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365B1 -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 - Google Patents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365B1
KR102049365B1 KR1020187038002A KR20187038002A KR102049365B1 KR 102049365 B1 KR102049365 B1 KR 102049365B1 KR 1020187038002 A KR1020187038002 A KR 1020187038002A KR 20187038002 A KR20187038002 A KR 20187038002A KR 102049365 B1 KR102049365 B1 KR 10204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ge
cargo
promotion pipe
hol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8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667A (ko
Inventor
신야 야마사키
케이 노마
료 카토
아키라 카야모토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키센 카이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키센 카이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카와사키 키센 카이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0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Abstract

빌지를 빌지웰에 배출시키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로서, 홀드의 용적에 대한 철광석의 적재량이 큰 광석전용선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를 제공한다. 차례로 접속된 제1 부분(20)과 제2 부분(30)과 제3 부분(4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1 부분은 선창을 복수의 화물창으로 구분하는 격벽(130)을 지지하는 하부스툴(120)내에 설치된다.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접속되고, 격벽을 따라 연직으로 설치되고, 측면에 중공부분과 연통하는 복수의 구멍(38)을 구비한다. 제3 부분은 제2 부분과 접속되고, 격벽을 지지하는 상부스툴(140)내에 설치되고, 제2 부분과 접속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44)가 상부데크(110b)에 이른다. 여기서 제2 부분이 구비하는 구멍은 제1 부분측부터 적어도 화물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형성된다.

Description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
본 발명은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의 화물창에 실린 화물에 포함되는 물을 빌지웰에 배출하는 데 이용되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철광석 등을 수송하는 화물선 등의 선박에서는 화물창(이하 홀드라고 칭하기도 함)에 실린 철광석 등의 화물(이하 카고라고 칭하기도 함)에 포함되는 물(이하 빌지라고 칭하기도 함)을 선저 부근에 설치된 빌지웰을 거쳐 선외에 배출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여기서 브라질의 PDM(Ponta Da Madeira)항에서 실리는 카라자스파인(Carajas Fine)이라고 불리는 철광석은 빌지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물이 카라자스파인인 경우, 빌지웰에의 배출구에 설치된 철망형상의 스트레이너(필터)가 막히고, 이에 의해 빌지가 빌지웰에 배출되지 않고, 카고의 주위에 잔존하는 경우가 있다. 빌지가 잔존하고 있으면 양륙시에 빌지의 배수처리 등을 수행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나쁘고, 그 결과 양륙작업에 시간이 걸린다.
이 과제를 감안하여 발명된 빌지를 효율적으로 빌지웰에 배출하기 위한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1-162072호 공보
여기서 도 4는 홀드의 개략도이다. 도 4의 (A)는 벌크선의 홀드를 도시하고, 도 4의 (B)는 광석전용선의 홀드를 도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1)는 일반적인 벌크선에 철광석을 적재하는 경우에는 유효하다. 이는 철광석(201)은 적재량의 제한이나 비중 등으로부터 홀드(101)내에 만재되지 않고, 홀드(101)의 중앙 부근에 중앙부가 높이 솟아오른 형상으로 적재되기 때문이다(도 4의 (A) 참조).
그러나 이른바 광석전용선에서는 홀드(102)의 용적에 대한 철광석의 적재량이 광석전용선 이외의 화물선에 비해 크다. 이 때문에 광석전용선에서는 상술한 종래의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1)가 카고(202)에 의해 파묻혀서(도 4의 (B) 참조) 카라자스파인뿐만 아니라 철광석을 적재한 경우에 빌지의 배출이 충분히 수행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광석에 포함되는 빌지를 빌지웰에 배출시키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로서, 홀드의 용적에 대한 철광석의 적재량이 큰 광석전용선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는 화물창내에 설치되고, 화물창에 실린 화물인 철광석에 포함되는 빌지를 빌지웰에 배출한다.
이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는 차례로 접속된 제1 부분과 제2 부분과 제3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1 부분은 선창을 복수의 화물창으로 구분하는 격벽을 지지하는 하부스툴내에 설치된다.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접속되고, 격벽을 따라 연직으로 설치되고, 측면에 중공부분과 연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한다. 제3 부분은 제2 부분과 접속되고, 격벽을 지지하는 상부스툴내에 설치되고, 제2 부분과 접속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가 상부데크에 이른다. 여기서 제2 부분이 구비하는 구멍은 제1 부분측부터 적어도 화물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에 따르면 빌지가 제2 부분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내에 보내지고, 제1 부분을 거쳐 빌지웰에 배출된다. 그 결과, 양륙시에 화물창내의 빌지의 배출작업이 불필요해지거나 또는 경감된다.
