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349Y1 - 선박 접안 시설물 - Google Patents

선박 접안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349Y1
KR200453349Y1 KR2020090016032U KR20090016032U KR200453349Y1 KR 200453349 Y1 KR200453349 Y1 KR 200453349Y1 KR 2020090016032 U KR2020090016032 U KR 2020090016032U KR 20090016032 U KR20090016032 U KR 20090016032U KR 200453349 Y1 KR200453349 Y1 KR 200453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floating body
plate portion
water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순
최장규
Original Assignee
(주)원일스틸
최장규
박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일스틸, 최장규, 박정순 filed Critical (주)원일스틸
Priority to KR2020090016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3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3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 접안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시공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접안 시설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접안 시설물의 높낮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접안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선적이나 하역작업 및 선객의 승하선이 용이하도록 선박을 계류시키는 선박 접안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접안 시설물은, 내부가 비어 있는 다수개의 부유체(10)와; 상기 부유체(10)의 상측에 올려진 상태로 설치되어 선적이나 하역작업 및 선객의 승하선을 용이하도록 하는 판상부(30)와; 상기 부유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판상부(30)의 상측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핸들(25)의 조작에 의해 상기 부유체(10)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개폐밸브(20)로 구성되고, 상기 부유체(10)의 내측에는, 상기 부유체(1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수중펌프(11)가 설치되며, 상기 판상부(30)의 상측으로 일측이 돌출되고, 타측이 상기 판상부(30)를 관통한 상태로 물속 바닥에 고정설치되어 수면 변화에 따른 상기 판상부(30)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프레임(4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박, 접안, 부유체, 안내프레임, 개폐밸브

