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422B1 - 부잔교 - Google Patents

부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422B1
KR101097422B1 KR1020110090562A KR20110090562A KR101097422B1 KR 101097422 B1 KR101097422 B1 KR 101097422B1 KR 1020110090562 A KR1020110090562 A KR 1020110090562A KR 20110090562 A KR20110090562 A KR 20110090562A KR 101097422 B1 KR101097422 B1 KR 101097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groove
longitudinal direction
bridge
buz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주
Original Assignee
(주)씨케이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케이마린 filed Critical (주)씨케이마린
Priority to KR102011009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Abstract

본 발명은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잔교의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장경간으로 구성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여건에 따라 부력체의 규격 및 종류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잔교에 있어서, 부잔교의 둘레를 이루고, 양측말단이 개방되어있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양측말단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관통부재와; 메인프레임의 내측과 관통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관통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메인프레임의 양측말단에 장착되는 덮개; 및 덮개 중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부터 관통부재를 관통하여 덮개 중 다른 하나의 외측에 연결되는 와이어; 를 포함하는 부잔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잔교{PONTOON}
본 발명은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잔교의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장경간으로 구성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여건에 따라 부력체의 규격 및 종류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부잔교는 물에 뜨도록 만든 상자형의 부체(浮體)인 부력체를 물에 띄우고 그 위에 철근콘크리트, 강판, 목재 등으로 상판(데크)을 깔아 여객의 승하선, 화물의 적양(積楊)에 편하도록 만든 구조물이며, 수위에 따라 상판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조석간만의 차이가 큰 곳이나 그 밖의 수위변화가 많은 곳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부잔교는 본 출원인이 특허권을 갖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02194호 "선착장"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부잔교는 무게가 무겁고, 항내 정온도(Calmness; 수면의 정온한 정도)가 확보되지 않은 수역에서 부잔교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 간 연결상태의 강도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잔교의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부잔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경간으로 구성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잔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여건에 따라 부력체의 규격 및 종류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부잔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잔교에 있어서, 부잔교의 둘레를 이루고, 양측말단이 개방되어있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양측말단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관통부재와; 메인프레임의 내측과 관통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관통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메인프레임의 양측말단에 장착되는 덮개; 및 덮개 중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부터 관통부재를 관통하여 덮개 중 다른 하나의 외측에 연결되는 와이어; 를 포함하는 부잔교를 제공한다.
메인프레임은 한 쌍이 상호 떨어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메인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일측에 한 쌍의 메인프레임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데크가 삽입 가능한 제1 홈과;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측에 상호 이웃하도록 형성되어 부력체가 삽입 가능한 제2 홈과; 길이방향을 따라 제1 홈에 이웃하는 상부면에 형성되어 밧줄걸이대가 삽입 가능한 제3 홈과; 제1 홈과 반대방향으로 개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떨어져 형성되어 연결부재 또는 보호부재가 삽입 가능한 제4 홈; 및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 일측에 한 쌍의 메인프레임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보강부재가 삽입 가능한 제5 홈; 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홈, 제2 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을 이루는 양측벽 중 어느 하나의 높이가 다른 하나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홈 및 제4 홈은,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메인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는 입구의 폭이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메인프레임의 내면에 형성되는 내측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5 홈은,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메인프레임의 내면에 형성되는 내측이 메인프레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향해 꺾여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잔교에 의하면, 부잔교의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장경간으로 구성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여건에 따라 부력체의 규격 및 종류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로써, 콘크리트 부력체를 사용한 부잔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부력체를 사용한 부잔교의 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부력체를 사용한 부잔교의 정면도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로써,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부력체를 사용한 부잔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에서 사용되는 메인프레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메인프레임의 결합도이다.
