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865B1 - 선착장의 부잔교용 분해조립식 부상(浮上)구조물 - Google Patents

선착장의 부잔교용 분해조립식 부상(浮上)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865B1
KR101211865B1 KR1020110032407A KR20110032407A KR101211865B1 KR 101211865 B1 KR101211865 B1 KR 101211865B1 KR 1020110032407 A KR1020110032407 A KR 1020110032407A KR 20110032407 A KR20110032407 A KR 20110032407A KR 101211865 B1 KR101211865 B1 KR 101211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lamp
rim
pedestals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131A (ko
Inventor
연 태 최
Original Assignee
(주) 대 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 홍 filed Critical (주) 대 홍
Priority to KR102011003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86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제목] 선착장의 부잔교용 분해조립식 부상(浮上)구조물
[구성] 가장자리의 경계를 형성하는 2개 1조의 제 1 테두리(1) 및 가장자리의 경계를 형성하는 2개 1조의 제 2 테두리(2)와;
상기 제 1 테두리(1)와 제 2 테두리(2)의 네 귀퉁이의 상면에 위치하며 로프고정물(4)이 용접으로 고정된 제 1 고정쇠(3)들 및 상기 제 1 고정쇠(3)의 하방에 위치한 채 상기 제 1 고정쇠(3)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제 2 고정쇠(3a)들과;
상기 제 1 고정쇠(3)와 제 1 테두리(1), 제 2 테두리(2), 제 2 고정쇠(3a)를 관통하여 제 1 너트(31)들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제 1 고정쇠(3)와 제 1 테두리(1), 제 2 테두리(2), 제 2 고정쇠(3a)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 1 볼트(30)들과;
상기 제 2 테두리(2)의 안쪽으로 용접을 통해 대칭으로 고정된 채 논-슬립판(7)들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받침대(5)들과;
상기 제 2 받침대(5)들의 윗면에 안착되며 나사 못(9)들을 통해 고정되는 논-슬립판(7)들과;
상기 논-슬립판(7)들의 저면에 위치한 채 나사 못(9a)들을 통해 논-슬립판(7)들과 고정되는 제 1 받침대(8)들과;
상기 제 1 받침대(8)들과 제 2 테두리(2)들의 저면과 접촉된 채 양쪽 끝 부분은 제 2 테두리(2)들의 외면까지 연장되며, 제 3 볼트(50)와 제 3 너트(51)에 의해 제12 받침대(8)들과 고정되는 부구조립대(10)들과;
제 2 테두리(2)의 양쪽 외면에 각기 용접으로 고정된 채 상기 부구조립대(10)들을 지지하며, 제 2 볼트(40)와 제 2 너트(41)를 통해 부구조립대(10)들과 고정시키는 덧댐쇠(11)들과;
상기 부구조립대(10)들의 저면에 제 4 볼트(60)와 제 4 너트(61)들에 의해 고정되는 스테인레스 띠(201)에 의해 고정되는 부구(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110032407
부잔교, 부상(浮上)구조물

Description

선착장의 부잔교용 분해조립식 부상(浮上)구조물{Disassembly & construction type floating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을 기준한 정면도.
도 4는 도 1을 기준한 A-A 선 단면도(해칭 생략).
도 5는 도 3을 기준하여 좌측 부분을 확대한 참고도.
도 6은 도 4의 상태에서 단면 처리를 한 참고도.
도 7은 도 1을 기준한 좌측면도(우측면 동일).
도 8은 도 7을 기준화여 좌측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참고도.
도 9는 도 7을 기준한 단면도(해칭 생략).
도 10은 도 9를 기준하여 좌측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참고도.
