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890B1 -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890B1
KR102271890B1 KR1020200167557A KR20200167557A KR102271890B1 KR 102271890 B1 KR102271890 B1 KR 102271890B1 KR 1020200167557 A KR1020200167557 A KR 1020200167557A KR 20200167557 A KR20200167557 A KR 20200167557A KR 102271890 B1 KR102271890 B1 KR 102271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bracket
extrusion member
support plat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내윤
신용섭
최준영
Original Assignee
(주)씨웨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웨이테크 filed Critical (주)씨웨이테크
Priority to KR1020200167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다양한 구조물들을 원하는 위치에 연결하여 부유 구조물의 확장 및 부유 구조물의 기능 요소를 추가할 수 있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부유 구조물에 설치되어 타 구조물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프로파일 튜브를 포함하고, 프로파일 튜브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포함하는 관형의 코어부와, 제1 방향 및 제1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제2 방향을 따라 코어부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브라켓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Connection device for floating structures}
본 발명은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 구조물에 설치되어 타 구조물과 결합 가능한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잔교(浮棧橋: floating pier) 등과 같이 바다, 강, 호수의 해안 인근에 일정한 이동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수면에 설치되는 부유 구조물은, 수면위에 부유되는 상자형의 부력체, 부력체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동로를 형성하는 데크(deck)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부유 구조물은 필요에 따라 그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결합 가능한 단위 구조체로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단위 구조체로 이루어진 부유 구조물을 타 부유 구조물에 연결하기 위하여, 부유 구조물에 마련된 프레임과, 타 부유 구조물에 마련된 프레임에 각각 연결용 브라켓을 용접하여 부착시키고, 이들 사이에 힌지 역할을 수행하는 축을 결합하여 복수의 부유 구조물을 서로 연결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은 작업 과정이 복잡하여 작업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부유 구조물의 구조 변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부유 구조물에는 범퍼, 클리트, 페데스탈, 가드레일, 조명 설비 등과 같은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부유 구조물의 데크에 시설물의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하거나, 앵글 구조물 등을 별도 제작하였다.
이에, 종래의 부유 구조물은 콘크리트 구조물 및 앵글 구조물의 무게로 인해 부력이 감소되고, 데크 위에 설치된 시설물들로 인하여 이동로로 활용되는 공간이 줄어들어 이동로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접 또는 볼트체결 등을 통하여 시설물을 직접 부유 구조물의 프레임에 부착시키는 방법이 활용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부유 구조물의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충격을 가하여 부유 구조물에 손상을 주고, 이에 부유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유 구조물의 프레임에 용접된 시설물은 교체가 불가능하고, 부유 구조물의 프레임에 볼트로 고정된 시설물은 교체를 위해 볼트를 분리할 경우, 새로운 위치에 다시 볼트를 체결해야 함에 따라 부유 구조물의 프레임에 추가로 손상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 부유 구조물을 부유 구조물에 신속히 연결 가능하여 부유 구조물의 확장 및 구조 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유 구조물에 손상을 가하거나, 부유 구조물의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고, 다양한 시설물들을 원하는 위치에 탈착할 수 있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부유 구조물에 설치되어 타 구조물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프로파일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 튜브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포함하는 관형의 코어부; 및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코어부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브라켓부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단턱부를 포함하는 관형의 코어바디; 및 상기 코어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바디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코어바디의 내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형성하는 구획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바디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판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판에 비하여 더 짧은 길이로 마련되는 제2 지지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판의 일단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일단을 연결하고, 제1 단턱부를 포함하는 제3 지지판;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판의 타단과 상기 제2 지지판의 타단을 연결하고, 제2 단턱부를 포함하는 제4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제3 지지판과 상기 제4 지지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 측에 제1 챔버를 형성하고, 타 측에 제2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는 동일한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레일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브라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브라켓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판의 일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1 레일홈을 형성하는 제1 메인 브라켓;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판의 타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2 레일홈을 형성하는 제2 메인 브라켓; 및 상기 제1 메인 브라켓과 상기 제2 메인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메인 브라켓과 상기 제2 메인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1 메인 브라켓과 상기 제2 메인 브라켓 사이에 보조 챔버를 형성하는 보강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브라켓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판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메인 압출부재;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메인 압출부재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보강 브라켓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 메인 압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인 브라켓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판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3 메인 압출부재;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메인 압출부재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보강 브라켓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4 메인 압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압출부재, 상기 제2 메인 압출부재, 상기 제3 메인 압출부재 및 상기 제4 메인 압출부재는, 상기 제1 지지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판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압출부재, 상기 제2 메인 압출부재, 상기 제3 메인 압출부재 및 상기 제4 메인 압출부재는, 상기 평행부로부터 상기 제1 