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673A - 해상 부체 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상 부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673A
KR20180072673A KR1020187008207A KR20187008207A KR20180072673A KR 20180072673 A KR20180072673 A KR 20180072673A KR 1020187008207 A KR1020187008207 A KR 1020187008207A KR 20187008207 A KR20187008207 A KR 20187008207A KR 20180072673 A KR20180072673 A KR 20180072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ol
upper deck
strength member
transverse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타케무라
코지 모치즈키
마사시 테라다
타쿠 마츠모토
켄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쯔이 이앤에스 호루딩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쯔이 이앤에스 호루딩구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쯔이 이앤에스 호루딩구스
Publication of KR20180072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15/02Staying of masts or of other 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32Web frames; Web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3/52Pillars; Deck gi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70Reinforcements for carrying localised loads, e.g. propulsion plant,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Abstract

해상 부체 구조물에 있어서, 부체의 상갑판(12)에 생산 설비를 탑재할 수 있다. 상갑판(12)의 하면에, 부체(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강도부재(40)를 마련한다. 상갑판(12)의 하면에, 부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강도부재(41)를 마련한다. 상갑판(12)의 상면으로서, 횡방향 강도부재(40)와 종방향 강도부재(41)가 교차하는 복수의 점 중 적어도 일부는, 생산 설비(20)를 지지하기 위한 스툴(30)을 설치가능한 스툴 설치부(43)이다.

Description

해상 부체 구조물
본 발명은 FPSO(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의 선체 부분인 해상 부체(浮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FPSO는 해상에서 해저로부터 라이저관(riser pipe)을 통해 석유·가스를 생산하고, 생산된 원유를 탱크에 저장하여 탱커로 하역할 수 있는 설비로, 탱커와 달리, 원유를 저장하는 탱크가 마련될 뿐만 아니라, 상갑판 위에는 생산 설비가 탑재된다. 이 생산 설비는 가스 분리 설비, 탈수 설비, 계량 설비, 발전 설비 등의 여러가지 기기를 구비하며, 유정의 특성에 맞게 설계되어, 선체가 제조된 후에 탑재되므로, 선체의 설계시에는 세부 사항이 결정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프로젝트마다의 생산 설비 요건이 확정되는 것을 기다렸다가 선체 설계를 하면, 결과적으로 선체의 제조가 생산 설비의 탑재 시간에 맞출 수 없어, FPSO의 전체 건조 기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생산 설비는 가대(架臺)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갑판 상의 스툴 위에 설치되는데, 스툴의 구성과 설치 위치는 생산 설비의 종류, 배치, 크기뿐만 아니라, 파랑(波浪) 하중 등으로 인한 부체 구조물의 변형이 가대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만 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설계가 완료될 때까지 시간이 걸려 FPSO의 건조 기간이 길어졌었다. 또한, 생산 설비의 종류나 배치, 그리고 스툴의 종류에 따라 부체 구조물에 전달되는 하중이 달라, 상갑판을 보강해야만 하는 일이 있는데, 스툴들을 상갑판 상에서 거더(girder)로 연결할 일이 필요하게 될 경우, 이와 같은 거더는 상갑판 상의 배관 등에 간섭하지 않도록 고려해야만 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생산 설비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생산 설비의 종류 등에 따라 새롭게 보강할 필요가 없어, FPSO의 건조(建造)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해상 부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탱크가 형성된 부체의 상갑판에 생산 설비를 탑재할 수 있는 해상 부체 구조물로서, 상갑판의 하면에 마련되어, 부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강도부재와, 상갑판의 하면에 마련되어, 부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강도부재를 구비하며, 상갑판의 상면으로서, 횡방향 강도부재와 종방향 강도부재가 교차하는 복수의 점 중 적어도 일부는, 생산 설비를 지지하기 위한 스툴을 설치 가능한 스툴 설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 개의 생산 설비를 지지하기 위한 스툴 설치부는 바둑판의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개의 스툴 설치부에서, 종방향 강도부재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횡방향 강도부재는, 예를 들어 가로보 또는 횡격벽을 포함한다. 종방향 강도부재는 예를 들어 세로보 또는 종통격벽(縱通隔璧)을 포함한다. 해상 부체 구조물은 스툴 설치부에 마련되어, 이웃하는 2개의 스툴끼리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스툴 설치부에 스툴대가 마련되어, 스툴은 스툴대의 윗면에 장착가능하다.
