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200B1 - 오일회수장치 및 오일회수방법 - Google Patents

오일회수장치 및 오일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200B1
KR100970200B1 KR1020080002047A KR20080002047A KR100970200B1 KR 100970200 B1 KR100970200 B1 KR 100970200B1 KR 1020080002047 A KR1020080002047 A KR 1020080002047A KR 20080002047 A KR20080002047 A KR 20080002047A KR 100970200 B1 KR100970200 B1 KR 100970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ecovery
mixed fluid
outflow line
recover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226A (ko
Inventor
이예분
Original Assignee
이예분
주식회사 환경과학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분, 주식회사 환경과학기술 filed Critical 이예분
Priority to KR102008000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2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6Overflow skimmers with suction heads; suction h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오일을 포함하는 혼합유체로부터 상기 오일을 분리시켜 상기 오일을 회수하는 방법은 분리된 상기 오일이 흐르는 오일유출라인의 끝단에 회수용기의 주입구를 연결하고, 상기 오일유출라인을 통해 유출되는 상기 오일을 상기 회수용기의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오일이 저장된 상기 회수용기를 상기 오일유출라인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혼합유체가 제공된 해상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오일유출라인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회수용기의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회수용기를 상기 해상에 투척하여 상기 회수용기를 상기 해상에 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해상에 떠 있는 상기 회수용기를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수용기, 주입구, 무게추

Description

오일회수장치 및 오일회수방법{oil recovery apparatus and oil recovery method}
본 발명은 오일회수장치 및 오일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혼합유체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회수장치 및 오일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발달로 인한 산업물동량의 증가에 따라, 오일 소비량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오일을 수송하는 과정에서 유조선이나 유조차의 전복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해상 유류 오염사고가 증가하여, 이로 인한 바다 오염과 강의 오염이 전세계적으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오염사고는 기상의 악화시, 대부분 발생하며 혼합유체에서 오일을 수거 처리하는 1차 처리로 마무리되지 못하고, 오일이 육지로 흘러 들어 2차 피해를 주는 등의 재난을 유발한다.
혼합유체에서 오일 수거처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이유는 신속하게 대용량으로 오일을 혼합유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없었기 때문이며, 그에 따라서 현재에는 오일 중화제를 살포하거나, 오일 흡입포를 혼합유체에 던져 오일을 빨아 들이고, 이를 다시 수거하여 별도로 처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또는, 오일이 떠 있는 혼합유체위에 오일 펜스등을 설치하여 혼합유체상부에 오일을 모아 두고, 오일 부분을 배에서 거둬들여 별도의 유수분리기로서 오일을 제거하는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일제거방식에서 오일 흡입포 살포방식은 많은 작업인력이 필요하지만, 오일제거효과가 미비하여 대형 사고시에는 부적합한 방식이다. 그리고, 오일 중화제의 투입방식은 대형사고처리에는 유효하지만, 바다 플랑크톤이나, 바다 생물의 피해를 초래하여 어장의 황폐화를 일으킨다. 또한, 오일 펜스에 오일을 모아 이를 흡입하는 방식은 배를 정지시켜야 하는 문제점과 파도가 높으면 작업에 방해를 받아 오일제거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등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을 더욱 신속하게 회수할 수 있는 오일회수장치 및 오일회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수된 오일을 신속,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오일회수장치 및 오일회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를 흐르는 혼합유체를 일단을 통해 유출하는 유출라인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유출라인을 통해 유출된 상기 혼합유체가 저장되는 회수용기는 상기 유출라인의 끝단에 착탈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회수용기의 내부부피는 팽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수용기는 상기 회수용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오일유출라인의 끝단에 연결되는 주입구; 그리고 상기 회수용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단부에 배치되며, 기설정된 질량을 가지는 무게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혼합유체가 저장된 상기 회수용기의 무게는 상기 회수용기가 혼합유체에 놓여있을 때 상기 회수용기에 가해지는 부력(buoyancy)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일회수장치는 오일을 포함하는 혼합유체가 유입되며, 유입된 혼합유체로부터 상기 오일을 분리시키는 유수분리탱크; 상기 유수분리탱크 에 연결되어 상기 오일이 내부에 흐르는 오일유출라인; 그리고 상기 오일유출라인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오일유출라인을 통해 유출된 상기 오일이 저장되는 회수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회수용기는 상기 오일유출라인의 끝단에 착탈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회수용기의 내부부피는 팽창될 수 있다.