도 1은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가 장착되는 개소를 상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3은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의 제2 부분의 모식도이다.
도 4는 홀드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각 구성요소의 형상, 크기 및 배치관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각 구성요소의 재질 및 수치적 조건 등은 단순한 적합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구성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많은 변경 또는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2 및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가 장착되는 개소를 상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3은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의 특히 제2 부분의 모식도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선에서는 화물창(홀드)의 하측의 선저 부근에 빌지웰이 설치되어 있다. 화물(카고)에 포함되는 물(빌지)은 홀드의 저면에 설치된 배수구를 거쳐 빌지웰에 보내진다. 빌지웰에 보내진 빌지는 상황에 따라 수시로 선외에 배출된다.
광석전용선에서는 선창이 격벽(Bulkhead)(130)에 의해 복수의 화물창(홀드: Hold)(100)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홀드(100)의 하측의 선저 부근에 빌지웰(110)이 설치되어 있다.
격벽(130)은 홀드(100)의 저면(Tanktop이라고도 칭함)(110a)측에서는 하부스툴(Lower Stool)(12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격벽(130)은 갑판(상부데크라고도 칭함)(100b)측에서는 상부스툴(Upper Stool)(140)에 의해 지지된다. 격벽(130)은 예를 들어 파형의 판으로 형성된다. 이 파형의 판으로 형성된 격벽을 파형격벽(Corrugated Bulkhead)이라고도 칭한다.
화물(카고)(200)에 포함되는 물(빌지)은 홀드(100)의 저면(110a)에 설치된 배수구(도시를 생략함)를 거쳐 빌지웰(110)에 보내진다. 빌지웰(110)에 보내진 빌지는 상황에 따라 수시로 선외에 배출된다. 여기서 카고(200)가 카라자스파인인 경우, 빌지웰(110)에의 배출구에 설치된 철망형상의 스트레이너(필터)가 막히고, 이에 의해 빌지가 빌지웰(110)에 배출되지 않고, 카고(200)의 주위에 잔존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광석전용선의 경우, 카고(200)의 상면(200a)이 홀드(100)의 저면(110a)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이른다. 이 때문에 빌지를 빌지웰(110)에의 배수구로부터 배출하는 것이 벌크선에 비해 어려워지는 경우가 상정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제1 부분(20), 제2 부분(30) 및 제3 부분(40)이 이 순서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임의의 바람직한 재료의 관형상부재(파이프)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또한 필요에 따라 가공하여 소정 형상의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가 형성된다. 여기서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를 제1 부분(20), 제2 부분(30), 제3 부분(40)이 연결된 구조로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부분(20), 제2 부분(30) 및 제3 부분(40)을 각각 복수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구성해도 되고, 제1 부분(20), 제2 부분(30) 및 제3 부분(40)을 1개의 파이프로서 일체로 구성해도 된다.
제1 부분(20)은 주로 하부스툴(120)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부분(20)의 한쪽 단부(제1 단부)(22)는 빌지웰(110)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1 부분(20)의 다른 쪽 단부(제2 단부)(24)는 하부스툴(120)의 상면(120a) 부근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2 부분(30)은 하부스툴(120)의 상면(120a)으로부터 상부스툴(140)의 하면(140a) 부근까지 격벽(130)을 따라 연직으로 설치된다. 제2 부분(30)의 한쪽 단부(제1 단부)(32)는 제1 부분(20)의 제2 단부(24)와 접속된다. 또한, 제2 부분(30)의 다른 쪽 단부(제2 단부)(34)는 상부스툴(140)의 하면(140a) 부근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격벽(130)이 파형격벽인 경우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이 파형의 판의 사이부분에 설치된다. 즉,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파형격벽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제2 부분(30)은 측면에 중공부분(36)과 연통하는 복수의 구멍(38)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복수의 구멍(38)은 임의의 바람직한 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멍(38)의 직경이 작으면 막힘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한편, 구멍(38)의 직경이 크면 짐을 싣거나 양륙시에 철광석이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내에 다량으로 들어가거나 하는 등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여기서는 구멍(38)의 직경을 10mm로 하였다. 또한, 양호한 성능을 나타낸다면 구멍(38)의 직경을 10mm보다 작게 해도 되고, 10mm보다 크게 해도 된다.