가로보 또는 횡격벽은 스툴 설치부를 포함하는 스툴 지지 구조체와, 본체 구조체로 분할되어 제조될 수도 있다. 부체의 횡단면에서, 스툴 지지 구조체의 양단부가 본체 구조체에 연결되어, 양단부가 아래쪽을 향해 오므라들듯이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툴 지지 구조체는 본체 구조체에 인접하는 제 1 지지 구조체와, 본체 구조체로부터 이격된 제 2 지지 구조체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스툴 지지 구조체는 예를 들면 본체 구조체에 대해 위쪽에서부터 조립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종류의 생산 설비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생산 설비의 종류 등에 따라 새롭게 보강할 필요가 없어, FPSO의 건조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해상 부체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적용한 FPSO의 상갑판 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구성 중 가대(架臺)와 스툴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상갑판의 하면에 마련되는 횡방향 강도부재 및 종방향 강도부재와, 스툴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종방향 강도부재(세로보)의 제 1 배치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방향 강도부재(세로보)의 제 2 배치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종방향 강도부재(세로보)의 제 3 배치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제 2 실시예에서, 보강부재가 부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 2 실시예에서, 보강부재가 부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 2 실시예에서의 스툴과 보강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스툴과 보강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제 3 실시예에서의 스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적용한 FPSO의 상갑판 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부체(10)에는 탱크(11)가 형성되고, 상갑판(12) 위에는 복수의 생산 설비(20)가 마련된다. 생산 설비(20)는 예를 들면 가스 분리 설비, 탈수 설비, 계량 설비, 발전 설비 등이며, 가대(21) 위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갑판(12) 위에 마련된 스툴(30) 상에 설치된다. 스툴(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둑판의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구성 중 가대(21)와 스툴(30)을 확대하여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스툴(30)은 상방일수록 폭이 좁아지는 산 모양의 본체(31)를 가지며, 본체(31)의 상면에는 가대(2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다리부(22)가 올려 놓여진다. 가대(21)의 다리부(22)는 본체(31)의 상면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부체(10)의 길이 방향(도 1에서 종이면에 수직인 방향) 및/또는 폭 방향(도 1에서 좌우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는 파랑(波浪) 하중 등으로 인한 부체(10)의 변형이 가대(21)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본체(31)에 있어, 가대(21)의 다리부(22)가 올려 놓여지는 부위에는 최상판(미도시)이 마련된다. 이 최상판과 한 개의 생산 설비(20)의 가대(21)와의 구체적인 연결예로서, 예를 들면 부체(10)의 후단측에 위치하는 본체(31)의 최상판에 대해 가대(21)는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기타 본체(31)의 최상판에 대해 가대(21)는 상대변위가능하게 지지된다. 후자의 최상판은 예를 들면 불소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가대(21)는 최상판 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올려 놓여져, 부체(10)의 변형은 최상판과 가대(21)의 상대 변위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가대(21)를 상대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최상판으로서, 불소 수지 대신에, 고무 등 전단(剪斷) 탄성계수가 작은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도 3은 상갑판(12)의 하면에 마련되는 횡방향 강도부재(40) 및 종방향 강도부재(41)와, 스툴(30)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횡방향 강도부재(40)는 부체(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보(도 4 참조) 또는 횡격벽이다. 종방향 강도부재(41)는 부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보(도 4 참조) 또는 종통격벽이다. 또한, 이웃하는 2개의 종방향 강도부재(41) 사이에는 복수개(도 3의 예에서는 5개)의 방요재(防撓材, stiffener)(42)가 마련되어 있다.