상기 선박은 상기 오일유출라인 상에 제공되어 상기 오일유출라인을 통해 유출되는 상기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유체가 저장된 상기 회수용기의 무게는 상기 회수용기가 혼합유체에 놓여있을 때 상기 회수용기에 가해지는 부력(buoyancy)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일을 포함하는 혼합유체로부터 상기 오일을 분리시켜 상기 오일을 회수하는 방법은 분리된 상기 오일이 흐르는 오일유출라인의 끝단에 회수용기의 주입구를 연결하고, 상기 오일유출라인을 통해 유출되는 상기 오일을 상기 회수용기의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오일이 저장된 상기 회수용기를 상기 오일유출라인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혼합유체가 제공된 해상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오일유출라인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회수용기의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회수용기를 상기 해상에 투척하여 상기 회수용기를 상기 해상에 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해상에 떠 있는 상기 회수용기를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수용기의 전단부에 상기 주입구를 제공하고, 상기 회수용기의 후단부에 기설정된 질량을 가지는 무게추를 제공하여, 상기 해상에 투척된 상기 회 수용기의 상기 주입구를 공기 중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오일을 상기 회수용기의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오일유출라인을 통해 유출되는 상기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여 기설정된 유량의 상기 오일을 상기 회수용기의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혼합유체에 포함된 오일을 오일을 더욱 신속하게 회수할 수 있다. 또한, 회수된 오일을 신속,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오일회수선박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다양한 오일회수장치에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오일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다양한 피회수유체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회수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회수선박은 선체(도시안함)를 구비하며, 선 체 상에는 유입탱크(15), 유수분리탱크(30), 그리고 오일탱크(64)가 제공된다. 유입탱크(15)는 선체의 선수 전방측에 제공되며, 내측에 수위검출센서(도시안함) 또는 레벨 스위치(level switch)가 제공된다. 선체가 이동하면, 이에 따라 선수 전방측을 통해 유입된 오일을 포함하는 혼합유체(오일과 바닷물이 혼합된 유체)는 유입탱크(15) 내로 유입되며, 혼합유체가 유입탱크(15)내를 차오르면서 그 수위가 수위검출센서에 의해서 검출되고,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차오르면, 혼합유체의 유입을 차단한다.
유수분리탱크(30)는 유입탱크(15)의 하류 측에 제공되며, 유입탱크(15)의 혼합유체는 유입탱크(15)와 유수분리탱크(30)를 연결하는 공급라인(27)을 통해 유수분리탱크(30)에 유입된다. 공급라인(27) 상에는 혼합유체를 강제이송하는 펌프(27a)가 제공된다. 유수분리탱크(30)는 펌프(27a)를 통해 혼합유체를 공급받아, 이를 비중(specific gravity) 차이에 의해 분리시킨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수분리탱크(30)는 공급라인(27)에 연결된 유입구(32)가 전방측에 형성되고, 중간부분에는 격벽(35)이 형성되며, 격벽(35)은 유수분리탱크(30)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유로(35a)를 형성한다.
그리고, 유수분리탱크(30)의 일측에는 유수분리탱크(30)에서 분리된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탱크(64)를 갖는 바, 오일탱크(64)는 유수분리탱크(30)에 연결된 복수의 회수라인(62,63)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저장한다. 회수라인(62,63) 상에는 회수라인(62,63)을 개폐하는 밸브(62a,63a)가 각각 제공되며, 회수라인(62,63)은 상단이 일정한 높이차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유수분리탱크(30) 내의 오일은 회수라인(62,63)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며, 유출된 오일은 오일탱크(64)에 저장된다.
한편, 유수분리탱크(30)에는 오일이 제거된 혼합유체(예를 들어, 바닷물)를 유수분리탱크(3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라인(80)이 유수분리탱크(30)의 후방측으로 설치되는 바, 이는 유수분리탱크(30)내에서 오일이 분리된 혼합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회수라인(62,63)의 상단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서 자동개폐밸브(80a)를 가지고서 형성된다.