Description

선박 접안 시설물{WHARF STRUCTURE FOR BERTHING OF SHIP}
본 고안은 선박 접안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시공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접안 시설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접안 시설물의 높낮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접안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닷가나 강가와 같이 물이 인접한 곳에는 보트나 배가 접안할 수 있도록 접안시설이 되어 있다. 이러한 접안 시설로는 항만과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호수가 등과 같이 나무나 판재에 의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레저형 보트와 같은 소형의 선박은 정박하는 특별한 시설이 없고, 대형의 선박들이 접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대형의 선박을 이용한 구조물에 모터보트를 접안하는 경우에는 고정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모터보트의 높이가 차이가 발생되므로 정박된 모터보트에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시공시간 및 전체적인 공사비가 절감되게 하고, 부유체 내측에 물의 유입/유출만으로 접안시설물의 높낮이를 설치환경이나 사용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접안시설물에 가로등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야간 작업이나 승하선이 용이한 선박 접안 시설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선적이나 하역작업 및 선객의 승하선이 용이하도록 선박을 계류시키는 선박 접안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접안 시설물은, 내부가 비어 있는 다수개의 부유체(10)와; 상기 부유체(10)의 상측에 올려진 상태로 설치되어 선적이나 하역작업 및 선객의 승하선을 용이하도록 하는 판상부(30)와; 상기 부유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판상부(30)의 상측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핸들(25)의 조작에 의해 상기 부유체(10)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개폐밸브(20)로 구성되고, 상기 부유체(10)의 내측에는, 상기 부유체(1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수중펌프(11)가 설치되며, 상기 판상부(30)의 상측으로 일측이 돌출되고, 타측이 상기 판상부(30)를 관통한 상태로 물속 바닥에 고정설치되어 수면 변화에 따른 상기 판상부(30)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프레임(4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시공시간 및 전체적인 공사비가 절감되고, 부유체 내측에 물의 유입/유출만으로 접안시설물의 높낮이를 설치환경이나 사용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가됨은 물론 간단히 설치된 가로등에 의해 야간 작업이나 승하선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선박 접안 시설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설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설물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유체의 내측에 물이 수용되어 수면위에 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유체의 내측에 물이 수용되어 수면아래로 가라앉아 있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적이나 하역작업 및 선객이 승하선이 용이하도록 선박을 계류시키는 선박 접압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접안 시설물은, 다수개의 부유체, 개폐밸브, 연결프레임, 판상부, 안내프레임, 가로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부유체(10)는 물위에 뜰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것이로, 상기 부유체(10)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PE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부유체(10)의 내측에는, 상기 부유체(1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수중펌프(11)가 설치된다.
즉, 후술되는 개폐밸브(20)의 조작에 의해 상기 부유체(1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경우, 상기 수중펌프(11)를 작동시켜 상기 수중펌프(11)에 연결된 배출호스(13)을 통해 상기 부유체(10)의 외측으로 물을 용이하게 유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밸브(20)는 상기 부유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후술되는 판상부(30)의 상측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핸들(25)의 조작에 의해 상기 부유체(10)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제어한다.
다시 말해, 상기 회전핸들(25)을 돌리게 되면 상기 개폐밸브(20)가 열리게 되어 바닷물이 유입되고, 설치환경에 따라 부유체(10)의 내측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조절한 후, 상기 회전핸들(25)을 최초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개폐밸브(20)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부유체(10)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판상부(30)는 상기 부유체(10)의 상측에 올려진 상태로 설치되어 선적이나 하역작업 및 선객의 승하선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판상부(30)는, 상기 부유체(10)의 상측에 설치되는 단면이 "U"형상인 틀체의 안착판(31)과, 상기 안착판(31)의 내측에 설치되는 판상의 스티로폼(33)과, 상기 안착판(31)의 내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판재(3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프레임(40)은 상기 판상부(30)의 상측으로 일측이 돌출되 고, 타측이 상기 판상부(30)를 관통한 상태로 물속 바닥에 고정설치되어 수면 변화에 따른 상기 판상부(30)의 상/하 유동을 안내한다.
즉, 수면이 낮아지는 경우 접안시설물이 상기 안내프레임(40)의 외주연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수면이 높아지는 경우 접안시설물이 상기 안내프레임(40)의 외주연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로등(50)은 야간 작업이나 승하선이 용이하도록 상기 판상부(30)의 상측으로 돌출된 안내프레임(40)의 일측단에 결합체(55)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수개의 부유체(10)를 판상부(30)의 하측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부유체(10)의 일측에는 내부으로 물 유입을 제어하는 개폐밸브(20)가 설치되고, 내측에는 유입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수중펌프(1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상태에서, 안내프레임(40)을 상기 판상부(30)를 관통시켜 물속 바닥에 고정설치함으로써 수면 변화에 따른 상기 판상부(30)의 상/하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후, 야간 작업이나 승하선이 용이하도록 가로등(50)을 설치하되 상기 안내프레임(40)의 일측단에 결합체(55)를 매개로 간단히 설치한다.
이와 같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시공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접안 시설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전체적인 공사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부 유체의 내측으로 물의 유입/유출 과정만으로 물위에 떠 있게 되는 접안시설물의 높낮이를 설치환경이나 사용목적에 따라, 즉 큰 배의 경우 부유체(10)내측에 유입된 물을 수중펌프(11)를 이용하여 외측으로 유출시킴으로써 접안시설물의 높이를 높여 큰 배의 선적이나 하역작업을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작은 배의 경우 부유체(10) 내측에 물을 유입시킴으로써 접안시설물의 높이를 낮춰 작은 배의 선적이나 하역 및 선객의 승하선이 용이하도록 한다.
더욱이, 야간에 접안시설물 보수 작업이나 승하선이 이루어지는 경우 안내프레임(40)의 일측단에 연결된 가로등(50)를 가동시킴으로써 야간작업이나 승하선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설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접안 시설물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유체의 내측에 물이 수용되어 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유체의 내측에 물이 수용되어 수면 아래로 가라앉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부유체 11: 수중펌프
13: 배출호스 20: 개폐밸브
25: 회전핸들 30: 판상부
31: 안착판 33: 스티로폼
35: 판재 40: 안내프레임
50: 가로등 55: 결합체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선적이나 하역작업 및 선객의 승하선이 용이하도록 선박을 계류시키는 선박 접안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접안 시설물은, 내부가 비어 있는 다수개의 부유체(10)와; 상기 부유체(10)의 상측에 올려진 상태로 설치되어 선적이나 하역작업 및 선객의 승하선을 용이하도록 하는 판상부(30)와; 상기 부유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판상부(30)의 상측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핸들(25)의 조작에 의해 상기 부유체(10)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개폐밸브(20)로 구성되고,
    상기 부유체(10)의 내측에는, 상기 부유체(1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수중펌프(11)가 설치되며, 상기 판상부(30)의 상측으로 일측이 돌출되고, 타측이 상기 판상부(30)를 관통한 상태로 물속 바닥에 고정설치되어 수면 변화에 따른 상기 판상부(30)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프레임(4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접안 시설물.
  4. 제3항에 있어서,
    야간 작업이나 승하선이 용이하도록 상기 판상부(30)의 상측으로 돌출된 안내프레임(40)의 일측단에 결합체(55)를 매개로 연결되는 가로등(5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접안 시설물.
KR2020090016032U 2009-12-09 2009-12-09 선박 접안 시설물 KR200453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032U KR200453349Y1 (ko) 2009-12-09 2009-12-09 선박 접안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032U KR200453349Y1 (ko) 2009-12-09 2009-12-09 선박 접안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349Y1 true KR200453349Y1 (ko) 2011-04-28

