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412B1 -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412B1
KR101559412B1 KR1020140021261A KR20140021261A KR101559412B1 KR 101559412 B1 KR101559412 B1 KR 101559412B1 KR 1020140021261 A KR1020140021261 A KR 1020140021261A KR 20140021261 A KR20140021261 A KR 20140021261A KR 101559412 B1 KR101559412 B1 KR 101559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ater
ballast
water discharge
discharge pipe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0004A (ko
Inventor
장정근
노우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412B1/ko
Publication of KR20150100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유입 혹은 유출할 수 있는 밸러스트 펌프가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 안에 설치되고, 밸러스트 워터 배출을 위하여 상기 밸러스트 펌프에 설치된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를 구비하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로,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가 상기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의 하방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은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격리를 위한 별도의 컴파트먼트(COMPARTMENT)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최단거리로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선박 건조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BALLAST WATER DISCHARGE APPARATUS HAVING BALLAST WATER DISCHARGE PIPE STRUCTURE IN FLOATING LIQUID NATURAL GAS}
본 발명은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가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의 하방으로 배치됨으로써,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격리를 위한 별도의 컴파트먼트(compartment)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최단거리로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는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는 화물의 선적 및 하역을 할 때 선박의 무게중심이 변동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항해를 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의 좌,우로 대칭이 되도록 다수 설치된다.
기관실(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에는 밸러스트 탱크들에 해수를 직접 유입 혹은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밸러스트 펌프가 설치되어 있고, 밸러스트 펌프와 각각의 밸러스트 탱크들은 분배 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밸러스트 탱크에는 원격조정용 밸러스트 밸브들이 구비된다.
밸러스트 시스템은, 선박에 화물이 만재(滿載)되면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유입시키지 않아도 선박의 무게중심이 해수면 아래로 하강하여 파도 등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으나, 선적된 화물이 없는 상태에서 운항하는 경우에는 선박의 무게 중심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기관실에 설치되어 있는 밸러스트 펌프를 구동시키게 된다.
밸러스트 펌프가 구동되면 각각의 밸러스트 탱크에 설치된 밸러스트 밸브가 원격제어에 의하여 열리면서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유입시켜 선박을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게 한다.
선체에는 밸러스트 워터 배출을 위하여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ballast water discharge pipe)가 설치된다.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는 MARPOL Annex 1, Ch4, Reg.30에 따라 오염 확인을 위해 수선 상부까지 배치되어야 하며, 밸러스트 파이핑(ballast piping)이 플랜지 조인트(flange joint)가 있고 카고 탱크(cargo tank)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파이프가 배치되는 모든 구역이 해저드 구역(hazardous area)으로 인정된다.
따라서 PETRONAS FLNG의 경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가 비 해저드 구역인 머시인 구역(machinery space)을 통해서 수선 상부까지 배치되므로, 밸러스트 파이프 격리를 위한 별도 컴파트먼트(compartment)를 추가로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의 배치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의 배치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종래 버텀 플로어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선체의 무게중심이 변동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항해를 하기 위하여 선체 좌,우로 밸러스트 탱크(1)가 설치된다.
선체의 일측에 설치된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2)에는 밸러스트 탱크(1)에 해수를 직접 유입 혹은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밸러스트 펌프(3)가 설치된다.
선체에는 밸러스트 워터 배출을 위하여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4)가 설치되는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4)는 오염 확인을 위해 수선 상부까지 배치된다.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4)가 비 해저드 구역인 머시인 구역을 통해서 수선 상부까지 배치되므로,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4)의 격리를 위한 별도의 컴파트먼트(compartment)(10)(11)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의 배치구조는 PETRONAS FLNG의 경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가 비 해저드 구역인 머시인 구역을 통해서 수선 상부까지 배치되므로,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격리를 위한 별도의 컴파트먼트를 추가로 필요로 하게 되어 선박 건조의 작업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없음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가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의 하방으로 배치됨으로써,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격리를 위한 별도의 컴파트먼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최단거리로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선박 건조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는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유입 혹은 유출할 수 있는 밸러스트 펌프가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 안에 설치되고, 밸러스트 워터 배출을 위하여 밸러스트 펌프에 설치된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를 구비하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로,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가 상기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의 하방으로 배치된다.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가 상기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의 하방으로 배치되는 구조에 의해서,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를 격리하는 별도의 컴파트먼트가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는 상기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의 직 하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터렛으로 시추작업 위치(working filed)에 고정되므로,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밸러스트 워터에 포함된 이물질이 수면으로 부유하는 것을 통해서 밸러스트 워터의 오염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유입 혹은 유출할 수 있는 밸러스트 펌프가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 안에 설치되고, 밸러스트 워터 배출을 위하여 밸러스트 펌프에 설치된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를 설치하는 경우에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가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의 하방으로 배치됨으로써,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격리를 위한 별도의 컴파트먼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가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의 하방으로 최단거리로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를 배치하므로, 선박 건조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의 배치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의 배치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종래 버텀 플로어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를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는,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140)가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130)의 하방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는 밸러스트 탱크(110)에 해수를 유입 혹은 유출할 수 있는 밸러스트 펌프(120)가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130) 안에 설치되고, 밸러스트 워터 배출을 위하여 상기 밸러스트 펌프(120)에 설치된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1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140)는 상기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130)의 하방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140)는 상기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130)의 직 하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140)가 상기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130)의 하방으로 배치되는 구조에 의해서,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140)를 격리하는 별도의 컴파트먼트(10,11)(도 1 참조)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에서는, 밸러스트 탱크(110)에 해수를 유입 혹은 유출할 수 있는 밸러스트 펌프(120)가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130) 안에 설치되고, 밸러스트 워터 배출을 위하여 상기 밸러스트 펌프(120)에 설치된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140)를 구비하는바,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140)가 상기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130)의 하방으로 배치됨으로써, 언더 밸러스트 워터 배출(underwater ballast water discharge)를 하여도 오염확인이 가능하다.
즉, FLNG의 경우에는 터렛으로 시추작업 위치(working filed)에 고정되므로,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140)에서 배출되는 밸러스트 워터에 포함된 이물질이 수면으로 부유하는 것을 통해서 밸러스트 워터의 오염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유입 혹은 유출할 수 있는 밸러스트 펌프가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 안에 설치되고, 밸러스트 워터 배출을 위하여 밸러스트 펌프에 설치된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를 설치하는 경우에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가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의 하방으로 배치됨으로써,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격리를 위한 별도의 컴파트먼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최단거리로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선박 건조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내부 끝단 부에 해수 혹은 이물질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의 중간부에 구스 넥(goose neck)을 형성할 수도 있다.
110: 밸러스트 탱크
120: 밸러스트 펌프
130: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
140: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Claims (6)

