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996A -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996A
KR20130061996A KR1020110128365A KR20110128365A KR20130061996A KR 20130061996 A KR20130061996 A KR 20130061996A KR 1020110128365 A KR1020110128365 A KR 1020110128365A KR 20110128365 A KR20110128365 A KR 20110128365A KR 20130061996 A KR20130061996 A KR 20130061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active material
ballast water
semi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8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1996A/ko
Publication of KR2013006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1Build in apparatus for autonomous on board water supply and wastewater treatment (e.g. for aircrafts, cruiseships, oil drilling platforms, railway trains, space s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6Recirculation with an external loo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Abstract

세계적으로 연간 100억톤 이상 이용되는 선박 밸러스트 수에 포함되어 다른 생태계로 전파되고 있는 외래 생물종 및 병원균에 대한 해양환경 및 생태계 보호를 위해 해양 구조물에 적합한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개발하여 고가의 대형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를 설치해야하는 비용을 절감하였고, 해양구조물의 중량감소, 전력 소모 감소, 설치공간의 절약 등을 가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Gravity type integrated device of treating ballast water for semi-rig}
본 발명은 세미리그에 사용되는 밸러스트 수 중에 생식하는 미생물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세미리그용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운항시 선박에 화물이 충분히 적재되지 않은 경우에 추진기와 방향타가 물 속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고 물 밖에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이 운항할 때 선박의 평형을 유지하고 최적의 속도와 효율을 내기 위해 선박 내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채워 적정 흘수를 유지한다.
이 때 밸러스트 탱크에 채워지는 해수를 밸러스트 수라고 하며, 선박의 균형유지와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밸러스트 수는 하역항을 출항하기 전에 선내에 넣고, 적재항에 입항하기 전 혹은 적하를 적재할 때에 배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밸러스트 수는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고 양륙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주입ㆍ배출되며, 선박이 이동하면 밸러스트 수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밸러스트 수는 펌프 등에 의해 급수되어 선박 내부의 밀폐된 구획에 수용된다. 이 때, 밸러스트 수는 급수지역에 생식하는 플랑크톤이나 세균 등의 각종 미생물, 조개류 등의 수생 생물이 혼입되어 있으며, 이러한 밸러스트 수를 적재항 부근의 연안이나 항만 등에 배출하면, 주변 해역의 생태계가 어지럽혀지게 된다.
또한, 밸러스트 수는 장기간에 걸쳐 폐쇄적이고 빛이 없는 상태로 유지 되는 점에서 용존 산소량이 저하되어 있어, 이러한 빈(貧)산소 상태의 밸러스트 수를 배출하는 것에 의해서도 주변 해역의 생물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밸러스트 수가 외국의 항만 등에 배출되어 '원하지 않는 유해 수중 유기체'의 이동 통로로 작용한다면, 기존의 토착 해양생태계를 파괴할 뿐 아니라 병원균 및 독성 생물체의 인체 유입으로 건강을 위협하게 되며, 이 같은 외래 생물종을 처리하는데 상당한 비용이 들게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선박 밸러스트 수에 의한 피해가 확산됨에 따라 국제해사기구(IMO)는 이런 심각성을 인식해서 '선박 밸러스트 수와 침전물 관리 국제협약'을 채택하여 2011년부터 밸러스트 수 교환기준이 적용되고, 2012년부터 Semi-Rig 등 부유식 해양 구조물(Offshore Floating Vessel)에 선박평형수처리(Ballast Water Treatment) 장비를 설치하도록 의무화하고, 2017년 이후에는 모든 선박에 IMO가 제정한 밸러스트 수 처리기준을 만족시키는 처리장치의 설치가 의무화될 예정이다.
일반적으로 밸러스트 수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래 해양 생물종의 유입을 줄이는 방법은 크게 3가지를 들수 있다.
