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002A -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 Google Patents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002A
KR20180012002A KR1020160094684A KR20160094684A KR20180012002A KR 20180012002 A KR20180012002 A KR 20180012002A KR 1020160094684 A KR1020160094684 A KR 1020160094684A KR 20160094684 A KR20160094684 A KR 20160094684A KR 20180012002 A KR20180012002 A KR 20180012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ine
oil
pontoon dec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용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4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2002A/ko
Publication of KR20180012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B63B2009/0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해상에 정박하여 원유 또는 액화가스를 생산하고 있는 플로터를 재입거하여 생산 작업을 멈추지 않고 수리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개념의 수리용 부선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는, 해저연결요소를 선체부 아래로 내린 상태로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플로터(1)의 아래로 진입한 후 물 위로 부상시키는 것에 의해 플로터(1)를 재입거하여 수리 가능하도록, 상기 해저연결요소가 진입 가능한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을 가지는 폰툰 데크(110); 상기 폰툰 데크(110)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는 측벽(130); 상기 양쪽 측벽(130)에 인접한 상기 폰툰 데크(110)의 상면에, 아래로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어 폰툰 데크(110)의 상면을 흐르는 물을 모아 가두는 집수정(150); 상기 집수정(150)에 모인 물을 선외로 배출하는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20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Maintenance Floating Dock Provided With Dewatering System of Pontoon Deck}
본 발명은 해상에 정박하여 원유 또는 액화가스를 생산하고 있는 플로터를 재입거하여 생산 작업을 멈추지 않고 수리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개념의 수리용 부선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폰툰 데크에 침입한 물을 배수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춘 수리용 부선거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부유식 원유 생산 저장 하역설비'(FPSO -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unit)나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 저장 하역설비'(LNG-FPSO 또는 FLNG)는, 선박의 모양을 갖추고 해상(Offshore)에 오랜 기간 계류한 상태에서 해저 소스(유정 또는 가스정)로부터 채굴물(원유 또는 원유가스)을 뽑아 올려 공정 처리(전처리, 분류, 추출, 액화 등)에 의해 생산물(오일 또는 액화가스)을 만들어 저장해 두고, 저장한 생산물을 생산물 운반선에 하역할 수 있게까지 만들어진 설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는 위에 언급한 LNG-FPSO, FLNG, FPSO를 포함하여 해상에서 부유하면서 작업을 하거나 생산을 하는 선박을 '플로터(Floater)'라고 통칭한다.
플로터의 일례로서, FLNG는 해저에 시추를 통해 만들어 놓은 가스정(gas well)으로부터 채굴한 원유가스(raw gas)를 메인 데크(main deck)인 상갑판 위쪽(top side)에 설비된 전처리 장치, 분류장치, 액화장치 등을 포함하는 공정 모듈을 통해 LNG, LPG 및 기타 응축물(condensate)로 분류 또는 추출한 다음, 상갑판 아래쪽(hull side)에 마련한 저장 탱크에 각각 저장하였다가, 해상에서 직접 운반선에 하역할 수 있다.
플로터는, 해상에서 오랜 기간 계류한 상태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예를 들어 '회전계류장치(turret mooring system)'를 통해 해상에서 위치를 고정한다.
회전계류장치는, 터릿과 선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터릿을 중심으로 선체를 선회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터릿의 하부에는 해저에 박은 앵커에 연결하기 위한 계류 라인(예; tension leg)뿐만 아니라 해저 가스정에서 채굴한 원유가스를 뽑아 올리기 위한 채굴관(예; flexible riser)이 설치된다.