유수분리탱크(30)의 일측에는 필요에 따라(예를 들어, 유수분리탱크(30) 내부의 유지보수) 유수분리탱크(30)의 내의 혼합유체를 배출하는 배출라인(120)이 설치되며, 배출라인(120) 상에는 밸브(120a)가 제공된다. 또한, 오일탱크(64)의 일측에는 오일탱크(64) 내의 오일을 배출하는 오일유출라인(65)이 제공되며, 오일유출라인(65) 상에는 밸브(65a) 및 유량계(66)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오일유출사고가 발생하여 오일이 확산된 경우(예를 들어, 해상에서 바닷물(해수)에 오일이 확산된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오일 유출 현장에서, 선체가 전진하면, 선체의 선수측에 제공된 유입탱크(15)의 내부에 오일을 포함하는 혼합유체가 유입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저장된 혼합유체는 펌프(27)를 통하여 유수분리탱크(30)로 공급된다.
유수분리탱크(30)에서는 비중차이에 의해 오일은 상부 측에 분포되고 오일을 제외한 혼합유체(예를 들어, 바닷물)는 하부 측에 분포되며, 오일을 제외한 혼합유체는 격벽(35)의 하부공간(35a)을 통하여 유수분리탱크(30)의 좌측공간에서 우측공간으로 이동한다. 이후, 배수관(80)을 통해 배수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유수분리탱크(30) 내에서는 오일이 격벽(35)에 막히어 배수관(80)측으로 흐르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다가, 오일회수라인(62,63)의 상단 중 어느 하나의 레벨에 도달되면, 이는 유수분리탱크(30)의 측방에 있는 오일탱크(64)측으로 유출되어 오일만이 이 수집되고, 계속적으로 공급되어지는 혼합유체와 오일에 의해서 혼합유체는 배수관(80)측으로, 오일은 오일회수라인(62,63)중의 어느 하나를 통하여 오일탱크(64)측으로 각각 분리 수거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오일유출라인(65)에 연결된 회수용기(7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오일탱크(64)에 분리수거된 오일은 오일유출라인(65)을 통해 유출되며, 오일유출라인(65)의 끝단에 연결된 회수용기(70)에 저장된다.
회수용기(70)는 오일이 저장되는 용기(74)와, 용기(74)의 전단부에 제공된 주입구(72), 그리고 용기(74)의 후단부에 제공된 무게추(76)를 가진다. 주입구(72)는 오일유출라인(65)의 끝단에 착탈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주입구(72)는 별도의 고정장치(도시안함)에 의해 오일유출라인(65)의 끝단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장치의 해제에 의해 오일유출라인(65)의 끝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주입구(72) 상에는 주입구(72)를 개폐하는 밸브(72a)가 설치된다. 무게추(76)는 해상에 투척된 회수용기(70)의 주입구(72)의 위치를 결정한다. 무게추(7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수용기(70)를 오일유출라인(65)의 끝단에 고정설치하고, 밸브(65a)를 해제하여 오일유출라인(65)을 통해 오일을 유출시키면, 유출된 오일은 주입구(72)를 통해 용기(74) 내에 저장된다. 이때, 주입구(72) 상의 밸브(72a)는 해제상태이다. 유량계(66)는 오일유출라인(65)을 통해 유출되는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여, 용기(74) 상에 기설정된 량의 오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이 용기(74) 내에 저장됨에 따라 용기(74)는 팽창하며, 용기(74)가 팽창함에 따라 용기(74) 내에는 기설정된 량의 오일이 저장될 수 있다. 기설정된 량의 오일이 저장되면, 밸브(65a) 및 밸브(72a)를 폐쇄한다. 이후, 주입구(72)를 오일유출라인(65)으로부터 분리하고, 회수용기(70)를 해상에 투척한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척된 회수용기(70)는 해상에 뜬 상태를 유지하며, 주입구(72)는 공기 중에 노출된다. 이는 무게추(76)의 질량에 의해 무게추(76)가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회수용기(70)가 회전하며, 역으로, 주입구(72)는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회수용기(70) 내에 저장된 오일은 회수용기(70) 외부의 바닷물에 비해 낮은 비중을 가지므로, 회수용기(70)의 무게는 회수용기(70)에 가해지는 부력(buoyance)에 비해 작으며, 회수용기(70)는 부력에 의해 해상에 뜰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작업자는 혼합유체로부터 오일을 분리하여 회수용기(70) 내에 저장할 수 있으며, 오일이 채워진 회수용기(70)를 해상에 투척할 수 있다. 해상에 투척된 회수용기(70)는 해상에 뜬 상태를 유지하며, 떠 있는 회수용 기(70)는 별도의 선박(즉, 오일회수선박과 별도로 회수용기(70)를 인양하는 선박)에 의해 회수된다. 다시 말해, 작업자는 복수의 회수용기(70)(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적은 부피를 가짐)를 선체에 싣고 다니다가, 오일 유출 현장에서 오일이 확산된 혼합유체로부터 오일을 분리하여 회수용기(70)에 저장하며, 회수용기(70)에 오일이 채워지면 회수용기(70)를 해상에 투척하고 다시 새로운 회수용기(70)에 오일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해상의 오일을 회수할 수 있으며,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수된 오일은 회수용기(70)에 채워진 상태에서 해상에 떠 있다. 오일회수선박은 위와 같은 오일회수 및 저장기능만을 수행하여 회수용기(70)에 오일을 저장하며, 별도의 선박에 의해 회수용기(70)는 회수된다. 