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728B1 -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728B1
KR101523728B1 KR1020130108861A KR20130108861A KR101523728B1 KR 101523728 B1 KR101523728 B1 KR 101523728B1 KR 1020130108861 A KR1020130108861 A KR 1020130108861A KR 20130108861 A KR20130108861 A KR 20130108861A KR 101523728 B1 KR101523728 B1 KR 101523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ge
well
unit
store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885A (ko
Inventor
김현욱
박영수
이동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8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728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는, 선체에 마련되되, 빌지(bilge)가 임시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빌지 웰(bilge well); 선체에 마련되되, 빌지 웰에 저장된 빌지를 선체에 마련된 빌지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빌지 펌핑유닛(pumping unit); 및 선체에 마련되되, 빌지 웰에 저장된 빌지를 선외로 배출하는 빌지 배출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BILGE TRANSFERRING APPARATUS FOR MARIN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빌지로 인해 선체 내부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지(bilge)라 함은, 선내에서 외판이나 배관을 통해 누설된 물이나, 갑판에서 기름에 오염된 물, 또는 화물에서 나온 물 등 선체에 고인 오수를 의미한다.
특히 기름에 오염된 빌지를 정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선외로 방출하는 경우, 해양 오염을 야기할 수 있어 국가마다 이를 엄격하게 단속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들어 선내의 빌지 처리 규율이 한층 높아져, 특정 지역에서는 빌지에 포함된 유분의 허용 함량 기준치가 15ppm에서 5ppm으로 강화되어, 빌지에 포함된 유분의 함량이 5ppm이하의 수준까지 정화되지 못하면 이를 선외로 방출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세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제해사기구의 규정 또한 현재의 15ppm에서 5ppm으로 강화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빌지는 선체에 마련된 빌지 저장탱크로 이송되어 저장된 후, 정화과정을 거쳐 선외로 방출되는데, 이러한 빌지 저장탱크는 선체의 내부에 빌지가 발생하는 구역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화재나 선박의 충돌, 배관의 파단으로 인한 누수 등 선박의 긴급 상황 시에 빌지로 인해 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빌지를 해상으로 배출하여야 할 경우가 있으며, 또한 선체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가 배관이 파단됨에 따라 선체의 내부에서 누설되는 경우 선체의 내부가 침수될 수 있다.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52409(터치센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2012.05.23.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관에서 빌지가 누설되는 등의 긴급 상황 시, 빌지로 인해 선체 내부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마련되되, 빌지(bilge)가 임시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빌지 웰(bilge well); 상기 선체에 마련되되,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를 상기 선체에 마련된 빌지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빌지 펌핑유닛(pumping unit); 및 상기 선체에 마련되되,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를 선외로 배출하는 빌지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빌지 배출유닛은, 상기 빌지 웰과 연통되되, 상기 선체를 관통하여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를 상기 선외로 배출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상기 개폐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구동부는, 상기 개폐밸브에 연결되되, 전기적으로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제1 밸브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구동부는, 상기 개폐밸브에 연결되되, 수동으로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제2 밸브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빌지 펌핑유닛은, 상기 선체에 설치되되,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를 상기 빌지 저장용기로 이송하는 빌지펌프: 및 일단부가 상기 빌지 웰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빌지펌프를 경유하여 상기 빌지 저장탱크에 연결된 파이프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빌지 웰의 상부에는 그레이팅 패널(grating panel)이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 라인의 일단부가 상기 그레이팅 패널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에 침지될 수 있다.
상기 빌지 펌핑유닛 및 상기 빌지 배출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의 수위에 따라 상기 빌지 펌핑유닛 및 상기 빌지 배출유닛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빌지 웰에 설치되되,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의 수위를 검출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빌지의 수위에 대한 신호에 따라 상기 빌지 펌핑유닛 및 상기 빌지 배출유닛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상기 빌지 웰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설치된 제1 센싱부; 및 상기 빌지 웰의 상부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 센싱부의 상부에 이격된 제2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의 수위가 상기 제1 센싱부가 설치된 높이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빌지 펌핑유닛을 구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의 수위가 상기 제2 센싱부가 설치된 높이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빌지 배출유닛을 구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빌지 웰에 저장된 빌지를 빌지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빌지 펌핑유닛과 선외로 배출하는 빌지 배출유닛을 마련함으로써, 배관에서 빌지가 누설되는 등의 긴급 상황 시, 빌지로 인해 선체 내부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 펌핑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 배출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를 이용한 빌지 배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은, 자항능력을 가지며 사람이나 화물을 이송시키는 선박 뿐만 아니라,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PSO : 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부유식 원유 저장 설비(FSU : Floating Storage Unit) 등 화물을 저장 및 하역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 펌핑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 배출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는, 선체(100)에 마련되되 빌지(bilge)가 임시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빌지 웰(bilge well,200)과, 선체(100)에 마련되되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를 선체(100)에 마련된 빌지 저장탱크(170)로 이송하는 빌지 펌핑유닛(300)(pumping unit)과, 선체(100)에 마련되되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를 선외로 배출하는 빌지 배출유닛(400)과, 빌지 펌핑유닛(300) 및 빌지 배출유닛(400)에 연결되되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의 수위에 따라 빌지 펌핑유닛(300) 및 빌지 배출유닛(400)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빌지(bilge)는 선체(100) 내부에서 배관 등을 통해 누설된 물이나, 갑판에서 기름에 오염된 물, 또는 화물에서 나온 물 등 선체(100)에 고인 오수를 의미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해수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선체(100)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해수배관(110)을 통해 해수를 유입하고 해수를 기계실(150) 내의 열교환기의 냉매로 사용하는 경우에, 해수가 해수배관(110)에서 누설됨에 따라 선체(100)의 내부에 고인 오수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빌지 웰(200)은, 선체(100)의 내부 갑판(130)에 마련되어 해수배관(110)에서 누설된 빌지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빌지 웰(200)은 선체(100)의 내부 갑판(130)에 형성되되 빌지가 저장되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의 상부에 설치된 그레이팅 패널(grating panel,230)을 포함한다.
