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493B1 - 평형수 처리용 선박 - Google Patents

평형수 처리용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493B1
KR101390493B1 KR1020120153464A KR20120153464A KR101390493B1 KR 101390493 B1 KR101390493 B1 KR 101390493B1 KR 1020120153464 A KR1020120153464 A KR 1020120153464A KR 20120153464 A KR20120153464 A KR 20120153464A KR 101390493 B1 KR101390493 B1 KR 10139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ater
hull
water treatment
vessel
pip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여환
김명기
맹승범
진종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3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평형수 처리용 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용 선박은, 선체; 상기 선체와 대상 선박을 연결하고, 상기 대상 선박으로부터 평형수를 공급받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평형수를 제공 받아 처리하는 평형수 처리부; 상기 연결부와 상기 평형수 처리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평형수를 이송하는 제1 배관라인; 상기 평형수 처리부에 연결되어 처리된 상기 평형수를 상기 선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선박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평형수 처리용 선박{Vessel for treatment of ballast water}
본 발명은 평형수 처리용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 선박으로부터 평형수를 용이하게 공급받고 대상 선박의 특성에 따라 평형수를 처리할 수 있는 평형수 처리용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균형유지 및 일정한 흘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선체의 하부에 평형수 탱크를 설치한다. 선적되는 화물의 양에 따라 평형수 탱크에 유입되는 평형수의 양을 조절하여 선박의 균형을 맞추게 된다. 이러한 평형수는 해수를 사용하며, 출발지의 해상에서 평형수 탱크에 채워진 해수는 목적지의 해상에 배출된다. 그러나 해수를 수처리 하지 않고 해상에 배출하는 경우, 환경오염과 해양 생태계 변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선박에 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하여, 해수에 포함된 미생물 및 이물질 등을 수처리한 후 해상에 배출하도록 한다.
한편, 평형수 탱크에 유입되는 평형수의 양은 수십 톤에서 수백 톤의 대용량으로, 짧은 시간 안에 대용량의 평형수를 수처리 하기 위한 평형수 처리장치는 고가이며 장치의 부피 또한 크다. 이러한 평형수 처리장치를 선박에 설치할 경우, 선체 내부에 설치되는 장비 및 관련 설비로 인해 설치공간이 협소하여 평형수 처리 장치의 배치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선박에 평형수 처리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고가의 비용으로 인해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상 선박으로부터 평형수를 용이하게 공급받고 대상 선박의 특성에 따라 평형수를 처리할 수 있는 평형수 처리용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용 선박은, 선체와, 상기 선체와 대상 선박을 연결하고 상기 대상 선박으로부터 평형수를 공급받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평형수를 제공 받아 처리하는 평형수 처리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평형수 처리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평형수를 이송하는 제1 배관라인과, 상기 평형수 처리부에 연결되어 처리된 상기 평형수를 상기 선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선체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와 상기 평형수 처리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평형수를 이송하는 제2 배관라인, 및 상기 제2 배관라인 상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 선박으로부터 상기 평형수를 회수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형수가 상기 제2 배관라인을 통하여 상기 평형수 처리부에 도달하면 상기 펌프는 가동이 중지될 수 있다.
상기 펌프가 가동 중지된 이후, 상기 평형수는 상기 제1 배관라인을 통하여 상기 평형수 처리부에 이송될 수 있다.