이러한 플로터가 해상에서 정박한 상태에서 채굴, 생산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기간에는, 예를 들어 선체 밑바닥의 도장이나 손상부위 용접과 같이 물에 잠긴 부분의 수리작업, 또는 갑판상부 시설의 신축, 정비 등의 대규모의 공사는 거의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려운 한편 매우 긴 기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플로터를 수리하기 위하여 조선소나 항만에 건설된 일반적인 건선거(乾船渠, dry dock)나 부선거(浮船渠, floating dock)를 이용하고자 하면, 계류 장치나 공정용수 취수 설비와 같이 선체 외부로 연장해 놓은 시설물들을 철수하고, 다시 연안까지 항해하여 재입거(re-docking) 하고, 수리 후에는 다시 현장까지 항해해 가야 하므로, 그만큼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임무를 중지하여야 하는 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7084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022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0149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3-008393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9-0094932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의 임무수행 현장에서 임무수행 중인 플로터를 그대로 재입거하여 수면으로부터 들어올려 수리할 수 있으며, 천연가스 생산과 같은 임무를 멈추지 않고 계속 수행하면서 수리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수리용 부선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별한 목적은, 수리용 부선거의 폰툰 데크 상면에 내린 우수나 침범한 해수를 제거하여 폰툰 데크 상면을 수리 작업이나 생산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바닥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폰툰 데크 상면에 묻어서 우수나 해수에 포함된 오일 입자를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플로터 수리 과정에서 생긴 오일 입자에 의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 시스템을 갖춘 수리용 부선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는, 해저연결요소를 선체부 아래로 내린 상태로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플로터(1)의 아래로 진입한 후 물 위로 부상시키는 것에 의해 플로터(1)를 재입거하여 수리 가능하도록, 상기 해저연결요소가 진입 가능한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을 가지는 폰툰 데크(110); 상기 폰툰 데크(110)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는 측벽(130); 상기 양쪽 측벽(130)에 인접한 상기 폰툰 데크(110)의 상면에, 아래로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어 폰툰 데크(110)의 상면을 흐르는 물을 모아 가두는 집수정(150); 상기 집수정(150)에 모인 물을 선외로 배출하는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20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서, 상기 집수정(150)은, 상기 폰툰 데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 지점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서, 상기 집수정(150)은, 상기 폰툰 데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하나의 도랑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서, 상기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200)은, 상기 집수정(150)으로부터 연장되는 주 배수라인(212); 상기 주 배수라인(212)에 연결되어 집수정(150)에 모인 물을 뽑아 올리는 배수펌프(220); 상기 배수펌프(22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저류 라인(232)을 통해 받아 저장하는 저류조(230); 오일 성분을 저장하는 저유조(240); 상기 저류조(230)에 저류된 물을 수처리 라인(236)을 통해 뽑아 올려 오일성분을 분류한 후, 분리한 오일 성분은 처리유 저장 라인(252)을 통해 상기 저유조(240)에 저장하고, 분리한 물은 처리수 배출관(254)을 통해 선외로 배출하는 유수 분리기(25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서, 상기 유수 분리기(250)로부터 상기 처리수 배출관(254)을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에 오일 함유량이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재처리하기 위해 상기 저류조(230)로 되돌려 보내기 위한 처리수 귀환 라인(2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서, 배수펌프(220)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상기 저류조(230)에 저장하는 대신에 오·폐수 운반선에 옮겨 싣기 위해, 상기 배수펌프(220) 출구의 저류 라인(232)으로부터 분기되는 이송라인(2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서, 상기 이송라인(214)의 단부에는 오·폐수 운반선의 집수관 또는 집수 호스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서, 상기 저류조(230)에 저장된 물을 유수 분리기(250)를 통해 처리하는 대신에 오·폐수 운반선에 옮겨 싣기 위해, 상기 저류조(230)로부터 