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594B1 - 푼툰 - Google Patents

푼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594B1
KR101646594B1 KR1020160029597A KR20160029597A KR101646594B1 KR 101646594 B1 KR101646594 B1 KR 101646594B1 KR 1020160029597 A KR1020160029597 A KR 1020160029597A KR 20160029597 A KR20160029597 A KR 20160029597A KR 101646594 B1 KR101646594 B1 KR 101646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main body
upper plate
coupl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594B9 (ko
Inventor
황성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29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594B1/ko
Publication of KR10164659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59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10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푼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면이나 내수면에 설치되어 마리나, 계류시설, 수상부유구조물, 부잔교, 해상낚시터, 작업선, 선착장, 소파제, 부교(도교)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는 알루미늄 푼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푼툰은 상판과,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판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수면에 부유시키기 위한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와,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와 결합되는 측면테두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푼툰{pontoon}
본 발명은 알루미늄 푼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면이나 내수면에 설치되어 마리나, 계류시설, 수상부유구조물, 부잔교, 해상낚시터, 작업선, 선착장, 소파제, 부교(도교)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는 알루미늄 푼툰에 관한 것이다.
해수면이나 내수면에는 수상에 부유되는 다양한 용도의 푼툰(pontoon)이 설치된다. 가령, 마리나, 계류시설, 수상부유구조물, 부잔교, 해상낚시터, 작업선, 선착장, 소파제, 부교(도교) 등으로 이용되는 푼툰은 부구를 이용하여 수면에 부상시키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47350호에는 푼툰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부유해상구조물은 다각함체형상으로 다수개가 수면위에 일정간격으로 부유되며 내부에는 다수칸으로 구획된 저수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각 저수공간부에 물을 일정량씩 가감시켜 부유높이와 수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고 상면부를 형성하는 상판의 외곽둘레에는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상태로 다수개의 하부체결공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외곽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푼툰과, 다각틀형상으로 상기 각 푼툰의 외곽돌출부 상면부에 부합되게 위치되며 외주면 가운데부분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의 하부에는 상기 각 하부체결공과 부합되는 다수개의 상부체결공이 천공되어 있어 외측으로 개방된 상기 체결홈을 통해 각 푼툰의 외곽돌출부와 상하 볼트체결식으로 조립체결되는 푼툰장착프레임과, 상기 다수개의 푼툰 상부에 각각 조립체결된 푼툰장착프레임의 상면부를 따라 좌우 나란히 용접부착되면서 다수개의 푼툰장착프레임을 고정 연결하는 한쌍의 베이스빔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베이스빔의 상면부에는 다수개의 데크재가 조립설치되어 수면위로 부유된 이동로나 공간부를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푼툰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은 푼툰이 합성수지재질로 되어 있어서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푼툰 시공이 복잡하고 어려우며, 푼툰관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47350호: 푼툰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고강도 경량소재의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내구성과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측면 테두리의 구조를 개선하여 푼툰의 시공 및 푼툰간의 연결이 용이한 알루미늄 푼툰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푼툰은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상판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수면에 부유시키기 위한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와 결합되는 측면테두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측면테두리부는 다수의 리브들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게 형성된 상부가이드슬롯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게 형성되는 하부가이드슬롯과,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제 1삽입부와, 상기 제 1삽입부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 2삽입부와, 상기 제 1삽입부와 상기 제 2삽입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게 형성되는 측면가이드슬롯과,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된 결합슬롯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측면테두리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 1고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에서 절곡되게 형성되는 수직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트와, 상기 측면가이드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측면테두리부의 바깥에 결합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완충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몸통과, 상기 몸통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측면테두리부 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측면테두리부의 상부모서리와 하부모서리를 감싸는 모서리덮개부와, 상기 몸통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슬롯의 입구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슬롯에 강제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삽입확장부를 구비한다.