상기 부력조절부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대상 선박에 연결되어 상기 평형수를 공급받을 때, 상기 선체의 부력을 줄여 상기 선체를 수면 아래로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부력조절부는, 내부에 해수가 수용되는 탱크부와, 상기 탱크부와 상기 선체 외부를 연통하며, 상기 해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수 출입구, 및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상기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선체로부터 수직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평형수를 공급받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평형수 처리부와 펌프를 구비하여, 대상 선박의 특성에 맞추어 평형수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용 선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형수 처리용 선박을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평형수 처리용 선박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용 선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용 선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형수 처리용 선박을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용 선박(1)은 평형수 처리 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선박의 평형수 처리를 돕는 선박으로써, 화물 적재선 또는 부유식 구조물 등에 다양하게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평형수 처리용 선박(1)은 선체(10)를 수면 아래로 하강시켜 대상 선박(100)으로부터 평형수를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며, 평형수 처리 장치와 평형수 펌프를 구비하고 있어 대상 선박(100)의 특성에 맞추어 평형수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평형수 처리용 선박(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용 선박(1)은 선체(10)와, 선체(10)를 대상 선박(100)에 연결하는 연결부(20)와, 평형수를 처리하는 평형수 처리부(30)와, 연결부(20)와 평형수 처리부(30)를 연결하는 제1 배관라인(40)과, 평형수를 선체(10)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50), 및 부력조절부(60)를 포함한다.
평형수 처리용 선박(1)은 해상에서 부유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추진장치를 구비하고 있어 자체적으로 항해할 수 있다. 선체(10)는 외측에 방수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갑판(11)이 형성될 수 있다. 갑판(11)은 선체(10)의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갑판(11)의 일 측에는 연결부(20)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20)는 선체(10)와 대상 선박(100)을 연결하는 것으로, 선체(10) 외부로 돌출되어 대상 선박(100)으로부터 평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연결부(20)는 선체(10) 상부에 위치하며, 중공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0)는 선체(10)로부터 수직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21), 제2 연결부(22), 제3 연결부(23) 및 제4 연결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1)는 선체(10)의 갑판(11)에 결합되며, 연결부(20)를 지지하여 선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연결부(21)는 일 측이 갑판(11)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타 측은 제2 연결부(22)가 내접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21)의 내측에서 제2 연결부(22)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연결부(21)에 연통되거나 중첩되는 구조이다. 제1 연결부(21)와 제2 연결부(22) 사이에는 수밀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평형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2)는 제1 연결부(2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중공형의 관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딩 이동하더라도 제1 연결부(21)를 이탈할 수는 없다. 제2 연결부(22)는 일 측이 제1 연결부(21)에 내접하고, 타 측은 제3 연결부(23)가 내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22)의 내측에서 제3 연결부(23)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 연결부(22)에 연통되거나 중첩되는 구조이다. 제2 연결부(22)와 제3 연결부(23) 사이에는 수밀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평형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연결부(23)는 제2 연결부(2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중공형의 관으로, 굴절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결부(23)는 제2 연결부(22)의 길이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굴절되어 연장된 후 다시 수직 방향으로 굴절되어 갑판(11)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결부(23)는 슬라이딩 이동하더라도 제2 연결부(22)를 이탈할 수는 없으며, 일 측이 제2 연결부(22)에 내접하고 타 측은 제4 연결부(24)가 내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연결부(23)의 내측에서 제4 연결부(24)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3 연결부(23)에 연통되거나 중첩되는 구조이다. 제3 연결부(23)는 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 시에는 회전하여 선체(10)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작업이 끝난 후에는 다시 회전하여 선체(10) 내측으로 수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연결부(23)와 제4 연결부(24) 사이에는 수밀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평형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연결부(24)는 제3 연결부(23)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중공형의 관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더라도 제3 연결부(23)를 이탈할 수는 없다. 제4 연결부(24)는 일 측이 제3 연결부(23)에 내접하고, 타 측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22), 제3 연결부(23) 및 제4 연결부(24)가 다단계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제4 연결부(24)는 대상 선박(100)의 평형수 탱크(101)에 연결되어 평형수 탱크(101) 내부의 평형수를 선체(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20)의 일 측에는 제1 배관라인(4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배관라인(40)은 연결부(20)를 통해 공급된 평형수를 이송하는 통로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중공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평형수 탱크(101)의 내부에 평형수 펌프(102)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평형수는 제1 배관라인(40)을 통하여 이송된다. 제1 배관라인(40)의 일 측에는 제1 밸브(4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밸브(4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평형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배관라인(40)은 일단부가 제1 연결부(21)에 결합되어 연통되고, 타단부는 평형수 처리부(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배관라인(40)은 연결부(20)와 평형수 처리부(30) 사이를 연결하여 평형수 처리부(30)로 평형수를 이송한다.
