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479B1 -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479B1
KR102359479B1 KR1020200060937A KR20200060937A KR102359479B1 KR 102359479 B1 KR102359479 B1 KR 102359479B1 KR 1020200060937 A KR1020200060937 A KR 1020200060937A KR 20200060937 A KR20200060937 A KR 20200060937A KR 102359479 B1 KR102359479 B1 KR 102359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able tray
pipe
pipe hold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977A (ko
Inventor
이민호
김덕용
양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0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479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설치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설치 구조는 상부 데크와, 상부 데크 하부에 배치된 제1 데크와, 제1 데크 하부에 위치된 제2 데크와, 제2 데크 하부에 위치된 제3 데크와, 제2 데크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배관이 지지되는 배관 거치대와, 배관 거치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케이블이 지지되는 케이블 트레이와, 배관 거치대의 접근을 위해 제2 데크의 폭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배관용 족장과, 케이블 트레이의 접근을 위해 케이블 트레이와 인접한 우측 종 격벽에서 마주하는 케이블 트레이 하단을 향해 연장되는 배선용 족장 및 족장의 역할 및 좌측 종 격벽의 강성 보강을 위해 케이블 트레이와 인접한 좌측 종 격벽에서 마주하는 케이블 트레이 하단을 향해 연장되는 수평 거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HULL STRUCTURE FOR 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배관 및 전기 케이블이 설치되는 전장전로 선체 구조에 관한 선박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은 컨테이너를 전문으로 수송하는 풀 컨테이너 선박과, 선창의 일부를 컨테이너 전용으로 만든 세미 컨테이너 선박의 두 종류가 있다.
컨테이너선은 컨테이너를 싣는 방법에 따라서 적재한 차량이 선박의 측면 또는 선미에 설치한 현문(舷門)을 통해서 선내로 들어와 짐을 부리는 롤-온 롤-오프(roll-on roll-off) 방식의 선박과, 컨테이너를 선박 또는 안벽에 장치한 기중기로 들어서 배에 싣는 리프트-온 리프트-오프(lift-on lift-off) 방식으로 구분된다.
해운의 컨테이너화는 하역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시키며, 선박의 정박시간을 단축시켜 가동률을 상승시키는 등의 장점이 있으며, 1966년 시랜드사가 북대서양항로에 진출한 이래 컨테이너는 전세계의 주요 정기항로에 퍼져갔다.
한편, 최근에는 컨테이너선이 초 대형화되는 추세이며, 초 대형화 되어가는 컨테이너선에 각종 배관 및 전기 케이블이 설치되는 전장전로 구조를 제작 시 작업자는 수 미터에 이르는 구간을 오르 내리면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컨테이너선의 각종 배관 및 전기 케이블의 설치 시 비용을 절감하고, 공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 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 데크와, 상기 상부 데크 하부에 배치된 제1 데크와, 상기 제1 데크 하부에 위치된 제2 데크와, 상기 제2 데크 하부에 위치된 제3 데크와, 상기 제2 데크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배관이 지지되는 배관 거치대와, 상기 배관 거치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케이블이 지지되는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배관 거치대의 접근을 위해 상기 제2 데크의 폭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배관용 족장과,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접근을 위해 상기 케이블 트레이와 인접한 우측 종 격벽에서 마주하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 하단을 향해 연장되는 배선용 족장 및 족장의 역할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와 인접한 좌측 종 격벽의 강성 보강을 위해 상기 좌측 종 격벽에서 마주하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 하단을 향해 연장되는 수평 거더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폭은 상기 배관 거치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높이는 상기 배관 거치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복수의 배관은 냉매 배관, 스팀 배관, 응축수 배관, 냉각수 배관 및 소방수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종 격벽 및 상기 좌측 종 격벽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스티프너가 배치되고, 상기 배관용 족장의 양단은 상기 좌측 종 격벽과 상기 우측 종 격벽에 설치된 스티프너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데크에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데크와 상기 제2 데크 사이의 높이는 상기 제1 데크와 상기 제2 데크 사이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구조에 의해 족장의 가설 및 철거비용을 절감하고, 공사의 안정성 및 기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는 서로 마주하는 좌측 종 격벽(10)과 우측 종 격벽(11)을 연결하는 복수의 데크(12,13,14,15)를 포함한다.