도 6 및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에서 사용되는 메인프레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로써, 콘크리트 부력체를 사용한 부잔교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부력체를 사용한 부잔교의 측면도이며, 도 3의 (a)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부력체를 사용한 부잔교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부력체를 사용한 부잔교는 크게 골격체(10)와 부력체(20) 및 데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골격체(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골격을 이루는 부분이다. 이러한 골격체(10)는 부잔교의 둘레, 특히 한 쌍이 상호 떨어져 마주보도록 부잔교의 양측에 배치되며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메인프레임(100)과, 메인프레임(100) 사이에 배치되어 이를 연결하고, 부잔교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을 지지하는 연결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부력체(20)는 골격체(10)의 하측에 설치되어 부잔교가 물 위에 떠있을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물에 뜰 수 있는 다양한 물품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에서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형성한 부력체(20)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외에도 현장여건에 따라 다양한 규격이나 종류의 부력체(2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3의 (b)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부력체를 사용한 부잔교가 도시되어 있다. 이 외에, 부력체(20)로써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등을 이용하거나, 이러한 재질로 된 함체의 내부에 스티로폼 등을 채운 부력체 등 다양한 부력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부잔교가 설치되는 현장여건에 따라 해당 부잔교에 맞는 규격이나 종류의 부력체(2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부력체(20)의 외면에는 조개, 따개비 등의 해양생물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코팅, 예를 들어 폴리우레아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력체(20)는 부잔교의 무게나 폭, 길이, 부잔교에 설치되는 구조물 등에 따라 개수를 가감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데크(30)는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행로의 역할과, 부잔교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의 바닥재의 역할, 그리고 부잔교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 등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부잔교는 수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므로 사용자가 파도 등에 의해 흔들리는 부잔교에서 떨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가드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데크(30), 특히 메인프레임(100)에 삽입되는 데크(30)는, 연결프레임(200)의 상측에 배치된 데크삽입부재(210)에 다른 한쪽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메인프레임(100)과 데크삽입부재(210)의 사이에는 부잔교 위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에 수도나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80), 예를 들어 상수도 공급배관이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배관,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 설비 등과 같은 배관이 마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에서 사용되는 메인프레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메인프레임의 결합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에는 관통부재(110)와 지지부재(120)가 형성되고, 여기에 덮개(130)와 와이어(140)가 설치된다.
메인프레임(100)은 양측말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양측말단이 개방되어 있는 메인프레임(100)의 내측에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부재(110)와 지지부재(120)가 형성된다.
관통부재(110)는 메인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양측말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수직단면 형상이 대략 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가 비어있도록 형성된다.
지지부재(120)는 메인프레임(100)의 내측과 관통부재(110) 사이에 배치되어 관통부재(110)를 지지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인프레임(100)은 내측이 관통부재(110)와 지지부재(120) 외에는 비어있도록 구성되어 무게를 줄이되, 무게를 줄인 것에 비해 강도는 높아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덮개(130)는 메인프레임(100)의 양측말단에 장착되는 부분으로, 덮개(130)의 일면은 메인프레임(100)의 양측끝에 억지끼움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덮개(130)는 메인프레임(100)의 개방된 양측말단을 폐쇄함으로써 메인프레임(100)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는 해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은 기본적으로 구조적인 강성을 위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부잔교가 해상에서 사용될 경우 해수에 의한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메인프레임(100)의 양측말단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사용할 경우 메인프레임(100)의 내측까지 내식 처리를 해야 하며, 이에 따라 부잔교의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덮개(130)를 이용하여 메인프레임(100)의 내측을 폐쇄하게 되면 이와 같은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140)는 통상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메인프레임(100)의 인장 및 굽힘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메인프레임(100)은 관통부재(110)와 지지부재(120) 외에는 비어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와이어(140)가 관통부재(110)를 관통하여 메인프레임(100)의 양측말단에 장착되는 덮개(130) 중 어느 하나의 외측과 다른 하나의 외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와이어(140)가 덮개(13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와이어(140)의 양측말단에는 와이어고정구(142)가 배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와이어(140)는 전술한 덮개(130)가 메인프레임(100)에 좀 더 강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와이어(140)의 직경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가 사용되는 위치나 해당 지역의 날씨 등 각종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황에 따라 와이어(140)의 직경은 관통부재(110)에 억지끼움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와이어(140)는 상당히 긴 길이를 갖는 장경간의 부잔교에서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장경간의 부잔교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메인프레임(100)을 다수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메인프레임(100)과 메인프레임(100) 사이를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140)를 사용하게 되면 단순히 용접으로 연결된 메인프레임(100)에 비해 훨씬 강한 연결력을 갖는 부잔교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날씨에 따라 파도가 강하게 치는 등 외력에 의해 용접부위가 파손되더라도 다수의 메인프레임(100)이 와이어(140)에 의해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메인프레임(100)이 부잔교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막아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다.