따라서, 오일회수선박은 오일을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공간이나, 회수용기(70)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공간을 가질 필요가 없으며, 소형선박으로 오일회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회수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달리, 유수분리탱크(40)의 중앙에는 투과막(42)이 제공되며, 혼합유체는 유입구(44)를 통해 유입된다. 유입된 혼합유체 중 오일은 투과막(42)을 통해 투과되어 유수분리탱크(40)의 하부로 이동하는 반면(도 3의 화살표 방향), 오일을 제외한 혼합유체는 투과막(42)을 통해 투과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수라인(80)을 통해 배출된다. 유수분리탱크(40)의 하부로 이동한 오일은 오일유출라인(65)을 통해 유출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회수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오일유출라인에 연결된 회수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회수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5 : 유입탱크 30 : 유수분리탱크
35 : 격벽 62,63 : 회수라인
64 : 오일탱크 65 : 오일유출라인
66 : 유량계 70 : 회수용기
72 : 주입구 74 : 용기
76 : 무게추 80 : 배수라인
120 : 배출라인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오일을 포함하는 혼합유체가 내부에 유입되면서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차오르면, 혼합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유입탱크;
    상기 유입탱크를 통해 오일을 포함하는 혼합유체가 유입되며, 비중(specific gravity) 차이에 의해 유입된 혼합유체로부터 상기 오일을 분리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되, 바닥면과의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면서 분리된 오일이 정체되도록 중간부분에 격벽이 형성되는 유수분리탱크;
    상기 유수분리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단이 일정한 높이차를 유지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회수라인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이 저장되며, 저장된 오일을 배출하는 오일유출라인이 타측에 연결되는 오일탱크; 및
    상기 오일유출라인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오일유출라인을 통해 유출된 상기 오일이 저장되는 회수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오일을 포함하는 혼합유체가 내부에 유입되면서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차오르면, 혼합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유입탱크;
    상기 유입탱크를 통해 오일을 포함하는 혼합유체가 유입되며, 유입된 혼합유체 중 오일은 중앙에 수평하게 형성된 투과막을 통해 투과되어 하부로 이동한 후 오일유출라인을 통해 배출되고, 오일을 제외한 혼합유체는 투과막을 통해 투과되지 않고 배출되는 유수분리탱크; 및
    상기 오일유출라인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오일유출라인을 통해 유출된 상기 오일이 저장되는 회수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15. 제4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용기는 상기 오일유출라인의 끝단에 착탈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회수용기의 내부 부피는 상기 오일의 유입량에 따라 팽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16. 제4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용기는,
    상기 회수용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오일유출라인의 끝단에 연결되는 주입구; 및
    상기 회수용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단부에 배치되며, 기설정된 질량을 가지는 무게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17. 제4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출라인 상에는 상기 오일유출라인을 통해 유출되는 상기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18. 제4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 내부에 저장된 상기 회수용기의 무게는 상기 회수용기가 혼합유체에 놓여있을 때 상기 회수용기에 가해지는 부력(buoyancy)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19. 오일을 포함하는 혼합유체로부터 상기 오일을 분리시켜 상기 오일을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중(specific gravity) 차이에 의해 유입된 혼합유체로부터 상기 오일을 분리하되, 유수분리탱크 내에서 분리된 오일이 격벽에 의해 정체되고 오일회수라인의 상단 중 어느 하나의 레벨에 도달되면, 이는 유수분리탱크의 측방에 있는 오일탱크측으로 유출되어 오일만이 수집되도록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상기 오일이 흐르는 오일유출라인의 끝단에 회수용기의 주입구를 연결하고, 상기 오일유출라인을 통해 유출되는 상기 오일을 상기 회수용기의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오일이 저장된 상기 회수용기를 상기 오일유출라인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방법.