이 구멍(38)은 제2 부분(3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4개 형성된다. 즉, 단면의 중심에 대하여 0도, 90도, 180도, 270도의 위치에 형성된다. 이 4개를 1세트로 하는 구멍(38)은 제2 부분(30)의 길이방향에 100mm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인접하는 세트의 구멍(38)의 위치는 단면의 중심에 대하여 45도 어긋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어느 세트의 구멍(38)의 위치가 단면의 중심에 대하여 0도, 90도, 180도, 270도인 경우, 길이방향에 인접하는 세트의 구멍(38)의 위치는 단면의 중심에 대하여 45도, 135도, 225도, 315도가 된다. 또한, 양호한 성능을 나타낸다면 구멍의 배치, 개수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구멍(38)은 제2 부분(30)의 제1 단부(32)측으로부터 제2 단부(34)측을 향하여 적어도 카고(200)의 상면(200a)보다 높은 위치, 즉 적하위치보다 높은 위치까지 형성된다.
여기서 적하높이는 카고(200)의 상면(200a)의 격벽(130)에 있어서의 홀드(100)의 저면(110a)으로부터의 높이를 가리킨다. 또한, 정지각은 그 이상의 각도로 쌓으면 무너지는 최대의 각도이고, 철광석의 정지각은 약 36도로 되어 있다.
여기서 홀드(100)에 적재되는 철광석의 중량(단위: MT(metric ton)=1,000kg)과 홀드(100)의 용적(단위: CFT(cubic feet)=1.133cubic meter)에 의해 부여되는 적하계수(SF: Stowage Factor)를 13.5CFT/MT, 정지각을 25도라고 가정하면 적하높이는 예를 들어 11.8m가 된다.
따라서, 적어도 홀드(100)의 저면(110a)으로부터 11.8m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까지 구멍(38)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적하계수(SF)가 커지면 적하높이가 높아진다. 일반적인 철광석의 적하계수(SF)는 13.0 내지 13.5이지만 적하계수(SF)가 15까지 배출 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드(100)의 저면(110a)으로부터 13.2m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까지 구멍(38)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적하계수(SF)는 홀드의 형상이나 철광석의 산지, 브랜드 등에 따라 정해진다. 또한, 적하높이는 이들에 더하여 카고(200)의 적재량과 정지각에 의해 정해진다.
제3 부분(40)은 주로 상부스툴(140)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3 부분(40)의 한쪽 단부(제1 단부)(42)는 제2 부분(30)의 제2 단부(34)와 접속된다. 제3 부분(40)의 다른 쪽 단부(제2 단부)(44)는 상부스툴(140)의 상면 부근, 즉 상부데크(100b)에 이르는 위치 부근에 설치된다. 도 1에서는 제3 부분(40)의 제1 단부(42)가 상부스툴(140)의 하면(140a)의 하측에 설치되고, 제3 부분(40)의 제2 단부(44)가 상부데크(100b)상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제1 단부(42) 및 제2 단부(44)는 상부스툴(140)내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에 의하면 빌지가 제2 부분(30)에 형성된 구멍(38)으로부터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내에 보내지고, 제1 부분(20)을 거쳐 빌지웰(110)에 배출된다. 그 결과, 양륙시에 화물창내의 빌지의 배출작업이 불필요해지거나 또는 경감된다.
또한,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의 제1 부분(20)은 하부스툴(120)내에 설치되고, 제2 부분(30)은 격벽(130)이 파형격벽인 경우는 파형격벽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 때문에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에 의해 양륙작업이 방해받는 일은 없다.
이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에서는 제2 부분(3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38)으로부터 철광석이 파이프(10)내에 들어가는 일이 있고, 이에 의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파이프(10)내의 철광석을 제거하는 보수작업 등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이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제1 부분(20)이 하부스툴(120)내에 설치되고, 또한 제3 부분(40)이 상부스툴(140)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부분(30)은 10m 이상의 길이이다. 이 때문에 운항중에 분해한 후의 보수점검 등은 용이하지 않다.
그래서 제3 부분(40)의 제2 단부(44)로부터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내에 주수함으로써 파이프내의 철광석을 파이프 밖으로 흘리는 작업이 수행된다. 이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에서는 제3 부분(40)의 제2 단부(44)가 상부데크(110b) 부근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원이 접근하기 쉽다.