지지판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수직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체결용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제2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레일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브라켓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브라켓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코어부의 일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3 레일홈을 형성하는 제1 서브 브라켓;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코어부의 타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4 레일홈을 형성하는 제2 서브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브라켓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메인 압출부재에 배치되는 제1 서브 압출부재;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서브 압출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3 지지판에 배치되는 제2 서브 압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브라켓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메인 압출부재에 배치되는 제3 서브 압출부재;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서브 압출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4 지지판에 배치되는 제4 서브 압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압출부재, 상기 제2 서브 압출부재, 상기 제3 서브 압출부재 및 상기 제4 서브 압출부재는, 상기 제3 지지판 및 상기 제4 지지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부; 및 상기 제3 지지판 및 상기 제4 지지판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압출부재, 상기 제2 서브 압출부재, 상기 제3 서브 압출부재 및 상기 제4 서브 압출부재는, 상기 평행부로부터 상기 코어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수직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체결용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압출부재의 평행부는, 상기 제2 서브 압출부재의 수직부로부터 상기 제1 서브 압출부재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평행부재; 및 상기 제2 서브 압출부재의 수직부로부터 제1 평행부재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평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서브 압출부재의 평행부는, 상기 제4 서브 압출부재의 수직부로부터 상기 제3 서브 압출부재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3 평행부재; 및 상기 제4 서브 압출부재의 수직부로부터 제3 평행부재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평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평행부재와 상기 제3 지지판 사이 및 상기 제4 평행부재와 상기 제4 지지판 사이에는, 각각 상기 제1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보조 레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행부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로파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모듈은, 상기 브라켓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확장 레일홈이 형성되는 레일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브라켓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브라켓부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에 수용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에 수용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는 유동 가능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는 유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브라켓부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부에 결합된 체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부의 외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 구조물의 단부에 배치된 프로파일 튜브를 이용하여 부유 구조물과 타 부유 구조물을 신속히 연결 가능하므로, 부유 구조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부유 구조물의 확장 및 구조 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의 설치를 위하여 부유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손상을 가하거나, 데크에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앵글 구조물을 배치하지 않고, 시설물들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 가능하므로, 부유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 및 부력의 감소를 방지하고, 이동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튜브에 탈착 가능한 프로파일 모듈을 더 구비하여, 타 부유 구조물과의 연결 시 연결 구조를 보강하여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할 수 있고, 프로파일 튜브의 정비 시 임시로 타 부유 구조물을 계류시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가 타 구조물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가 타 구조물에 결합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프로파일 튜브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코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메인 브라켓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제1 서브 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제2 서브 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a는 도 7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b는 도 8의 "C"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프로파일 모듈이 프로파일 튜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가 타 구조물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가 타 구조물에 결합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100)(이하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100)'라 함)는 프로파일 튜브(110)를 포함한다.
프로파일 튜브(110)는 부유 구조물(200)에 설치되어 타 구조물(300), 즉, 타 부유 구조물(300)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타 부유 구조물(300)은 체결부재(FM)를 통해 프로파일 튜브(110)의 외면에 결합되는 연결 커버(310), 상부에 데크(deck, 320)가 배치되고 하부에 부유체(미도시)가 결합되어 수면위로 부유되는 지지 프레임(330), 지지 프레임(330)의 하측에 배치되어 지지 프레임(330)을 지지하는 보강 프레임(340), 연결 커버(310)와 보강 프레임(340)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힌지 연결용 브라켓(350), 그리고 일 측은 연결 커버(310)에 결합된 힌지 연결용 브라켓(3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은 보강 프레임(340)에 결합된 힌지 연결용 브라켓(3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부유 구조물(200)과 타 부유 구조물(300)을 연결하는 힌지(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파일 튜브(110)에는 반드시 상술한 타 부유 구조물(300)만 결합 가능한 것은 아니며, 타 부유 구조물(300) 또는 선박 등과의 충돌 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범퍼(bumper), 선박의 계류를 위한 클리트(cleat) 등의 계류설비, 선박에 물 및 전기 등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페데스탈(pedestal) 설비, 안정용 가드레일, 조명 설비 등 다양한 구조물들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파일 튜브(110)는 가볍고, 내부식성을 가지며, 외부 충격에 강한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 튜브(110)는 알루미늄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소재 등과 같은 금속성 소재 또는 PVC 파이프 등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파일 튜브(11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프로파일 튜브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코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파일 튜브(110)는 관형의 코어부(111)와 브라켓부(112)를 포함한다.