  20. 오일을 포함하는 혼합유체로부터 상기 오일을 분리시켜 상기 오일을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입된 상기 혼합유체 중 오일은 중앙에 수평하게 형성된 투과막을 통해 투과되어 하부로 이동한 후 오일유출라인을 통해 배출되고, 오일을 제외한 혼합유체는 투과막을 통해 투과되지 않고 배출되도록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상기 오일이 흐르는 오일유출라인의 끝단에 회수용기의 주입구를 연결하고, 상기 오일유출라인을 통해 유출되는 상기 오일을 상기 회수용기의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오일이 저장된 상기 회수용기를 상기 오일유출라인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회수방법은 혼합유체가 제공된 해상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오일회수방법은,
    상기 오일유출라인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회수용기의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회수용기를 상기 해상에 투척하여 상기 회수용기를 상기 해상에 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회수방법은 상기 해상에 떠 있는 상기 회수용기를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용기의 전단부에 상기 주입구를 제공하고, 상기 회수용기의 후단부에 기설정된 질량을 가지는 무게추를 제공하여,
    상기 해상에 투척된 상기 회수용기의 상기 주입구를 공기 중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방법.
  24.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을 상기 회수용기의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오일유출라인을 통해 유출되는 상기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여 기설정된 유량의 상기 오일을 상기 회수용기의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방법.
KR1020080002047A 2008-01-08 2008-01-08 오일회수장치 및 오일회수방법 KR100970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047A KR100970200B1 (ko) 2008-01-08 2008-01-08 오일회수장치 및 오일회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047A KR100970200B1 (ko) 2008-01-08 2008-01-08 오일회수장치 및 오일회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226A KR20090076226A (ko) 2009-07-13
KR100970200B1 true KR100970200B1 (ko) 2010-07-14

Family

ID=4133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047A KR100970200B1 (ko) 2008-01-08 2008-01-08 오일회수장치 및 오일회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854Y1 (ko) * 2016-10-01 2017-07-03 김기선 오염물 유출방제장치
KR101954923B1 (ko) * 2017-04-26 2019-03-06 수상에스티(주)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004A (ko) * 1989-07-20 1991-02-28 강진구 텔레비젼수상기에 있어서 동작적응형 수직윤곽 보상회로
JPH092379A (ja) * 1995-06-19 1997-01-07 Takeo Morishima 廃油回収装置
JP2004345383A (ja) * 2003-05-20 2004-12-09 Takatsugu Yamamoto 新システムの流出油回収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004A (ko) * 1989-07-20 1991-02-28 강진구 텔레비젼수상기에 있어서 동작적응형 수직윤곽 보상회로
JPH092379A (ja) * 1995-06-19 1997-01-07 Takeo Morishima 廃油回収装置
JP2004345383A (ja) * 2003-05-20 2004-12-09 Takatsugu Yamamoto 新システムの流出油回収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226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6000A (en) Process and apparatus of handling water which is contaminated with an oillike liquid
US9017548B2 (en) Oil collecting apparatus
US37451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nd reclaiming oil-slick from water
US350865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US20110297608A1 (en) Crouse big mouth barge skimmer
NO780884L (no) Fremgangsmaate og apparat for separering av fluider med forskjellig tetthet
KR102328587B1 (ko) 유동적 유출 오일 회수 장치
US10682590B2 (en) Mixed density fluid separator
US1406950A (en) Waste-fuel-oil-salvaging barge
US8672639B2 (en) Bilge pump and method
KR100970200B1 (ko) 오일회수장치 및 오일회수방법
KR101511949B1 (ko) 해상 유출유류의 오염방지를 위한 유류 처리장치
KR100889661B1 (ko)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US3957009A (en) Ship ballast, oil and water separation system
KR20020017631A (ko) 자연순환식 유수분리 장치
KR101455105B1 (ko) 오일제거장치
KR20180012002A (ko)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JPH04266588A (ja) 浮遊原油回収船
KR100939107B1 (ko) 오일회수장치
EA007211B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загрязняющей жидкости, содержащейс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одной поперечной секции танков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KR200179410Y1 (ko) 유출유류 회수장치
KR101313163B1 (ko) 잠수함식 원유제거선
JP2012229530A (ja) 海上油分離装置
KR100238853B1 (ko) 유수수거 분리장치
KR101728209B1 (ko) 기름 방재 및 기름 회수용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