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664B1 -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부유체 - Google Patents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부유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664B1
KR101899664B1 KR1020160155385A KR20160155385A KR101899664B1 KR 101899664 B1 KR101899664 B1 KR 101899664B1 KR 1020160155385 A KR1020160155385 A KR 1020160155385A KR 20160155385 A KR20160155385 A KR 20160155385A KR 101899664 B1 KR101899664 B1 KR 101899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astening
coupling ring
sides
faste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7124A (ko
Inventor
조진택
Original Assignee
조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택 filed Critical 조진택
Priority to KR1020160155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6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8Rafts, i.e. free floating waterborne vessels, of shallow draft, with little or no freeboard, and having a platform or floor for supporting a user
    • B63B35/613Rafts, i.e. free floating waterborne vessels, of shallow draft, with little or no freeboard, and having a platform or floor for supporting a user with tubular shaped flota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베이스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체결부보다 폭이 좁은 제1삽입부를 포함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제1체결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의 베이스가 끼워지도록 하는 체결슬릿을 포함하는 체결유닛과, 상기 연결구의 제1삽입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 지지부가 포함되는 연결 소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부유체{FLOATING BODY}
본 발명은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부유체에 관한 것이다.
해상이나 호수에서 많이 사용하는 부유체로써, 부잔교와 바지선을 예시할 수 있다.
부잔교는 부두에 설치한 도교와 바지선을 연결한 해상 접안 시설로서 해수면 높낮이에 의한 상, 하 이동과 파고에 의한 좌, 우 움직임에도 각종 선박의 안전한 정박은 물론 선박에서 하선한 사람들이 부잔교를 이용하여 육지로의 안전한 이동 또는 육지에서 부잔교를 이용하여 선박으로의 안전한 승선을 위한 시설로 이용된다. 부잔교는 해상 작업장 및 수상레저용 시설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바지선은 운하, 하천, 항내에서 사용하는 화물 운반선을 말하는데, 대부분 이동 속도가 느리거나 자체 동력이 없는 경우가 많다.
부유체는 부잔교와 바지선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부유체가 육지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 부잔교가 되고, 육지와 연결되지 않고 사용되는 경우에는 바지선이 된다.
한편, 종래의 부유체는 부력재로서 PE 또는 PP 재질의 드럼통이나 철제 드럼통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부유체는 확장을 위한 조립이 불가능하거나 확장을 위한 조립이 가능한 경우에도 조립이 용이하지 않거나 파도에 의하여 부유체가 뒤틀리거나 심하게 요동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부유체는 갑판 상면에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갑판에 구멍을 뚫거나 갑판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갑판 상에 시설물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10-1099448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의 연결부재를 이용한 부유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이하게 조립하여 확장할 수 있고 충격에 강한 연결부재를 이용한 부유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도에 의하여 부유체가 뒤틀리거나 심하게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부유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설물의 설치가 용이한 갑판을 포함하는 부유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베이스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체결부보다 폭이 좁은 제1삽입부를 포함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제1체결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의 베이스가 끼워지도록 하는 체결슬릿을 포함하는 체결유닛과, 상기 연결구의 제1삽입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 지지부가 포함되는 연결 소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는 부력재; 상기 부력재를 지지하는 결합링; 상기 결합링과 결합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부력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갑판; 및 상기 갑판을 고정하고 상기 갑판의 하부에 상기 결합링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의 연결부재를 이용한 부유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이하게 조립하여 확장할 수 있고 충격에 강한 연결부재를 이용한 부유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도에 의하여 부유체가 뒤틀리거나 심하게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부유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설물의 설치가 용이한 갑판을 포함하는 부유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한 부유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링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연결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갑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한 부유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한 부유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한 부유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 영역 또는 구조물들이 각 층, 영역, 구조물들의 "상/위"에 또는 "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와 "아래"는 "직접" 또는 "다른 층, 영역 또는 구조물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 영역 또는 구조물들의 상/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두께나 크기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부유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한 부유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링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연결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갑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100)는 부력재(10)와, 상기 부력재(10)를 지지하는 결합링(20)과, 상기 결합링(20)과 결합링(2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0)와, 상기 부력재(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갑판(50)과, 상기 갑판(50)을 고정하고 상기 갑판(50)의 하부에 상기 결합링(20)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재(10)는 원기둥 형태의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PE, PP, PV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력재(10)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거나 부력을 강화하기에 적절한 재질의 물질이 채워질 수도 있다.
상기 결합링(20)은 상기 부력재(10)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부력재(10)를 지지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링(20)은 반 링 형태의 제1 결합링(21a)과 제2 결합링(21b)이 결합되어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링(21a) 및 제2 결합링(21b)의 하부에는 연결핀(24)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핀 홀(22a,22b)이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핀 홀(22a,22b)과 연결핀(24)에 의하여 상기 제1 결합링(21a)과 제2 결합링(21b)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링(21a) 및 제2 결합링(21b)의 상부에는 각각 결합부(23a,23b)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23a,23b)는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수직으로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3a,23b)에는 다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형성된 결합홀은 상기 제1 결합링(21a)과 제2 결합링(21b)을 체결하기 위한 결합홀이고 수직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결합홀은 상기 결합부(23a,23b)를 상기 고정부재(40)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홀이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결합홀들은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이 가능하다.