상갑판(12)의 상면에서, 횡방향 강도부재(40)와 종방향 강도부재(41)가 교차하여 바둑판의 격자 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점에 의해 스툴 설치부(43)가 정해진다. 스툴 설치부(43)는 2개의 강도부재(40, 41)의 교차하는 부위이기 때문에, 강도 성능이 다른 부위보다 높아, 생산 설비(20)를 지지하기 위한 스툴(30)을 설치하는 데에 적합하다. 스툴 설치부(43)는 횡방향 강도부재(40)와 종방향 강도부재(41)가 교차하는 복수의 위치 중 적어도 일부이지만, 그 교차 위치 전부이어도 좋다. 도 3에서는 2개의 예의 생산 설비(20)가 도시되며, 각 생산 설비(20)를 지지하기 위한 스툴 설치부(43)는 바둑판의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각 생산 설비(2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모든 스툴 설치부(43)에 스툴(30)이 마련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종방향 강도부재(세로보)(41)의 배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횡방향 강도부재(가로보)(40)는 3개의 예에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가로보(40)의 높이는 세로보(41)의 높이보다도 높다. 세로보(41)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요재(42)의 높이는 세로보(41)이 높이보다도 낮다. 도 4는 제 1 배치예를 나타내며, 각 스툴 설치부(43)(도 3 참조)에서의 세로보(41)의 개수는 1개이고, 스툴 설치부(43)는 세로보(41)와 가로보(40)의 교차하는 점을 중심으로 하여, 그 세로보(41)에 인접하는 2개의 방요재(42) 사이의 거리를 1변의 길이로 하는 대략 정사각형의 영역이다. 즉, 스툴(30)의 기부(基部)는 세로보(41)에 인접하는 2개의 방요재(42)가 마련된 부분에까지 걸쳐 있다. 또한, 스툴(30)의 기부를 도 4의 예보다도 확대하여, 예를 들면, 스툴 설치부(43)에서 방요재(42)가 4개 이상 마련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5는 제 2 배치예를 나타내며, 각 스툴 설치부(43)에서의 세로보(41)의 갯수는 2개이다. 스툴 설치부(43)의 2개의 세로보(41) 사이에는 1개의 방요재(42)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 2개의 세로보(41)와 가로보(40)에 의해, 스툴 설치부(43)가 정해진다. 이 스툴 설치부(43)의 중심은 2개의 세로보(41) 사이에 위치하는 방요재(42)와 가로보(40)의 교차하는 점에 있고, 스툴 설치부(43)는 이들 2 개의 세로보(41) 사이의 거리를 1변의 길이로 하는 대략 정사각형의 영역이다. 즉, 스툴(30)의 기부는 스툴 설치부(43)를 통과하는 방요재(42)에 인접하는 2개의 세로보(41)가 마련된 부분에까지 걸쳐 있다. 또한, 스툴(30)의 기부(基部)를 도 5의 예보다 확대하여, 예를 들면, 스툴 설치부(43)에서 세로보(41)의 외측에 방요재(42)가 1개 이상 마련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6은 제 3 배치예를 나타내며, 각 스툴 설치부(43)에서의 세로보(41)의 개수는 3개이다. 이웃하는 2개의 스툴 설치부(43) 사이에는 2개 또는 3개의 방요재(42)가 마련된다. 스툴 설치부(43)는 그 3개의 세로보(41) 중 중앙에 위치하는 것과 가로보(40)의 교차하는 점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세로보(41) 사이의 거리를 1변의 길이로 하는 대략 정사각형의 영역이다. 즉, 스툴(30)의 기부는 스툴 설치부(43)에서의 양측의 2개의 세로보(41)가 마련된 부분에까지 걸쳐 있다. 또한, 스툴(30)의 기부를 도 6의 예보다도 확대하여, 예를 들면, 스툴 설치부(43)에서 세로보(41)의 외측에 방요재(42)가 1개 이상 마련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예에서는 부체(10)의 상갑판(12)의 하면에서, 가로 보(4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세로보(41)를 마련하고, 이들이 교차하는 점 중 생산 설비(20)가 배치될 가능성이 있는 장소를 스툴 설치부(43)로서 스툴(30)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 설비의 종류, 배치, 크기 등의 사양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일지라도 부체(10)를 설계, 제조하여, 부체(10)의 건조가 어느 정도 진행된 후에 생산 설비(20)를 마련할 수 있으므로, FPSO의 건조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하여 마련된 스툴(30)에 대한 보강을, 부체(10)의 건조 중에 실시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보강부재(50)는 이웃하는 2개의 스툴(30)끼리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기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공통이다. 보강부재(50)가 설치되는 방향은 부체(10)의 길이 방향, 폭 방향 중 어느 것이어도 좋고, 도 7은 보강부재(50)가 부체 (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8은 보강부재(50)가 부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도 10은 스툴(30)과 보강부재(50)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스툴(30)의 본체(31)는 1개의 사다리꼴 형태의 판부재의 양면에, 수직부를 갖는 사다리꼴 형태의 판부재 2개를, 이웃하는 판부재끼리 직교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며, 빗변에는 플랜지(33)가 접착된다. 이웃하는 2개의 판부재에는 L자 형태의 보강판(34)이 고정되고, 이로써 본체(31) 자체가 보강된다. 보강판(34)은 보강부재(50)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설치된다. 