연장되어 주 배수라인(212)에 합류하는 배출 라인(234)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서, 저유조(240)에 저장된 오일 성분을 오·폐수 운반선에 옮겨 싣기 위해, 저유조(24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송라인(214)에 합류하는 배유 라인(242)을 구비하고, 상기 배유 라인(242)에는 배유 펌프(244)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서, 상기 폰툰 데크(110)에는 플로터(1)의 추력발생기(6)를 수용 가능한 추력발생기 수용홈(11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 의하면, 플로터의 계류 라인이나 채굴관과 같은 해저연결요소를 선체부 아래로 내린 상태 그대로 플로터를 재입거하여 수리할 수 있음으로써, 수리 도중에도 플로터의 본연의 임무(예; 천연가스 채굴, 액화처리, 저장)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 의하면, 수리용 부선거의 폰툰 데크 상면에 내린 우수나 침범한 해수를 집수정을 통해 제거하고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을 통해 처리함으로써 폰툰 데크의 상면을 수리 작업이나 생산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건조한 바닥 상태로 유지하여, 수리 작업이나 생산 작업의 차질없이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 의하면, 수리용 부선거의 폰툰 데크 상면에 묻어서 우수나 해수에 포함된 오일 입자를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플로터 수리 과정에서 생긴 오일 입자에 의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 및 재입거 된 플로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 및 재입거 된 플로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 및 재입거 된 플로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의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의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계통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수리용 부선거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리용 부선거' 또는 'MFD'(Maintenance Floating Dock)는, 회전계류장치를 가지고 해상에서 임무수행 중인 플로터를 재입거(再入渠, re-docking) 함으로써, 천연가스 채굴, 생산, 저장, 하역과 같은 플로터의 고유 임무를 수행하면서 수리를 병행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인과 발명자들이 개발한 새로운 개념의 부선거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 및 재입거 된 플로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에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플로터의 터릿을 중심으로 절단한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플로터(1)는 메인 데크(main deck)인 상갑판(2)을 기준으로 위쪽의 갑판상부(top side)에는 채굴물을 처리하여 생산물을 만들기 위한 공정 모듈(도시하지 않음), 생산물을 운반선에 옮겨싣기 위한 하역설비(도시하지 않음) 및 거주구(7) 등이 탑재되고, 상갑판(2) 아래쪽의 선체부(hull side)에는 생산물을 저장해 두기 위한 저장탱크가 구비된다.
또한, 플로터(1)에는 해상에 정박하기 위한 회전계류장치(3)가 구비되고, 회전계류장치(3)로부터 해저 쪽으로 계류 라인(4)이나 채굴관(5)과 같은 해저연결요소가 연장된다.
또한, 플로터(1)에는, 자항(self-propulsion)을 가능케 하거나 웨더 베이닝(Weather Vaning; 조류, 바람 등의 환경하중 작용 방향으로 선수가 향하도록 회전계류장치를 중심으로 선체를 선회시키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수중익(screw)이나 스러스터(thruster)와 같은 추력발생기(6)를 구비한다.
수리용 부선거(100)는, 위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생산 작업 중에 있는 플로터(1)를 그 상태 그대로 재입거(re-docking) 하여, 플로터(1)가 액화천연가스 생산(채굴, 처리, 액화, 저장)과 같은 본연의 임무를 계속 수행하는 가운데 수리를 병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100)는, 플로터(1)의 해저연결요소가 진입 가능한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이 길이방향 일측(예; 선수 측) 단부에 형성된 폰툰 데크(110)와, 폰툰 데크(110)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는 측벽(130)을 구비한다.
폰툰 데크(110)와 측벽(130)은, 각각의 내부가 밸러스트 탱크로 이루어져서, 밸러스트 시에는 밸러스트 펌프에 의해 해수를 채워 중력을 증가시켜 수리용 부선거(100)를 물 아래로 침강시키고, 디밸러스트(de ballast) 시에는 내부에 채워진 물을 뽑아 내어 부력을 증가시켜 수리용 부선거(100)를 물 위로 부상시킨다.
이러한 폰툰 데크(110)와 측벽(130)은, 복수의 강제 케이슨(caisson)을 용접으로 연결하여 폰툰으로 구축하거나 강제함형(鋼製函形)의 폰툰으로 구축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은, 회전계류장치(3)로부터 해저로 내려지는 계류 라인(4)이나 채굴관(5)과 같은 해저연결요소의 설치 각도를 고려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아래로 갈수록 전체적으로 폭이 확장되는 형태로 구성한다.
또한, 수리용 부선거(100)의 폰툰 데크(110)에는, 플로터(1)의 선저로부터 돌출된 추력발생기(6)를 수용 가능한 추력발생기 수용홈(114)을 구비할 수 있다.