상기 상판은 좌우 양측이 상기 측면테두리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단위상판부재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상판부재는 센터패널과, 상기 센터패널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테두리부에 결합되는 제 1사이드패널과, 상기 센터패널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테두리부에 결합되는 제 2사이드패널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어 상기 센터패널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브라켓트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사이드패널과 상기 센터패널을 연결시키는 제 1연결브라켓트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사이드패널과 상기 센터패널을 연결시키는 제 2연결브라켓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 1연결브라켓트는 상기 상판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가 빈 사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 중앙에서 상부로 길게 형성되며 사이가 벌어진 한 쌍의 제 1 및 제 2집게부와, 상기 상판의 상면에 접촉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앙에서 하부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집게부 사이로 삽입되는 수직플레이트와,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집게부 사이에 형성된 고정홀에 결합되는 결합헤드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측면테두리부의 구조와 소재를 개선하여 상판 또는 베이스프레임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며, 조립성이 우수하고 높은 내구성과 내식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호수, 강 또는 해상에 설치되는 푼툰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다수를 상호 연결하여 마리나, 계류시설, 수상부유구조물, 부잔교, 해상낚시터, 작업선, 선착장, 소파제, 부교(도교)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푼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요부를 발췌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푼툰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푼툰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푼툰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완충부의 다른 예들을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푼툰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푼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푼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푼툰은 상판(10)과,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20)과, 상판(10)과 베이스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10)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베이스프레임(20)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20)을 수면에 부유시키기 위한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40)와, 베이스프레임(20)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측면테두리부(50)와, 베이스프레임(20)과 측면테두리부(5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 1고정수단(80)과, 부력체(40)와 측면테두리부(5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 2고정수단(9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푼툰은 상판(10)과 부력체(40)를 제외한 골격부분을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여 내구성과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상판(10)은 본 발명의 푼툰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구조물로서, 다수의 단위상판부재들(11)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각 단위상판부재들(11)은 좌우 양측이 측면테두리부(50)에 결합된다.
각 단위상판부재들(11)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틈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판(10)으로 넘어온 물이 틈 사이로 빠져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위상판부재(11)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논슬립제가 도포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단위상판부재(11)는 합성수지나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10)의 좌우 폭이 넓을 경우 각 단위상판부재(11)는 3개의 부분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령, 단위상판부재(11)는 센터패널(13), 제 1사이드패널(15), 제 2사이드패널(17)로 분할된다. 센터패널(13)을 중심으로 센터패널(13)의 좌측에는 측면테두리부(50)에 결합되는 제 1사이드패널(15)이 위치하고, 센터패널(13)의 우측에는 측면테두리부(50)에 결합되는 제 2사이드패널(17)이 위치한다. 이와 같이 단위상판부재(11)를 3개의 부분으로 분할함으로써 조립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상판(10)의 폭이 좁을 경우 단위상판부재는 상술한 바와 달리 분할된 구조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20)은 상판(10)의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된다. 베이스프레임(20)은 본 발명의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를 이용한다. 베이스프레임(20)은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금속 바를 교차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10)과 베이스프레임(20)의 사이의 빈 공간에는 전기 케이블, 수도관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는 상판(10)과 베이스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10)을 지지한다.
지지부는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어 센터패널(13)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브라켓트(31)와,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1사이드패널(15)과 센터패널(13)을 연결시키는 제 1연결브라켓트(32)와,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2사이드패널(17)과 센터패널(13)을 연결시키는 제 2연결브라켓트(36)를 구비한다.
받침브라켓트(31)는 내부가 빈 사각 바로 이루어진다. 받침브라켓트(31)는 상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길게 설치된다. 받침브라켓트(31)는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된다. 받침브라켓트(31)의 상부는 상판(10)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판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제 1연결브라켓트(32)와 제 2연결브라켓트(36)는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 1연결브라켓트(32)와 제 2연결브라켓트(36)는 상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길게 설치된다. 제 1연결브라켓트(32)는 받침브라켓트(31)의 좌측에 설치되고, 제 2연결브라켓트(36)는 받침브라켓트(31)의 우측에 설치된다.
제 1연결브라켓트(32)는 상판(10)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 1사이드패널(15)과 센터패널(13)을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 제 1연결브라켓트(32)는 내부가 빈 사각의 바디(33)와, 바디(33)의 상부 중앙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연장부(34)와, 연장부(34)의 단부에서 연장부(34)의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35)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연장부(34)의 좌우측에 삽입홈이 마련된다. 가령, 연장부(34)의 좌측에는 제 1사이드패널(15)의 우측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연장부(34)의 우측에는 센터패널(13)의 좌측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된다.
제 2연결브라켓트(36)는 상판(10)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 2사이드패널(17)과 센터패널(13)을 연결시킨다. 제 2연결브라켓트(36)는 제 1연결브라켓트(3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내부가 빈 사각의 바디와, 바디의 상부 중앙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단부에서 연장부의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패널부를 구비한다. 연장부의 좌우측에 삽입홈이 마련된다. 가령, 연장부의 좌측에는 센터패널(13)의 우측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연장부의 우측에는 제 2사이드패널(17)의 좌측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된다.