코어부(111)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챔버(C)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코어부(111)는 코어바디(111A)와, 구획판(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바디(111A)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단턱부(S)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판(111B)은 코어바디(111A)의 내부에 배치되고, 코어바디(111A)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코어바디(111A)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챔버(C)를 형성할 수 있다.
코어바디(111A)는 제1 지지판(1111), 제2 지지판(1112), 제3 지지판(1113) 및 제4 지지판(1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판(111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2 지지판(1112)에 대향 배치되고, 제2 지지판(1112)에 비하여 더 긴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판(1112)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지지판(1111)에 대향 배치되고, 제1 방향(D1)에 대하여 교차되는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지지판(1111)에 비하여 더 짧은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지지판(1113)은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지지판(1111)의 일단과 제2 지지판(1112)의 일단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지지판(1113)은 제1 단턱부(S)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지지판(1114)은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지지판(1111)의 타단과 제2 지지판(1112)의 타단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지지판(1114)은 제2 단턱부(S)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판(111B)은 제3 지지판(1113)과 제4 지지판(1114)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지지판(1111)과 제2 지지판(1112)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구획판(111B)은 제2 방향(D2)을 따라 일 측에 제1 챔버(C1)를 형성하고, 타 측에 제2 챔버(C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는 동일한 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메인 브라켓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브라켓부(112)는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을 따라, 코어부(111)의 외면에 코어부(111)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RG)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브라켓부(112)는 메인 브라켓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브라켓부(113)는 코어부(111)의 외면에 제1 방향(D1)을 향하여 개구된 레일홈(RG)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브라켓부(113)는 제1 메인 브라켓(1131), 제2 메인 브라켓(1132) 및 보강 브라켓(1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브라켓(1131)은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지지판(1111)의 일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1 레일홈(RG1)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메인 브라켓(1131)은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지지판(1111)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메인 압출부재(MB1)와,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메인 압출부재(MB1)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보강 브라켓(1133)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 메인 압출부재(M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 브라켓(1132)은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지지판(1111)의 타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2 레일홈(RG2)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메인 브라켓(1132)은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지지판(1111)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3 메인 압출부재(MB3)와, 제2 방향(D2)을 따라 제3 메인 압출부재(MB3)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보강 브라켓(1133)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4 메인 압출부재(MB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인 압출부재(MB1), 제2 메인 압출부재(MB2), 제3 메인 압출부재(MB3) 및 제4 메인 압출부재(MB4)는 각각, 제1 지지판(111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지지판(1111)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부(VM)와, 수직부(VM)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지지판(111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PM)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인 압출부재(MB1), 제2 메인 압출부재(MB2), 제3 메인 압출부재(MB3) 및 제4 메인 압출부재(MB4)는 각각, 평행부(PM)로부터 제1 지지판(1111)을 향하여 연장되고, 수직부(VM)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체결용 지지부(F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체결용 지지부(FS)는 브라켓부(112)에 결합된 체결부재(FM)를 지지하여 와셔(wash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보강 브라켓(1133)은 제1 메인 브라켓(1131)과 제2 메인 브라켓(113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메인 브라켓(1131)과 제2 메인 브라켓(1132)을 서로 연결하고, 제1 메인 브라켓(1131)과 제2 메인 브라켓(1132) 사이에 보조 챔버(SC)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제1 서브 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제2 서브 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9 a는 도 7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9 b는 도 8의 "C"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부(112)는 서브 브라켓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브라켓부(114)는 코어부(111)의 외면에 제2 방향(D2)을 향하여 개구된 