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661B1 -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661B1
KR100889661B1 KR1020070035867A KR20070035867A KR100889661B1 KR 100889661 B1 KR100889661 B1 KR 100889661B1 KR 1020070035867 A KR1020070035867 A KR 1020070035867A KR 20070035867 A KR20070035867 A KR 20070035867A KR 100889661 B1 KR100889661 B1 KR 100889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oil
water
suction
pip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2511A (ko
Inventor
허창범
Original Assignee
허창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창범 filed Critical 허창범
Priority to KR1020070035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661B1/ko
Publication of KR20080092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6Refuse discharge, e.g. for 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기관구역의 빌지웰에 고여있는 폐수중에서 비중차이로 인해 수면위로 부유하는 폐오일을 흡입하도록 한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빌지웰 바닥면에 설치되며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수공들이 형성되는 가이드파이프와,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파이프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의 부력에 따라 상기 폐수의 혼합물인 폐오일과 물의 경계지점까지 부상하는 메인플롯과, 상기 메인플롯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폐수중에서 비중차로 인해 폐수의 수면위로 뜨는 폐오일의 부력으로 부상하며 상기 폐오일의 표면에 위치하게 되는 흡입플롯과, 상기 흡입플롯의 중앙에 관통 설치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며 펌프의 펌핑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관을 통해 폐오일을 흡입하는 흡입파이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빌지웰, 폐수, 폐오일, 물. 흡입장치, 유수분리장치

Description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Suction apparatus of waste o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폐수 처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폐수 처리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는 폐오일 흡입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의 폐오일 흡입장치를 이동식으로 사용할 때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유수분리탱크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폐오일 배출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폐수 1a: 폐오일
1b: 물
10: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12: 가이드파이프
14: 통수공 16: 메인플롯
18: 흡입플롯 20: 연결관
22: 안내파이프 30: 흡입파이프
50: 유수분리탱크 52: 상부저장실
54: 격벽 56: 제 1폐오일저장실
58: 폐오일 배출장치 72: 제 2폐오일저장실
76: 제 3폐오일저장실 80: 칸막이
82: 하부저장실 88: 격벽
86: 제 1물저장실 92: 제 2상부물저장실
98: 제 2하부물저장실 102: 제 3물저장실
200: 빌지웰 500: 펌프
700: 배출라인
본 발명은 선박의 폐수 처리시스템에 사용되는 폐오일 흡입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기관구역의 빌지웰에 고여있는 폐수중에서 비중차이로 인해 수면위로 부유하는 폐오일을 흡입하도록 한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선박 기관구역의 빌지웰(Bilge Well)에는 바닷물과 엔진이나 기타 각종 기관실 부품에서 사용된 폐오일이 서로 혼합된 상태의 폐수가 고여지게 된다.
상기 빌지웰에 고여있는 폐수에는 언급한 바와 같이 폐오일이 혼합되어 있는 관계로 인해, 이를 그대로 해양으로 배출시킬 경우에는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모든 선박에는 유수분리기라는 장치를 설치하여 빌지웰에 고여있는 폐수중에서 폐오일은 슬러지 저장탱크로 배출하고, 물은 빌지 저장탱크로 배출시켜 폐오일과 물을 각각 분리한 상태로 저장토록 하고 있다.