Family

ID=4424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032U KR200453349Y1 (ko) 2009-12-09 2009-12-09 선박 접안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3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923B1 (ko) * 2010-12-16 2011-10-18 박용주 피어가 없는 선박 계류장
WO2014035026A1 (ko) * 2012-08-31 2014-03-06 유한회사 마린이노테크 에어백 폰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6597U (ko) * 1975-04-07 1976-10-13
JP2002339317A (ja) * 2001-05-18 2002-11-27 Japan Steel & Tube Constr Co Ltd ポンツー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6597U (ko) * 1975-04-07 1976-10-13
JP2002339317A (ja) * 2001-05-18 2002-11-27 Japan Steel & Tube Constr Co Ltd ポンツー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923B1 (ko) * 2010-12-16 2011-10-18 박용주 피어가 없는 선박 계류장
WO2014035026A1 (ko) * 2012-08-31 2014-03-06 유한회사 마린이노테크 에어백 폰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9880A (ko) 에어백 폰툰
CN100513251C (zh) 用于封盖船体开孔的系统和方法
KR102173166B1 (ko)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US20080206077A1 (en) Wave Pump Device
KR101605092B1 (ko) 진공 유동방지 장치를 구비한 부유체
WO2010058156A2 (en) Floatable dry docks
US5549070A (en) In-water dry dock system
KR200453349Y1 (ko) 선박 접안 시설물
US3133518A (en) Dry dock lock
US20100175606A1 (en) Off-shore structure, a buoyancy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KR100952910B1 (ko) 부양식 수문 독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JP2007085128A (ja) 汚濁防止装置
KR101058393B1 (ko) 도크 겸용 작업선
KR101029653B1 (ko) 발라스트 탱크를 가지는 도크게이트 개폐방법 및 그도크게이트
JP4560773B2 (ja) 簡易マリーナ装置
KR101623082B1 (ko) 해상 구조물의 밸러스트 장치
JP5269541B2 (ja) 通船ゲート
KR20130102164A (ko) 선박 수리용 부유 도크
US20100275832A1 (en) Raft parking for boat
KR101390493B1 (ko) 평형수 처리용 선박
KR100958346B1 (ko) 항만용 스톱로그의 설치 및 제거장치
KR100620609B1 (ko) 저층수인양장치
KR101524816B1 (ko) 선박 접안 장치
KR102087355B1 (ko) 해상 이동형 상가 장치
JPS6349595A (ja) 簡易浮きドツ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