한편, 메인프레임(100)에는 다수의 홈,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에서 사용되는 각종 구성요소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제1 홈 내지 제5 홈(101, 103-1, 103-2, 105, 107, 109)이 형성된다.
제1 홈(101)은 한 쌍의 메인프레임(100)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부분으로, 메인프레임(1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홈(101)에는 데크(30)가 삽입된다. 이때, 제1 홈(101)을 이루는 양측벽(101a, 101b) 중 어느 하나(101a)의 높이가 다른 하나(101b)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한 쌍의 메인프레임(100)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을 제1 홈(101)의 입구라고 했을 때, 입구로부터 가장 깊은 곳이 제1 홈(101)의 바닥면이 되고, 양측벽(101a, 101b)은 이러한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홈(101)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제1 홈(101)의 양측벽(101a, 101b) 중 도면상 상측에 위치한 측벽(101a)의 높이가 하측에 위치한 측벽(101b)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다.
제2 홈(103-1, 103-2)은 메인프레임(1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부력체(2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때, 제2 홈(103-1, 103-2) 중 도면상 하부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2 홈(10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도 1 내지 도 3의 (a))에서 사용하는 부력체(20)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2 홈(103-1, 103-2) 중 제1 홈(101)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메인프레임(100)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2 홈(103-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도 3의 (b))에서 사용하는 부력체(20)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2 홈(103-2)은 제1 홈(101)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부력체(20)를 손쉽게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제3 홈(105)은 제1 홈(101)에 이웃하도록 메인프레임(1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선박이 정박할 수 있도록 밧줄을 거는 밧줄걸이대(40)가 삽입된다. 이때, 제3 홈(105)은 메인프레임(100)의 외면에 형성되는 입구(105a)의 폭이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에 형성되는 내측의 폭보다 작게 형성, 즉 제3 홈(105)은 대략 "ㅗ"과 같은 수직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4 홈(107)은 제1 홈(101)과 반대방향으로 개방되는 부분으로 한 쌍이 상호 떨어져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4 홈(107)에는 메인프레임(100)을 다른 부잔교나 수상구조물, 지상구조물 등과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50) 또는 파도 등에 의한 부잔교와 선박의 충돌 또는 부잔교와 다른 수상구조물이나 지상구조물과의 충돌 발생시 충격을 완충시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부재(60)가 삽입된다. 이러한 제4 홈(107)은 제3 홈(105)과 마찬가지로 메인프레임(100)의 외면에 형성되는 입구(107a)의 폭이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에 형성되는 내측의 폭보다 작게 형성, 다시 말해서 마주보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00)에 형성되는 제4 홈(107) 중 어느 하나는 대략 "ㅓ" 과 같은 수직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ㅏ"과 같은 수직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5 홈(109)은 제1 홈(101)과 제2 홈(103)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메인프레임(100)과 연결프레임(200)의 지지강도를 보강하여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강부재(70)가 삽입된다. 이러한 제5 홈(109)은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에 형성되는 내측이 메인프레임(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향해 꺾여서 형성된다. 그리고, 제5 홈(109)에 삽입되는 보강부재(70)의 말단은 이러한 제5 홈(109)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쉽게 메인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부잔교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에서 사용되는 메인프레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6에는 메인프레임(100)의 제1 홈 내지 제5 홈(101, 103, 105, 107, 109)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에서 사용되는 각종 구성요소, 즉 데크(30)와 부력체(20), 밧줄걸이대(40), 연결부재(50) 및 보강부재(70)가 장착되거나 장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여기서 데크(30), 특히 한쪽이 메인프레임(100)의 제1 홈(101)에 삽입되는 데크(30)는, 연결프레임(200)의 상측에 배치된 데크삽입부재(210)에 다른 한쪽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배관(8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수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데크(30)가 삽입되는 제1 홈(101)을 이루는 양측벽(101a, 101b) 중 어느 하나(101a)의 높이가 다른 하나(101b)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 즉 도면상 상측에 위치한 측벽(101a)의 높이가 하측에 위치한 측벽(101b)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게 된다.