플로터(1)의 재입거에 임하여, 수리용 부선거(100)의 폰툰 데크(110)와 측벽(130)의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채워 가라앉혀 폰툰 데크(110)의 상면이 플로터(1)의 선저면보다 낮게 위치시킨다.
이어서, 수리용 부선거(100)를 도 1의 좌측에서 플로터(1)를 향해 이동시켜 수리용 부선거(100)를 플로터(1) 아래로 위치시킨다. 이렇게 하면 수리용 부선거(100)의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에 플로터(1)의 해저연결요소가 자연스럽게 진입된다.
이렇게 하여, 수리용 부선거(100)의 바로 위의 목표지점까지 플로터(1)를 진입시키 후에는, 수리용 부선거(100)의 폰툰 데크(110)와 측벽(130)의 밸러스트 탱크에 채워진 해수를 뽑아 내어 부력을 증가시킨다.
그러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수리용 부선거(100)가 부상하여 폰툰 데크(110)의 상면이 수면(D.L.: Draft Line 또는 W.L. ; Water Line) 위로 나오도록 부상시키면 플로터(1)의 재입거가 쉽게 이루어진다.
이처럼, 플로터(1)의 계류 라인(4)이나 채굴관(5)과 같은 해저연결요소를 선체부 아래로 내린 상태 그대로 플로터(1)를 재입거하여 수리할 수 있음으로써, 수리 도중에도 플로터(1)의 본연의 임무(예; 천연가스 채굴, 액화처리, 저장)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폰툰 데크(110)의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 반대 측(예; 선미 측)에는 복합 건물(120)을 구비할 수 있다.
복합 건물(120)은, 예를 들어 조타실이나 승조원들의 생활공간으로 활용할 거주동(122)과, 플로터(1)의 수리에 필요한 기자재를 보관하기 위한 기자재 창고(1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리용 부선거(100)는, 플로터(1)가 임무 수행인 지역까지 자체 동력으로 항해할 수 있도록 하고, 플로터(1)의 재입거 동작을 조정하며, 또한 재입거 후 플로터(1)의 회전계류장치(3)를 이용하여 수리용 부선거(100)의 '웨더 베이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리용 부선거(100)에는, 예를 들어, 도 1에서 선미 부분인 복합 건물(120)의 아래쪽 선저부에 도시하지 않은 수중익이나 스러스터와 같은 추력발생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수리용 부선거(100)에 자체의 추력발생기를 구비하면, 자항과 재입거에 유리함은 물론, 플로터(1)를 재입거 한 상태에서 회전계류장치(3)에 의해 수리용 부선거(100) 자체를 환경 하중에 대응하여 웨더 베이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플로터(1) 가동 및 수리 중에도 수리용 부선거(100)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바꾸어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리용 부선거(100)와 육상을 연결하여 기자재나 승조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쇼어 램프(shore ramp, 예: stern ramp, side ramp)(116)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의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에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5에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 6에는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리용 부선거(100)는, 양쪽 측벽(130)에 인접한 폰툰 데크(110)의 상면에 집수정(150)을 구비하고, 집수정(150)에 모인 물을 처리하기 위한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200)을 구비한다.
집수정(150)은, 폰툰 데크(110)의 상면에서 아래로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폰툰 데크(110)의 상면을 흐르는 물을 모아 가둔다.
플로터(1)를 재입거하여 수리하는 도중에는, 기상의 변화에 따라 매우 많은 양의 우수가 내릴 수 있고, 간혹 물보라 또는 물 입자가 넘쳐 들어올 수도 있다. 특히, 수리용 부선거(100)가 플로터(1)의 진입을 위해 마련한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 부분은 항상 해수와 통하고 있는 한편, 상기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이 형성된 폰툰 데크(110)의 단부 부분도 해수와 통하고 있기 때문에, 기상 상황이 매우 나쁜 경우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이나 측벽(130)의 개구 단부 부분에 부딪히는 파도에 의해 만들어진 물보라가 폰툰 데크(110) 위로 넘어올 가능성도 있다.