한편 제 1 및 제 2연결브라켓트의 다른 예를 도 7에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연결브라켓트(200)는 내부가 빈 사각의 바디(201)와, 바디(201)의 상부 중앙에서 상부로 길게 형성되며 사이가 벌어진 한 쌍의 제 1 및 제 2집게부(202)(203)와, 상판의 상면에 접촉하는 수평부(210)와, 수평부(210)의 중앙에서 하부로 길게 형성되어 제 1 및 제 2집게부 사이로 삽입되는 수직플레이트(211)와, 상기 수직플레이트(211)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헤드(215)로 이루어진다.
제 1 및 제 2집게부(202)(203)는 서로 마주하여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한다. 제 1 및 제 2집게부(202)(203)의 상부는 자유단이므로 제 1 및 제 2집게부(202)(203)의 상부측은 외력에 의해 벌어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는 탄성력을 갖는다.
제 1 및 제 2집게부(202)(203)는 굴곡지게 형성되어 원형의 고정홀(205)이 상하로 2개가 형성된다.
결합헤드(215)는 제 1 및 제 2집게부(202)(203) 사이로 삽입되어 2개의 고정홀(205)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결합헤드(215)는 수직플레이트(211)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결합헤드(215)는 고정홀(205)의 형상과 대응되게 단면에 구형으로 형성된다. 결합헤드(215)의 두께는 제 1 및 제 2집게부의 이격거리보다 더 크다. 결합헤드(215)가 외력에 의해 제 1 및 제 2집게부(202)(203) 사이로 강제로 진입되면 제 1 및 제 2집게부 사이가 벌어지면서 고정홀(205)에 결합된다. 상판의 두께에 따라 결합헤드(215)는 2개의 고정홀(205)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판의 두께가 얇으면 하부의 고정홀(205)에 결합헤드(215)가 결합되고, 상판의 두께가 두꺼우면 상부의 고정홀에 결합헤드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판의 두께에 따라 바다와 수평부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2연결브라켓트 역시 도 7에 도시된 제 1연결브라켓트와 구조가 동일함은 물론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부력체(40)는 베이스프레임(20)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20)을 수면에 부유시키기 위한 부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부력체(40)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콘크리트 또는 폴리에틸렌(PE) 소재의 함체와, 함체 내부의 수용공간에 충진된 부력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력부재로 물보다 비중이 작은 스티로폼, 우레탄, 글라스울 중 어느 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10)의 폭이 넓을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40)가 좌우측에 한 줄씩 설치되지만, 상판(10)의 폭이 좁을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40)가 중앙에 한 줄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단위상판부재(11)는 분할된 구조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제 1연결브라켓트와 2연결브라켓트는 생략되고, 받침브라켓트(31)에 의해 상판(10)이 지지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41)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43)는 함체의 내부에 다수의 발포비드를 발포시켜 형성한 충진재(44)가 부력부재로 충진된 구조이다. 충진재(44)는 부력체(43) 내부에 주입된 다수의 발포비드를 발포시켜 형성할 수 있다. 발포비드는 고온의 스팀에 의해 발포되는 발포스틸렌, 발포에틸렌과 같은 발포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력체는 도시된 바와 달리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측면테두리부(50)는 베이스프레임(20)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측면테두리부(50)는 상판(10)의 좌우 양 가장자리와 결합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측면테두리부(50)는 상판(10) 또는 베이스프레임(20)과의 결합력이 높다. 또한, 조립성이 우수하여 푼툰의 시공이 간편하고, 푼툰간의 연결이 용이하며,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완충부(100)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측면테두리부는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를 이용한다.
측면테두리부(50)는 다수의 리브들(51)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된 본체(53)와, 본체(53)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가이드슬롯(52)과, 본체(53)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가이드슬롯(55)과, 본체(53)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 1삽입부(56) 및 제 2삽입부(57)와, 제 1삽입부(56)와 제 2삽입부(57)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본체(53)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측면가이드슬롯(59)과, 본체(53)의 타측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결합슬롯(61)을 구비한다.
