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091U -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091U
KR20000002091U KR2019980011900U KR19980011900U KR20000002091U KR 20000002091 U KR20000002091 U KR 20000002091U KR 2019980011900 U KR2019980011900 U KR 2019980011900U KR 19980011900 U KR19980011900 U KR 19980011900U KR 20000002091 U KR20000002091 U KR 200000020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il
storage tank
pipe
out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남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2019980011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091U/ko
Publication of KR200000020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091U/ko

Links

Landscapes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시추선(1)에서 발생된 오염수가 모여지는 저장 탱크(10), 상기 저장 탱크(10) 하류에 연결되고 ODM 장치(21)가 구비된 유수 분리기(20), 상기 유수 분리기(20)에 청수를 공급하는 청수 공급관(30), 상기 유수 분리기(2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펌핑하는 펌프(40), 처리수를 선외로 배출하는 선외 배출관(50), 상기 선외 배출관(50)과 상기 저장 탱크(10)에 연결되어 기준에 미달하는 처리수를 상기 저장 탱크(10)로 다시 보내는 리턴관(60), 및 상기 유수 분리기(20)에서 분리된 기름을 받아 저장하는 슬로프 탱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 장치
(기술분야)
본 고안은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석유나 가스를 시추하는 시추선에서 발생하는 기름을 포함한 오염수(foul water)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근래에 접어들어 국제적으로 급격한 산업화 현상 및 공업발전 추이에 따라 한정된 지구 자원은 점차 바닥을 내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른 원유의 안정적인 생산 및 공급은 대단히 중요한 사안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해저에 있는 석유 채굴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지금까지 경제성을 상실했던 군소 한계유정(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이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시추선은 시추 작업의 특성상 기름 혼합물을 포함한 각종 오염수를 유발하게 되고, 이들 기름을 포함한 이들 오염수를 그대로 해상으로 배출하는 경우, 심각한 해양 오염을 유발하게 되므로, 시추선에서 발생한 오염수는 소정의 환경 기준에 부합하도록 정화처리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시추선에는 자체에서 발생된 오염수를 정수 처리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2는 시추선에 적용된 종래의 오염수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시추선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추선(100)에는 해저 시추를 위한 각종 장비를 구비하고 있는 시추 장비 구역(110)과 이들 시추 장비를 관리하고 시추에 관련된 각종 시험을 행하는 시험 및 기타 장비 구역(120)이 상갑판(101) 상에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장비 구역(110,120)에서 발생한 기름을 포함한 오염수는 배수구(130)와 배수관(131)을 통해 상갑판(101) 위에 설치된 저장 탱크(140)에 모여진다. 저장 탱크(140)의 오염수는 이송 펌프(150)에 의해 이송관(151)을 통해 유수 분리기(161)가 설치된 슬로프 탱크(slop tank:160)로 보내지며, 여기에서 각종 화학, 물리적인 처리에 의해 오염수로부터 기름을 분리하는 유수분리처리가 이루어지고, 처리된 오염수는 시추선의 기름을 하역하는 데 사용되는 주화물 펌프(170)에 의해 선외로 배출된다. 선외 배출관(171)에는 처리된 오염수가 소정의 환경 기준에 부합하는가를 측정하는 테스트 장치(ODM 장치:172)를 거치며, 오염수가 기준치(기름 함유량 15ppm) 이하인 경우에는 선외로 배출되고, 그 이상일 경우에는 리턴관(173)을 통해 다시 슬로프 탱크(160)로 보내져 재처리된다. 도2에서 도면번호 174와 175는 처리된 오염수의 선외 배출과 복귀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추선 오염수 처리 장치는, 시추선의 공간 부족으로 상기 저장 탱크(140)의 위치 설정이 매우 어렵고, 우천시에는 상기한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계속 주화물 펌프(170)를 가동시켜야 하므로 비용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며, 화물 용역을 위해 주화물 펌프(170)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오염수의 선외 배출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시추선 오염수 처리 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화물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오염수를 처리할 수 있고, 우천시 불필요한 유수분리처리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시추선의 부분 개략도,
도2는 시추선에 적용된 종래의 오염수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시추선의 부분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추선 3: 상갑판
10:저장 탱크 20: 유수 분리기
30: 청수 공급관 40: 펌프
50: 선외 배출관 60: 리턴관