평형수 처리부(30)는 연결부(20)로부터 평형수를 제공받아 처리하는 장치로, 선체(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평형수 처리부(30)는 살균장치 및 여과장치 등을 이용하여 평형수에 포함된 생물 또는 미생물을 살균시키거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평형수 처리부(30)는 화학 약품을 이용하여 평형수를 처리시킬 수 있다. 그러나 평형수 처리부(30)가 화학 약품을 이용하여 평형수를 처리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형수 처리부(30)는 열, 적외선 등의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평형수를 처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평형수 처리부(30)를 통해 처리된 평형수는 배출부(50)를 통해 해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부(50)는 처리된 평형수를 선체(10)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중공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50)는 일 측이 평형수 처리부(3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선체(1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선체(1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부(50)가 선체(10)의 상부를 관통하는 구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배출부(50)가 선체(10)의 외부와 연통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배출부(50)는 일 측에 제3 밸브(5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3 밸브(5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평형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배관라인(40)의 일 측에는 제2 배관라인(7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배관라인(70)이 제1 배관라인(40)에 결합되는 구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2 배관라인(70)이 결합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관라인(70)은 연결부(20)의 일 측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배관라인(70)은 연결부(20)를 통해 공급된 평형수를 이송하는 통로로, 중공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평형수 탱크(101)의 내부에 평형수 펌프(102)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평형수는 제2 배관라인(70)을 통하여 이송된다. 제2 배관라인(70)의 일 측에는 제2 밸브(7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밸브(7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평형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배관라인(70)은 일단부가 제1 배관라인(4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연통되고, 타단부는 평형수 처리부(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배관라인(70)은 연결부(20)와 평형수 처리부(30) 사이를 연결하여 평형수 처리부(30)로 평형수를 이송한다. 이러한 제2 배관라인(70)에는 펌프(72)가 결합될 수 있다.
펌프(72)는 대상 선박(100)으로부터 평형수를 회수하는 것으로, 제2 배관라인(70)상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관라인(70) 상에 펌프(72)가 설치됨으로써, 평형수 펌프(102)를 구비하지 않은 대상 선박(100)의 평형수도 공급받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선체(1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부력조절부(60)가 설치될 수 있다. 부력조절부(60)는 선박의 부력을 조절하여 선체(10)를 침강시키거나 부상시키는 것으로, 선체(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부력조절부(60)가 선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부력조절부(60)가 설치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부력조절부(60)는 연결부(20)가 대상 선박(100)에 연결되어 평형수를 공급받을 때, 선체(10)의 부력을 줄여 선체(10)를 수면 아래로 하강시킨다. 부력조절부(60)가 선체(10)를 수면 아래로 하강시킴으로써, 펌프(72)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이펀(siphon)의 원리에 의해 평형수 탱크(101)로부터 평형수를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며, 평형수를 공급받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다.
사이펀의 원리는 높은 곳에 위치하는 액체 면에 대기압이 작용하게 되어 액체가 관으로 밀어 올려지는 것을 이용한 원리이다. 이 때, 낮은 곳에 위치하는 액체 면에도 대기압이 작용하지만, 높은 곳에 위치하는 액체 면에 작용하는 대기압의 크기가 더 크므로 액체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선체(10)를 대상 선박(100)에 대하여 낮게 배치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없이도 평형수는 연결부(20)를 통해 선체(1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평형수 펌프(102)를 구비하지 않은 대상 선박(100)의 평형수를 처리하는 경우, 초기에 펌프(72)를 작동하여 평형수가 제2 배관라인(70)을 통해 평형수 처리부(30)로 이송되도록 한 후, 펌프(72)의 작동을 멈추어 제1 배관라인(40)을 통해 평형수가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선체(10)는 대상 선박(100)에 대하여 낮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펌프(72)의 작동을 멈추더라도 평형수는 계속 제1 배관라인(40)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펌프(72)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부력조절부(60)는 탱크부(61)와, 해수 출입구(62) 및 배출펌프(63)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부(61)는 내부에 해수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선체(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탱크부(61)에는 적어도 하나의 해수 출입구(62)가 형성될 수 있다.