도 11은 도 1을 기준하여 저면에 부구들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의 테두리에 고무 펜스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본 발명은 선착장의 부잔교용 분해조립식 부상(浮上)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모든 구성품이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구성품의 부분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논-슬립판과 부구를 제외하고 사각 파이프와 H-빔, 앵글, 철판을 이용하여 조립시킴으로써 기존의 부상구조물(부교)에 비하여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고, 부구를 고정시키는 띠를 스테인레스를 사용하여 부구의 유실 및 파손을 최대한 방지시킬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통상적인 선착장의 부잔교용 부상구조물[일명 : 부교 또는 부교 바지(barge)])을 살피면, 목재로 테두리를 형성하되 이들을 못을 박아서 고정시키고, 테두리 위에 판재를 덮어 역시 못으로 고정을 시키며, 판재와 못으로 고정된 채 판재를 지지하는 지지대도 나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에 노끈 등을 못으로 고정시켜서 부구를 묶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종래의 상기 부상구조물에서 목재로 된 테두리의 상면 가장자리에 앵글을 대고, 상기 앵글에 드릴로 구멍을 뚫은 후 그 구멍 안으로 못을 박아서 테두리와 앵글이 일체를 이루도록 한 타입도 있으나 나머지의 부분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종래의 부상구조물은 첫째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고 안전하지 못한 느낌을 주게 되는 단점과 함께 파도가 가하는 충격과 배를 댈 때 가해지는 충격 등으로 인하여 사용 시간이 경과할수록 못을 박은 부분들이 느슨해져서 자주 보수를 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리고 태풍이 발생되었을 경우 심한 충격을 가하는 파도의 힘에 의해 부분 파손 내지는 전부 파손이 되는 예도 속출되었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부상구조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못을 이용하여 각 구성품들을 고정시킨 것이기 때문에 해수 및 염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해풍의 작용에 의해 단 시간 안에 부식이 되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충격에 매우 취약하게 되어 결국 부상구조물의 내구성을 현격하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부구(스티로폼 또는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로 제직됨)를 노끈 등을 이용하여 상기의 목재 지지대에 못으로 고정시키거나 혹은 묶어서 고정시키고 있어 파도가 가하는 지속적인 충격과 태풍 등의 영향에 의하여 노끈이 느슨해지거나 끊어지는 예가 속출되며, 이로 인하여 부구가 유실되거나 부분적으로 파손이 되는 문제도 대두되었다.
그리고 종래의 부상구조물은 부분적으로 파손이 되었을 경우 또는 부식된 부분을 교체할 경우 등의 상황이 발생되면 일일이 공구를 사용하여 못을 빼고 다시 못을 박아야 하는 비합리적이고 불편한 점이 대두되며, 심하게 녹이 슬고 부식이 된 못은 잘 빠지지 않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고 작업능률이 저조한 단점도 발생되고 있고, 교체된 구성품은 파손 정도가 심할 것이 당연하여 재사용을 할 수 없는 문제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부상구조물로부터 비롯되었던 문제와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부상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가장자리의 경계를 형성하는 2개 1조의 제 1 테두리(1) 및 가장자리의 경계를 형성하는 2개 1조의 제 2 테두리(2)와;
