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412B1 - 부잔교 - Google Patents

부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412B1
KR101140412B1 KR1020110131073A KR20110131073A KR101140412B1 KR 101140412 B1 KR101140412 B1 KR 101140412B1 KR 1020110131073 A KR1020110131073 A KR 1020110131073A KR 20110131073 A KR20110131073 A KR 20110131073A KR 101140412 B1 KR101140412 B1 KR 101140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nection panel
connection
bridg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주
Original Assignee
(주)씨케이아이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2712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4041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케이아이피엠 filed Critical (주)씨케이아이피엠
Priority to KR1020110131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부체를 연결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작업이 쉬워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체 사이의 연결강도가 우수하여 쉽게 해체되지 않으면서도 연결부위에 유연성을 주어 파도 등과 같은 외력에 강하다. 또한, 부체 사이의 연결강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고,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하고 항상 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선박 등의 접안 등에 따른 충격에 대항하는 대항력이 증대되어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잔교에 있어서, 다수의 부체와; 부체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부체의 양측에 돌출되고, 상호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돌출바와; 둘 이상의 부체를 연결하도록 둘 이상의 부체의 돌출바에 장착되는 제1 연결패널과; 제1 연결패널을 관통한 돌출바에 장착되어 제1 연결패널에 접하고, 양측끝단이 제1 연결패널의 양측끝단의 위치에 어긋나게 배치되는 커버패널; 및 제1 연결패널 및 커버패널을 관통한 돌출바에 결합되어 제1 연결패널과 커버패널을 부체에 고정시키는 고정구; 를 포함하는 부잔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잔교{PONTOON}
본 발명은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부체를 연결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작업이 쉬워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체 사이의 연결강도가 우수하여 쉽게 해체되지 않으면서도 연결부위에 유연성을 주어 파도 등과 같은 외력에 강하다. 또한, 부체 사이의 연결강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고,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하고 항상 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선박 등의 접안 등에 따른 충격에 대항하는 대항력이 증대되어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부잔교는 물에 뜨도록 만든 상자형의 부체(浮體)를 물에 띄우고 그 위에 철근콘크리트, 강판, 목재 등으로 상판(데크)을 깔아 여객의 승하선, 화물의 적양(積楊)에 편하도록 만든 구조물이며, 수위에 따라 상판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조석간만의 차이가 큰 곳이나 그 밖의 수위변화가 많은 곳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부체 여러 개를 결합하여 부잔교를 만드는 경우, 부체를 서로 연결하여주기 위한 연결기구가 필요하다. 특히 파도가 심한 바다, 강, 호수 등의 수상에 부체 여러 개를 연결하여 부잔교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부체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여주면서도 연결부위에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되는 경우 힘을 완충할 수 있는 연결기구가 필요하다.
이에,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09-0002683호 '부유도크의 조립구조'와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130254호 '수상 도크' 등에는 부체를 연결하면서 작용하는 힘을 완충할 수 있는 연결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부유도크의 조립구조'의 경우 연결된 부체끼리 큰 힘으로 충돌할 우려가 있고, 부체를 연결하는 커플러에서 상하 및 좌우 방향의 힘을 받아 주어야 하기 때문에 유동이 크게 발생하여 이탈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종래기술들은 부체를 연결하는 연결기구들이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파도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부체 중 일부가 부잔교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부잔교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부체를 연결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작업이 쉬워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부잔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 부체 사이의 연결강도가 우수하여 쉽게 해체되지 않으면서도 연결부위에 유연성을 주어 파도 등과 같은 외력에 강한 부잔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 부체 사이의 연결강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는 부잔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하고, 항상 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부잔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박 등의 접안 등에 따른 충격에 대항하는 대항력이 증대되어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부잔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잔교에 있어서, 다수의 부체와; 부체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부체의 양측에 돌출되고, 상호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돌출바와; 둘 이상의 부체를 연결하도록 둘 이상의 부체의 돌출바에 장착되는 제1 연결패널과; 제1 연결패널을 관통한 돌출바에 장착되어 제1 연결패널에 접하고, 양측끝단이 제1 연결패널의 양측끝단의 위치에 어긋나게 배치되는 커버패널; 및 제1 연결패널 및 커버패널을 관통한 돌출바에 결합되어 제1 연결패널과 커버패널을 부체에 고정시키는 고정구; 를 포함하는 부잔교를 제공한다.