보강부재(50)의 단면은 H형을 가지며, 그 단부(51)는 플랜지(33)에 밀착되도록 경사져 있다. 보강부재(50)의 하면은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갑판(12)으로부터 이격되며, 보강부재(50)와 상갑판(12) 사이에는 배관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스툴(30)에 대한 보강을, 부체(10)가 완성되어 생산 설비(20)를 설치하기 전에 실시할 수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생산 설비(20)의 가대(21)와 스툴(30)이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부위와, 상대적으로 변위가능하게 지지되는 부위가 있다. 스툴(30) 중 가대(21)가 고정되는 것에 관해서는 작용하는 하중이 다른 스툴(30)보다도 크기 때문에, 생산 설비(20)의 사양이 결정된 후에 보강이 필요로 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부체(10)의 완성 후에 보강부재(50)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설비(20)의 사양이 결정되기 전에 부체(10)의 설계, 건설을 진행할 수 있어, FPSO의 건조 기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부재(50)는 스툴(30)의 상부만을 연결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배관과 간섭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스툴(30)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1은 제 3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갑판(12) 위에서, 가로보(40)와 세로보(41)의 교점인 스툴 설치부(43)에 스툴대(44)가 마련되어 있다. 기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스툴대(44)는 평평한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대(擡) 모양의 구조이며, 상갑판(12)의 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된다. 스툴대(44)의 상면은 스툴(30)을 장착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스툴 설치부(43)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로보(40)(또는 횡격벽)과 세로보(41)(또는 종통격벽)가 교차하는, 강도 성능이 높은 부위이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이 스툴 설치부(43)에 미리 스툴대(44)를 마련하고, 탑재되는 생산 설비(20)가 결정된 후에 스툴(30)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스툴(30)의 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2는 제 4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보(40)가, 상갑판(12)에 고정되며 스툴 설치부(43)를 포함하는 스툴 지지 구조체(45)와, 본체 구조체(46)로 분할되어 제조된다. 스툴 지지 구조체(45)는 상갑판(12)과 세로보(41)와 방요재(42)와 스툴(30)과 가로보(40)를 가지며, 본체 구조체(46)는 상갑판(12)과 방요재(42)와 종통격벽(47)과 가로보(40)를 갖는다. 가로보(40)가 스툴 지지 구조체(45)와 본체 구조체(46)로 분할되는 경계(48)는, 부체(10)의 횡단면에서, 종통격벽(47)의 상갑판(12)측의 단부 부근에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하는 직선이다. 즉, 스툴 지지 구조체(45)는 양단부에서 본체 구조체(46)에 연결되어 있으며, 양단부는 아래쪽을 향해 오므라들듯이 경사져 있다. 스툴 지지 구조체(45)는 부체(10)의 길이 방향으로 가능한 긴 구조체이며, 예를 들면 20m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본체 구조체(46)는 탑재되는 생산 설비(20)의 사양 등에 의존하지 않는 표준 구조를 가지며, 가정되는 최대 하중을 고려한 강도 성능을 갖도록 설계되고, 하나만 설계된다. 이에 반해, 스툴 지지 구조체(45)는 탑재되는 생산 설비(20)로부터 받는 하중에 따른 개별화 구조를 가지며, 탑재되는 생산 설비(20)의 중량, 수, 조합 등을 고려하여 미리 복수 종류가 설계된다. 복수 종류의 설계의 예로서, 하나의 스툴 설치부(43)에서의 세로보(41)의 수를 1~3의 범위에서 변화시키거나, 혹은 가로보(40) 탱크측의 외형선을 실선 A 또는 점선 B와 같이 바꾼 것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종류의 스툴 지지 구조체(45)를 미리 준비해두고, 생산 설비(20)가 결정되었을 때에, 복수 종류의 스툴 지지 구조체(45)로부터 최적의 것을 선정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부체(10)의 설계, 건조를 신속하게 할 수 있어, FPSO의 건조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3는 제 5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에서의 스툴 지지 구조체(45)를 3분할한 구성을 가지며, 본체 구조체(46)의 구성은 제 4 실시예와 공통이다. 스툴 지지 구조체(45)는 본체 구조체(46)에 인접하는 2개의 제 1 지지 구조체(45a)와, 이들 제 1 지지 구조체(45a)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지지 구조체(45b)로 분할된다. 즉, 제 2 지지 구조체(45b)는 본체 구조체(46)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지지 구조체(45a, 45b)의 경계(49)는 수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직선이며, 이들 지지 구조체(45a, 45b)의 부체 폭 방향의 길이는 대략 동일하다.