한편, 빌지웰에 고여있는 폐수를 유수분리기로 배출시키는 방법으로는 여과수단인 스트레이너 박스를 빌지웰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흡입수단인 펌프를 상기 스트레이너 박스에 배관 연결시켜 빌지웰의 폐수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유수분리기로 배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폐수 처리방법은 스트레이너 박스를 빌지웰의 바닥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펌프의 펌핑동작에 따라 폐수를 흡입하게 되는 데, 이때 빌지웰에 고여있는 폐수중에서 폐오일은 물과의 비중차로 인해 수면 위로 떠있게 됨으로서, 흡입작업시에는 물이 먼저 흡입된 후, 폐오일이 마지막으로 흡입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폐오일을 제일 마지막으로 흡입시키게 되면 빌지웰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점성을 가진 폐오일이 항상 잔류하게 됨으로서 폐오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빌지웰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잔류하는 폐오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스팀이나 고압의 세척장비나 혹은 흡착포를 이용하여 잔류하는 폐오일을 제거하는 공정을 추가로 진행하여야 함으로서 작업시간 지연은 물론 작업의 번거로움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 기관구역의 빌지웰에 고여있는 폐수중에서 비중차이로 인해 수면위로 부유하는 폐오일만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폐오일을 먼저 제거토록 함으로서 빌지웰의 바닥이나 벽면에 폐오일이 잔류하지 않도록 한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선박의 항해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롤링(Rolling)이나 피칭(Pitching) 또는 힐링(Heeling)의 변화에 상관없이 폐오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한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폐오일이 공급되는 유수분 리탱크의 구조를 개선하여 폐오일에 포함되어 있는 물을 재차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빌지웰 바닥면에 설치되며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수공들이 형성되는 가이드파이프와,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파이프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의 부력에 따라 상기 폐수의 혼합물인 폐오일과 물의 경계지점까지 부상하는 메인플롯과, 상기 메인플롯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폐수중에서 비중차로 인해 폐수의 수면위로 뜨는 폐오일의 부력으로 부상하며 상기 폐오일의 표면에 위치하게 되는 흡입플롯과, 상기 흡입플롯의 중앙에 관통 설치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며 펌프의 펌핑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관을 통해 폐오일을 흡입하는 흡입파이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플롯의 둘레면에는 상기 흡입플롯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파이프들을 다수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상면에는 두껑이 덮혀지며, 상기 두껑의 중앙에는 상기 흡입파이프의 상, 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을 연장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폐오일과 물을 함께 공급받아 저장하는 상부저장실과,상기 상부저장실과 격벽으로 구획 형성되며 상기 상부저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폐오일배출장치를 통해 폐오일을 공급받으며 바닥면에는 공급된 폐오일에 포함되어 있 는 물을 배출시키는 밸출밸브가 설치되는 제 1폐오일저장실과, 상기 상부저장실의 아래에 칸막이로 구획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 1필터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하부저장실과, 상기 하부저장실과 격벽으로 구획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 형성되어 있는 통로를 통해 상기 하부저장실의 물을 공급받는 제 1물저장실 및 상기 제 1물저장실과 상기 제 1폐오일저장실을 연결하며 상기 제 1물저장실에 공급된 물에 포함되어 있는 폐오일을 상기 제 1폐오일저장실로 토출시키는 토출라인으로 구성하여 빌지웰에서 배출되는 폐오일과 물을 분리시키는 유수분리탱크를 포함하는 페오일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폐오일 배출장치는 상기 격벽을 관통하며 선단은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선단에 인출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저장실에 공급된 폐오일과 물의 부력으로 상기 폐오일과 물의 경계지점까지 부상하는 플롯 및 상기 플롯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폐오일을 상기 연결관을 통해 배출관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로 구
성함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가 선박 기관구역의 빌지웰에 고여있는 폐수중에서 폐오일을 흡입하는 것을 대표하여 기술할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선박의 빌지 저장탱크에 설치하여 탱크의 표면에 잔류하는 기름을 제거하거나, 또한 선박의 화물류 탱크에 설치하여 상기 화물류 탱크의 세정수 표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폐수 처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폐수 처리시스템은 선박 기관구역의 빌지웰(200)에 설치되는 폐오일 흡입장치(10)와, 스트레이너 박스(5)를 포함하고, 상기 폐오일 흡입장치(10)와 스트레이너 박스(5)는 펌프(500)와 제 1, 2분기라인(300, 400)으로 각각 연결 구성하고, 상기 펌프(500)는 배출라인(700)을 통해 유수분리탱크(50)에 연결시켜 구성한다. 이때, 상기 배출라인(700)상에는 히터(600)를 더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의 폐수 처리시스템은 빌지웰(200)에 물(1b)과 폐오일(1a)의 혼합물인 폐수(1)가 고여지게 되면 비중차에 의해 폐수(1)의 혼합물인 물(1b)과 폐오일(1a)은 서로 분리되어 물(1b)은 아래로 가라앉고, 폐오일(1a)은 물(1b)위로 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 1분기라인(300)의 밸브(300a)를 개방하고, 펌프(500)를 구동시키게 되면 비중차에 의해 물(1b)위에 떠있는 폐오일(1a)은 폐오일 흡입장치(10)를 통해 위쪽으로 흡입된 후, 배출라인(700)을 타고 유수분리탱크(50)로 배출되어 지며, 이후, 제 1분기라인(300)의 밸브(300a)를 폐쇄한 후, 제 2분기라인(400)의 밸브(400a)를 개방하면 물(1b)은 스트레이너 박스(5)를 통해 아래쪽으로 흡입된 후, 배출라인(700)을 타고 유수분리탱크(50)로 배출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물(1b)위에 떠 있는 폐오일(1a)을 제일 마지막으 로 흡입하는 방식이 아니라, 폐오일 흡입장치(10)를 통해 폐오일(1a)을 빌지웰(200)에서 먼저 흡입시키도록 함으로서 빌지웰(200)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폐오일(1a)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기술적 요지가 있다 할 것이다.