커버패널은, 둘 이상의 제1 연결패널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체는, 내측에 다수의 돌출바에 대응되도록 다수가 상호 떨어지게 배치되고, 다수의 돌출바가 각각 관통되도록 형성된 돌출돌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바는, 돌출돌기를 관통하여 돌출돌기의 내측과 접하는 부분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의 튜브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패널과 커버패널 사이에 위치하도록 돌출바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패널이 더 포함되고, 제2 연결패널의 양측끝단은, 서로 이웃하는 제1 연결패널 사이의 위치에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패널, 제2 연결패널, 커버패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은 목재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잔교에 의하면, 다수의 부체를 연결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작업이 쉬워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다수 부체 사이의 연결강도가 우수하여 쉽게 해체되지 않으면서도 연결부위에 유연성을 주어 파도 등과 같은 외력에 강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 부체 사이의 연결강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하고, 항상 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 등의 접안 등에 따른 충격에 대항하는 대항력이 증대되어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B'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부잔교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잔교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C-C'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부잔교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D-D'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사용일례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B'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부잔교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잔교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 도시된 C-C'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P)는 크게 부체(100)와 돌출바(200), 제1 연결패널(300), 커버패널(400) 및 고정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체(100)는 물에 뜨도록 만들어진 상자체로써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부체(100)를 연결하여 부잔교(P)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체(100)는 상자부재(110)와, 이러한 상자부재(110) 내에 채워지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스티로폼과 같은 부력부재(140)로 이루어진다. 상자부재(110)의 외면에는 조개, 따개비 등과 같은 해양생물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코팅, 예를 들어 폴리우레아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자부재(110)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인장력이 약한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하여 내측 둘레를 따라 제1 보강망(112)을 배치한다. 또한, 제1 보강망(112)에 더하여 상자부재(110)의 내측 상부, 특히 제1 보강망(112)의 하측에 제2 보강망(114)을 두어 부체(100)를 보강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제1 보강망(112)이나 제2 보강망(114)은 철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자부재(110)의 내측 상면에는 하기에 서술하는 돌출바(200)가 각각 관통되도록 다수가 상호 떨어지게 위치하는 돌출돌기(120)가 마련된다. 여기서, 돌출돌기(120) 중 양 끝단에 위치하는 돌출돌기(120)는 상자부재(110)의 내측과 접하여 더 두껍게 구성됨으로써 상자부재(110)를 보강하게 된다. 이 외에, 부체(100)의 보강을 위해 보강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부(130)는 상자부재(110) 내측의 모서리나 측면이 돌출되도록 하여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이러한 보강부(130) 내에 별도의 보강봉(132)이나 보강망을 배치하여 부체(100)를 더 보강할 수 있다. 한편, 부잔교(P)를 형성하는 부체(100)의 상면에는 도면상으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방수 처리된 목재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패널로 이루어진 데크(DECK, 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자전거나 차량 등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부잔교(P)의 외곽에는 안전난간(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바(200)는 철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다수가 부체(10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부체(100)의 양측에 돌출되고, 상호 떨어져 배치되는 구성요소이다. 돌출바(200)는 전술한 것과 같이 부체(100) 내에 형성되는 돌출돌기(120)를 관통하여 배치되는데, 돌출바(200)의 중앙측, 다시 말해서 돌출돌기(120)를 관통하여 돌출돌기(120)의 내측과 접하는 부분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튜브(210)가 외면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튜브(210)에 감싸여지지 않는 돌출바(200)의 양측말단에는 볼트부(220)가 형성되어 하기에 서술하는 고정구(50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돌출바(200)와 유사한 구성요소로써 한쪽말단에 볼트부가 형성된 인서트바(200')가 사용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부잔교(P)를 이루는 다수의 부체(100)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웃하도록 배치되며, 서로 이웃하는 부체(100)와 부체(100)는 서로 근접하거나 접하게 된다. 