즉, 제1 홈(101)을 이루는 양측벽(101a, 101b)이 동일한 높이, 다시 말해서 양측벽(101a, 101b)이 모두 도면상 하측에 위치한 측벽(101b)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경우, 데크(30)를 제1 홈(101)과 데크삽입부재(210)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메인프레임(100)의 말단에서 데크(30)를 삽입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은 조립도 어렵고, 배관(80) 등의 수리를 수행하기에도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홈(101)을 이루는 양측벽(101a, 101b)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데크(30)를 원하는 위치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쉽게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제1 홈(101)과 반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홈(103-1)에는 부력체(20)가 설치되는데, 메인프레임(100)과 부력체(2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메인프레임(100)과 부력체(20) 사이에는 판재 형상을 갖는 설치부재(22)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설치부재(22)는 별도의 체결부재, 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한쪽은 메인프레임(100), 즉 제2 홈(103-1)에 연결하고, 다른쪽은 부력체(20)에 연결하여 부력체(20)의 설치를 마무리하게 된다.
한편, 물에 떠있는 부잔교의 특성상 파도 등에 의해 계속적인 흔들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제4 홈(107)에 삽입되어 메인프레임(100)을 다른 부잔교나 수상구조물, 지상구조물 등과 연결하게 되는 연결부재(50)가 직접적으로 다른 부잔교나 수상구조물, 지상구조물 등에 연결될 경우 부잔교의 흔들림에 의해 연결부재(50)가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에, 연결부재(50)와 다른 부잔교나 수상구조물, 지상구조물 등의 사이에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신축성이 있는 재질의 이음구(5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음구(52)는 탄성고무라고 하는 가황(加黃)고무 등과 같은 탄성중합체(Elastomer)와, 이러한 탄성중합체의 내측에 위치하여 내구성을 증가시키도록 금속판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부재(50)와 이음구(52)는 부력체(20)와 마찬가지로 체결부재, 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장착된다.
도 7의 (a) 및 (b)는 메인프레임(100)의 제4 홈(107)에 전술한 도 6의 연결부재(50) 대신 보호부재(60), 즉 파도 등에 의한 부잔교와 선박의 충돌 또는 부잔교와 다른 수상구조물이나 지상구조물과의 충돌 발생시 충격을 완충시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7의 (a)와 도 7의 (b)에 도시된 각각의 보호부재(60)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형상의 차이에 따라 사용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골격체 20: 부력체
30: 데크 40: 밧줄걸이대
50: 연결부재 52: 이음구
60: 보호부재 70: 보강부재
80: 배관 100: 메인프레임
101: 제1 홈 101a, 101b: 측벽
103-1, 103-2: 제2 홈 105: 제3 홈
105a, 107a: 입구 107: 제4 홈
109: 제5 홈 110: 관통부재
120: 지지부재 130: 덮개
140: 와이어 142: 와이어고정구
200: 연결프레임 210: 데크삽입부재

Claims (6)

  1. 부잔교에 있어서,
    상기 부잔교의 둘레를 이루고, 양측말단이 개방되어 있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양측말단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관통부재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과 상기 관통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말단에 장착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 중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관통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덮개 중 다른 하나의 외측에 연결되는 와이어;
    를 포함하는 부잔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한 쌍이 상호 떨어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일측에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데크가 삽입 가능한 제1 홈과;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측에 상호 이웃하도록 형성되어 부력체가 삽입 가능한 제2 홈과;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홈에 이웃하는 상부면에 형성되어 밧줄걸이대가 삽입 가능한 제3 홈과;
