)에 결합된다. 앵커용 체인(150)과 하부 파이프(112)는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앵커용 체인(150)이 하부 파이프(112)에 결합되면, 하부 파이프(112)에 많은 하중이 걸리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부 파이프(112)에 파이프 보강재(140)가 설치된다. 파이프 보강재(140)를 구비하는 하부 파이프(112)에는 앵커용 체인(150)이 결합되어도 하중(굽힘 모멘트)에 의해 하부 파이프(112)가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는다. 즉, 파이프 보강재(140)는 도 12의 확대된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파이프(112)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 파이프(112) 측면의 제1 위치(P1)에는 슬롯홀이 형성되고, 제2 위치(P2)에는 파이프 보강재(140)가 통과할 수 없는 복수의 천공홀이 형성된다. 파이프 보강재(140)는 제1 위치(P1)의 슬롯홀로 삽입되어 제2 위치(P2)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파이프 보강재(140)가 복수의 천공홀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파이프 보강재(140)는 파이프(111)의 내벽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롯홀과 복수의 천공홀에서 파이프 보강재(140)와 하부 파이프(112)를 용접한다. 이와 같이 제2 위치(P2)에 복수의 천공홀을 형성하여 파이프 보강재(140)를 고정하면 슬롯홀을 형성하는 것보다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파이프 보강재(140)는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140)는 하부 파이프(112)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면서 삽입되어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부 파이프(112)의 내부 빈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다. 하부 파이프(112)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면, 하부 파이프(112)의 강성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체(110)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파이프(112)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므로, 부잔교(100)의 무게 중심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흔들림이 감소하는 등 전체적인 안정성이 증가된다.
도 13은 도 1의 부잔교의 계선주에 파이프 보강재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100)는 가장자리의 상부 파이프(111)에 로프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선주(170)가 결합될 수 있다. 계선주(170)는 어느 하나의 상부 파이프(111)와 접하는 부분을 용접하여 결합되는 수직 파이프(171)와, 수직 파이프(171)의 일정 높이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연결된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파이프(172)를 포함한다. 이때, 수직 파이프(171)는 유격없이 상부 파이프(111)에 접합되도록 하기 위해 결합되는 끝단을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가공한다. 수평 파이프(172)는 유격없이 수직 파이프(171)에 접합되도록 하기 위해 결합되는 끝단을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가공한다.
계선주(170)의 수직 파이프(171)에는 바람과 파도에 의한 부잔교(100)의 흔들림에 의해 수평 방향의 외력이 집중되므로 내부에 파이프 보강재(140)를 삽입하여 외력에 대한 강성을 보강한다. 이를 위해 수직 파이프(171) 측면의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에 각각 슬롯홀이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보강재(140)는 제1 위치(P1)의 슬롯홀로 삽입되어 제2 위치(P2)의 슬롯홀에 도달하게 된다. 파이프 보강재(140)의 삽입이 완료되면 각 슬롯홀에서 파이프 보강재(140)와 수직 파이프(171)를 용접한다. 용접을 통해 파이프 보강재(140)를 고정하며, 수직 파이프(171)의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140)는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140)가 수직 파이프(17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면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외에도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140)를 삽입하여 계선주(170)의 강성을 보강하는 형태는 도 8 내지 도 11에서 설명된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4은 도 1의 부잔교가 또 다른 부잔교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서로 인접한 두 부잔교의 제1 연결 파이프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은 도 14에서 서로 결합된 부잔교의 결합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는 인접한 다른 부잔교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부잔교의 인접한 부위 즉, 각 부잔교의 제1 연결 파이프(113)에는 조인트 파이프(160)가 각각 수평으로 설치된다. 조인트 파이프(160)는 유격없이 제1 연결 파이프(113)에 접합되도록 하기 위해 결합되는 끝단을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가공한다. 서로 인접한 조인트 파이프(160)의 끝단에는 플랜지(161)가 각각 설치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조인트 파이프(160)들의 플랜지(161) 결합 부위에는 해상의 파도와 바람에 의해 하중(굽힘 모멘트)이 집중되므로 부잔교(100) 간의 연결구조가 취약해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웃하는 조인트 파이프(160)들의 내부에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를 설치한다.