그리고, 돌출바(200)는 부체(100)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인서트바(200')는 부잔교(P)를 이루는 부체(100) 중 가장 양끝단에 배치되는 부체(100)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가 상호 떨어지게 배치됨으로써 부잔교(P) 전체를 봤을 때 부잔교(P)의 전후좌우에 돌출바(200)가 돌출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제1 연결패널(300)은 전술한 것과 같이 부체(100)의 양측에 돌출되는 돌출바(200)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로써, 돌출바(200)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둘 이상의 부체(100)를 연결하도록 둘 이상의 부체(100)의 돌출바(200)에 장착된다. 즉, 부잔교(P)를 구성하기 위해 제1 연결패널(300) 1개에 의해 2개 이상의 부체(100)가 연결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제1 연결패널(300)의 양측끝단은 서로 이웃하는 부체(100) 사이의 위치에 어긋나게 배치된다. 물론, 이러한 제1 연결패널(300)의 양측끝단은 부잔교(P)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체(100) 중 가장 말단 양측에서는 부체(100)의 끝단 위치에 맞게 배치되어 마무리된다. 제1 연결패널(300)은 부체(100)의 연결 개수에 따라 다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수가 사용되는 경우 제1 연결패널(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한편, 제1 연결패널(30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목재로 된 제1 연결패널(300)을 사용한다. 부잔교(P)는 물에 떠 있는 구조물로써 설계 수명 기간 동안 파도 등과 같은 외력을 견뎌야 한다. 특히, 다수의 부체(100)를 제1 연결패널(300)로 연결하게 될 경우 파도 등의 외력에 따라 부체(100)가 움직이고, 이러한 부체(100)의 움직임에 따라 제1 연결패널(300)에는 구부러지는 힘과 펴지는 힘이 계속 가해진다. 이에 따라 제1 연결패널(300)을 금속재,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철 재질로 형성할 경우 이렇게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아 파손될 우려가 크게 된다. 이에, 제1 연결패널(300)로써 목재를 사용하게 될 경우 목재 자체의 자연 능력, 즉 자연스럽게 휘어지는 유연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금속재 등에 비해 더욱 오랜 시간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제1 연결패널(300)은 예로부터 선박 등의 제작에 사용된 다양한 종류의 목재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둘 이상의 목재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패널(300)로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제1 연결패널(300)의 크기나 두께 등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필요에 따라 수직 및 수평 방향 모두에서 부체(100) 사이의 연결 강도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커버패널(400)은 제1 연결패널(300)과 마찬가지로 돌출바(200)에 장착되는 구성요소이며, 돌출바(200)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패널(400)은 부체(100)와 커버패널(400) 사이에 제1 연결패널(300)이 배치되도록, 즉 커버패널(400)이 제1 연결패널(300)을 관통한 돌출바(200)에 장착되어 제1 연결패널(300)에 접하게 된다. 또한, 커버패널(400)은 부잔교(P)를 이루는 부체(100) 중 가장 양끝단에 배치되는 부체(10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인서트바(200')에도 장착되어 디자인적인 부분이라던가 선박 등의 접안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방지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연결패널(300)이 다수 사용될 경우 커버패널(400)은 둘 이상의 제1 연결패널(300)에 접하도록, 다시 말해서 전술한 제1 연결패널(300)과 마찬가지로 양측끝단이 서로 이웃하는 제1 연결패널(300) 사이의 위치에 어긋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부체(100)와 제1 연결패널(300), 그리고 커버패널(400)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부체(100)를 연결하는 연결력이 더욱 강해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커버패널(400)은 제1 연결패널(300)과 마찬가지로 목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 외에 다른 재질, 예를 들어 금속이나 고무 등과 같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고정구(500)는 제1 연결패널(300) 및 커버패널(400)을 관통한 돌출바(200)에 결합되어 제1 연결패널(300)과 커버패널(400)을 부체(100)에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고정구(500)는 인서트바(200')에 결합된 커버패널(400)을 부체(10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고정구(500)는 돌출바(200)의 양측말단, 그리고 인서트바(200')의 한쪽말단에 형성된 볼트부(220)에 결합되며, 이를 위해 통상 사용되는 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필요에 따라 부체(100)와 제1 연결패널(300) 사이에 위치하도록 돌출바(200)에 장착되는 와셔(flat washer)나 돌출바(200)에 결합되는 너트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조이는 역할을 하는 조임용 와셔(lock washer)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잔교(P)를 이루는 부체(100)와 돌출바(200), 제1 연결패널(300), 커버패널(400) 및 고정구(500)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부잔교(P)가 해상에서 사용될 경우 해수에 의한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식 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잔교(P)에서 사용되는 각종 구성요소들 중 철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 예를 들어 제1 보강망(112)이나 제2 보강망(114), 보강봉(132), 돌출바(200), 인서트바(200'), 고정구(500) 등은 아연도금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부잔교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P)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P)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나, 제1 연결패널(300)과 커버패널(400) 사이에 제2 연결패널(600)이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연결패널(600) 또한 돌출바(200)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연결패널(300)과 커버패널(400) 사이에 위치하도록 돌출바(200)에 장착된다. 