상기 제1 결합링(21a)과 제2 결합링(21b)의 양측에는 연결부재(30)의 설치를 위한 지지대(25a,2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5a,25b)는 상기 제1 결합링(21a) 및 제2 결합링(21b)의 외면이 곡면이므로 평판 형태의 연결부재(3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25a,25b)는 그 형태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0)의 형태가 곡면을 가진다면 반드시 상기 지지대(25a,25b)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결합링(20)은 제1 내부 결합링(27a)과 제2 내부 결합링(27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 결합링(27a)과 제2 내부 결합링(27b)은 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링(21a)과 제2 결합링(21b)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돌기(29a,29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링(21a)과 제2 결합링(21b)의 내면에는 상기 돌기(29a,29b)와 대응하는 홈(28a,28b)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내부 결합링(27a)과 제2 내부 결합링(27b)은 상기 제1 결합링(21a)과 제2 결합링(21b)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 결합링(27a)과 제2 내부 결합링(27b)은 다양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부력재(10)의 지름이 상기 결합링(20)의 내부 지름보다 작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30)는 연결구(31)와 연결 소켓(32)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구(31)는 베이스(31a)와, 상기 베이스(31a)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체결부(31b)와, 상기 베이스(31a)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삽입부(31c)를 포함한다.
상기 제1체결부(31b)는 상기 제1삽입부(31c)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한 결합을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31c)는 상기 베이스(31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부(31b)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삽입부(31c)는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감소되고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베이스(31a)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베이스(31a)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체결부(31d)와, 상기 베이스(31a)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삽입부(31e)를 포함한다. 상기 제2체결부(31d)와 제2삽입부(31e)의 형태는 상기 제1체결부(31b)와 제1삽입부(31c)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31)의 양측에는 연결 소켓(32)이 배치되어 상기 연결구(3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소켓(32)은 상기 연결구(31)의 제1체결부(31b)와 결합되는 체결유닛(32a)과, 상기 체결유닛(32a) 사이에 상기 연결구(31)의 베이스(31a)가 끼워지도록 하는 체결 슬릿(32b)과, 상기 연결구(31)의 제1삽입부(31c)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도록 삽입공간(32c)을 형성하는 삽입부 지지부(32d)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소켓(32)은 상기 연결구(31)와의 결합을 위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 슬릿(32b)의 폭은 상기 베이스(31a)의 폭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 지지부(32d)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공간(32c)의 폭은 상기 제1삽입부(31c)의 폭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공간(32c)의 폭은 상기 체결 슬릿(32b)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32c)은 상기 제1삽입부(31c)의 형태에 상응하게 형성되는데,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제1삽입부(31c)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는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상기 연결구(31)는 상기 연결 소켓(32)이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후 상기 제1체결부(31b)와 체결유닛(32a)이 볼트와 너트 등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구(31)와 연결 소켓(32)은 결합부위의 폭이나 두께가 감소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소켓(32)은 상기 결합링(2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는데, 결합링(20)과 결합링(20) 사이에 각각 설치된 후 상기 연결구(31)를 삽입하여 설치하면, 인접한 두 결합링(2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갑판(50)은 고정부재(40)에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재(40)는 H-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갑판(50)은 상면에 홈이 형성된 패널(51)과, 상기 패널(51) 상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51)의 홈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지지구조물(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갑판(50) 상에는 목제 데크 또는 널판지와 같은 추가적인 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각관이나 앵글 등을 설치하기 위해서 갑판에 구멍을 뚫거나 부분적으로 제거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갑판이 손상되거나 설치된 시설물이 갑판과 밀착되지 않아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패널(51)의 상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지지구조물(52)을 설치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구조물(52)을 이용하여 상기 갑판(50) 상에 다양한 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구조물(52)은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51)의 하면에는 보강패널(5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널(53)은 상기 패널(51)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패널(51)의 두께 또는 강도를 강화함으로써 생략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한 부유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30)는 부유체(100)와 부유체(100)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유체(100)와 부유체(100)가 서로 대면하는 고정부재(40)에는 연결 소켓(32)들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 소켓(32)에는 상기 연결구(31)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31)는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경첩구조물(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첩구조물(33)은 수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30)에 경첩구조물(33)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부유체(100)와 부유체(100)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또한, 파도나 물결의 흐름에 따라 상기 부유체(100)가 유동하더라도 상기 부유체(100)의 출렁거림을 완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한 부유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구(31)와 연결 소켓(32)을 포함하는 연결부재(30)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재(34)를 설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31)의 제1체결부(31b)에는 방충재(34)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방충재(34)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부두에 접근하거나 다른 부유체에 접근하는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는 용도로 설치된다. 상기 방충재(34)는 상기 연결구(31)의 제1체결부(31b) 및 연결 소켓(32)의 체결유닛(32a)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한 부유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부재(30)는 도 2에서 설명한 지지대(25a,25b) 없이 상기 결합링(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0)의 연결 소켓(32)은 상기 결합링(20)의 곡면 형태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연결 소켓(32)은 상기 결합링(20)에 직접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결 소켓(3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링(20)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링(20)에 볼트와 너트 등의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부력재, 20; 결합링, 30; 연결부재, 40; 고정부재, 50; 갑판, 100; 부유체

Claims (10)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베이스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체결부보다 폭이 좁은 제1삽입부를 포함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제1체결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의 베이스가 끼워지도록 하는 체결슬릿을 포함하는 체결유닛과, 상기 연결구의 제1삽입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 지지부가 포함되는 연결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부는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폭 또는 두께가 감소하고 상기 삽입부 지지부의 삽입공간은 상기 제1삽입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체결부와, 상기 베이스의 다른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연결부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경첩구조물이 형성된 연결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제1체결부에는 방충재가 결합된 연결부재.