상기 제 1 테두리(1)와 제 2 테두리(2)의 네 귀퉁이의 상면에 위치하며 로프고정물(4)이 용접으로 고정된 제 1 고정쇠(3)들 및 상기 제 1 고정쇠(3)의 하방에 위치한 채 상기 제 1 고정쇠(3)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제 2 고정쇠(3a)들과;
상기 제 1 고정쇠(3)와 제 1 테두리(1), 제 2 테두리(2), 제 2 고정쇠(3a)를 관통하여 제 1 너트(31)들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제 1 고정쇠(3)와 제 1 테두리(1), 제 2 테두리(2), 제 2 고정쇠(3a)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 1 볼트(30)들과;
상기 제 2 테두리(2)의 안쪽으로 용접을 통해 대칭으로 고정된 채 논-슬립판(7)들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받침대(5)들과;
상기 제 2 받침대(5)들의 윗면에 안착되며 나사 못(9)들을 통해 고정되는 논-슬립판(7)들과;
상기 논-슬립판(7)들의 저면에 위치한 채 나사 못(9a)들을 통해 논-슬립판(7)들과 고정되는 제 1 받침대(8)들과;
상기 제 1 받침대(8)들과 제 2 테두리(2)들의 저면과 접촉된 채 양쪽 끝 부분은 제 2 테두리(2)들의 외면까지 연장되며, 제 3 볼트(50)와 제 3 너트(51)에 의해 제 1 받침대(8)들과 고정되는 부구조립대(10)들과;
제 2 테두리(2)의 양쪽 외면에 각기 용접으로 고정된 채 상기 부구조립대(10)들을 지지하며, 제 2 볼트(40)와 제 2 너트(41)를 통해 부구조립대(10)들과 고정시키는 덧댐쇠(11)들과;
상기 부구조립대(10)들의 저면에 제 4 볼트(60)와 제 4 너트(61)들에 의해 고정되는 스테인레스 띠(201)에 의해 고정되는 부구(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제시된 도면과 같이 구성품 전부를 분해조립식이 되도록 한 것과 충격에 강하도록 튼튼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대두되는 바, 제 1 테두리(1)와 제 2 테두리(2)는 사각 파이프를 사용하고, 이들의 네 귀퉁이에는 제 1 고정쇠(3)와 제 2 고정쇠(3a)를 상하로 위치시키고, 제 1 볼트(30)와 제 1 너트(31)를 이용하여 네 귀퉁이를 견고하게 고정을 시킨다.
여기서 제 1 고정쇠(3)의 상면에는 도면과 같이 선착장이나 방파제에 고정된 로프 또는 바닷물 속에 박히는 앵커에 고정된 로프를 묶을 수 있는 로프고정물(4)이 용접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테두리(1)의 상면에 로프고정환(6)을 추가시킬 수도 있으나 로프고정환(6)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다음, 위와 같이 제 1 테두리(1)와 제 2 테두리(2) 그리고 제 1 고정쇠(3)와 제 2 고정쇠(3a), 제 1 볼트(30) 및 제 1 너트(31)에 의해 프레임이 견고하게 형성되면, 제 2 테두리(2)의 안쪽으로 앵글로 된 제 2 받침대(5)들을 용접으로 고정시키고, 나사 못(9)을 이용하여 논-슬립판(7)들을 차례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논-슬립판(7)의 저면에는 도 1, 도 2, 도 6과 같이 H-빔으로 된 제 1 받침대(8)들을 등 간격으로 위치시킨 후 역시 나사 못(9a)을 이용하여 논-슬립판 (7)들과 고정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제 1 받침대(8)의 저면과 제 2 테두리(2)의 저면에 접촉되며 양쪽의 끝은 제 2 테두리(2)의 외면까지 연장되도록 역시 등 간격으로 부구조립대(10)를 배열시킨 후 제 2 테두리(2)의 외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면서 상기 부구조립대(10)의 위치별로 구비된 덧댐쇠(11)들과 제 2 볼트(40)와 제 2 너트(41)를 통해 고정시킴과 아울러 제 3 볼트(50) 및 제 3 너트(51)를 이용하여 제 1 받침대(8)와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부구조립대(10)의 저면에는 도 11과 같이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부구(200)를 위치시키되, 부구(200)를 고정시키는 수단은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띠(201)를 이용하며, 상기 스테인레스 