첨부된 도 2와 도 3은 상술한 특징을 구현하게 되는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10)는 가이드파이프(12), 메인플롯(16), 흡입플롯(18), 연결관(20), 안내가이드(22) 및 흡입파이프(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파이프(12)는 빌지웰(200)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통체 형태로 상단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두껑(26)으로 덮혀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파이프(12)는 메인플롯(14)의 상, 하 이동을 가이드하고, 또한 선박의 항해과정에서 발생하는 롤링이나 피칭 혹은 힐링현상에 의해 메인플롯(14), 흡입플롯(18)등이 흔들리거나 유동하지 않고, 항상 제 위치를 유지시키는 역활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파이프(12)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통수공(14)들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수공(14)들은 빌지웰(200)에 고여있는 폐수(1)를 가이드파이프(12) 내부로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플롯(16)은 가이드파이프(12) 내부에 위치하는 수단이다. 상기 메인플롯(16)은 통수공(14)들을 통해 가이드파이프(12) 내부로 유입된 폐수(1)의 부력에 따라 일정높이 부상하며 폐오일 흡입장치(10)를 구성하는 흡입플롯(18), 가이 드파이프(22) 그리고 흡입파이프(30)등의 구성품들을 부상시킨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메인플롯(16)의 부력을 통해 흡입플롯(18)은 후술하겠지만 흡입파이프(30)의 무게를 어느정도 보상받게 됨으로서 폐수(1)의 수면위로 뜨는 폐오일(1a)의 부력으로 용이하게 부상하며 폐오일(1a)의 표면에 정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플롯(16)은 폐수(1)위로 완전히 부상하는 것이 아니라 폐수(1)의 혼합물인 폐오일(1a)과 물(1b)이 서로간의 비중차로 인해 상, 하로 분리될 때, 분리된 폐오일(1a)과 물(1b)의 경계지점까지 부상하도록 메인플롯(16)의 부력을 조절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플롯(16)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메인플롯(16)의 구조를 다수개의 디스크판(16a)들을 여러겹 겹친 상태에서 각 디스크판(16a)들을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메인플롯(16)이 물(1b)과 폐오일(1a)의 경계지점에 정확히 위치할 수 있도록 각 디스크판(16a)을 떼어내거나 혹은 부착시켜 가며 메인플롯(16)의 부력을 조절토록 구성한다.