이러한 제2 연결패널(600)은 제1 연결패널(300)에 의해 연결되는 부체(100)의 연결 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연결패널(300)과 커버패널(400) 사이에 하나의 제2 연결패널(600)이 배치될 수도 있고, 부잔교(P)가 설치되는 장소 등에 따라 둘 이상의 제2 연결패널(600)이 겹쳐져 제1 연결패널(300)과 커버패널(40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2 연결패널(600)의 양측끝단은 서로 이웃하는 제1 연결패널(300) 사이의 위치에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부체(100)의 연결 강도를 높이게 되며, 커버패널(400)은 상황에 따라 양측끝단이 서로 이웃하는 제1 연결패널(300) 또는 서로 이웃하는 제2 연결패널(600) 사이의 위치에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2 연결패널(600) 또한 제1 연결패널(300)과 마찬가지로 목재로 이루어지며, 해수에 의한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식 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D-D'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P)의 경우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P)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다만 부잔교(P) 위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에 수도나 전기 등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710), 예를 들어 상수도 공급배관이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배관,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 설비 등과 같은 배관(710)과, 이러한 배관(710)이 분기되는 배관함(700)이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P)에서는 제2 연결패널(600)이 포함되어 있는 제2 실시예에 배관함(700)과 배관(710)이 더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P)에 배관함(700)과 배관(710)이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부잔교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사용일례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P)에 전술한 것과 같이 한 쌍의 보조부잔교(FP)가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부잔교(P)에 연결된다.
또한, 부잔교(P)는 물 위에 떠 있어서 파도 등에 의해 설치한 위치에서 이탈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물속에 파일(F)이나 기둥을 박아 넣은 다음, 여기에 부잔교(P)와 보조부잔교(FP)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부잔교(P)와 보조부잔교(FP)는 파도에 의해 위아래로 흔들리게 되므로, 이러한 흔들림을 감안하여 파일(F)이나 기둥에 부잔교(P)와 보조부잔교(FP)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면서도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파일(F)이나 기둥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일가이드(FG)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부체 110: 상자부재
112: 제1 보강망 114: 제2 보강망
120: 돌출돌기 130: 보강부
132: 보강봉 140: 부력부재
200: 돌출바 200': 인서트바
210: 튜브 220: 볼트부
300: 제1 연결패널 400: 커버패널
500: 고정구 600: 제2 연결패널
700: 배관함 710: 배관
P: 부잔교 FP: 보조부잔교
F: 파일 FG: 파일가이드

Claims (9)

  1. 부잔교에 있어서,
    다수의 부체와;
    상기 부체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상기 부체의 양측에 돌출되고, 상호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돌출바와;
    둘 이상의 상기 부체를 연결하도록 둘 이상의 상기 부체의 돌출바에 장착되는 제1 연결패널과;
    상기 제1 연결패널을 관통한 상기 돌출바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연결패널에 접하고, 양측끝단이 상기 제1 연결패널의 양측끝단의 위치에 어긋나게 배치되는 커버패널; 및
    상기 제1 연결패널 및 상기 커버패널을 관통한 상기 돌출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패널과 상기 커버패널을 상기 부체에 고정시키는 고정구; 를 포함하되,
    상기 부체는,
    내측에 다수의 상기 돌출바에 대응되도록 다수가 상호 떨어지게 배치되고, 다수의 상기 돌출바가 각각 관통되도록 형성된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은,
    둘 이상의 상기 연결패널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바는,
    상기 돌출돌기를 관통하여 상기 돌출돌기의 내측과 접하는 부분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의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패널과 상기 커버패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돌출바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패널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2 연결패널의 양측끝단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연결패널 사이의 위치에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패널과 상기 커버패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돌출바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패널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2 연결패널의 양측끝단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연결패널 사이의 위치에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패널, 상기 제2 연결패널, 상기 커버패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은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패널, 상기 제2 연결패널, 상기 커버패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은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8. 삭제