본체(53)는 상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본체(53)의 내부는 다수의 리브들(51)이 형성되어 다수의 공간이 형성된다. 본체(53)의 무게는 가벼우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상부가이드슬롯(52)은 본체(53)의 상부에 형성되어 본체(5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된다. 상부가이드슬롯(52)의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가이드슬롯(52)에는 지주나 연결프레임 등의 구조물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하부가이드슬롯(55)은 본체(53)의 하부에 형성되어 본체(5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된다. 하부가이드슬롯(55)은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게 형성된다. 하부가이드슬롯(55)에는 제 2고정수단(90)이 결합된다.
제 1삽입부(56)와 제 2삽입부(57)는 본체(53)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제 1삽입부(56)와 제 2삽입부(57)는 상하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 1삽입부(56)와 제 2삽입부(57)는 본체(5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된다. 제 1삽입부(56)는 단위상판부재(11)의 제 1사이드패널(15)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으로 형성된다. 제 2삽입부(57)는 베이스프레임(2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으로 형성된다.
측면가이드슬롯(59)은 제 1삽입부(56)와 제 2삽입부(57)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본체(53)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측면가이드슬롯(59)은 본체(5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된다. 측면가이드슬롯(59)은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게 형성되어 제 1고정수단(80)이 결합된다.
결합슬롯(61)은 본체(53)의 타측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2개가 나란하게 형성된다. 결합슬롯(61)은 본체(5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된다. 결합슬롯(61)에는 완충부(100)가 결합된다.
제 1고정수단(80)은 베이스프레임(20)과 측면테두리부(50)를 고정시킨다.
제 1고정수단(80)은 고정브라켓트(81)와,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고정브라켓트(81)는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플레이트(83)와, 수평플레이트(83)에서 절곡되게 형성되는 수직플레이트(85)로 이루어진다. 수평플레이트(83)는 베이스프레임(20)과 용접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수직플레이트(85)를 본체(53)의 일측면에 고정시킨다. 고정부재의 예로 측면가이드슬롯(59)에 헤드가 삽입되는 볼트(87)와, 볼트(87)에 체결되는 너트(89)로 이루어진다. 측면가이드슬롯(59)에 헤드가 삽입되는 볼트(87)는 측면가이드슬롯(59)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다. 볼트(87)는 수직플레이트(85)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너트(89)와 체결된다. 볼트(87)로 T볼트가 이용될 수 있다.
제 1고정수단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략될 수 있다.
제 2고정수단(90)은 부력체(40)와 측면테두리부(50)를 고정시킨다. 제 2고정수단(90)의 일 예로 고정패널(91)과, 고정패널(91)의 일측을 본체(53)의 하부에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다. 고정패널(91)은 판상형으로 형성된다. 고정부재의 예로 하부가이드슬롯(55)에 헤드가 삽입되는 볼트(93)와, 볼트(93)에 체결되는 너트(95)로 이루어진다. 하부가이드슬롯(55)에 헤드가 삽입되는 볼트(93)는 하부가이드슬롯(55)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다. 볼트(93)는 고정패널(91)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너트(95)와 체결된다. 볼트(93)로 T볼트가 이용될 수 있다. 고정패널(91)의 타측은 볼트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부력체(40)에 고정된다.
한편, 부력체(40)의 일측은 상술한 제 2고정수단에 의해 측면테두리부(50)에 고정되지만, 부력체(40)의 타측은 베이스프레임(2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부력체(40)에 결합되는 고정패널(111)과, 고정패널(111)을 베이스프레임(2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된다. 결합수단으로 베이스프레임(20)의 하부에 설치된 레일(110)과, 레일(110)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헤드가 삽입되는 볼트(113)와, 볼트(113)에 체결되는 너트(115)로 이루어진다.
도 14에 제 2고정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 2고정수단은 베이스프레임(20)에 결합된 고정패널(500)과, 고정부재(510)로 이루어진다. 고정패널(500)은 베이스프레임(20)의 하부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다. 고정패널(500)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일 방향으로 벌어진 구조를 갖는다. 고정패널(500)의 벌어진 홈으로 부력체(43)의 상부가 삽입된다. 고정패널(500)의 벌어진 홈에 부력체(43)의 상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와 같은 고정부재(510)를 체결하여 고정패널에 부력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측면테두리부(50)의 바깥에 완충부(1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완충부는 고무소재로 형성된다. 이 외에도 목재,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완충부(100)는 내부에 중공부(105)가 형성된 몸통(101)과, 상기 몸통(10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모서리덮개부(110)와, 몸통(101)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부(107)와, 돌기부(107)의 단부에 마련된 삽입확장부(109)를 구비한다.