상기 흡입플롯(18)은 흡입파이프(30)가 폐오일(1a)을 흡입할 수 있도록 폐수(1)의 수면위에 떠있는 페오일(1a)의 표면에 위치하는 플롯이다. 상기 흡입플롯(18)은 메인플롯(16)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가이드파이프(12) 내부로 폐수(1)가 유입되면 메인플롯(16)의 부력으로 일정높이 부상한 다음, 폐수(1)의 수면위로 뜨는 폐오일(1a)의 부력에 의해 별도로 부상하며 폐오일(1a)의 표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흡입플롯(18)은 부상전에 메인플롯(16)이 흡입파이프(30)를 일정높이 부상시킨 상태가 됨으로서 흡입플롯(18)은 흡입파이프(30)의 무게에 영향을 받지 않 은 상태로 폐오일(1a)의 부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부상하며 폐오일(1a)의 표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플롯(18)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안내파이프(22)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안내파이프(22)들은 일단은 전술한 메인플롯(16)의 상단 둘레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흡입플롯(18) 위에 위치하는 상판(24)의 하단 둘레면을 따라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안내파이프(22)들은 선박의 항해과정에서 발생하는 롤링이나 피칭 혹은 힐링현상에 의해 흡입플롯(18)이 흔들리지 않고, 흡입플롯(18)이 부력에 의해 상, 하로만 동작할 수 있도록 흡입플롯(18)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흡입플롯(18)의 중앙에는 연결관(20)이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20)에는 흡입파이프(30)가 결합된다. 상기 흡입파이프(30)는 일단은 흡입플롯(18)의 연결관(20)에 결합되고, 타단은 펌프(500)에 연결되어 있는 제 1분기라인(200)에 결합되어 흡입플롯(18)이 폐오일(1a)의 표면에 위치하면 펌프(500)의 펌핑동작에 따라 폐오일(1a)을 흡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파이프(30)는 흡입플롯(18)이 폐오일(1a)의 부력으로 부상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흡입플롯(18)과 함께 상, 하 유동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파이프(30)에는 주름부(32)가 더 형성된다. 상기 주름부(32)는 흡입플롯(18)의 부상에 따라 흡입파이프(30)가 신속하게 상, 하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흡입파이프(30)가 흡입플롯(18)의 부상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가이드파이프(12)의 상면에는 뚜껑(26)이 덮혀지고, 상기 뚜 껑(26)의 상단 중앙에는 흡입파이프(3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관(28)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관(28)은 흡입파이프(30)가 좌, 우로는 움직이지 않고, 상, 하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흡입파이프(30)의 유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들로 이루어진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에서와 같이 가이드파이프(12)를 빌지웰(200)의 바닥면에 설치한 다음, 메인플롯(16)을 상기 가이드파이프(12) 내부로 삽입시킨다.
다음, 뚜껑(26)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관(28)으로 흡입파이프(30)의 일단을 통과시킨 다음, 흡입플롯(18)의 연결관(20)에 상기 흡입파이프(30)를 연결한 다음, 상기 두껑(26)을 가이드파이프(12) 상면에 덮어주게 되면 흡입플롯(18)은 가이드파이프(1@) 내부로 삽입된 다음, 메인플롯(16)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가 된다.
이후, 도 4b에서와 같이 빌지웰(200)의 바닥면으로 폐오일(1a)과 물(1b)의 혼합물인 폐수(1)가 고여지게 되면, 폐수(1)는 가이드파이프(12)의 통수공(14)을 통해 가이드파이프(12) 내부로 유입되고, 이와 함께 메인플롯(16)은 흡입플롯(18), 흡입파이프(30), 안내가이드(22) 및 상판(24) 그리고 뚜껑(26)의 무게를 지탱한 상태에서 폐수(1)의 부력으로 일정높이 부상하게 된다.
한편, 흡입플롯(18)은 폐수(1)의 유입과 동시에 폐수(1)의 수면에 떠있는 폐오일(1a)의 부력에 의해 별도로 부상하게 되는 데, 이때 메인플롯(16)이 흡입파이프(30)를 일정높이 부상시킨 상태가 됨으로서 흡입플롯(18)은 흡입파이프(30)의 무 게에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폐오일(1a)의 부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부상하며 폐오일(1a)의 표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펌프(50))의 동력으로 흡입파이프(30)는 흡입플롯(18)의 연결관(20)을 통해 폐오일(1a)을 흡입하게 되며, 흡입된 폐오일(1a)은 제 1분기라인(200)을 통해 히터(600)를 거친 다음, 배출라인(700)을 통해 유수분리탱크(50)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폐오일(1a)의 흡입과정에서 빌지웰(20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스트레이너 박스(5)는 상기 펌프(500)의 펌핑동작에 따라 폐오일(1a) 아래로 가라앉아 있는 물(1b)을 흡입하게 되며, 흡입된 물(1b)은 제 2분기라인(300)을 통해 히터(600)를 거친 다음, 배출라인(700)을 통해 유수분리탱크(50)로 배출된다.