첫째, 특정항만에 입항하기 전에 밸러스트 수를 해상에서 교환하는 방법이다. 이는 밸러스트 수의 교환을 위한 해수 유입ㆍ배출 구성만을 갖추면 가능하기 때문에 비교적 밸러스트 시스템을 단순화할 수 있어 활용가능성이 높은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육지와 상당히 먼 교환장소의 해역에서 수행되므로, 육지 연안에 비해 거친 파도가 존재하고 해수의 수압이 높으며, 이로 인해 밸러스트 수의 선내 이동과정에서 선박의 종 굽힘모멘트가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선체 변형이 발생되고, 밸러스트 수 교환과정에서의 선체 자세불안 등이 생겨 교환과정에서 선박의 안전성확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둘째, 연안이나 육상에 밸러스트 수용시설(reception facility)과 처리시설을 설치ㆍ운영하는 방법이다. 이는 선박에 별도의 처리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선박의 보수 및 위험성이 낮아 최근 각광받는 방법이다.
다만, 용량이 큰 수용시설을 설치하고 운영하는데 따르는 비용과 민원이 발생할 수 있고, 아직까지 유용한 장치가 미흡한 실정이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셋째, 선박에 밸러스트 수 처리시설을 설치하는 방법이다. 이는 IMO 협약에서도 이 같은 처리시설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다만,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를 설치하는데 고비용이 들며, 처리 장치를 위한 공간확보, 중량조절, 전력소모 등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해저의 지하에 존재하는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할 수 있도록 각종 시추장비를 갖춘 선박에는 종래의 해저시추에서 사용되던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와 최근에 개발되어 해저 시추에 사용되고 있는 드릴쉽(drillship) 등이 있다.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FPSO는 다른 예인선에 의해서만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일 지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하고, 드릴쉽은 최근에 개발되어 첨단 시추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밸러스트 수 처리방법들은 일반 선박이 아닌, 일정한 장소에 장기간 머물게 되는 세미리그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비효율적인 면들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IMO 국제협약을 만족시키면서 세미리그 밸러스트 수의 운용상의 특성이 감안된 최적화된 밸러스트 수의 처리를 위한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세미리그의 밸러스트 수 운용상의 특성이 감안된 최적화된 밸러스트 수의 처리 장치를 발명함으로써, 밸러스트 수의 처리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거나, 소규모의 장치만으로 IMO 국제협약의 기준을 충족하고, 설치공간 및 전력소모량을 최소화하며,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폰툰에 복수 개의 칼럼을 세우고, 상기 칼럼을 연결하는 상부 갑판 위에 시추설비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세미리그의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칼럼(107)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칼럼 밸러스트 탱크(110) 및 하부칼럼 밸러스트 탱크(120);
상기 폰툰(108)에 설치되는 폰툰 밸러스트 탱크; 및 밸러스트 수에 포함되어 있는 수생 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는 활성물질을 저장하여 상기 밸러스트 수가 흐르는 밸러스트 라인(105)으로 활성물질을 주입하는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를 포함하되, 상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 중 하나 이상의 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는 해수 흡입구(101)로부터 취수되는 해수를 상기 밸러스트 라인(105)을 통해 공급받아 밸러스트 수로 이용하되, 상기 활성물질이 주입되는 곳의 밸러스트 라인(105)은 상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의 설치높이보다 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러스트 라인(105)의 재질은 강화유리섬유(reinfored glass fib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의 활성물질 배출라인(160)은 상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수 흡입구(101)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해수를 상기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로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펌프(103, 104);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활성물질은 상기 해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로 나눠지기 전에 상기 밸러스트 라인(105)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는 상기 세미리그(100)에 형성된 다수개의 칼럼 및 폰툰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칼럼 및 폰툰에 설치된 밸러스트 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리던던시 라인(10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는 상기 활성물질을 2회 사용분량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에는 상기 활성물질을 상기 세미리그(100)의 외부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매니폴더(1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지선(200)에 실린 상기 활성물질을 상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190); 상기 펌프(19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활성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호스(180); 상기 호스(180)의 일단은 상기 매니폴더(17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펌프(190)의 토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활성물질을 상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폰툰에 복수 개의 칼럼을 세우고, 상기 칼럼을 연결하는 상부 갑판 위에 시추설비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세미리그의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밸러스트 수를 저장 및 배출하기 위해 상기 세미리그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 내부에 수생 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는 활성물질을 저장하는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를 설치하여 상기 활성물질을 상기 밸러스트 수가 흐르는 밸러스트 라인(105)으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미리그의 밸러스트 수 운용상의 특성이 감안된 최적화된 세미리그 전용 밸러스트 수의 처리 장치를 발명함으로써, 밸러스트 수의 처리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거나, 소규모의 장치만으로 IMO 국제협약의 기준을 충족하여,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의 설치비용을 줄이고, 설치공간 및 전력소모량을 최소화하며, 해양오염 방지를 할 수 있다.