몸통(101)은 측면테두리부(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완충효과를 높이기 위해 몸통(101) 내부에는 중공부(105)가 형성된다. 몸통(101)의 모양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모서리덮개부(110)는 몸통(10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모서리덮개부(110)는 측면테두리부(50) 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측면테두리부(50)의 상부모서리와 하부모서리를 각각 감싼다. 이러한 모서리덮개부(110)는 측면테두리부(50)의 바깥쪽에 위치한 상부모서리와 하부모서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돌기부(107)는 몸통(101)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기부(107)는 상하로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된다. 각 돌기부(107)의 단부에는 삽입확장부(109)가 형성된다.
삽입확장부(109)는 결합슬롯(61)의 입구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 삽입확장부(109)는 결합슬롯(61)에 강제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결합슬롯(61)의 입구를 통해 강제로 삽입시 삽입확장부(109)는 일그러지면서 모양이 변형되어 결합슬롯(61)의 내부로 진입하고, 결합슬롯(61)의 내부로 진입한 삽입확장부(109)는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되면서 결합슬롯(6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완충부의 모양과 달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400)이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몸통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의 몸통(410)은 나사부재(415)에 의해 측면테두리부(5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는 굴곡지게 형성된 몸통(420)과, 몸통(4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부(425)와, 돌기부(425)의 단부에 마련된 걸림턱(427)을 구비한다. 결합슬롯(61)의 입구를 통해 돌기부(425)가 삽입되면 걸림턱(427)이 결합슬롯(61)의 입구에 걸려 결합된다.
이와 같이 완충부는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 본 발명의 푼툰의 측면테두리부(50)에 연결구조물(300)을 결합시킨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측면테두리부(50)의 결합슬롯(61)에 연결구조물(300)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트(250)가 설치된다. 연결브라켓트(250)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측면테두리부(50)의 상부와 일측면에 접촉된다. 연결브라켓트(250)의 하부측에는 굽어지게 형성된 걸림턱(255)이 마련된다. 걸림턱(255)은 측면테두리부의 하부에 위치한 결합슬롯(6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에 위치한 결합슬롯(61)에는 연결브라켓트(250)에 체결된 볼트(310)의 머리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측면테두리부에 견고히 결합된 연결브라켓트에 연결구조물이 연결된다. 연결구조물에 의해 푼툰끼리 상호 연결이 가능하고, 다른 시설물과의 연결이 가능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14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상판 11: 단위상판부재
20: 베이스프레임 31: 받침브라켓트
32: 제 1연결브라켓트 36: 제 2연결브라켓트
50: 측면테두리부 80: 제 1고정수단
90: 제 2고정수단 100: 완충부

Claims (6)

  1.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상판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수면에 부유시키기 위한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와 결합되는 측면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판은 좌우 양측이 상기 측면테두리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단위상판부재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상판부재는 센터패널과, 상기 센터패널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테두리부에 결합되는 제 1사이드패널과, 상기 센터패널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테두리부에 결합되는 제 2사이드패널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어 상기 센터패널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브라켓트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사이드패널과 상기 센터패널을 연결시키는 제 1연결브라켓트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사이드패널과 상기 센터패널을 연결시키는 제 2연결브라켓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연결브라켓트는 상기 상판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가 빈 사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 중앙에서 상부로 길게 형성되며 사이가 벌어진 한 쌍의 제 1 및 제 2집게부와, 상기 상판의 상면에 접촉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앙에서 하부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집게부 사이로 삽입되는 수직플레이트와,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집게부 사이에 형성된 고정홀에 결합되는 결합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푼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테두리부는 다수의 리브들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게 형성된 상부가이드슬롯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게 형성되는 하부가이드슬롯과,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제 1삽입부와, 상기 제 1삽입부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 2삽입부와, 상기 제 1삽입부와 상기 제 2삽입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게 형성되는 측면가이드슬롯과,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된 결합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푼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측면테두리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 1고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에서 절곡되게 형성되는 수직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트와, 상기 측면가이드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푼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테두리부의 바깥에 결합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완충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몸통과, 상기 몸통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측면테두리부 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측면테두리부의 상부모서리와 하부모서리를 감싸는 모서리덮개부와, 상기 몸통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슬롯의 입구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슬롯에 강제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삽입확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푼툰.