레일홈(RG)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브 브라켓부(114)는 제1 서브 브라켓(1141) 및 제2 서브 브라켓(11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서브 브라켓(1141)은 제2 방향(D2)을 따라 코어부(111)의 일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3 레일홈(RG3)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 브라켓(114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메인 압출부재(MB1)에 배치되는 제1 서브 압출부재(SB1)와,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서브 압출부재(SB1)로부터 이격되어 제3 지지판(1113)에 배치되는 제2 서브 압출부재(SB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서브 브라켓(1142)은 제2 방향(D2)을 따라 코어부(111)의 타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4 레일홈(RG4)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서브 브라켓(1142)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3 메인 압출부재(MB3)에 배치되는 제3 서브 압출부재(SB3)와, 제1 방향(D1)을 따라 제3 서브 압출부재(SB3)로부터 이격되어 제4 지지판(1114)에 배치되는 제4 서브 압출부재(SB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서브 압출부재(SB1), 제2 서브 압출부재(SB2), 제3 서브 압출부재(SB3) 및 제4 서브 압출부재(SB4)는 각각, 제3 지지판(1113) 및 제4 지지판(1114)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부(VM)와, 제3 지지판(1113) 및 제4 지지판(1114)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PM)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 및 도 9 a를 참조하면, 제2 서브 압출부재(SB2)의 평행부(PM)는 제2 서브 압출부재(SB2)의 수직부(VM)로부터 제1 서브 압출부재(SB1)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평행부재(PM1)와, 제2 서브 압출부재(SB2)의 수직부(VM)로부터 제1 평행부재(PM1)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평행부재(PM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 및 도 9 b를 참조하면, 제4 서브 압출부재(SB4)의 평행부(PM)는 제4 서브 압출부재(SB4)의 수직부(VM)로부터 제3 서브 압출부재(SB3)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3 평행부재(PM3)와, 제4 서브 압출부재(SB4)의 수직부(VM)로부터 제3 평행부재(PM3)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평행부재(PM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D2)을 따라, 제2 평행부재(PM2)와 제3 지지판(1113) 사이 및 제4 평행부재(PM4)와 제4 지지판(1114) 사이에는, 각각 제1 방향(D1)을 향하여 개구된 보조 레일홈(SR)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서브 압출부재(SB1), 제2 서브 압출부재(SB2), 제3 서브 압출부재(SB3) 및 제4 서브 압출부재(SB4)는 각각, 평행부(PM)로부터 코어부(111)를 향하여 연장되고, 수직부(VM)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체결용 지지부(F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압출부재(SB1), 제2 서브 압출부재(SB2), 제3 서브 압출부재(SB3) 및 제4 서브 압출부재(SB4)의 각 평행부(PM)에는, 습기 배출 및 부식 방지를 위하여 제1 방향(D1)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groove, G)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프로파일 모듈이 프로파일 튜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100)는 프로파일 모듈(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 모듈(120)은 프로파일 튜브(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구조물(미도시)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파일 모듈(120)은 체결부(121) 및 레일바디(12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21)는 브라켓부(11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121)는 브라켓부(112)의 길이방향으로 브라켓부(112)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RG)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RG)에 수용된 체결부(121)는,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의 유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121)는 반드시 브라켓부(112)에 결합 시 레일홈(RG)에 수용되어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의 유동이 제한되는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RG)에 수용된 체결부(121)는, 제1 방향(D1)으로는 유동 가능하고, 제2 방향(D2)으로는 유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일홈(RG)은 제1 방향(D1)의 길이가 제2 방향(D2)의 길이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는 비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21)는 브라켓부(112)에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체결부(121)는 브라켓부(112)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브라켓부(112)에 결합된 체결부재(FM)에 결합되어, 브라켓부(112)의 외면에 지지되면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의 유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레일바디(122)는 체결부(121)로부터 연장되고, 레일바디(122)의 내부에는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개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레일홈(ER)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바디(122)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직부, 수평부 및 체결용 지지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압출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 구조물(200)의 단부에 배치된 프로파일 튜브(100)를 이용하여 부유 구조물(200)과 타 부유 구조물(300)을 신속히 연결 가능하므로, 부유 구조물(200)을 손상시키지 않고, 부유 구조물(200)의 확장 및 구조 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의 설치를 위하여 부유 구조물(200)에 직접적으로 손상을 가하거나, 데크(320)에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앵글 구조물을 배치하지 않고, 시설물들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 가능하므로, 부유 구조물(200)의 내구성 저하 및 부력의 감소를 방지하고, 이동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튜브(110)에 탈착 가능한 프로파일 모듈(120)을 더 구비하여, 타 부유 구조물(300)과의 연결 시 연결 구조를 보강하여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할 수 있고, 프로파일 튜브(110)의 정비 시 임시로 타 부유 구조물(300)을 계류시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110. 프로파일 튜브