즉,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여 연통되는 조인트 파이프(160)들의 내부에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를 삽입하여 고정한 후, 조인트 파이프(160)의 끝단을 서로 플랜지(161) 결합함으로써 부잔교 연결 부분의 강성을 향상시켜 부잔교(100) 간의 연결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는 일정 길이의 제1 플레이트(165-1)와, 제1 플레이트(165-1)와 직교하게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제2 플레이트(165-2)를 구비한다.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는 플랜지(161) 결합부에 외력이 상하좌우 여러 방면으로 가해지는 것을 고려하여 단면이 대칭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의 단면이 십자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칭 구조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의 플레이트 갯수가 2개이나, 3개 이상의 결합구조로 형성되어 부잔교 연결 부분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를 조인트 파이프(160)들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서 서로 결합되어 연통되는 조인트 파이프(160)들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플레이트(165-1)와 제2 플레이트(165-2)의 폭 방향 양단이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가이드홀(160a)이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가이드홀(160a)은 조인트 파이프(160)의 단부에서 조인트 파이프(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가이드홀(160a)의 길이는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복수의 가이드홀(160a)을 통해 조인트 파이프(160)들 중 어느 하나에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가 삽입이 완료되면, 각 가이드홀(160a)에서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와 조인트 파이프(160)를 용접(W)한다. 이후,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의 일부가 어느 하나의 조인트 파이프(16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플랜지(161)를 어느 하나의 조인트 파이프(160) 단부에 용접(W)으로 결합한다.
각 가이드홀(160a)은 조인트 파이프(16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용접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인트 파이프(160)의 내측에는 복수의 용접홀과 연통되고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를 안내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도시 생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수상에서는 용접이 제한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상에서 부잔교(100) 간의 연결을 위해서 어느 하나(우측)의 조인트 파이프(160)의 외부로 돌출된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의 일부를 다른 하나(좌측)의 조인트 파이프(160)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시킨다.
이때, 돌출된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의 일부는 다른 하나(좌측)의 조인트 파이프(160) 내벽에 접촉된다. 이를 위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좌측)의 조인트 파이프(160)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위의 폭이 어느 하나(우측)의 조인트 파이프(160)의 내부로 삽입되어 용접(W)되는 부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의 전체 폭을 동일하게 형성하고, 서로 결합되는 조인트 파이프(160)들 중 다른 하나(좌측)의 내경이 어느 하나(우측)의 내경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하나(좌측)의 조인트 파이프(160)에는 또 다른 플랜지(161)가 결합되어 있어 이웃하는 조인트 파이프(160)의 플랜지(161)와 볼트 결합됨으로써 두 부잔교가 서로 연결된다.
도 17는 도 1의 부잔교가 또 다른 부잔교에 결합되는 다른 예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우측)의 조인트 파이프(16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제3 플레이트(16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느 하나의 조인트 파이프(160)에는 직경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관통홀(160b)이 형성된다. 제3 플레이트(166)는 관통홀(160b)을 통해 삽입된 후, 어느 하나의 조인트 파이프(160)에 용접(W)으로 고정된다.
각 조인트 파이프(160)에는 플랜지(161)가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어 수상에서는 조인트 파이프(160)의 플랜지(161)들과 제3 플레이트(166)를 볼트 체결하여 두 부잔교가 서로 연결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교 본체(210)는 부잔교 상판(120)과 해안(S) 사이에 설치되어 부잔교와 연동으로 상하 및 좌우로 움직이며, 부잔교를 안전하게 지지하게 된다. 도 18은 도 1의 'A'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교 본체(21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11)와,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양측으로 설치되는 난간대(212)와,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양측 하부에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연동 파이프(213)와,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양단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동판(214)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11)는 부잔교 상판(120)과 해안(S) 사이에 설치된다.