61,81: 밸브 70: 슬로프 탱크
80: 직통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시추선에서 발생된 오염수가 모여지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 하류에 연결되고 ODM 장치가 구비된 유수 분리기, 상기 유수 분리기에 청수를 공급하는 청수 공급관, 상기 유수 분리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펌핑하는 펌프, 처리수를 선외로 배출하는 선외 배출관, 상기 선외 배출관과 상기 저장 탱크에 연결되어 기준에 미달하는 처리수를 상기 저장 탱크로 다시 보내는 리턴관, 및 상기 유수 분리기에서 분리된 기름을 받아 저장하는 슬로프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저장 탱크와 상기 선외 배출관 사이에는 유수분리처리가 불필요한 물을 직접 선외로 배출하는 직통관을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 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시추선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 장치는, 저장 탱크(10), 유수 분리기(20), 청수 공급관(30), 펌프(40), 선외 배출관(50), 리턴관(60), 및 슬로프 탱크(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저장 탱크(10)는 시추선(1)에서 발생된 오염수가 수집되는 탱크로서, 시추 장치 구역(2)에 설치된 다수의 배수구(11)와 배수관(12)을 통해 시추 과정에서 발생된 기름을 포함한 오염수가 모이게 되며, 상갑판(3)의 하부에 선체붙이 방식으로 설치된다.
저장 탱크(10)의 하류는 오염수에 포함된 기름을 분리하는 유수 분리기(20)가 설치되며, 여기에는 유수 분리기(20)에 의해 처리된 처리수가 환경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측정하는 장비인 ODM 장치(21)가 장착되어 있다. 유수 분리기(20)는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장 탱크(10)로부터 자연적으로 오염수가 흘러갈 수 있도록 저장 탱크(10)의 아래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수 분리기(20)와 저장 탱크(10) 사이에는 그 유량을 조절 및 개폐하는 밸브(22)가 설치되어 있다.
유수 분리기(20)에는 오염되지 않은 바닷물인 청수를 공급하는 청수 공급관(30)이 연결되어 있다. 본 청수 공급관(30)은 유수 분리기(20)에 의해 오염수를 처리할 때, 청수에 의해 기름의 오염 상태를 희석하므로써 유수 분리기(20)가 받는 부하를 경감하고 오염수 처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유수 분리기(20)에서 처리된 처리수는 그 하류에 설치된 펌프(40)의 작동으로 유수 분리기(20)의 하단에 연결된 선외 배출관(50)으로 흐르게 된다. 선외 배출관(50)은 처리수를 선외로 최종 배출하기 위한 배관으로서 말단에 밸브(51)가 구비되어 처리수의 선외 배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오염수를 유수 분리기(20)로 1차적으로 처리한 경우라도 오염수가 소정의 환경 기준에 부합할 정도도 기름이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런 불완전 처리된 처리수를 그대로 선외로 배출하는 경우 환경 오염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선외 배출관(50)과 상기 저장 탱크(10) 사이에는 기준에 미달하는 처리수를 다시 저장 탱크(10)로 보내는 리턴관(60)이 연결되어 있다. 선외 배출관(50)과 리턴관(60)의 연결 부위에는 처리수의 선외 배출과 저장 탱크(10)로의 복귀를 조절하는 예를 들어 삼방향 밸브(61)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밸브(61)는 수동으로 조절하는 수동 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ODM 장치(21)의 측정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는 전자 삼방향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수 분리기(20)에서 분리된 기름은 유수 분리기(20)에 설치된 기름 배출관(71)을 통해 슬로프 탱크(70)로 보내어 저장된다. 유수 분리기(20)는 기름과 물이 섞이지 않고 서로 비중이 달라서 기름이 물위에 뜨는 원리를 이용하여 기름을 물위에 부상분리 시키는 장치이므로, 기름 배출관(71)은 유수 분리기(20)의 상부에 연결되어야 한다.
한편, 우천시, 특히 폭우시에는 상기 저장 탱크(10)로 다량의 오염되지 않은 우수가 유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저장 탱크(10)의 물은 기름으로 오염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런 오염되지 않은 물을 유수 분리기(20)로 처리하는 것은 비용증가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저장 탱크(10)와 선외 배출관(50) 사이에 직통관(80)을 설치하여 유수 분리 처리가 불필요한 물을 직접 선외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통관(80)에는 직접 배출 여부를 조절하는 밸브(81)가 설치되며, 본 밸브(81)를 전자 밸브로 하고 여기에 ODM 장치(21)의 측정 시그널을 보내어 우수의 오염 상태에 따라 직접 배출 여부, 즉 밸브의 개폐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오염수 처리 장치가 주로 시추선에 적용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기름을 취급하는 다른 종류의 선박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 장치에 의하면, 첫째 주화물 펌프를 오염수 처리에 사용하지 않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화물 하역시에도 오염수 처리가 가능하다. 둘째, 우천시 유수분리처리가 불필요한 물은 바로 선외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유수분리처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저장 탱크를 선체붙이 방식으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공간 활용성이 좋고 제작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5)