111. 코어부
111A. 코어바디 111B. 구획판
1111. 제1 지지판 1112. 제2 지지판
1113. 제3 지지판 1114. 제4 지지판
112. 브라켓부
113. 메인 브라켓부
1131. 제1 메인 브라켓 1132. 제2 메인 브라켓
1133. 보강 브라켓
114. 서브 브라켓부
1141. 제1 서브 브라켓 1142. 제2 서브 브라켓
120. 프로파일 모듈
121. 체결부 122. 레일바디
C. 챔버
C1. 제1 챔버 C2. 제2 챔버
SC. 보조 챔버 S. 단턱부
RG. 레일홈
RG1. 제1 레일홈 RG2. 제2 레일홈
RG3. 제3 레일홈 RG4. 제4 레일홈
SR. 보조 레일홈 ER. 확장 레일홈
MB1. 제1 메인 압출부재 MB2. 제2 메인 압출부재
MB3. 제3 메인 압출부재 MB4. 제4 메인 압출부재
SB1. 제1 서브 압출부재 SB2. 제2 서브 압출부재
SB3. 제3 서브 압출부재 SB4. 제4 서브 압출부재
VM. 수직부 PM. 평행부
G. 그루브
PM1. 제1 평행부재 PM2. 제2 평행부재
PM3. 제3 평행부재 PM4. 제4 평행부재
FS. 체결용 지지부 FM. 체결부재
200. 부유 구조물
300. 타 구조물
310. 연결 커버 320. 데크
330. 지지 프레임 340. 보강 프레임
350. 힌지 연결용 브라켓 360. 힌지

Claims (24)

  1. 부유 구조물에 설치되어 타 구조물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프로파일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 튜브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포함하는 관형의 코어부; 및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코어부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브라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 구조물은 상기 부유 구조물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타 구조물은, 상기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연결용 브라켓과, 상기 힌지 연결용 브라켓에 결합되는 연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 및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연결 커버의 내측에 수용 및 체결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단턱부를 포함하는 관형의 코어바디; 및
    상기 코어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바디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코어바디의 내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형성하는 구획판을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바디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판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판에 비하여 더 짧은 길이로 마련되는 제2 지지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판의 일단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일단을 연결하고, 제1 단턱부를 포함하는 제3 지지판;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판의 타단과 상기 제2 지지판의 타단을 연결하고, 제2 단턱부를 포함하는 제4 지지판을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제3 지지판과 상기 제4 지지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 측에 제1 챔버를 형성하고, 타 측에 제2 챔버를 형성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는 동일한 체적을 가지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레일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브라켓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판의 일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1 레일홈을 형성하는 제1 메인 브라켓;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판의 타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2 레일홈을 형성하는 제2 메인 브라켓; 및
    상기 제1 메인 브라켓과 상기 제2 메인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메인 브라켓과 상기 제2 메인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1 메인 브라켓과 상기 제2 메인 브라켓 사이에 보조 챔버를 형성하는 보강 브라켓을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브라켓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판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메인 압출부재;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메인 압출부재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보강 브라켓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 메인 압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인 브라켓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판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3 메인 압출부재;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메인 압출부재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보강 브라켓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4 메인 압출부재를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압출부재, 상기 제2 메인 압출부재, 상기 제3 메인 압출부재 및 상기 제4 메인 압출부재는,
    상기 제1 지지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판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를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압출부재, 상기 제2 메인 압출부재, 상기 제3 메인 압출부재 및 상기 제4 메인 압출부재는,
    상기 평행부로부터 상기 제1 지지판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수직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체결용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제2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레일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브라켓부를 더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브라켓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코어부의 일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3 레일홈을 형성하는 제1 서브 브라켓;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코어부의 타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4 레일홈을 형성하는 제2 서브 브라켓을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브라켓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메인 압출부재에 배치되는 제1 서브 압출부재;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서브 압출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3 지지판에 배치되는 제2 서브 압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브라켓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메인 압출부재에 배치되는 제3 서브 압출부재;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서브 압출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4 지지판에 배치되는 제4 서브 압출부재를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압출부재, 상기 제2 서브 압출부재, 상기 제3 서브 압출부재 및 상기 제4 서브 압출부재는,