또한, 신조 세미리그 뿐만 아니라 기존의 세미리그에 대해서도 최소한의 설계변경만으로 밸러스트 수 내의 미생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활성물질 저장용기를 세미리그의 선체(hull) 내부에 설치되는 밸러스트 탱크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세미리그 상부 갑판의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활성물질 저장용기를 밸러스트 탱크 내부의 상부에 설치하여 중력에 의해 밸러스트 라인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활성물질의 주입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세미리그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미리그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를 장착한 세미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의 활성물질 저장용기에 바지선을 이용하여 활성물질을 공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일반 선박은 A 항구에서 B 항구로 이동하므로 밸러스트 수의 유입ㆍ배출이 항시 필요하며, 이 때 밸러스트 수는 선박의 화물을 하적한 항구 인근의 해수를 유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밸러스트 수에 포함된 물질에는 고형물(sediments), 진흙, 플랑크톤 규모의 생물체, 극미세 미생물 등이 있으며, 밸러스트 수의 처리공정들은 플랑크톤 및 극미세 미생물의 살균처리가 핵심이 된다.
그러나, 고형물, 진흙 등의 크기가 큰 생물체나 비생물체의 혼입은 밸러스트 수 처리의 처리효율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일반 선박에서의 밸러스트 수 처리 공정에는 상기와 같은 크기가 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여과(Filtration) 전처리시스템이나, 밸러스트 수에서 응집물이나, 침전물, 슬러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하이드로사이클론(hydrocyclone) 등의 추가장비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세미리그(100,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는, 일반 선박과 달리 A 항구에서 B 항구로의 잦은 이동이 없고, 해양에 상당기간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반 선박처럼 밸러스트 수의 처리를 위한 설비를 상시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세미 리그의 밸러스트 수에는 일반 선박의 밸러스트 수에 포함되는 고형물, 진흙과 같은 크기가 큰 이물질이 없다.
그러므로, 일반 선박에 설치되는 밸러스트 수 처리를 위한 여러 장비를 모두 다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고안하였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밸러스트 수를 처리하는 방식에는 물리적 처리방식과 화학적 처리방식이 있다.
물리적 처리방식에는 자외선조사, 가열방식, 초음파방식 등이 있고, 화학적 처리방식에는 염소, 이산화염소, 오존, 과산화수소 및 기타 여러 유기화학제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물리적 처리방식 중 자외선 조사방식은 비용이 저렴하고, 장치가 간단하나 파장이 짧아 투과력이 약하고, 생물종의 변이 및 다시 생존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혼탁한 수질에서는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가열방식은 전처리가 불필요하고, 선박의 폐열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일정한 온도 유지가 어렵고, 항해중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열수의 배출로 해양의 2차 오염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밸러스트 수의 처리를 위한 간단한 장치를 세미리그의 선체 내부에 설치된 밸러스트 탱크 내에 설치하고, 이 장치에 밸러스트 수에 대한 화학적 처리방식을 세미리그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상기와 같은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미리그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세미리그(100)는 한 쌍의 폰툰(pontoon; 108)에 복수의 칼럼(column; 107)을 세우고, 이 칼럼(107) 위에 상부 갑판(109)을 얹은 다음, 그 위에 시추설비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미리그(100)는 폰툰(108)과 칼럼(107)에 위치한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 내에 적정 양의 해수를 밸러스트수로서 밸러스팅(ballasting) 또는 디밸러스팅(de-ballasting)하여 선박의 자세를 유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를 장착한 세미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의 활성물질 저장용기에 바지선을 이용하여 활성물질을 공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는, 폰툰에 복수 개의 칼럼을 세우고, 칼럼을 연결하는 상부 갑판 위에 시추설비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세미리그의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로서, 상부 및 하부칼럼 밸러스트 탱크(110, 120), 폰툰 밸러스트 탱크,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를 포함한다.