즉, 상기와 같은 폐오일 흡입장치(10)를 통해 폐수(1)중에 포함되어 있는 폐오일(1a)을 별도로 흡입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폐수 처리과정에서 폐오일(1a)이 제일 나중에 흡입됨으로서 빌지웰(20))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폐오일(1a)이 잔류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세척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빌지웰(20))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폐오일 흡입장치(10)는 가이드파이프(12)를 이용하여 통상 빌지웰(200)의 바닥면에 고정시켜 사용하게 되나, 필요에 따라서는 폐오일 흡입장치(10)의 구성품중의 일부만을 사용하여, 빌지웰(200)외의 공간, 예를들어 선박의 화물창이나 기타의 장소에 오일이 유출되거나 혹은 선외 유출된 기름을 회수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이동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첨부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오일 흡입장치(10)를 이동식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가이드파이프(12)나 뚜껑(26) 및 가이드관(28)의 구성품을 제외하고, 메인플롯(16), 흡입플롯(18), 안내파이프(22) 및 흡입파이프(30)만을 사용하여, 오일이 고여있는 공간으로 상기 구성품들을 이동시킴으로서 비중차로 떠 있는 폐오일(1a)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은 빌지웰에서 흡입된 폐수를 물과 폐오일로 분리시키게 되는 유수분리탱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유수분리탱크(50)는 언급한 바와 같이, 폐오일 흡입장치(10)와, 스트레이너 박스(5)를 통해 빌지웰(200)에 고여있는 폐수(1)를 공급받은 다음, 폐수(1)의 혼합물인 폐오일(1a)과 물(1b)을 분리시키는 장치이다.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수분리탱크(50)는 상, 하부저장실(52, 82)과, 제 1 내지 제 3폐오일저장실(56, 72, 76), 그리고 제 1 내지 제 3물저장실(86, 92, 102)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저장실(52)은 전술한 폐오일 흡입장치(10)와 스트레이너 박스(5)를 통해 빌지웰(200)에서 흡입된 폐오일(1a)과 물(1b)을 공급받는 곳이다.
상기 상부저장실(52)의 상단에는 분사노즐(53)이 장착된다. 상기 분사노즐(53)은 배출라인(700)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라인(70))을 통해 배출되는 폐오일(1a)과 물(1b)을 상부저장실로 분사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저장실(52)의 아래에는 도 6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필터(84)와 폐오일배출장치(58)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 1필터(84)는 비중차를 통 해 폐오일(1a) 아래로 가라앉는 물(1b)을 하부저장실(82)로 통과시키게 되고, 상기 폐오일배출장치(58)는 비중차에 의해 물(1b)위에 떠 있는 폐오일(1a)을 상기 상, 하부저장실(52, 82)과 격판(54)으로 구획 형성되어 있는 제 1폐오일저장실(56)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폐오일배출장치(58)는 첨부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저장실(52)과 제 1폐오일저장실(56)을 구획하는 격판(54)을 관통하며, 선단(60a)은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배출관(60)과, 상기 배출관(60)의 선단(60a)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관(62)과, 상기 연결관(62)의 상면에 설치되는 플롯(64) 그리고 상기 플롯(64)의 상단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62)과 연통한 상태에서 폐오일(1a)을 상기 연결관(62)을 통해 배출관(60)으로 배출시키는 유입구(6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폐오일배출장치(58)는 분사노즐(53)을 통해 상부저장실(52)로 폐오일(1a)과 물(1b)이 분사되고 나면, 플롯(64)은 폐오일(1a)과 물(1b)의 부력으로 부상한 후, 비중차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폐오일(1a)과 물(1b)의 경계지점에 위치하게 됨으로서 물(1b)을 제외한 폐오일(1a)만 플롯(64)의 유입구(66)를 거쳐 연결관(62) 및 배출관(60)을 통해 제 1폐오일저장실(56)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폐오일저장실(56)의 바닥면에는 배출밸브(68)가 장착되며, 한쪽 측면에는 다른 격벽(70)으로 제 2폐오일저장실(72)이 구획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폐오일저장실(56)로 배출되는 폐오일(1a)에는 일정량의 물(1b)이 포함되어 있으며, 따라서 폐오일(1a)에 포함된 물(1b)은 비중차로 인해 가라앉 은 상태에서 상기 배출밸브(6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비중차로 위로 뜨는 폐오일(1a)은 격벽(70)을 넘어 제 2폐오일저장실(72)로 배출되어 진다. 이때 상기 격벽(70)의 높이는 전술한 상부저장실(52)과 제 1폐오일저장실(56)을 구획하는 격벽(54)의 높이보다 낮게 제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 1폐오일저장실(56)로 배출된 폐오일(1a)이 상부저장실(52)로 역류하지 않고, 상기 격벽(70)을 넘어 제 2폐오일저장실(72)로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 2폐오일저장실(72)의 바닥면에는 배출밸브(74)가 장착되며, 한쪽 측면에는 또 다른 격벽(78)으로 제 3폐오일저장실(76)이 구획 형성된다. 상기 배출밸브(78)는 제 2폐오일저장실(72)로 배출된 폐오일(1a)에 포함되어 있는 물(1b)을 다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제 2폐오일저장실(72)에 저장되어 있는 폐오일(1a)은 상기 격벽(78)을 넘어 제 3폐오일저장실(76)로 배출된다.