본체부(210)는 해수배관(110) 등에서 누설된 빌지를 빌지 저장탱크(170)로 이송하거나 선외로 배출하기 전에 임시로 저장한다.
해수배관(110)에서 누설된 빌지는 선체(100)의 내부 갑판(130)의 상면을 따라 본체부(210)로 흘러들어가며, 빌지에 포함된 이물질 등은 본체부(210)의 상면에 설치된 그레이팅 패널(230)에 의해 필터링된다.
이처럼, 해수배관(110)에서 누설된 빌지는 빌지 웰(200)에 임시 저장되어, 빌지가 선체(100)의 내부 갑판(130)을 침수시키거나 내부 갑판(130) 전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는 선체(100)에 마련된 빌지 저장탱크(170)로 이송되거나 선외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빌지 펌핑유닛(300)은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를 빌지 저장탱크(170)로 이송하며, 빌지 배출유닛(400)은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를 선외로 배출한다. 특히, 빌지 배출유닛(400)은 해수배관(110)이 파단되어 빌지가 빌지 웰(200)에 유입되는 긴급 상황 시에 빌지를 선외로 배출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빌지 펌핑유닛(300)은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를 빌지 저장탱크(17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빌지 저장탱크(170)는 선체(100)의 내부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빌지 펌핑유닛(300)은, 빌지 웰(200)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를 빌지 저장탱크(170)로 이송한다.
이러한, 빌지 펌핑유닛(300)은, 선체(100)에 설치되되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를 빌지 저장용기로 이송하는 빌지펌프(310)와, 일단부가 빌지 웰(200)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빌지펌프(310)를 경유하여 빌지 저장탱크(170)에 연결된 파이프 라인(330)을 포함한다.
빌지펌프(310)는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를 빌지 저장탱크(17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빌지펌프(310)의 펌프용량은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의 양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파이프 라인(330)의 일단부가 빌지 웰(200)의 그레이팅 패널(230)에 관통 삽입되어 본체부(210) 내부에 저장된 빌지에 침지되고, 파이프 라인(330)의 타단부는 빌지펌프(310)를 경유하여 빌지 저장탱크(170)에 연결된다.
즉,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는 빌지 웰(200)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된 빌지펌프(310)의 작동에 의해 파이프 라인(330)을 따라 빌지 저장탱크(170)로 이송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빌지 배출유닛(400)은,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를 선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빌지 배출유닛(400)은 해수배관(110)이 파단되어 많은 양의 빌지가 빌지 웰(200)로 유입되는 경우와 같이 긴급 상황시에, 빌지가 선체(100) 내부를 침수시킬 수 있으므로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를 선외로 배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빌지 배출유닛(400)은, 빌지 웰(200)과 연통되되 선체를 관통하여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를 선외로 배출하는 배출관(410)과, 배출관(410)에 설치되되 배출관(41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430)와, 개폐밸브(430)에 연결되어 개폐밸브(430)를 작동시키는 밸브 구동부(450)를 포함한다.
배출관(410)은 일단부가 빌지 웰(200)의 내부에 수용되며 타단부가 선체를 관통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는 배출관(410)을 통해 선외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관(410)에는 빌지를 선외로 배출하기 위한 개폐밸브(430)가 설치되며, 개폐밸브(430)의 작동은 밸브 구동부(450)에 의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구동부(450)는, 개폐밸브(430)에 연결되되 전기적으로 개폐밸브(430)를 작동시키는 제1 밸브 구동부(451)와, 개폐밸브(430)에 연결되되 수동으로 개폐밸브(430)를 작동시키는 제2 밸브 구동부(453)를 포함한다.