도 2는 일실시예로서 각종 장비들을 배치한 것으로서, 해수 유입구(101)로부터 유입되는 해수가 밸러스트 펌프(103, 104)의 펌핑압에 의해 밸러스트 라인(105)을 따라, 칼럼 밸러스트 탱크(110, 120)와 폰툰 밸러스트 탱크(130)로 공급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해수의 일부는 배수 라인(146)를 통해 바다로 디밸러스팅될 수 있다.
상부칼럼 밸러스트 탱크(110) 및 하부칼럼 밸러스트 탱크(120)는 칼럼(107)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하고, 폰푼 밸러스트 탱크(130)는 폰툰(108)에 설치하되, 공간의 여유를 감안하여 다수개 설치될 수 있고, 해수를 밸러스트수로 이용하여 이를 저장(ballast)하거나, 배출(deballast)하여 세미리그(100)의 밸러스팅 작업을 수행한다.
밸러스트 수를 흡입(ballast)하거나, 배출(deballast)할 때는 리모트 컨트롤이 가능한 해수 밸브(102, 111, 121, 131, 140, 141)를 사용하여 밸러스트 라인(105)을 통해 밸러스트 수가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 내로 흡입(ballast)되거나, 배출(deballast)되도록 한다.
각각의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에는 대기에 노출되는 통기 라인(145)이 연결된다.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는 밸러스트 수에 포함되어 있는 수생 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는 활성물질을 저장하여 밸러스트 수가 흐르는 밸러스트 라인(105)으로 활성물질을 주입하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는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의 상부에 설치된다.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는 활성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컨테이너를 사용하거나, 탱크형상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활성물질의 사용분량은 밸러스트 수의 양에 비례하여 정해지므로, 활성물질 저장용기(150)의 용량은 활성물질의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밸러스트 수량에 대한 활성물질의 사용량으로 결정된다.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는 활성물질을 불필요하게 많이 저장할 필요없이 비상시를 고려하여 2회 사용분량을 저장할 수 있을 정도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세미리그(100)가 일반 선박과 달리 한 장소에 상당기간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를 상시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활성물질은 밸러스트 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미생물이나 조개류 등의 수생 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화학약품으로서, 염소계 살균제, 이산화염소, 과산화아세트산, 오존, 페라클린(peraclean, 독일 Degussa AG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는, 도 2에서와 같이, 폰툰 밸러스트 탱크(130)의 내부에 설치하되, 상부에 설치되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 각각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중력에 의해 활성물질이 밸러스트 라인(105)에 주입될 수 있도록 최대한 높은 위치에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를 설치하여 최대의 압력수두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는 해수 흡입구(101)로부터 취수되는 해수를 밸러스트 라인(105)을 통해 공급받아 밸러스트 수로 이용하는데, 활성물질이 주입되는 곳의 밸러스트 라인(105)은 활성물질 저장용기(150)의 설치위치보다 낮도록 배치되어야 중력을 이용한 활성물질의 주입이 원활할 것이다.
그래서, 최대한 높은 압력수두를 갖도록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는 활성물질 저장용기(150)에서 밸러스트 라인(105)과의 높은 압력수두차를 이용하여 활성물질을 밸러스트 라인(105)으로 주입할 수 있게 된다.
활성물질 저장용기(150)의 활성물질을 배출하는 활성물질 배출라인(160)은 활성물질 저장용기(150)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활성물질 배출라인(160)으로 배출되는 활성물질에 최대한의 배출압력이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밸러스트 펌프(103, 104)는 해수 흡입구(101)의 후단에 설치되어 해수를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활성물질은 해수가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로 나눠지기 전에 밸러스트 라인(105)에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밸러스트 펌프(103, 104)의 후단에 활성물질을 주입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전단 또는 밸러스트 펌프(103, 104)가 각각 설치된 분지된 밸러스트 라인이 합류해 있는 밸러스트 라인으로 주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각각의 밸러스트 탱크로 분지된 후에 주입한다면, 그 만큼 설치되는 활성물질 주입용 배관이 증가하므로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밸러스트 라인(105)의 재질은 일반 강관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밸러스트 수에 의해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강화유리섬유(reinforced glass fiber) 재질을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활성물질은 밸러스트 수가 각각의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때 사용되는 라인(예를 들어, 배수 라인(146))에 주입할 수 있으나, 배수되는 밸러스트 수에 화학적 처리를 하여 외부로 배출한다면, 화학처리되어 배출된 밸러스트 수에 의해 해양의 2차 오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주의를 요한다.