  1. 삭제
  2.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유입 혹은 유출할 수 있는 밸러스트 펌프가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 안에 설치되고, 밸러스트 워터 배출을 위하여 상기 밸러스트 펌프에 설치된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를 구비하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로,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가 상기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의 하방으로 배치되며,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가 상기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의 하방으로 배치되는 구조에 의해서,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를 격리하는 별도의 컴파트먼트가 불필요하게 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3.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유입 혹은 유출할 수 있는 밸러스트 펌프가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 안에 설치되고, 밸러스트 워터 배출을 위하여 상기 밸러스트 펌프에 설치된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를 구비하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로,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가 상기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의 하방으로 배치되며,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는 상기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의 직 하방으로 배치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4.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유입 혹은 유출할 수 있는 밸러스트 펌프가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 안에 설치되고, 밸러스트 워터 배출을 위하여 상기 밸러스트 펌프에 설치된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를 구비하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로,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가 상기 밸러스트 워터 펌프 룸의 하방으로 배치되며,
    FLNG가 터렛으로 시추작업 위치(working filed)에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밸러스트 워터에 포함된 이물질이 수면으로 부유하는 것을 통해서 밸러스트 워터의 오염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40021261A 2014-02-24 2014-02-24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KR101559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261A KR101559412B1 (ko) 2014-02-24 2014-02-24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261A KR101559412B1 (ko) 2014-02-24 2014-02-24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004A KR20150100004A (ko) 2015-09-02
KR101559412B1 true KR101559412B1 (ko) 2015-10-12

Family

ID=5424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261A KR101559412B1 (ko) 2014-02-24 2014-02-24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4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469U (ko) 2016-03-30 2017-10-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펌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204B1 (ko) 2007-09-03 2009-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압축공기를 이용한 선박의 빠른 발라스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204B1 (ko) 2007-09-03 2009-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압축공기를 이용한 선박의 빠른 발라스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469U (ko) 2016-03-30 2017-10-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펌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004A (ko)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364B1 (ko) 논-밸러스트선
KR20140029880A (ko) 에어백 폰툰
KR20100084435A (ko) 선박용 밸러스트 시스템
KR101559412B1 (ko)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US10189553B2 (en) Water intake system and floating vessel equipped with such a system
KR102117387B1 (ko)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KR101942560B1 (ko) 선박용 수중작업공간 가설장치
KR20110069241A (ko) 선박의 연료유 탱크 오버플로우 방지 장치
KR20110070428A (ko) 선박의 빌지 시스템
KR101850000B1 (ko) 침몰 방지를 위한 반 잠수식 자항 수송선
CN202345883U (zh) 船用排水挡冲装置
KR101785519B1 (ko) 해양 구조물
JP6366173B2 (ja) 船舶の水タンク
KR101096659B1 (ko) 선박의 기름 유출 방지 설비
KR101744640B1 (ko) 선박용 친환경 밸러스팅 장치
KR101523728B1 (ko)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KR200487932Y1 (ko) 선박의 발라스트 시스템
KR20130138537A (ko) 선박 연료탱크용 에어벤트 조립체
KR20170032574A (ko) 침몰 방지구조를 갖는 선박
KR20170001264U (ko) 헬리데크 구조물
KR20130141054A (ko)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
CN114987687A (zh) 一种用于船坞调试的海底门用的封堵装置及船舶
KR20150062310A (ko) 프리-발라스트 선박
KR20170065846A (ko) 컨테이너선 연료유 탱크의 통기 시스템
KR20120067425A (ko) 부력 조절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