제1 밸브 구동부(451)는 개폐밸브(430)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제2 밸브 구동부(453)는 특히, 제1 밸브 구동부(451)의 고장시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개폐밸브(43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제2 밸브 구동부(453)는 제1 밸브 구동부(451)의 오작동에 따른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빌지 펌핑유닛(300) 및 빌지 배출유닛(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를 빌지 저장탱크(170) 및 선외로 배출하는 데 있어서 빌지 펌핑유닛(300) 및 빌지 배출유닛(400)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는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의 수위에 따라 빌지를 빌지 저장탱크(170) 또는 선외로 배출하도록 빌지 펌핑유닛(300) 및 빌지 배출유닛(400)을 작동시킨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빌지 웰(200)에 설치되되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의 수위(H)를 검출하는 센싱부(500)와, 센싱부(500)로부터 수신한 빌지의 수위(H2)에 대한 신호에 따라 빌지 펌핑유닛(300) 및 빌지 배출유닛(400)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센싱부(500)는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의 수위(H)를 검출하는 역할을 하는데, 센싱부(50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빌지 웰(200)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설치된 제1 센싱부(510)와, 빌지 웰(200)의 상부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제1 센싱부(510)의 상부에 이격된 제2 센싱부(530)를 포함한다.
제1 센싱부(510)의 설치 위치(H1)는 빌지 웰(200)의 본체부(210) 바닥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의 수위(H)가 제1 센싱부(510)가 설치된 높이(H1) 이상인 경우에 제1 센싱부(510)는 빌지 펌핑유닛(300)을 구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빌지 펌핑유닛(300)의 파이프 라인(330)의 일단부는 제1 센싱부(510)가 설치된 위치(H1)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빌지 펌핑유닛(300)의 빌지펌프(310)는 제1 센싱부(510)의 출력신호에 따른 제어 구동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를 빌지 저장탱크(170)로 이송한다.
그리고, 제2 센싱부(530)의 설치위치(H2)는 제1 센싱부(510)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고 빌지 웰(200)의 본체부(210) 상부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의 수위(H)가 제2 센싱부(530)가 설치된 높이(H2) 이상인 경우에 제2 센싱부(530)는 빌지 배출유닛(400)을 구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빌지 배출유닛(400)의 배출관(410)은 제2 센싱부(530)가 설치된 위치(H2)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빌지 배출유닛(400)의 배출관(410)은 제2 센싱부(530)의 출력신호에 따른 제어 구동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를 선외로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를 이용한 빌지 배출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를 이용한 빌지 배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해수배관(110)에서 누설된 빌지 또는 해부배관의 파단으로 인한 누설된 빌지는 선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빌지 웰(200)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빌지로 인해 선체(100) 내부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는 빌지 저장탱크(170)로 이송되거나 선외로 배출되어야 한다.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를 선택적으로 빌지 저장탱크(170)로 이송하거나 선외로 배출하기 위해. 먼저 빌지 웰(200)에 저장된 빌지의 수위(H)를 검출한다(S100).
그리고, 빌지의 수위(H)가 제1 센싱부(510)의 설치높이(H1)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00).
그리고, 빌지의 수위(H)가 제1 센싱부(510)의 설치높이(H1) 이상인 경우에, 빌지의 수위(H)가 제2 센싱부(530)의 설치높이(H2)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00).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빌지의 수위(H)가 제1 센싱부(510)의 설치높이(H1) 이상이나 제2 센싱부(530)의 설치높이(H2) 보다 낮은 경우에, 제1 센싱부(510)는 빌지 펌핑유닛(300)을 구동시키는 신호를 제어 구동부에 송신하고, 제어 구동부는 수신된 제1 센싱부(510)의 신호에 따라 빌지 펌핑유닛(300)의 빌지펌프(310)를 동작시켜 빌지를 빌지 저장탱크(170)로 이송한다(S400).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빌지의 수위(H)가 제2 센싱부(530)의 설치높이(H2) 이상인 경우에, 제2 센싱부(530)는 빌지 배출유닛(400)을 구동시키는 신호를 제어 구동부에 송신하고, 제어 구동부는 수신된 제2 센싱부(530)의 신호에 따라 빌지 배출유닛(400)의 배출관(410)을 개방하여 빌지를 선외로 배출한다(S50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선체 110: 해수배관
130: 내부 갑판 150: 기계실
170: 빌지 저장탱크 200: 빌지 웰
210: 본체부 230: 그레이팅 패널
300: 빌지 펌핑유닛 310: 빌지펌프
330: 파이프 라인 400: 빌지 배출유닛
410: 배출관 430: 개폐밸브
450: 밸브 구동부 451: 제1 밸브 구동부
453: 제2 밸브 구동부 500: 센싱부
510: 제1 센싱부 530: 제2 센싱부

Claims (9)

  1. 선체에 마련되되, 빌지(bilge)가 임시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빌지 웰(bilge well);
    상기 선체에 마련되되,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를 상기 선체에 마련된 빌지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빌지 펌핑유닛(pumping unit); 및
    상기 선체에 마련되되,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를 선외로 배출하는 빌지 배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빌지 배출유닛은,
    상기 빌지 웰과 연통되되, 상기 선체를 관통하여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를 상기 선외로 배출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상기 개폐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구동부는,
    상기 개폐밸브에 연결되되, 전기적으로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제1 밸브 구동부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구동부는,
    상기 개폐밸브에 연결되되, 수동으로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제2 밸브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빌지 펌핑유닛은,