좌측 종 격벽(10)과 우측 종 격벽(11)에는 강성 보강을 위해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스티프너(20)가 배치된다.
복수의 데크(12,13,14,15)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상부 데크(12), 제1 데크(13), 제2 데크(14) 및 제3 데크(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크(13)는 상부 데크(12)의 하부에 소정간격 이격되고, 제2 데크(14)는 제1 데크(13)의 하부로 소정간격 이격되며, 제3 데크(15)는 제2 데크(14)의 하부로 소정간격 이격된다. 제2 데크(14)와 제3 데크(15) 사이의 높이는 제1 데크(13)와 제2 데크(14) 사이의 높이보다 낮다.
제3 데크(15)에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통로(21)가 설치될 수 있고, 제2 데크(14)에는 복수의 배관(31)이 지지되는 배관 거치대(30)가 지지된다.
배관 거치대(30)는 다층의 선반 형태로 형성되고, 각 층에는 복수의 배관(31)이 지지된 상태이다. 복수의 배관은 냉매 배관, 스팀 배관, 응축수 배관, 냉각수 배관, 소방수 배관 등을 포함한다.
배관 거치대(30)의 상부에는 케이블 트레이(40)가 지지되어 있다. 케이블 트레이(40)는 다층의 선반 형태로 형성되고, 케이블 트레이(40)의 높이(H1)는 배관 거치대(30)의 높이(H2)보다 높게 설치된다.
케이블 트레이(40)에는 전력 또는 통신을 위한 복수의 케이블(41)이 지지된다.
케이블 트레이(40)의 폭(W1)은 배관 거치대(30)의 폭(W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진다.
배관 거치대(30)의 배관 작업을 위해 제2 데크(14)에는 배관용 족장(50)이 설치된다. 배관용 족장(50)은 배관 거치대(30)의 개방된 전방 부분으로 작업자의 접근을 허용하고,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 형태일 수 있다.
배관용 족장(50)은 좌측 종 격벽(10)과 우측 종 격벽(11)에 설치된 스티프너(20)에 양단이 지지된 상태이다.
케이블 트레이(40)의 접근 및 작업공간 확보를 위해 배선용 족장(60)이 설치된다. 배선용 족장(60)은 우측 종 격벽(11)에서 마주하는 케이블 트레이(40)의 하단을 향해 연장된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40)의 접근 및 작업공간 확보를 위해 좌측 종 격벽(10)에는 수평 거더(70)가 연장된다.
수평 거더(70)는 좌측 종 격벽(10)의 강성을 확보하도록 좌측 종 격벽(10)에 일체로 연결되며, 좌측 종 격벽(10)에서 마주하는 케이블 트레이(40)의 하단을 향해 연장됨에 따라 족장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케이블 트레이(40)와 배관 거치대(30)로의 접근 및 토앵로 확보를 위한 구조를 간소화 시킬 수 있고, 족장의 가설, 철거 비용을 절감하면서 공사 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좌측 종 격벽, 11: 우측 종 격벽,
12: 상부 데크, 13: 제1 데크,
14: 제2 데크, 15: 제3 데크,
20: 스티프너, 21: 통로,
30: 배관 거치대, 31: 배관,
40: 케이블 트레이, 50: 배관용 족장,
60: 배선용 족장, 70: 수평 거더.