연동 파이프(213)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양단이 개방된 형태로서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양측 하부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회동판(214)은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양단으로부터 부잔교 본체(110)의 및 해안(S)의 상부 바닥면으로 연장되게 설치됨으로써 해안이나 부잔교 이동시 완만한 경사로를 제공하여 이동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에 연결된 도교 조립체의 도교 연결 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교 연결 장치(220)는 해안(S)의 홈부(S-1)에 설치되어 도교 본체(210)의 어느 하나의 연동 파이프(213)가 상하 및 좌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도교 연결 장치(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안(S)의 홈부(S-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함체(221)와, 함체(221)의 내부에 대칭으로 기립되며 마주하는 개구(222a)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222)와,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222)의 내측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탄성부재(223)와, 도교 본체(210)의 일측 연동 파이프(213)가 결합되어 양측이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222)의 개구(222a)를 각각 관통 배치되는 축부재(224)와, 축부재(224)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탄성부재(223)에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롤러(225)와, 지지 플레이트(222)와 함체(221) 내면 사이에 곡면지게 기립되어 롤러(225)의 좌우 회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안내 플레이트(226)를 포함한다.
함체(221)는 사각 박스 형태로서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되어 해안(S)의 홈부(S-1)에 삽입 설치된다. 다만, 함체(221)는 홈부(S-1)가 설치되지 않은 해안(S)의 상부 바닥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완만한 경사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회동판(214)의 길이를 보다 길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지지 플레이트(222)는 축부재(224)와 직교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축부재(224)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개구(222a)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함체(221)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지지 플레이트(222)의 상단과 함체(221)는 덮개(222-1)로 연결되어 탄성부재(223)와 롤러(22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탄성부재(223)는 함체(221)의 내측에 지지되며, 마주하는 지지 플레이트(222)의 개구(222a) 측 높이와 일치하도록 그 하부에 고임부재(223-1)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223)는 도시된 코일스프링 외에도 판스프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대체 가능함은 물론이다.
축부재(224)는 도교 본체(210)의 일측 연동 파이프(213)가 결합되어 도교 본체(210)의 일측 하중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222)의 개구(222a) 측에 안착되게 설치된다. 축부재(224)는 회전 가능하도록 환형으로 설치된다.
롤러(225)는 축부재(224)와 연동되도록 축부재(224)의 양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고임부재(223-1)에 안착되게 설치된다.
안내 플레이트(226)는 외측으로 휘어진 곡면을 형성하며, 이때 곡률은 롤러(225)의 좌우 회전반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0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도교 조립체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에 연결된 도교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교 본체(210)는 부잔교 본체(110)의 상하 회동시 양측에 일체로 설치된 연동 파이프(213)를 중심으로 상하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부잔교 본체(110)가 좌우로 회동하게 되면, 도교 본체(210)도 좌우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도교 본체(210)의 일측 연동 파이프(213)를 지지하는 축부재(224)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회전하게 되며, 롤러(225)가 한 쌍의 탄성부재(223)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로 구름운동하여 도교 본체(210)가 안정적으로 좌우로 회동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부잔교에 연결된 도교 조립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하부에는 복수의 파이프가 서로 연결된 베이스 프레임(215)이 구비되고, 복수의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216)가 구비되며,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216)는 서로 이웃하는 것과 파이프의 측면에 삽입되는 각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216)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파이프 보강재(140)와 동일하게 설치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215)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계선주(170) 및 파이프 보강재(140)와 동일한 형태의 계선주 및 파이프 보강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교 조립체에 의하면, 좌우 비틀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도교 연결부 측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부잔교
110: 부잔교 본체 120: 부잔교 상판
130: 부력체 140: 파이프 보강재
150: 앵커용 체인 160: 조인트 파이프
170: 계선주 200: 도교 조립체
210: 도교 본체 211: 베이스 플레이트
212: 난간대 213: 연동 파이프
214: 회동판 220: 도교 연결 장치
221: 함체 222: 지지 플레이트
223: 탄성부재 224: 축부재
225: 롤러 226: 안내 플레이트
L: 수면 S: 해안
W: 용접

Claims (5)

  1. 부잔교와 해안을 연결하여 부잔교의 상하 및 좌우 움직임을 지지하는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로서,