    상기 선체에 설치되되,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를 상기 빌지 저장용기로 이송하는 빌지펌프: 및
    일단부가 상기 빌지 웰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빌지펌프를 경유하여 상기 빌지 저장탱크에 연결된 파이프 라인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빌지 웰의 상부에는 그레이팅 패널(grating panel)이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 라인의 일단부가 상기 그레이팅 패널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에 침지되는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빌지 펌핑유닛 및 상기 빌지 배출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의 수위에 따라 상기 빌지 펌핑유닛 및 상기 빌지 배출유닛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빌지 웰에 설치되되,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의 수위를 검출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빌지의 수위에 대한 신호에 따라 상기 빌지 펌핑유닛 및 상기 빌지 배출유닛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빌지 웰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설치된 제1 센싱부; 및
    상기 빌지 웰의 상부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 센싱부의 상부에 이격된 제2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의 수위가 상기 제1 센싱부가 설치된 높이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빌지 펌핑유닛을 구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빌지 웰에 저장된 상기 빌지의 수위가 상기 제2 센싱부가 설치된 높이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빌지 배출유닛을 구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KR1020130108861A 2013-09-11 2013-09-11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KR101523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861A KR101523728B1 (ko) 2013-09-11 2013-09-11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861A KR101523728B1 (ko) 2013-09-11 2013-09-11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885A KR20150029885A (ko) 2015-03-19
KR101523728B1 true KR101523728B1 (ko) 2015-05-28

Family

ID=53024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861A KR101523728B1 (ko) 2013-09-11 2013-09-11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901Y1 (ko) * 2015-08-11 2017-03-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빌지 배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428A (ko) * 2009-12-18 2011-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빌지 시스템
KR20110009410U (ko) * 2010-03-29 2011-10-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빌지 회수 장치
KR20120094661A (ko) * 2011-02-17 2012-08-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 또는 선박의 빌지 이송장치
KR20130142513A (ko) * 2012-06-19 2013-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빌지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428A (ko) * 2009-12-18 2011-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빌지 시스템
KR20110009410U (ko) * 2010-03-29 2011-10-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빌지 회수 장치
KR20120094661A (ko) * 2011-02-17 2012-08-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 또는 선박의 빌지 이송장치
KR20130142513A (ko) * 2012-06-19 2013-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빌지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885A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67253A (ja) 船舶構造
KR101183611B1 (ko)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를 구비한 해양구조물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US4623452A (en) Dockside system for the collection and disposal of bilge water and waste oil
KR101319365B1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
KR20090010614A (ko) 액화 천연 가스 화물 운반선의 빌지 처리장치
KR101523728B1 (ko)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KR101501970B1 (ko) 긴급 상황의 경우에 오염 유발 액체를 회수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부유 선박 및 이러한 오염 유발 액체의 회수 방법
KR101167917B1 (ko) 선박의 빌지 시스템
US8186293B2 (en) Device for an inert gas installation on a floating vessel
KR20130142513A (ko) 빌지 처리 장치
KR101850000B1 (ko) 침몰 방지를 위한 반 잠수식 자항 수송선
US5388541A (en) Tanker ship design for reducing cargo spillage
NO337589B1 (no) Anordning for gjenvinning av et forurensende fluid inneholdt i tankene i et forlist fartøy
KR101470743B1 (ko) 기름포집장치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101411494B1 (ko) 횡동요 저감형 선박
US7527008B2 (en) Ballast material and oil pollution prevention management system
KR101390493B1 (ko) 평형수 처리용 선박
KR101559412B1 (ko)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KR101744640B1 (ko) 선박용 친환경 밸러스팅 장치
EA007211B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загрязняющей жидкости, содержащейс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одной поперечной секции танков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KR101096659B1 (ko) 선박의 기름 유출 방지 설비
JP2020158057A (ja) ばら積み貨物船
KR101802203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KR101487405B1 (ko) 선박용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20150028439A (ko) 자연 유하식 적하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