위와 같이 상부저장실(52)에 저장되어 있는 폐오일(1a)을 제 1 내지 제 3폐오일저장실(56, 72, 76)을 통해 순차적으로 저장하도록 구성한 것은 폐오일(1a)에 포함되어 있는 물(1b)을 반복적으로 걸러내어 순수한 폐오일(1a)만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상부저장실(52)의 아래에는 칸막이(80)를 통해 하부저장실(82)이 별도로 구획 형성된다.
상기 하부저장실(82)은 도 6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80)에 설치되어 있는 제 1필터(84)를 통해 상부저장실(52)과 연통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저장실(52)에 저장되어 있는 물(1b)을 공급받게 된다. 즉, 상기 상부저장실(52)로 배출 되는 폐오일(1a)과 물(1b)중에서 비중이 가벼운 폐오일(1a)은 물(1b)에 뜬 다음, 전술한 폐오일 배출장치(58)를 통해 제 1폐오일저장실(56)로 배출되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무거운 물(1b)은 가라앉은 상태에서 상기 제 1필터(84)를 통해 하부저장실(82)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저장실(52)에는 다시 격벽(88)으로 제 1물저장실(86)이 구획 형성된다. 상기 제 1물저장실(86)은 상기 격벽(88)의 아래쪽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통로(90)를 통해 하부저장실(82)과 연통하며, 상기 하부저장실(82)의 물(1b)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제 1물저장실(86)의 상단에는 토출라인(91)의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라인(91)의 타단은 전술한 제 1폐오일저장실(56)로 연결된다. 상기 토출라인(91)은 제 1물저장실(86)로 공급된 물(1b)에 포함되어 있는 폐오일(1a)이 비중차로 물(1b)위로 뜨게 되면, 이를 제 1폐오일저장실(56)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물저장실(86)의 일측에는 제 2상부물저장실(92)이 다른 격벽(94)으로 구획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물저장실(86)과 제 2상부물저장실(92)을 구획 형성하는 격벽(94)은 상부저장실(52)과 제 1물저장실(86)을 구획하는 격벽(88)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 1물저장실(86)로 공급된 물(1b)이 상부저장실(52)로 역류하지 않고, 상기 제 2상부물저장실(92)로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상부물저장실(92)의 아래에는 칸막이(96)를 사이에 두고 제 2하부물저장실(98)이 구획 형성된다. 상기 제 2하부물저장실(98)은 제 2상부물저장 실(92)과 제 2필터(100)로 연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 2상부물저장실(92)의 물(1b)을 상기 제 2필터(100)를 통해 공급받게 된다.
상기 제 2상,하부물저장실(92, 98)의 일측에는 제 3물저장실(102)이 또 다른 격벽(104)으로 구획 형성된다. 상기 제 3물저장실(102)은 상기 격벽(104)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통로(106)를 통해 상기 제 2하부물저장실(98)과 연통하며, 상기 제 2하부물저장실(98)의 물(1b)을 공급받게 된다.