띠(201)는 제 4 볼트(60)와 제 4 너트(61)를 이용하여 부구조립대(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완성이 되는데, 도 1, 도 11, 12와 같이 제 1 테두리(1)와 제 2 테두리(2)의 외측 면에 볼트(300)들을 고정시키고 너트(301)를 통해 고무 펜스(100)(101)를 고정시킬 수도 있는데, 이는 종래의 부상구조물에도 적용되는 것이고 고무 펜스는 고무 타이어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예가 많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구성품 전체를 아연 용융도금을 통해 도금을 하여 해수와 해풍으로 인한 부식에 최대한 오랜 시간동안 부식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아연 용융도금 대신에 다른 소재를 이용하여 도금을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한 이치인데, 스테인레스 띠(201)는 도금을 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구(200)의 표면에는 방수 피복을 씌우거나 외부 전체에 스테인레스 판을 씌우고 각 연결 부위를 특수용접을 통해 용접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방수 피복을 씌울 경우 상기 피복에는 자외선 차단제를 도포한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힌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서 사용된 H-빔과 앵글, 사각 파이프는 C-형강이나 찬넬, I-빔 등으로 교체될 수 있음도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전체의 구성품을 조립식으로 하고 분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조립은 물론 부분 교체를 하기가 매우 용이하고 분해를 통해 교체가 되는 구성품은 파손율이 거의 없기 때문에 타 용도로 재사용이 가능하며, 구조 자체가 대단히 견고하여 내구성이 크게 상승됨은 물론 부구의 유실 및 파손도 예방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가장자리의 경계를 형성하는 2개 1조의 제 1 테두리(1) 및 가장자리의 경계를 형성하는 2개 1조의 제 2 테두리(2)와;
    상기 제 1 테두리(1)와 제 2 테두리(2)의 네 귀퉁이의 상면에 위치하며 로프고정물(4)이 용접으로 고정된 제 1 고정쇠(3)들 및 상기 제 1 고정쇠(3)의 하방에 위치한 채 상기 제 1 고정쇠(3)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제 2 고정쇠(3a)들과;
    상기 제 1 고정쇠(3)와 제 1 테두리(1), 제 2 테두리(2), 제 2 고정쇠(3a)를 관통하여 제 1 너트(31)들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제 1 고정쇠(3)와 제 1 테두리(1), 제 2 테두리(2), 제 2 고정쇠(3a)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 1 볼트(30)들과;
    상기 제 2 테두리(2)의 안쪽으로 용접을 통해 대칭으로 고정된 채 논-슬립판(7)들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받침대(5)들과;
    상기 제 2 받침대(5)들의 윗면에 안착되며 나사 못(9)들을 통해 고정되는 논-슬립판(7)들과;
    상기 논-슬립판(7)들의 저면에 위치한 채 나사 못(9a)들을 통해 논-슬립판(7)들과 고정되는 제 1 받침대(8)들과;
    상기 제 1 받침대(8)들과 제 2 테두리(2)들의 저면과 접촉된 채 양쪽 끝 부분은 제 2 테두리(2)들의 외면까지 연장되며, 제 3 볼트(50)와 제 3 너트(51)에 의해 제 1 받침대(8)들과 고정되는 부구조립대(10)들과;
    제 2 테두리(2)의 양쪽 외면에 각기 용접으로 고정된 채 상기 부구조립대 (10)들을 지지하며, 제 2 볼트(40)와 제 2 너트(41)를 통해 부구조립대(10)들과 고정시키는 덧댐쇠(11)들과;
    상기 부구조립대(10)들의 저면에 제 4 볼트(60)와 제 4 너트(61)들에 의해 고정되는 스테인레스 띠(201)에 의해 고정되는 부구(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착장의 부잔교용 분해조립식 부상(浮上)구조물.