  5. 삭제
  6. 삭제
KR1020160029597A 2016-03-11 2016-03-11 푼툰 KR101646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597A KR101646594B1 (ko) 2016-03-11 2016-03-11 푼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597A KR101646594B1 (ko) 2016-03-11 2016-03-11 푼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594B1 true KR101646594B1 (ko) 2016-08-09
KR101646594B9 KR101646594B9 (ko) 2021-07-29

Family

ID=5671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597A KR101646594B1 (ko) 2016-03-11 2016-03-11 푼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5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108A (ko) 2016-09-06 2018-03-14 부경정공마린주식회사 알루미늄 부표 및 알루미늄 해상 구조물
KR20200081739A (ko) * 2018-12-28 2020-07-08 김명희 부력조립체
KR102271890B1 (ko) * 2020-12-03 2021-07-01 (주)씨웨이테크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KR20230153817A (ko) * 2022-04-29 2023-11-07 넥스트 주식회사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512A (ja) * 1993-07-08 1995-01-27 Sumitomo Rubber Ind Ltd 浮桟橋
KR200447350Y1 (ko) 2009-06-30 2010-01-20 최연호 푼툰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101097422B1 (ko) * 2011-09-07 2011-12-23 (주)씨케이마린 부잔교
KR20140001870U (ko) * 2012-09-24 2014-04-02 주식회사 더위네이브 부잔교 프레임 구조
KR101411348B1 (ko) * 2013-08-02 2014-06-25 주식회사 씨포트 콘크리트 부잔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512A (ja) * 1993-07-08 1995-01-27 Sumitomo Rubber Ind Ltd 浮桟橋
KR200447350Y1 (ko) 2009-06-30 2010-01-20 최연호 푼툰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101097422B1 (ko) * 2011-09-07 2011-12-23 (주)씨케이마린 부잔교
KR20140001870U (ko) * 2012-09-24 2014-04-02 주식회사 더위네이브 부잔교 프레임 구조
KR101411348B1 (ko) * 2013-08-02 2014-06-25 주식회사 씨포트 콘크리트 부잔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108A (ko) 2016-09-06 2018-03-14 부경정공마린주식회사 알루미늄 부표 및 알루미늄 해상 구조물
KR20200081739A (ko) * 2018-12-28 2020-07-08 김명희 부력조립체
KR102168603B1 (ko) * 2018-12-28 2020-10-21 김명희 부력조립체
KR102271890B1 (ko) * 2020-12-03 2021-07-01 (주)씨웨이테크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KR20230153817A (ko) * 2022-04-29 2023-11-07 넥스트 주식회사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
KR102634010B1 (ko) * 2022-04-29 2024-02-07 넥스트 주식회사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594B9 (ko)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594B1 (ko) 푼툰
KR101536278B1 (ko)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1806193B1 (ko) 롤링을 저감하며 복원성을 높인 해상부유구조물
US3306053A (en) Marine facilities
US7640881B1 (en) Dock system
KR200447350Y1 (ko) 푼툰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101349966B1 (ko) 조립식 폰툰
US3953977A (en) Device for damping waves
KR101122060B1 (ko) 중심홀이 천공된 푼툰을 이용한 부유해상구조물
KR101273537B1 (ko) 부력보강부재가 구비된 푼툰을 이용한 부유해상구조물
KR20180027108A (ko) 알루미늄 부표 및 알루미늄 해상 구조물
KR101005500B1 (ko)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101353950B1 (ko) 롤링을 방지하는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
KR20100056229A (ko) 수상구조물용 부유조립체
KR20150043668A (ko) 푼툰을 이용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298679B1 (ko) 부력파이프 교차식 고강도 부잔교
KR20090045464A (ko) 바지선의 확장 구조 및 그 방법
KR102005924B1 (ko) 내파성 구조방식을 이용한 해상 태양광 발전용 구조체
US4085696A (en) Utility chase for floating units
KR102110426B1 (ko)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102220920B1 (ko) 롤링저감 및 안정성이 구비된 해상부유구조물
JPS59500177A (ja) 浮き歩道の改良
KR102253127B1 (ko) 다기능 부유체
JP6704963B2 (ja) 浮遊式防波堤
KR100542332B1 (ko) 동요저감형 부방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285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904

Effective date: 2021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