해수 출입구(62)는 해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곳으로, 탱크부(61)의 하단부와 선체(10)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해수 출입구(62)가 설치됨으로써, 탱크부(61)의 내부와 선체(10)의 외부는 연통될 수 있다. 해수 출입구(62)는 밀폐부재(도시되지않음)에 의해 개방되거나 밀폐될 수 있으며, 밀폐부재는 별도의 구동장치(도시되지않음)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탱크부(61)의 내부에는 배출펌프(63)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펌프(63)는 탱크부(61)에 수용된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탱크부(61)의 바닥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배출펌프(63)가 탱크부(61)의 바닥부에 설치됨으로써, 탱크부(61)에 수용된 해수가 적은 경우에도 해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평형수 처리용 선박(1)의 동작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평형수 처리용 선박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용 선박(1)은 수면 아래로 선체(10)를 하강시킬 수 있어 대상 선박(100)으로부터 평형수를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며, 평형수를 공급받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평형수 처리부(30)와 펌프(72)를 구비하고 있어 대상 선박(100)의 특성에 맞추어 평형수를 처리할 수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평형수의 처리가 필요한 대상 선박(100)이 근접하게 위치한 경우, 선체(10)는 수면 아래로 하강한다.
선체(10)의 상부에는 연결부(20)가 결합되고, 연결부(20)는 다단계로 내접하여 중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연결부(20)는 제1 배관라인(40)과 연통되며, 제1 배관라인(40) 상에는 제1 밸브(41)가 형성된다. 제1 배관라인(40)은 평형수 처리부(30)와 연결되며, 일 측에 제2 배관라인(70)이 결합된다. 제2 배관라인(70)은 평형수 처리부(30)와 연결되며, 제2 배관라인(70) 상에는 제2 밸브(71)와 펌프(72)가 형성된다. 평형수 처리부(30)에는 배출부(50)가 결합되며, 배출부(50) 상에는 제3 밸브(51)가 형성된다. 선체(10)의 하부에는 부력조절부(60)가 설치되며, 탱크부(61)에는 해수 출입구(62)와 배출펌프(63)가 형성된다.
선체(10)가 수면 위에 부유하는 경우, 평형수 탱크(101)와 평형수 처리부(30)의 높이차이(h1)은 작다. 높이차이가 작으면 펌핑효율이 적어지므로, 선체(10)를 수면 아래로 하강시켜 펌핑효율을 높일 수 있다.
선체(10)를 하강시키기 위해, 부력조절부(60)의 해수 출입구(62)를 개방한다. 해수 출입구(62)를 개방함으로써, 탱크부(61)의 내부에는 해수가 수용된다. 탱크부(61)에 해수가 수용되면서, 부력이 감소하게 되어 선체(10)는 점차 수면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선체(10)가 하강하면, 해수 출입구(62)를 밀폐하여 탱크부(61)에 수용된 해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연결부(20)는 다단계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평형수 펌프(102)를 구비한 대상 선박(100)의 경우, 제1 배관라인(40)을 통해 평형수를 이송한다.
선체(10)가 하강하여 수면 아래로 배치되면, 평형수 탱크(101)와 평형수 처리부(30)의 높이차이(h2)는 커진다. 따라서 펌핑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선체(10)가 수면 아래에 배치되면, 연결부(20)가 다단계로 연장되어 제4 연결부(24)는 대상 선박(100)의 평형수 탱크(101)에 연결된다. 제4 연결부(24)가 평형수 탱크(101)의 평형수 펌프(102)에 연결됨으로써, 평형수는 제3 연결부(23), 제2 연결부(22), 및 제1 연결부(21)를 지나 제1 배관라인(40)으로 공급된다. 이 때, 제1 배관라인(40) 상에 설치된 제1 밸브(41)를 개방하여, 평형수가 원활하게 평형수 처리부(30)로 공급되도록 한다. 평형수는 평형수 처리부(30)에서 각종 미생물 및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처리된다.