KR1020110032407A 2011-04-06 2011-04-06 선착장의 부잔교용 분해조립식 부상(浮上)구조물 KR101211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407A KR101211865B1 (ko) 2011-04-06 2011-04-06 선착장의 부잔교용 분해조립식 부상(浮上)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407A KR101211865B1 (ko) 2011-04-06 2011-04-06 선착장의 부잔교용 분해조립식 부상(浮上)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131A KR20120114131A (ko) 2012-10-16
KR101211865B1 true KR101211865B1 (ko) 2012-12-12

Family

ID=4728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407A KR101211865B1 (ko) 2011-04-06 2011-04-06 선착장의 부잔교용 분해조립식 부상(浮上)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8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2802A (zh) * 2016-05-30 2016-10-12 洛阳贝奇尔塑胶有限公司 一种简易塑胶救援浮桥
KR101807502B1 (ko) 2017-08-04 2017-12-11 부경정공마린주식회사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
KR20180027108A (ko) * 2016-09-06 2018-03-14 부경정공마린주식회사 알루미늄 부표 및 알루미늄 해상 구조물
KR102224206B1 (ko) 2020-09-15 2021-03-08 주식회사 대원 해상 부유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664B1 (ko) * 2016-11-22 2018-09-17 조진택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부유체
KR101880899B1 (ko) * 2017-01-24 2018-07-23 (주)경남해양테크 수상 부유구조물
KR102148255B1 (ko) * 2019-03-25 2020-08-26 최성진 금속재 뗏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8448A (en) 1989-12-15 1991-09-17 Ctb, Inc. Boat dock structure
KR100952922B1 (ko) 2010-01-20 2010-04-16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해수면 및 내수면 부유용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부유 구조체
KR101026543B1 (ko) 2010-10-20 2011-04-01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부력체 지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101095278B1 (ko) 2009-01-06 2011-12-20 전오근 부력조정과 변형이 가능한 폰툰용 패널 및 부력체 결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8448A (en) 1989-12-15 1991-09-17 Ctb, Inc. Boat dock structure
KR101095278B1 (ko) 2009-01-06 2011-12-20 전오근 부력조정과 변형이 가능한 폰툰용 패널 및 부력체 결합 방법
KR100952922B1 (ko) 2010-01-20 2010-04-16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해수면 및 내수면 부유용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부유 구조체
KR101026543B1 (ko) 2010-10-20 2011-04-01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부력체 지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2802A (zh) * 2016-05-30 2016-10-12 洛阳贝奇尔塑胶有限公司 一种简易塑胶救援浮桥
KR20180027108A (ko) * 2016-09-06 2018-03-14 부경정공마린주식회사 알루미늄 부표 및 알루미늄 해상 구조물
KR101894631B1 (ko) * 2016-09-06 2018-09-05 부경정공마린주식회사 알루미늄 부표가 설치된 알루미늄 해상 구조물
KR101807502B1 (ko) 2017-08-04 2017-12-11 부경정공마린주식회사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
KR102224206B1 (ko) 2020-09-15 2021-03-08 주식회사 대원 해상 부유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131A (ko)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865B1 (ko) 선착장의 부잔교용 분해조립식 부상(浮上)구조물
US7845300B1 (en) Modular floating marine dock
US3967569A (en) Floating dock
US9206570B2 (en) Floating marine dock and connection system therefor
KR100804054B1 (ko) 플로트 조립체의 파일 지지장치
KR101311221B1 (ko) 콘크리트 부유체 고정구 및 콘크리트 부유체
CN108560836B (zh) 石板瓦安装机构
KR20130137749A (ko) 철재 뗏목
KR20110067217A (ko) 수상 계류시설
KR200438582Y1 (ko) 해상 구조물용 파이프 커플링
KR101140412B1 (ko) 부잔교
AU200520144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floating base
US10479456B1 (en) Deck structure
KR101359523B1 (ko)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KR102224206B1 (ko) 해상 부유 구조물
KR200435478Y1 (ko) 플로트 조립체의 상부 구조물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US5031564A (en) Snubber strip
JPH07207641A (ja) 桟 橋
KR101029748B1 (ko) 이중바닥 구조를 갖는 저수조
KR101384447B1 (ko) 도교
KR20080108694A (ko) 수상 구조물
JPH0224286A (ja) コンクリート浮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浮棧橋
CN105002856B (zh) 适应于海洋潮汐的浮动码头
CN109625178A (zh) 一种防变形撕裂的舷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