이처럼, 수리용 부선거(100)의 폰툰 데크(110) 상면에 내린 우수나 침범한 해수를 집수정(150)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폰툰 데크(110)의 상면을 수리 작업이나 생산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양호한 바닥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집수정(150)은, 폰툰 데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 지점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집수정(150)은 그 상면에 망쇠(grill) 모양의 덮개를 덮을 수 있다. 망쇠형 덮개의 표면은 폰툰 데크(110)의 상면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를 이루도록 하여 배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도 7에는, 집수정(150)의 다른 구성 예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정(150)은, 폰툰 데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하나의 도랑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좌현 측의 측벽(130)에 인접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집수정(150)과, 좌현 측에 측벽(130)에 인접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의 집수정(150)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7의 집수정(150)의 형태에서도, 좌현 측 집수정과 우현 측 집수정을 구분하여 각각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200)을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집수정(150)으로부터, 더 상세하게는 집수정(150)의 출수관(210) 또는 배출구로부터 주 배수라인(212)이 연장되고, 주 배수라인(212)에는 집수정(150)에 모인 물을 뽑아 올리는 배수펌프(220)가 설치된다.
집수정(150)에 모이는 물은, 플로터(1)의 수리 과정 등에서 폰툰 데크(110)의 상면에는 오일 입자와 같은 오염물질이 묻어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집수정(150)에 모인 물을 별도의 여과장치를 통해 여과 처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은, 상기 배수펌프(22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저류 라인(232)을 통해 받아 저장하는 저류조(230)와, 오일 성분을 저장하는 저유조(240)와, 오일성분과 물을 분리하는 유수 분리기(250)를 포함한다.
유수 분리기(250)는, 저류조(230)에 저류된 물을 뽑아 올려 오일성분을 분류한 후, 분리한 오일 성분은 저유조(240)로 보내 저장하고, 여과된 물은 선외로 배출한다.
저류조(230)와 유수 분리기(250)는 수처리 라인(236)으로 연결되고, 유수 분리기(250)와 저유조(240)는 처리유 저장 라인(252)으로 연결되며, 유수 분리기(250)로부터 처리수 배출관(254)이 선외로 연장된다.
따라서, 저류조(230)에 저류된 물을 수처리 라인(236)을 통해 뽑아 올려 유수 분리기(250)로 유입시키며, 유수 분리기(250)에서 분리된 오일 성분은 처리유 저장 라인(252)을 통해 저유조(240)에 저장하고, 오일이 제거된 물은 처리수 배출관(254)을 통해 해양으로 버린다.
유수 분리기(250)로부터 처리수 배출관(254)을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에 오일 함유량이 허용 기준치(예; 15ppm)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재처리하기 위해 저류조(230)로 되돌려 보내 재처리하기 위한 처리수 귀환 라인(25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외적으로, 배수펌프(220)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상기 저류조(230)에 저장하는 대신에 오·폐수 운반선에 옮겨 싣기 위해, 또는 저류조(230)에 저장된 물을 처리하지 않고 오·폐수 운반선에 옮겨 싣기 위해, 또는 저유조(240)에 저장된 오일 성분을 오·폐수 운반선에 옮겨 싣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저유조(240)에 있는 오일 성분, 또는 저류조(230)나 집수정(150)에 있는 물을 주기적으로 비우거나, 또는 해상이나 부두에서 비우기 위해, 오·폐수 운반선에 옮겨 싣기 위한 시스템을 연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수펌프(220) 출구의 저류 라인(232)으로부터 이송라인(214)을 분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송라인(214)의 단부에는 오·폐수 운반선의 집수관 또는 집수 호스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1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저류조(230)에 저장된 물을 유수 분리기(250)를 통해 처리하는 대신에 오·폐수 운반선에 옮겨 싣기 위해, 저류조(230)로부터 연장되어 주 배수라인(212)에 합류하는 배출 라인(234)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저유조(240)에 저장된 오일 성분을 오·폐수 운반선에 옮겨 싣기 위해, 저유조(240)로부터 연장되어 이송라인(214)에 합류하는 배유 라인(242)을 구비하고, 배유 라인(242)에는 배유 펌프(24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배유 펌프(244) 출구 측의 배유 라인(242)으로부터 저유조(240)를 연결하는 오일 귀환라인(246)을 설치하여, 비상 시 저유조(240)로 되돌릴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주 배수라인(212)으로부터 별도의 비상배출라인(260)을 분기하고, 비상배출라인(260)에 비상배출펌프(262)를 설치하여, 기상 이변 등으로 집수정(150)의 수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등, 일시적으로 배수펌프(220)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비상배출펌프(262)를 함께 가동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에서, 수리용 부선거(100)를 통해 해상 작업 중인 플로터(1)를 재입거 하여, 플로터(1)의 본연의 임무와 수리를 병행하는 과정에서, 침범한 물은 폰툰 데크(110)의 상면을 흘러 집수정(150)으로 들어와 모이게 된다.