  9. 삭제
KR1020110131073A 2011-12-08 2011-12-08 부잔교 KR101140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073A KR101140412B1 (ko) 2011-12-08 2011-12-08 부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073A KR101140412B1 (ko) 2011-12-08 2011-12-08 부잔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412B1 true KR101140412B1 (ko) 2012-05-14

Family

ID=46271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073A KR101140412B1 (ko) 2011-12-08 2011-12-08 부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41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846B1 (ko) * 2012-07-19 2014-07-14 동남이엔씨(주) 요트 계류 시설
KR102224206B1 (ko) 2020-09-15 2021-03-08 주식회사 대원 해상 부유 구조물
KR102240692B1 (ko) * 2019-12-31 2021-04-14 주식회사 케이마린 빗물 배출이 용이한 쓰레기 수거용 태양광 보트
KR102246152B1 (ko) 2020-08-26 2021-04-29 (주)씨케이아이피엠 내구성이 강화된 웰러 방식을 이용하고 양방향 확장 가능한 친환경 폰툰
KR102279253B1 (ko) * 2020-01-28 2021-07-20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콘크리트 파손방지 부재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
KR102448003B1 (ko) 2022-01-28 2022-09-30 주식회사 해담 소파 및 수평 기능을 가지는 부잔교
KR20230044978A (ko) 2021-09-27 2023-04-04 정복균 단위부체와 이를 이용한 마리나용 콘크리트 부잔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9647A (en) 1986-01-06 1987-12-01 Rytand David H Floating dock
JP2000087311A (ja) 1998-09-08 2000-03-28 Nitta Ind Corp 浮体構造物の連結構造
KR200447350Y1 (ko) 2009-06-30 2010-01-20 최연호 푼툰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20100126070A (ko) * 2009-05-22 2010-12-01 박정극 이동식 다목적 가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9647A (en) 1986-01-06 1987-12-01 Rytand David H Floating dock
JP2000087311A (ja) 1998-09-08 2000-03-28 Nitta Ind Corp 浮体構造物の連結構造
KR20100126070A (ko) * 2009-05-22 2010-12-01 박정극 이동식 다목적 가교
KR200447350Y1 (ko) 2009-06-30 2010-01-20 최연호 푼툰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846B1 (ko) * 2012-07-19 2014-07-14 동남이엔씨(주) 요트 계류 시설
KR102240692B1 (ko) * 2019-12-31 2021-04-14 주식회사 케이마린 빗물 배출이 용이한 쓰레기 수거용 태양광 보트
KR102279253B1 (ko) * 2020-01-28 2021-07-20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콘크리트 파손방지 부재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
KR102246152B1 (ko) 2020-08-26 2021-04-29 (주)씨케이아이피엠 내구성이 강화된 웰러 방식을 이용하고 양방향 확장 가능한 친환경 폰툰
WO2022045786A1 (ko) * 2020-08-26 2022-03-03 ㈜씨케이아이피엠 내구성이 강화된 웰러 방식을 이용하고 양방향 확장 가능한 친환경 폰툰
KR102224206B1 (ko) 2020-09-15 2021-03-08 주식회사 대원 해상 부유 구조물
KR20230044978A (ko) 2021-09-27 2023-04-04 정복균 단위부체와 이를 이용한 마리나용 콘크리트 부잔교
KR102448003B1 (ko) 2022-01-28 2022-09-30 주식회사 해담 소파 및 수평 기능을 가지는 부잔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412B1 (ko) 부잔교
US4979453A (en) Floating dock system
US2857872A (en) Floating wharf structure made of concrete float units
US3967569A (en) Floating dock
US7640881B1 (en) Dock system
KR101311221B1 (ko) 콘크리트 부유체 고정구 및 콘크리트 부유체
KR101040014B1 (ko) 조립형 부구
KR101298679B1 (ko) 부력파이프 교차식 고강도 부잔교
KR101097422B1 (ko) 부잔교
KR102224206B1 (ko) 해상 부유 구조물
KR102110426B1 (ko)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USRE24837E (en) Floating wharf structure made of concrete float units
CN207944320U (zh) 新型铝合金框架浮桥
JPH07101384A (ja) 浮体構造物
KR20090017001A (ko) 조립식 도크의 연결장치
KR101312920B1 (ko) 보강부재가 형성된 폰툰, 폰툰조립체 및 폰툰조립체 제조방법
CN109625178A (zh) 一种防变形撕裂的舷墙结构
KR102246152B1 (ko) 내구성이 강화된 웰러 방식을 이용하고 양방향 확장 가능한 친환경 폰툰
KR102417512B1 (ko) 친환경 부유식 해상구조물
KR101313164B1 (ko) 선박 건조용 계선주
KR101016382B1 (ko) 작업선의 조립식 선체구조
JP6684459B1 (ja) 構造物の補強梁、補強工法、及び構造物
KR101283121B1 (ko) 콘크리트 플로팅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25369A (ko) 부구 연결용 브라켓을 이용한 친환경 수상 구조물
KR101934895B1 (ko)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 부유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7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099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328

Effective date: 20200812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5000017;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10308

Effective date: 2021080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35000001;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21014

Effective date: 2023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