하나의 횡단면에서, 3개의 지지 구조체(45a, 45b)에는 각각 한 개의 스툴(30)이 설치된다. 이들 지지 구조체(45a, 45b)의 상갑판(12) 근방의 구성은 유사하여, 각 스툴 설치부(43)는 가로보(40)와 세로보(41)가 교차하는 위치이며, 세로보(41)의 양측에도 방요재(42)가 마련된다. 한편, 가로보(40)의 구성은 지지 구조체(45a, 45b)에서 다르다. 즉, 제 1 지지 구조체(45a)는 탑재되는 생산 설비(20)의 사양 등에 따라, 가로보(40)의 탱크측의 외형선이 실선 A 또는 점선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정해지는데, 이 제 2 지지 구조체(45b)의 기본적인 형상은 표준화되어, 가로보(40) 등의 외형은 일정하다. 또한, 제 2 지지 구조체(45b)에 있어서, 탑재되는 생산 설비(20)에 따라 변화하는 항목은 제 1 지지 구조체(45a)보다도 적고, 판 두께만이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 5 실시예에서는 스툴 지지 구조체(45)를 제 1 및 제 2 지지 구조체(45a, 45b)로 분할하였기 때문에,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제 4 실시예보다도 여러 종류의 스툴 지지 구조체(45)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4는 제 6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툴 지지 구조체(45)는 본체 구조체(46)에 대해 위쪽에서부터 조립 부착된다. 스툴 지지 구조체(45)는 제 4 및 제 5 실시예 중 어느 것이나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툴 지지 구조체(45)는 탑재되는 생산 설비(20)의 중량, 수, 조합 등에 따라 설계되며, 본체 구조체(46)와는 별개로 제조되는데, 본체 구조체(46)와의 경계(48)인 스툴 지지 구조체(45)의 양단부의 구성은 공통이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툴 지지 구조체(451, 452)가 있을 경우, 이들 가로보(40)의 탱크측의 외형선 형태는 실선 A 또는 B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르지만, 스툴 지지 구조체(451, 452)의 양단부의 구성은 공통이며, 아래쪽을 향해 오므라들듯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본체 구조체(46)에 쉽게 조립 부착할 수 있다.
10 : 부체 11 : 탱크
12 : 상갑판 30 : 스툴
40 : 횡방향 강도부재(가로보)
41 : 종방향 강도부재(세로보)
43 : 스툴 설치부

Claims (11)

  1. 탱크가 형성된 부체의 상갑판에 생산 설비를 탑재할 수 있는 해상 부체 구조물로서,
    상기 상갑판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부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강도부재와,
    상기 상갑판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부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강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갑판의 상면으로서, 상기 횡방향 강도부재와 상기 종방향 강도부재가 교차하는 복수의 점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생산 설비를 지지하기 위한 스툴을 설치 가능한 스툴 설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체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한 개의 생산 설비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스툴 설치부는 바둑판의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체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 개의 스툴 설치부에서, 상기 종방향 강도부재가 복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체 구조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강도부재가 가로보 또는 횡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체 구조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강도부재가 세로보 또는 종통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체 구조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툴 설치부에 마련되어, 이웃하는 2개의 스툴끼리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체 구조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툴 설치부에 스툴대가 마련되며, 상기 스툴이 상기 스툴대의 상면에 장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체 구조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 또는 횡격벽이, 상기 스툴 설치부를 포함하는 스툴 지지 구조체와, 본체 구조체로 분할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체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체의 횡단면에서, 상기 스툴 지지 구조체의 양단부가 상기 본체 구조체에 연결되어, 상기 양단부가 아래쪽을 향해 오므라들듯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체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툴 지지 구조체가, 상기 본체 구조체에 인접하는 제 1 지지 구조체와, 상기 본체 구조체로부터 이격된 제 2 지지 구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체 구조물.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툴 지지 구조체가 상기 본체 구조체에 대해 위쪽에서부터 조립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체 구조물.