  6. 부력재;
    상기 부력재를 지지하는 결합링;
    상기 결합링과 결합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부력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갑판; 및
    상기 갑판을 고정하고 상기 갑판의 하부에 상기 결합링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링은 반 링 형태의 제1 결합링과 제2 결합링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링의 하부에는 연결핀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핀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 홀과 연결핀에 의하여 상기 제1 결합링과 제2 결합링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링 및 제2 결합링의 상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부유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링에 결합되는 연결 소켓과, 상기 연결 소켓과 연결 소켓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베이스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체결부보다 폭이 좁은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체결부와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체결부와, 상기 베이스의 다른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소켓은 상기 연결구의 제1체결부 또는 제2체결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의 베이스가 끼워지도록 하는 체결슬릿을 포함하는 체결유닛과, 상기 연결구의 제1삽입부 또는 제2 삽입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부유체.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갑판은 상면에 홈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 상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의 홈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지지구조물을 포함하는 부유체.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은 상기 결합링에 형성된 지지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부유체.
KR1020160155385A 2016-11-22 2016-11-22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부유체 KR101899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385A KR101899664B1 (ko) 2016-11-22 2016-11-22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부유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385A KR101899664B1 (ko) 2016-11-22 2016-11-22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부유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124A KR20180057124A (ko) 2018-05-30
KR101899664B1 true KR101899664B1 (ko) 2018-09-17

Family

ID=62300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385A KR101899664B1 (ko) 2016-11-22 2016-11-22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부유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6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196Y1 (ko) 2006-07-11 2006-12-18 이태윤 부력체
KR101536278B1 (ko) * 2015-02-04 2015-07-13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982A (ja) * 1993-10-13 1995-04-25 Nippon Shokubai Co Ltd 浮き桟橋
KR20020045588A (ko) * 2002-04-02 2002-06-19 나대균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결속구
KR101211865B1 (ko) * 2011-04-06 2012-12-12 (주) 대 홍 선착장의 부잔교용 분해조립식 부상(浮上)구조물
KR20150135892A (ko) * 2014-05-26 2015-12-04 주종대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196Y1 (ko) 2006-07-11 2006-12-18 이태윤 부력체
KR101536278B1 (ko) * 2015-02-04 2015-07-13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124A (ko)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9147B2 (ja) 海上浮遊構造物用浮力パイプの連結ソケット
KR101806193B1 (ko) 롤링을 저감하며 복원성을 높인 해상부유구조물
KR101448948B1 (ko) 부력체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잔교
KR101500283B1 (ko) 다목적 수상구조물용 폰툰
KR101009264B1 (ko) 수상구조물용 부유조립체
KR102014812B1 (ko) 해상 구조물용 부력체
KR101349966B1 (ko) 조립식 폰툰
KR101899664B1 (ko)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부유체
KR101099448B1 (ko) 부양파이프를 이용한 조립식 부잔교구조물
KR102110426B1 (ko)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102050997B1 (ko) 해상부유 구조물
KR102105709B1 (ko) 해상부유 구조물
KR20190138955A (ko) 부유체
KR20140035588A (ko) 불연속 선저부를 가지는 부양식 선체 및 그 조립방법
KR101995467B1 (ko) 부유체
KR101948641B1 (ko) 부력 장치
US20090304448A1 (en) A floating pontoon body to be tied together with at least another pontoon body
KR101934895B1 (ko)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 부유체
KR101919870B1 (ko) 커넥터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 해상구조물의 시공방법
EP0097181A1 (en) Floating walkway
KR101846391B1 (ko) 해상부유구조물
KR100935238B1 (ko) 선박계류장치용 계류파이프 유닛
KR101919868B1 (ko) 커넥터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 해상구조물
KR20150008303A (ko) 부력 장치
KR102551516B1 (ko) 조립형 부유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