또한, 다수개의 칼럼 및 폰툰에 설치된 밸러스트 라인(105)을 서로 연결하는 리던던시 라인(106)을 추가할 수 있는데, 리던던시 라인(106)에 의해 어느 하나의 칼럼 또는 폰툰에 형성된 해수 흡입구 또는 밸러스트 펌프 등이 작동불능 상태일 때 정상작동 중인 다른 칼럼 및 폰툰에 설치된 해수 흡입구 또는 밸러스트 펌프를 사용하여 작동불능 상태인 해수 흡입구 또는 밸러스트 펌프를 대체하여 밸러스트 수를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리던던시 라인(106)은 해수 흡입구 및 밸러스트 펌프가 작동불능이더라도 다른 해수 흡입구 및 밸러스트 펌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수 흡입구 및 밸러스트 펌프의 후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물질 저장용기(150)에, 도 3과 같이, 활성물질을 세미리그(100)의 외부로부터 공급받기 위해 매니폴더(170)를 설치하여 활성물질의 공급시간을 줄이면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활성물질은 바지선(200)을 통하여 공급받을 수 있으며, 바지선(200)과 매니폴더(170) 사이를 호스(180)로 연결하고, 펌프(190)를 작동시켜 활성물질을 손쉽게 바지선(200)으로부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로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미리그용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세미리그(100)은 상당기간 한 장소에 고정되어 있어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를 상시 사용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비상시 또는 선체에 밸러스트 수를 공급하는 경우에만 활성물질 저장용기(110) 내에 있는 활성물질을 밸러스트 라인(130, 230)으로 공급하여 밸러스트 수에 포함된 수생 생물을 사멸시킨다.
활성물질은 미리 세미리그(100)에 실어 해양으로 나갈 수도 있고, 바지선을 이용해서 공급받을 수도 있다.
바지선을 이용하여 활성물질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활성물질 저장용기(150)에 매니폴더(170)를 설치하고, 바지선(200)과 매니폴더(170) 사이는 호스(180)로 연결하여, 펌프(190)를 작동시켜 활성물질을 공급받을 수 있어 활성물질의 공급시간을 줄이면서 안전한 공급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세미리그 101: 해수유입구
103, 104 : 밸러스트 펌프 105: 밸러스트 라인
106: 리던던시 라인 107: 칼럼
108: 폰툰 109: 상부갑판
110: 상부칼럼 밸러스트 탱크 120: 하부칼럼 밸러스트 탱크
130: 폰툰 밸러스트 탱크 102, 111, 121, 131, 140: 해수밸브
145: 통기 라인 146: 배수 라인
150: 활성물질 저장용기 160 : 활성물질 배출라인
170 : 매니폴더 180 : 호스
190 : 펌프 200 : 바지선

Claims (10)

  1. 폰툰에 복수 개의 칼럼을 세우고, 상기 칼럼을 연결하는 상부 갑판 위에 시추설비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세미리그의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칼럼(107)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칼럼 밸러스트 탱크(110) 및 하부칼럼 밸러스트 탱크(120);
    상기 폰툰(108)에 설치되는 폰툰 밸러스트 탱크; 및
    밸러스트 수에 포함되어 있는 수생 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는 활성물질을 저장하여 상기 밸러스트 수가 흐르는 밸러스트 라인(105)으로 활성물질을 주입하는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를 포함하되,
    상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 중 하나 이상의 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는 해수 흡입구(101)로부터 취수되는 해수를 상기 밸러스트 라인(105)을 통해 공급받아 밸러스트 수로 이용하되,
    상기 활성물질이 주입되는 곳의 밸러스트 라인(105)은 상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의 설치높이보다 낮도록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라인(105)의 재질은 강화유리섬유(reinfored glass fibe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의 활성물질 배출라인(160)은 상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해수 흡입구(101)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해수를 상기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로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펌프(103, 104);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활성물질은 상기 해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로 나눠지기 전에 상기 밸러스트 라인(105)에 주입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는 상기 세미리그(100)에 형성된 다수개의 칼럼 및 폰툰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칼럼 및 폰툰에 설치된 밸러스트 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리던던시 라인(106);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는 상기 활성물질을 2회 사용분량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에는 상기 활성물질을 상기 세미리그(100)의 외부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매니폴더(170)가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바지선(200)에 실린 상기 활성물질을 상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190);
    상기 펌프(19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활성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호스(180);