Claims (3)

  1. 상부 데크;
    상기 상부 데크 하부에 배치된 제1 데크;
    상기 제1 데크 하부에 위치된 제2 데크;
    상기 제2 데크 하부에 위치된 제3 데크;
    상기 제2 데크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배관이 지지되는 배관 거치대;
    상기 배관 거치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배관 거치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케이블이 지지되는 케이블 트레이;
    상기 배관 거치대의 접근을 위해 상기 제2 데크의 폭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좌측 종 격벽과 우측 종 격벽에 설치된 스티프너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배관용 족장;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접근을 위해 상기 케이블 트레이와 인접한 상기 우측 종 격벽에서 상기 배관 거치대에 걸쳐지도록 마주하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 하단을 향해 설치되는 배선용 족장; 및
    족장의 역할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와 인접한 상기 좌측 종 격벽의 강성 보강을 위해 상기 좌측 종 격벽에서 상기 배관 거치대에 걸쳐지도록 마주하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 하단을 향해 설치되는 수평 거더;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높이는 상기 배관 거치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복수의 배관은 냉매 배관, 스팀 배관, 응축수 배관, 냉각수 배관 및 소방수 배관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크에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데크와 상기 제2 데크 사이의 높이는 상기 제1 데크와 상기 제2 데크 사이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
KR1020200060937A 2020-05-21 2020-05-21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 KR102359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937A KR102359479B1 (ko) 2020-05-21 2020-05-21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937A KR102359479B1 (ko) 2020-05-21 2020-05-21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977A KR20210144977A (ko) 2021-12-01
KR102359479B1 true KR102359479B1 (ko) 2022-02-10

Family

ID=7893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937A KR102359479B1 (ko) 2020-05-21 2020-05-21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4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8590A (zh) * 2022-08-18 2022-10-1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组合支架和综合组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7557U (ja) * 1993-05-31 1994-12-22 大成建設株式会社 深礎工事用足場
KR20140015069A (ko) * 2012-07-27 2014-02-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메인 통로구조
MX362564B (es) * 2013-01-24 2019-01-25 Conxtech Inc Sistema de reticula de soporte de tuberia, de historia variada, con andamiaje modular para soporte de trabajador, lateral, removiblemente desmon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977A (ko)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24011A1 (ja) 液化ガス運搬船
KR102359479B1 (ko) 컨테이너선의 전장전로 선체 구조
CN111098982A (zh) 一种大型集装箱船的绑扎桥结构
KR100705208B1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장치
KR20120140357A (ko) 컨테이너 선박의 통로블록 제작방법
EP2089267B1 (en) Upper structure of cargo tank in lngc
KR20120001133A (ko) 벌크화물선의 하부스툴 보강 방법
JP7088452B2 (ja) 洋上浮体構造物
KR20120051486A (ko) 유조선의 액화 가스연료 탱크용 플랫폼
KR20130036578A (ko) 트러스 구조가 적용된 선박의 외부 계류 터렛 시스템용 캔틸레버
US4630561A (en) Ship having standardized access ways
KR20130129642A (ko) 컨테이너선 상부 스툴의 수직웨브
KR20140052165A (ko) 선박의 안벽 계류방법
CN212149194U (zh) 一种液化气体船压缩机底部空间的减振加强结构
JP2019142355A (ja) 液体貨物バラ積船
KR20130035028A (ko) 대형 광석운반선의 이중저 늑판 구조
KR102050940B1 (ko) 족장장치
KR200440766Y1 (ko) 핸드레일을 일체로 구비한 래싱로드랙
CN113135264A (zh) 船舶
KR100650607B1 (ko) 부분 수평 종재 및 부분 종방향 형재를 구비한 이중 선체선박
JP4253662B2 (ja) タンカーのマニホールド部の上甲板構造
KR101010768B1 (ko) 선박 화물창의 사이드 통로 제작 방법 및 그 설치구조
KR101280491B1 (ko) 컨테이너선용 래싱 브리지
CN113602437B (zh) 分体式大型海上作业平台结构
KR20140070775A (ko) 영구접근 조립체가 설치된 액화가스운반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