집수정(150)에 모인 물은 배수펌프(220)의 가동에 의해 저류 라인(232)으로 토출되어 저류조(230)에 저장된다.
저류조(230)에 저장된 물은 수처리 라인(236)을 따라 유수 분리기(250)로 보내져서 오일 성분과 물로 분류된다. 이렇게 하여 분류된 오일 성분은 처리유 저장 라인(252)을 통해 저유조(240)에 저장되고, 분류된 깨끗한 물은 처리수 배출관(254)을 통해 선외로 배출된다.
저류조(230)에 저장한 오일 성분은, 주기적으로 배유 펌프(244)의 가동에 의해 배유 라인(242) 및 이송라인(214)을 통해 오·폐수 운반선으로 옮겨 싣는다.
오·폐수 운반선이 도착한 경우에는, 저류조(230)에 저류한 물도 오·폐수에 옮겨 실을 수 있다.
이 경우, 배수펌프(220)의 가동에 의해 배출 라인(234), 주 배수라인(212) 및 이송라인(214)을 통해 오·폐수 운반선으로 옮겨 싣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 플로터
2: 상갑판
3: 회전계류장치
4: 계류 라인
5: 채굴관
6: 추력발생기
100: 수리용 부선거
110: 폰툰 데크
112: 해저연결요소 진입홈
114: 추진장치 수용홈
116: 쇼어 램프
120: 복합 건물
122: 거주동
124: 기자재 창고
130: 측벽
200: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
202: 스트레이너
210: 출수관
212: 주 배수라인
214: 이송라인
216: 커넥터
220: 배수펌프
230: 저류조
231: 수위계
232: 저류 라인
234: 배출 라인
235: 배유장치
236: 수처리 라인
240: 저유조
242: 배유 라인
246: 오일 귀환라인
250: 유수 분리기
252: 처리유 저장 라인
254: 처리수 배출관
256: 처리수 귀환 라인

Claims (10)

  1. 해저연결요소를 선체부 아래로 내린 상태로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플로터(1)의 아래로 진입한 후 물 위로 부상시키는 것에 의해 플로터(1)를 재입거하여 수리 가능하도록, 상기 해저연결요소가 진입 가능한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을 가지는 폰툰 데크(110);
    상기 폰툰 데크(110)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는 측벽(130);
    상기 양쪽 측벽(130)에 인접한 상기 폰툰 데크(110)의 상면에, 아래로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어 폰툰 데크(110)의 상면을 흐르는 물을 모아 가두는 집수정(150);
    상기 집수정(150)에 모인 물을 선외로 배출하는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2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150)은, 상기 폰툰 데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 지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150)은, 상기 폰툰 데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하나의 도랑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200)은,
    상기 집수정(150)으로부터 연장되는 주 배수라인(212);
    상기 주 배수라인(212)에 연결되어 집수정(150)에 모인 물을 뽑아 올리는 배수펌프(220);
    상기 배수펌프(22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저류 라인(232)을 통해 받아 저장하는 저류조(230);
    오일 성분을 저장하는 저유조(240);
    상기 저류조(230)에 저류된 물을 수처리 라인(236)을 통해 뽑아 올려 오일성분을 분류한 후, 분리한 오일 성분은 처리유 저장 라인(252)을 통해 상기 저유조(240)에 저장하고, 분리한 물은 처리수 배출관(254)을 통해 선외로 배출하는 유수 분리기(2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분리기(250)로부터 상기 처리수 배출관(254)을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에 오일 함유량이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재처리하기 위해 상기 저류조(230)로 되돌려 보내기 위한 처리수 귀환 라인(25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6. 제4항에 있어서,
    배수펌프(220)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상기 저류조(230)에 저장하는 대신에 오·폐수 운반선에 옮겨 싣기 위해, 상기 배수펌프(220) 출구의 저류 라인(232)으로부터 분기되는 이송라인(2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214)의 단부에는 오·폐수 운반선의 집수관 또는 집수 호스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230)에 저장된 물을 유수 분리기(250)를 통해 처리하는 대신에 오·폐수 운반선에 옮겨 싣기 위해, 상기 저류조(230)로부터 연장되어 주 배수라인(212)에 합류하는 배출 라인(2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9. 제6항에 있어서,