    상기 호스(180)의 일단은 상기 매니폴더(17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펌프(190)의 토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활성물질을 상기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로 공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10. 폰툰에 복수 개의 칼럼을 세우고, 상기 칼럼을 연결하는 상부 갑판 위에 시추설비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세미리그의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밸러스트 수를 저장 및 배출하기 위해 상기 세미리그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110, 120, 130) 내부에 수생 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는 활성물질을 저장하는 활성물질 저장용기(150)를 설치하여 상기 활성물질을 상기 밸러스트 수가 흐르는 밸러스트 라인(105)으로 주입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KR1020110128365A 2011-12-02 2011-12-02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KR20130061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365A KR20130061996A (ko) 2011-12-02 2011-12-02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365A KR20130061996A (ko) 2011-12-02 2011-12-02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996A true KR20130061996A (ko) 2013-06-12

Family

ID=4885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365A KR20130061996A (ko) 2011-12-02 2011-12-02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19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621A (ko) * 2013-09-03 2015-03-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세미 리그선의 가설 발라스트 장치
KR20150109727A (ko) * 2014-03-20 2015-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밸러스트 시스템
KR20160073089A (ko) 2014-12-16 2016-06-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밸러스트 탱크 유휴공간을 이용한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칼럼 상부구역 의장품 배치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7644A (ko) * 2007-08-15 2010-05-31 지멘스 워터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밸러스트 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18116A (ko) * 2009-08-17 2011-02-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리그선의 밸러스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7644A (ko) * 2007-08-15 2010-05-31 지멘스 워터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밸러스트 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18116A (ko) * 2009-08-17 2011-02-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리그선의 밸러스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621A (ko) * 2013-09-03 2015-03-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세미 리그선의 가설 발라스트 장치
KR20150109727A (ko) * 2014-03-20 2015-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밸러스트 시스템
KR20160073089A (ko) 2014-12-16 2016-06-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밸러스트 탱크 유휴공간을 이용한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칼럼 상부구역 의장품 배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9156B2 (ja) 船舶
KR100946544B1 (ko) 선박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
JP2009067253A5 (ko)
KR101183611B1 (ko)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를 구비한 해양구조물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US10800497B2 (en) Hydroxide stabilization as a means of controlling surface fouling associated with wetted surfaces of boats barges and ships
KR101319365B1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
KR20090087463A (ko) 선박의 부력제어시스템
KR20130061996A (ko)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KR20130061999A (ko) 세미리그용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JP2005324120A (ja) バラスト水処理方法及び装置、バラスト水処理機能を備えた浮体構造物
JP2006212494A (ja) バラスト水の処理装置
KR20140061725A (ko) 밸러스트 장치
JP5705588B2 (ja)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船舶および浮体式構造物
KR20130061998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KR20130025734A (ko) 드릴쉽용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KR20170049910A (ko) 선박의 평형수 시스템
KR20140040396A (ko) 중력식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20130025735A (ko) Fpso용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WO2013153670A1 (ja) 船舶及び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101390493B1 (ko) 평형수 처리용 선박
KR20110139891A (ko) 해양 구조물의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KR101867026B1 (ko) 밸러스트 수 처리 시스템의 미처리 수 처리 모듈
KR20130026715A (ko) 오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오수 처리 방법
KR20110022415A (ko) 항구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와 그 처리방법
KR20140040929A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