KR1020187008207A 2015-09-28 2016-09-13 해상 부체 구조물 KR201800726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9624 2015-09-28
JP2015189624A JP2017065291A (ja) 2015-09-28 2015-09-28 洋上浮体構造物
PCT/JP2016/077000 WO2017056972A1 (ja) 2015-09-28 2016-09-13 洋上浮体構造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673A true KR20180072673A (ko) 2018-06-29

Family

ID=5842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207A KR20180072673A (ko) 2015-09-28 2016-09-13 해상 부체 구조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7065291A (ko)
KR (1) KR20180072673A (ko)
CN (1) CN108290619A (ko)
SG (1) SG11201802612RA (ko)
WO (1) WO20170569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4436A (ja) * 2017-07-10 2019-01-31 三井E&S造船株式会社 洋上浮体構造物およびその船尾構造
JP7143978B2 (ja) * 2018-04-24 2022-09-29 三井E&S造船株式会社 洋上浮体構造物に設置されるスツール
CN109649578B (zh) * 2018-12-14 2021-08-06 大连中远海运重工有限公司 海工船舶甲板上部模块底座及制作安装方法
CN111409766A (zh) * 2020-03-13 2020-07-14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带支撑立柱的大型船舶上层建筑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9188A (en) * 1977-01-13 1978-08-05 Hitachi Zosen Corp Sheep transport vessel
JPS6045295U (ja) * 1983-09-06 1985-03-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家畜運搬船
WO2005056379A1 (en) * 2003-12-15 2005-06-23 Single Buoy Moorings Inc. Modular offshore hydrocarbon storage and/or processing structure
KR20110004639A (ko) * 2009-07-08 2011-01-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인화성 화물 운반선의 태양광발전장치
JP2014162430A (ja) * 2013-02-27 2014-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デッキ置きタンク構造およびその据え付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802612RA (en) 2018-04-27
JP2017065291A (ja) 2017-04-06
CN108290619A (zh) 2018-07-17
WO2017056972A1 (ja)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2673A (ko) 해상 부체 구조물
JP5746755B2 (ja) 巨大石油タンカー用の石油タンク部構造
CA2748968A1 (en) Reinforcement system for a vehicle
KR101335261B1 (ko)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JP2017036014A (ja) 洋上浮体構造物
WO2019208548A1 (ja) 洋上浮体構造物
CN210212713U (zh) 一种船舶t型材横向强框的趾端节点结构
KR20130001960U (ko) 액체 화물 탱크용 슬로싱 저감 모듈
KR101897727B1 (ko) 액화 가스 탱크의 선체 지지 구조 및 액화 가스 운반선
CN111017145A (zh) 一种超大型集装箱船横隔舱搭载方法
KR101763033B1 (ko) 합성보용 거푸집
CN111017146A (zh) 一种超大型集装箱船横隔舱辅助搭载结构
KR101434434B1 (ko) 모듈 구조체
KR101454346B1 (ko) 해양 구조물의 상부갑판 구조물
KR20130078003A (ko) 선박의 선수 구조
JP7143978B2 (ja) 洋上浮体構造物に設置されるスツール
CN109094738B (zh) 一种自平衡锚锚台的设计方法
JP6973732B2 (ja) ライザー管支持構造
KR101743581B1 (ko) 선박의 비상 견인장치용 보강구조
KR102049365B1 (ko)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
KR102632397B1 (ko) 커브 버텀 타입 머드 탱크
KR20130109517A (ko) 연료유 탱크를 구비한 이중 선체
KR102122093B1 (ko) 라이져와 케이슨의 탑재방법, 탑재구조
KR101580802B1 (ko) 패널 인양 지그
KR102155719B1 (ko)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