    상기 도교 조립체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동 파이프를 포함하는 도교 본체; 및 해안에 설치되어 상기 도교 본체의 연동 파이프가 상하 및 좌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교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부잔교는
    복수의 파이프가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된 트러스 형상의 부잔교 본체; 상기 부잔교 본체의 수용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부력체; 및 상기 복수의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체는 외부를 둘러싸는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부잔교 본체의 파이프에는 끝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파이프 이음관이 부착되고, 상기 부력체의 커버에는 끝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부력체 이음관이 부착되어, 상기 부력체가 상기 부잔교 본체의 수용 공간에 위치할 때 상기 파이프 이음관의 플랜지와 상기 부력체 이음관의 플랜지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교 연결 장치는
    해안에 고정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에 대칭으로 기립되며 마주하는 개구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탄성부재와, 상기 도교 본체의 연동 파이프가 결합되어 양측이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개구를 각각 관통 배치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에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축부재와 직교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축부재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개구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함체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함체 내면 사이에 곡면지게 기립되어 상기 롤러의 좌우 회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안내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플레이트는
    상기 롤러의 좌우 회전반경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
KR1020190131960A 2019-10-23 2019-10-23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 KR102165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960A KR102165949B1 (ko) 2019-10-23 2019-10-23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960A KR102165949B1 (ko) 2019-10-23 2019-10-23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949B1 true KR102165949B1 (ko) 2020-10-14

Family

ID=7284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960A KR102165949B1 (ko) 2019-10-23 2019-10-23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94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296B1 (ko) * 2006-09-29 2007-03-12 이남서 고강도 경량 부잔교
KR100984766B1 (ko) 2009-09-02 2010-10-01 (주)엠디 도교의 결합장치
KR101070242B1 (ko) * 2011-02-11 2011-10-06 주식회사 혁신 연결식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부유해상구조물
KR101263146B1 (ko) * 2012-11-26 2013-05-15 (주)씨테크알엔디 연동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용 도교
KR101273537B1 (ko) * 2012-02-02 2013-06-17 최연호 부력보강부재가 구비된 푼툰을 이용한 부유해상구조물
KR101430738B1 (ko) 2013-06-05 2014-08-14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도교의 완충장치
KR20150054240A (ko) * 2013-11-11 2015-05-20 장경식 함선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296B1 (ko) * 2006-09-29 2007-03-12 이남서 고강도 경량 부잔교
KR100984766B1 (ko) 2009-09-02 2010-10-01 (주)엠디 도교의 결합장치
KR101070242B1 (ko) * 2011-02-11 2011-10-06 주식회사 혁신 연결식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부유해상구조물
KR101273537B1 (ko) * 2012-02-02 2013-06-17 최연호 부력보강부재가 구비된 푼툰을 이용한 부유해상구조물
KR101263146B1 (ko) * 2012-11-26 2013-05-15 (주)씨테크알엔디 연동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용 도교
KR101430738B1 (ko) 2013-06-05 2014-08-14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도교의 완충장치
KR20150054240A (ko) * 2013-11-11 2015-05-20 장경식 함선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2971B2 (en) Floating offshore platform
US4799445A (en) Modular float drum system
JP2013521170A (ja) 改良型流体力学的性能を有する緊張係留式プラットフォーム
US4928617A (en) Modular float drum system
WO2003064246A1 (en) Cellular spar apparatus and method of its construction
US6190089B1 (en) Deep draft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RU1816296C (ru) Конструкци основани ледостойкой морской платформы
KR102167255B1 (ko) 해상 부유 구조물용 파일 가이드
KR102166383B1 (ko) 파일 가이드가 연결된 부잔교
KR102166382B1 (ko) 부력체가 연결된 부잔교
RU2133690C1 (ru) Плавучее устройство
KR20200079216A (ko) 풍력터빈과 관련 해상시설을 지원하기 위한 해상 플랫폼
JP2013032179A (ja) 鋼製タンクのプレハブコンクリート防液堤
KR102165949B1 (ko)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
KR101616689B1 (ko) 해양플랫폼
KR102064125B1 (ko) 조인트 파이프를 구비한 부잔교
KR102064123B1 (ko) 트러스 형상의 부잔교
WO2020136288A1 (es) Plataforma flotante para aerogeneradores de gran potencia
KR200409137Y1 (ko) 레저 선박용 정박시설
KR102551516B1 (ko) 조립형 부유체
KR20130143224A (ko)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항만부두의 시공방법
KR101924779B1 (ko) 다기능 해상부유구조물
KR102316116B1 (ko) 조립형 도교
KR101510195B1 (ko) 플로팅 폰툰 조립체
KR102605681B1 (ko) 래싱 브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