한편, 평형수가 평형수 처리부(30)에 도달하면, 제4 연결부(24)를 평형수 펌프(102)와 분리한다. 선체(10)는 대상 선박(100)에 대하여 낮은 위치에 있으므로, 제4 연결부(24)를 평형수 펌프(102)와 분리하더라도 평형수는 계속 연결부(20)를 통해 제1 배관라인(40)을 지나 평형수 처리부(30)로 공급된다. 따라서 평형수 펌프(102)를 작동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에너지 소비 없이 평형수의 이송이 가능하다.
평형수 처리부(30)에서 처리된 평형수는 배출부(50)로 이송되며, 제3 밸브(51)를 개방하여 평형수를 해상으로 배출한다.
반대로, 평형수 펌프(102)를 구비하지 않은 대상 선박(100)의 경우, 제2 배관라인(70)을 통해 평형수를 이송한다.
선체(10)가 수면 아래에 배치되면, 제4 연결부(24)는 연장되어 대상 선박(100)의 평형수 탱크(101)에 연결된다. 제4 연결부(24)가 평형수 탱크(101)에 연결되면, 제2 배관라인(70) 상에 설치된 제2 밸브(71)를 개방하고 펌프(72)를 작동시킨다. 펌프(72)가 작동함으로써, 평형수는 제3 연결부(23), 제2 연결부(22), 제1 연결부(21)를 차례로 지나 제2 배관라인(70)으로 공급된다. 공급된 평형수는 평형수 처리부(30)에서 처리된다.
한편, 평형수가 평형수 처리부(30)에 도달하면, 제2 밸브(71)를 폐쇄하여 펌프(72)의 작동을 제어한 후 제1 밸브(41)를 개방한다. 선체(10)는 대상 선박(100)에 비해 낮은 위치에 있으므로, 사이펀의 원리에 의하여 평형수 탱크(101)에 상대적으로 큰 대기압이 작용하게 되어 연결부(20)를 통해 평형수가 이송된다. 따라서, 펌프(72)의 작동을 멈추더라도 평형수는 제1 배관라인(40)으로 이송되며, 펌프(72)의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제1 배관라인(40)으로 이송된 평형수는 평형수 처리부(30)에서 처리된 후 배출부(50)를 통해 해상으로 배출된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평형수의 처리가 끝난 경우, 선체(10)는 수면 위로 상승한다.
선체(10)를 수면 위로 상승시키기 위해, 부력조절부(60)의 해수 출입구(62)를 개방한다. 해수 출입구(62)를 개방함으로써, 탱크부(61) 내부의 해수는 해상으로 배출된다. 이 때, 배출펌프(63)를 작동하여 해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탱크부(61)에 해수가 배출되면서, 부력이 증가하게 되어 선체(10)는 점차 수면 위로 상승하게 된다. 선체(10)가 상승하면, 해수 출입구(62)를 밀폐하여 탱크부(61)에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연결부(20)는 다단계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여 중첩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평형수 처리용 선박 10. 선체
11. 갑판 20. 연결부
21. 제1 연결부 22. 제2 연결부
23. 제3 연결부 24. 제4 연결부
30. 평형수 처리부 40. 제1 배관라인
41. 제1 밸브 50. 배출부
51. 제3 밸브 60. 부력조절부
61. 탱크부 62. 해수 출입구
63. 배출펌프 70. 제2 배관라인
71. 제2 밸브 72. 펌프
100. 대상 선박 101. 평형수 탱크
102. 평형수 펌프

Claims (7)

  1. 선체; 상기 선체와 대상 선박을 연결하고, 상기 대상 선박으로부터 평형수를 공급받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평형수를 제공 받아 처리하는 평형수 처리부;
    상기 연결부와 상기 평형수 처리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평형수를 이송하는 제1 배관라인;
    상기 평형수 처리부에 연결되어 처리된 상기 평형수를 상기 선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선체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부를 포함하는 평형수 처리용 선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평형수 처리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평형수를 이송하는 제2 배관라인; 및
    상기 제2 배관라인 상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 선박으로부터 상기 평형수를 회수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평형수 처리용 선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수가 상기 제2 배관라인을 통하여 상기 평형수 처리부에 도달하면 상기 펌프는 가동이 중지되는 평형수 처리용 선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가 가동 중지된 이후, 상기 평형수는 상기 제1 배관라인을 통하여 상기 평형수 처리부에 이송되는 평형수 처리용 선박.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부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대상 선박에 연결되어 상기 평형수를 공급받을 때, 상기 선체의 부력을 줄여 상기 선체를 수면 아래로 하강시키는 평형수 처리용 선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부는, 내부에 해수가 수용되는 탱크부;
    상기 탱크부와 상기 선체 외부를 연통하며, 상기 해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수 출입구; 및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상기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를 포함하는 평형수 처리용 선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선체로부터 수직 길이가 조절되는 평형수 처리용 선박.