    저유조(240)에 저장된 오일 성분을 오·폐수 운반선에 옮겨 싣기 위해, 저유조(24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송라인(214)에 합류하는 배유 라인(242)을 구비하고,
    상기 배유 라인(242)에는 배유 펌프(2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 데크(110)에는 플로터(1)의 추력발생기(6)를 수용 가능한 추력발생기 수용홈(11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KR1020160094684A 2016-07-26 2016-07-26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KR20180012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684A KR20180012002A (ko) 2016-07-26 2016-07-26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684A KR20180012002A (ko) 2016-07-26 2016-07-26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002A true KR20180012002A (ko) 2018-02-05

Family

ID=6122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684A KR20180012002A (ko) 2016-07-26 2016-07-26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20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0656A (zh) * 2020-11-01 2021-03-19 邵建森 一种军用舟桥维修翻转机构及其使用方法
CN114771724A (zh) * 2022-05-26 2022-07-22 广船国际有限公司 船舶排水系统及船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0656A (zh) * 2020-11-01 2021-03-19 邵建森 一种军用舟桥维修翻转机构及其使用方法
CN114771724A (zh) * 2022-05-26 2022-07-22 广船国际有限公司 船舶排水系统及船舶
CN114771724B (zh) * 2022-05-26 2023-10-03 广船国际有限公司 船舶排水系统及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7156A (en) Oil recovery vessel and method utilizing adjustable weir
US3744257A (en) Water-surface cleansing ship
CN101468715B (zh) 一种收集分离水面油污的装置
US38801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hore submersible oil storage and drilling
US4551244A (en) Spilled oil processing catamaran
US20130313181A1 (en) Device for skimming oil from the surface of water
US5885028A (en) Floating systems and method for storing produced fluids recovered from oil and gas wells
KR101036621B1 (ko) 드레인 처리 장치
US8318012B2 (en) Barge oil skimmer
CN104153333A (zh) 半潜式水上溢油清理船及其控制方法
CN103010615A (zh) 一种具有系泊功能的水面储油装置及其安装方法
RU2653661C1 (ru) Самоходное судно-нефтемусоросборщик
US9464395B1 (en) Oil skimmer barge having an adjustable weir
KR20180012002A (ko)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AU752766B2 (en) Method of dissolving water-soluble gas in sea for isolation into deep sea, device therefor, laying method for device
NO151049B (no) Innretning for fjernelse av olje fra en vannoverflate
US5254266A (en) Oil spill cleanup craft and method using catamaran with exceptional stability
US4399040A (en) Open sea skimmer barge
KR20180012003A (ko) 작업용 플랫폼을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KR101563671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분리장치
KR20180051849A (ko) 플로터의 갑판상부 오·폐수 배수가 가능한 수리용 부선거
KR100970200B1 (ko) 오일회수장치 및 오일회수방법
KR20150119308A (ko)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RU2396433C1 (ru) Горно-морской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комплекс и способ приведения его в рабочее и транспортируемое состояния
KR20180034991A (ko) 플로터에 해수 공급이 가능한 수리용 부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