  1. 시추선(1)에서 발생된 오염수가 모여지는 저장 탱크(10), 상기 저장 탱크(10) 하류에 연결되고 ODM 장치(21)가 구비된 유수 분리기(20), 상기 유수 분리기(20)에 청수를 공급하는 청수 공급관(30), 상기 유수 분리기(2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펌핑하는 펌프(40), 처리수를 선외로 배출하는 선외 배출관(50), 상기 선외 배출관(50)과 상기 저장 탱크(10)에 연결되어 기준에 미달하는 처리수를 상기 저장 탱크(10)로 다시 보내는 리턴관(60), 및 상기 유수 분리기(20)에서 분리된 기름을 받아 저장하는 슬로프 탱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탱크(10)는 상갑판(3)의 하부에 선체붙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외 배출관(50)과 상기 리턴관(60)의 연결 부위에는 처리수의 선외 배출과 상기 저장 탱크(10)로의 복귀를 상기 ODM 장치(21)의 측정 결과에 따라 조절하는 삼방향 밸브(6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탱크(10)와 상기 선외 배출관(50) 사이에는 상기 유수 분리기(20)에 의한 유수분리처리가 불필요한 물을 직접 선외로 배출하는 직통관(80)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통관(80)에는 상기 ODM 장치(21)의 측정 결과에 따라 개폐가 조절되는 밸브(8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 장치.
KR2019980011900U 1998-06-30 1998-06-30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장치 KR200000020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900U KR20000002091U (ko) 1998-06-30 1998-06-30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900U KR20000002091U (ko) 1998-06-30 1998-06-30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091U true KR20000002091U (ko) 2000-01-25

Family

ID=6951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900U KR20000002091U (ko) 1998-06-30 1998-06-30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091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962B1 (ko) * 2008-04-25 2010-07-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빌지 오염 방지장치
KR101036621B1 (ko) * 2007-12-27 2011-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레인 처리 장치
KR101359643B1 (ko) * 2011-03-31 201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유체 운용 시스템
KR101392892B1 (ko) * 2012-10-31 2014-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드릴링 절단물 처리시스템
KR101465002B1 (ko) * 2013-05-14 2014-11-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솔리드 및 오일리 워터 처리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621B1 (ko) * 2007-12-27 2011-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레인 처리 장치
EP2235319A4 (en) * 2007-12-27 2015-06-17 Samsung Heavy Ind APPARATUS FOR PREVENTING MUD CURING IN A DRAINAGE RETENTION BASIN
KR100970962B1 (ko) * 2008-04-25 2010-07-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빌지 오염 방지장치
KR101359643B1 (ko) * 2011-03-31 201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유체 운용 시스템
KR101392892B1 (ko) * 2012-10-31 2014-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드릴링 절단물 처리시스템
KR101465002B1 (ko) * 2013-05-14 2014-11-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솔리드 및 오일리 워터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7246B1 (ko) 연안하수를 취급하여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00258486A1 (en) Apparatus for prevention of mud hardening in drain holding tank
KR20000002091U (ko)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장치
US5785865A (en) Watercraft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JP2007090933A (ja) 船舶のオーバーフロー方法及び装置
KR101167917B1 (ko) 선박의 빌지 시스템
US8314157B2 (en) Microwave-enhanced process to treat marine emulsion wastes
US20180229821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aging ballast water of ship,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3523858B (zh) 船用外甲板落水舱油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KR101390493B1 (ko) 평형수 처리용 선박
KR20180012002A (ko)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KR101295663B1 (ko) 유수분리용 세틀링탱크가 구비된 선박
KR101785519B1 (ko) 해양 구조물
KR101584562B1 (ko) 드레인 시스템 및 시추 해양 구조물
KR20150028503A (ko) 유류제거장치 및 유류제거방법
EA007211B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загрязняющей жидкости, содержащейс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одной поперечной секции танков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KR101523728B1 (ko)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KR20120103181A (ko) 선박 오수 처리시스템
KR20150119308A (ko)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65002B1 (ko) 해양구조물의 솔리드 및 오일리 워터 처리 시스템
KR101381185B1 (ko) 해양 설비용 화학물질 분리 배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1999A (ko) 세미리그용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US20150307164A1 (en) Recessed barge design
RU60473U1 (ru) Судно комплексн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KR102299160B1 (ko) Fpso용 폐수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