KR1020120153464A 2012-12-26 2012-12-26 평형수 처리용 선박 KR10139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464A KR101390493B1 (ko) 2012-12-26 2012-12-26 평형수 처리용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464A KR101390493B1 (ko) 2012-12-26 2012-12-26 평형수 처리용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493B1 true KR101390493B1 (ko) 2014-04-30

Family

ID=5065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464A KR101390493B1 (ko) 2012-12-26 2012-12-26 평형수 처리용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4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538B1 (ko) * 2016-04-25 2018-03-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평형수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선박
KR102107675B1 (ko) * 2018-12-07 2020-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외부 평형수 처리용 선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3098A (ja) * 2009-07-31 2010-01-2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バラスト処理水供給船
KR20130102231A (ko) * 2012-03-07 2013-09-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 수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3098A (ja) * 2009-07-31 2010-01-2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バラスト処理水供給船
KR20130102231A (ko) * 2012-03-07 2013-09-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 수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538B1 (ko) * 2016-04-25 2018-03-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평형수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선박
KR102107675B1 (ko) * 2018-12-07 2020-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외부 평형수 처리용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374B1 (ko) 잠수정용 가변부력 제어장치
KR101183611B1 (ko)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를 구비한 해양구조물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20100010624A (ko) 선박 균형유지 장치
KR101319365B1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
KR101390493B1 (ko) 평형수 처리용 선박
US5785865A (en) Watercraft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20000037079A (ko) 연속회분식 반응조 공정의 부유식 배출장치
CN109987206B (zh) 一种大深度自然循环常压式海水交换系统
KR20040042229A (ko) 자연부상식 상등수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KR100932312B1 (ko) 침몰한 선박의 탱크의 적어도 하나의 횡단 구역에 포함된오염 유체 회수 장치
CN104192982B (zh) 无需额外动力的mbr脉冲曝气装置及设有该装置的曝气系统
KR20130061996A (ko)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KR100592038B1 (ko) 고형물과 액상물질로 층분리된 오폐수로부터 액상물질을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
JP6389074B2 (ja) 海水交換装置
KR101701470B1 (ko) 진공 증발식 조수 장치
KR102043323B1 (ko) 선박 자세 제어 시스템
KR20120056402A (ko) 선박용 에어벤트라인의 드레인배출장치 설치구조
KR200453349Y1 (ko) 선박 접안 시설물
KR101122271B1 (ko) 선박용 식수공급장치
KR20130061999A (ko) 세미리그용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KR20150119308A (ko)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744640B1 (ko) 선박용 친환경 밸러스팅 장치
KR101559412B1 (ko)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KR20000002091U (ko)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장치
KR101824122B1 (ko) 선박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