또한, 제3 부분(40)의 제2 단부(44)를 착탈이 자유로운 밀봉수단에 의해 밀봉해 두는 것이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파이프내에의 주수 등이 필요한 때에만 제2 단부(44)의 밀봉수단을 떼어내어 작업을 수행하고, 그 이외의 때에는 밀봉해 둠으로써 불필요한 것이 파이프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
20: 제1 부분
22, 32, 42: 제1 단부
24, 34, 44: 제2 단부
30: 제2 부분
36: 중공부분
38: 구멍
40: 제3 부분
100: 홀드
110: 빌지웰
120: 하부스툴
130: 격벽
140: 상부스툴
200: 카고

Claims (2)

  1. 광석전용선에 적재된 화물인 철광석에 포함되는 빌지를 빌지웰에 배출하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로서,
    차례로 접속된,
    선창을 복수의 화물창으로 구분하는 격벽을 지지하는 하부 스툴 내에 설치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접속되고, 상기 격벽을 따라 연직으로 설치되고, 측면에 중공부분과 연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2 부분과 접속되고, 상기 격벽을 지지하는 상부 스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부분과 접속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가 상부 데크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제3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부분이 구비하는 상기 구멍은 상기 제1 부분측부터 적어도 상기 화물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의 단부로서, 상기 제2 부분과 연결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가 착탈이 자유로운 밀봉 수단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
KR1020187038002A 2016-11-29 2017-11-28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 KR102049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31468A JP6378293B2 (ja) 2016-11-29 2016-11-29 ビルジ排出促進パイプ
JPJP-P-2016-231468 2016-11-29
PCT/JP2017/042616 WO2018101259A1 (ja) 2016-11-29 2017-11-28 ビルジ排出促進パイ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667A KR20190010667A (ko) 2019-01-30
KR102049365B1 true KR102049365B1 (ko) 2019-11-28

Family

ID=6224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8002A KR102049365B1 (ko) 2016-11-29 2017-11-28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78293B2 (ko)
KR (1) KR102049365B1 (ko)
BR (1) BR112019010860B1 (ko)
WO (1) WO20181012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52281B2 (ja) * 2021-07-21 2023-04-04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波形隔壁タンク上部スツール内配管構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1861A (ja) * 2008-03-31 2009-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
JP2011162072A (ja) * 2010-02-10 2011-08-25 Kawasaki Kisen Kaisha Ltd ビルジ排出促進パイ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1861A (ja) * 2008-03-31 2009-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
JP2011162072A (ja) * 2010-02-10 2011-08-25 Kawasaki Kisen Kaisha Ltd ビルジ排出促進パイ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667A (ko) 2019-01-30
BR112019010860B1 (pt) 2023-09-26
BR112019010860A2 (pt) 2019-12-17
JP2018086951A (ja) 2018-06-07
WO2018101259A1 (ja) 2018-06-07
JP6378293B2 (ja)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365B1 (ko)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
JP2017507014A (ja) 特に原油の液相および気相の液体/気体分離のためのモジュール式プラントおよびプロセス
CN104452790A (zh) 一种带裙板的沉箱及其在气浮拖航时的调节方法
KR101174382B1 (ko)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
KR101938918B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측방 계류 시스템을 위한 선체구조
KR101589196B1 (ko)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JP7088452B2 (ja) 洋上浮体構造物
KR20130001960U (ko) 액체 화물 탱크용 슬로싱 저감 모듈
KR101110836B1 (ko) 밸러스트 탱크의 침전물 배출 구조체
FI72566C (fi) Staolkonstruktion med pao varandra anordnade moduler.
KR102359479B1 (ko)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
EP3221212B1 (en) Hold offloading system
KR102156952B1 (ko)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40734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대형 호스 유지보수 보조 장치
KR102125104B1 (ko) 해치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드릴십
KR102176545B1 (ko) 선각화 실린더형 탱크 및 그 실린더형 탱크의 설치방법
KR101559412B1 (ko)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KR20190038651A (ko) 선박용 탈황 장치의 배수 시스템
JP2013151171A (ja) バラストタンクの排砂装置及び排砂方法
CN207955958U (zh) 一种新型易流态化货物运输船货舱排水孔滤网结构
KR101185927B1 (ko) 원통형 펌프타워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30004716A (ko) 부유식 안벽
KR101773919B1 (ko) 시추선
KR20090072061A (ko)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KR101010768B1 (ko) 선박 화물창의 사이드 통로 제작 방법 및 그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