    상기 제1 홈과 반대방향으로 개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떨어져 형성되어 연결부재 또는 보호부재가 삽입 가능한 제4 홈; 및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 일측에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보강부재가 삽입 가능한 제5 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상기 제2 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을 이루는 양측벽 중 어느 하나의 높이가 다른 하나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홈 및 제4 홈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는 입구의 폭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면에 형성되는 내측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홈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면에 형성되는 내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향해 꺾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홈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면에 형성되는 내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향해 꺾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KR1020110090562A 2011-09-07 2011-09-07 부잔교 KR101097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562A KR101097422B1 (ko) 2011-09-07 2011-09-07 부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562A KR101097422B1 (ko) 2011-09-07 2011-09-07 부잔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422B1 true KR101097422B1 (ko) 2011-12-23

Family

ID=4550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562A KR101097422B1 (ko) 2011-09-07 2011-09-07 부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4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447B1 (ko) * 2012-05-14 2014-04-10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도교
KR101646594B1 (ko) * 2016-03-11 2016-08-09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푼툰
KR101776801B1 (ko) * 2015-12-17 2017-09-08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수상구조물의 이동용 수상레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상구조물 이동시스템
KR102271890B1 (ko) * 2020-12-03 2021-07-01 (주)씨웨이테크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KR102284604B1 (ko) * 2021-03-31 2021-08-02 (주) 씨플렉스코리아 부교 유닛 연결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부교 유닛 연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94B1 (ko) 2007-09-11 2008-02-18 (주)씨케이마린 선착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94B1 (ko) 2007-09-11 2008-02-18 (주)씨케이마린 선착장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447B1 (ko) * 2012-05-14 2014-04-10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도교
KR101776801B1 (ko) * 2015-12-17 2017-09-08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수상구조물의 이동용 수상레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상구조물 이동시스템
KR101646594B1 (ko) * 2016-03-11 2016-08-09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푼툰
KR102271890B1 (ko) * 2020-12-03 2021-07-01 (주)씨웨이테크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KR102284604B1 (ko) * 2021-03-31 2021-08-02 (주) 씨플렉스코리아 부교 유닛 연결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부교 유닛 연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422B1 (ko) 부잔교
US2857872A (en) Floating wharf structure made of concrete float units
US7640881B1 (en) Dock system
KR101500283B1 (ko) 다목적 수상구조물용 폰툰
KR101252422B1 (ko) 조립식 폰툰
KR102196017B1 (ko) 수상 부유 구조물
KR101140412B1 (ko) 부잔교
KR101040014B1 (ko) 조립형 부구
KR100952922B1 (ko) 해수면 및 내수면 부유용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부유 구조체
KR20110090528A (ko) 플로트 및 부속물 조립구조
KR20100056229A (ko) 수상구조물용 부유조립체
KR101005500B1 (ko)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101359523B1 (ko)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KR102110426B1 (ko)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102105709B1 (ko) 해상부유 구조물
US20150353172A1 (en) Device for securing floating bodies
KR101311166B1 (ko) 단위 부유블럭을 이용한 부유 조립체
KR101240871B1 (ko) 조립식 부잔교
KR102220920B1 (ko) 롤링저감 및 안정성이 구비된 해상부유구조물
KR101026249B1 (ko) 수위에 따라 자동 높이가 조절되는 방파제 및 방파제 겸용 계류장
JP5819666B2 (ja) 膜式水門構造物及び膜式水門
KR101145920B1 (ko) 부잔교의 보강 구조
KR101309866B1 (ko) 조립식 부잔교 구조물
KR102490231B1 (ko) 충격 완충장치가 형성된 부유식 수상구조물
US20120054955A1 (en) Floating po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381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129

Effective date: 20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