    상기 제3 지지판 및 상기 제4 지지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부; 및
    상기 제3 지지판 및 상기 제4 지지판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를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압출부재, 상기 제2 서브 압출부재, 상기 제3 서브 압출부재 및 상기 제4 서브 압출부재는,
    상기 평행부로부터 상기 코어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수직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체결용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압출부재의 평행부는,
    상기 제2 서브 압출부재의 수직부로부터 상기 제1 서브 압출부재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평행부재; 및
    상기 제2 서브 압출부재의 수직부로부터 제1 평행부재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평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서브 압출부재의 평행부는,
    상기 제4 서브 압출부재의 수직부로부터 상기 제3 서브 압출부재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3 평행부재; 및
    상기 제4 서브 압출부재의 수직부로부터 제3 평행부재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평행부재를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평행부재와 상기 제3 지지판 사이 및 상기 제4 평행부재와 상기 제4 지지판 사이에는, 각각 상기 제1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보조 레일홈이 형성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부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형성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로파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모듈은,
    상기 브라켓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확장 레일홈이 형성되는 레일바디를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브라켓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브라켓부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에 수용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에 수용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는 유동 가능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는 유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브라켓부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부에 결합된 체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부의 외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KR1020200167557A 2020-12-03 2020-12-03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KR102271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557A KR102271890B1 (ko) 2020-12-03 2020-12-03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557A KR102271890B1 (ko) 2020-12-03 2020-12-03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890B1 true KR102271890B1 (ko) 2021-07-01

Family

ID=76860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557A KR102271890B1 (ko) 2020-12-03 2020-12-03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8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422B1 (ko) * 2011-09-07 2011-12-23 (주)씨케이마린 부잔교
KR101646594B1 (ko) * 2016-03-11 2016-08-09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푼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422B1 (ko) * 2011-09-07 2011-12-23 (주)씨케이마린 부잔교
KR101646594B1 (ko) * 2016-03-11 2016-08-09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푼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025B1 (ko) 외력에 대한 휨강도가 강화된 폰툰 구조물
US4959933A (en) Cabin unit arrangement
US7806630B2 (en) Docking system with joint supports
US5845594A (en) Dock structure
CA2544521A1 (en) High-strength concrete wall formwork
KR20090098652A (ko)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KR102271890B1 (ko) 부유 구조물용 연결장치
KR20130136944A (ko) 배수로 및 안전망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갖는 헬리데크
KR100947584B1 (ko) 바지선의 확장 구조 및 그 방법
JP2007217952A (ja) 杭式桟橋及びその補強工法
KR101646594B1 (ko) 푼툰
KR20180072673A (ko) 해상 부체 구조물
EP1487695B1 (en) System and method in water-craft or other structure
US4085696A (en) Utility chase for floating units
KR101489282B1 (ko) 부유식 도크 및 이를 이용한 케이슨 제작방법
GB2522543A (en) Protective structure for protecting at least one gas tank arranged on a frame of a commercial vehicle
KR101467492B1 (ko) 세로보를 지지하는 가로보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를 억제하는 복합 구조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구조
CN211001762U (zh) 一种rov的管道定位仪安装支架及rov
KR100768725B1 (ko) 원형관을 이용한 가설 교량의 거더
JP2015151806A (ja) 防水板
KR101757276B1 (ko) 유조선의 화물창 구조
KR101886338B1 (ko) 부잔교
CN208306922U (zh) 船用a型架支撑结构
JP2013028901A (ja) 膜式水門構造物及び膜式水門
EA015524B1 (ru) Мост закрытого тип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