위와 같이 상부저장실(52)에 저장되어 있는 물(1b)을 하부저장실(82), 제 1물저장실(86), 제 2상, 하부물저장실(92, 98) 그리고 제 3물저장실(102)을 통해 순차적으로 저장하도록 구성한 것은 물(1b)에 포함되어 있는 폐오일(1a)을 재차 걸러내어 순수한 물(1b)만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들을 달성한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은 선박 기관구역의 빌지웰에 고여있는 폐수중에서 비중차이로 인해 수면위로 부유하는 폐오일을 먼저 제거토록 함으로서 빌지웰의 바닥이나 벽면에 폐오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은 선박의 항해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롤링(Rolling)이나 피칭(Pitching) 또는 힐링(Heeling)의 변화에 상관없이 폐오일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세 번째로 폐오일과 물이 공급되는 유수분리탱크의 구조를 개선하여 폐오일과 물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선박의 빌지웰(200) 바닥면에 설치되며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수공(14)들이 형성되는 가이드파이프(12)와;
    상기 가이드파이프(1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파이프(12) 내부로 유입된 폐수(1)의 부력에 따라 상기 폐수(1)의 혼합물인 폐오일(1a)과 물(1b)의 경계지점까지 부상하는 메인플롯(16)과;
    상기 메인플롯(16)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폐수(1)중에서 비중차로 인해 폐수(1)의 수면위로 뜨는 폐오일(1a)의 부력으로 부상하며 상기 폐오일(1a)의 표면에 위치하게 되는 흡입플롯(18)과;
    상기 흡입플롯(18)의 중앙에 관통 설치되는 연결관(20) 및 ;
    상기 연결관(20)에 연결되며 펌프(500)의 펌핑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관(20)을 통해 폐오일(1a)을 흡입하는 흡입파이프로 구성하며;
    상기 메인플롯(14)의 둘레면에는 상기 흡입플롯(18)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안내파이프(22)들이 더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파이프(12)의 상면에는 뚜껑(26)이 덮혀지며, 상기 두껑(26)의 중앙에는 상기 흡입파이프(30)의 상, 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28)이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파이프(30)에는 주름부(3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파이프(30)를 통해 흡입된 폐오일(1a)은 물(1b)과 함께 유수분리탱크(50)로 배출되며;
    상기 유수분리탱크(50)는;
    폐오일(1a)과 물(1b)을 함께 공급받아 저장하는 상부저장실(52)과;
    상기 상부저장실(52)과 격벽(54)으로 구획 형성되며, 상기 상부저장실(52)에 설치되어 있는 폐오일배출장치(58)를 통해 폐오일(1a)을 공급받으며, 바닥면에는 공급된 폐오일(1a)에 포함되어 있는 물(1b)을 배출시키는 배출밸브(68)가 설치되는 제 1폐오일저장실(56)과;
    상기 상부저장실(52)의 아래에 칸막이(80)로 구획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80)에 설치되어 있는 제 1필터(84)를 통해 물(1b)을 공급받는 하부저장실(82)과;
    상기 하부저장실(82)과 격벽(88)으로 구획 형성되며, 상기 격벽(88)에 형성되어 있는 통로(90)를 통해 상기 하부저장실(82)의 물(1b)을 공급받는 제 1물저장실(86) 및 ;
    상기 제 1물저장실(86)과 상기 제 1폐오일저장실(56)을 연결하며, 상기 제 1물저장실(86)에 공급된 물(1b)에 포함되어 있는 폐오일(1a)을 상기 제 1폐오일저장실(56)로 토출시키는 토출라인(91)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폐오일 배출장치(58)는 ;
    상기 격벽(54)을 관통하며 선단(60a)은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배출관(60)과;
    상기 배출관(60)의 선단(60a)에 인출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관(62)과;
    상기 연결관(62)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저장실(52)에 공급된 폐오일(1a)과 물(1b)의 부력으로 상기 폐오일(1a)과 물(1b)의 경계지점까지 부상하는 플롯(64) 및 ;
    상기 플롯(64)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폐오일(1a)을 상기 연결관(62)을 통해 배출관(60)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6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KR1020070035867A 2007-04-12 2007-04-12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KR100889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867A KR100889661B1 (ko) 2007-04-12 2007-04-12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867A KR100889661B1 (ko) 2007-04-12 2007-04-12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511A KR20080092511A (ko) 2008-10-16
KR100889661B1 true KR100889661B1 (ko) 2009-03-19

Family

ID=4015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867A KR100889661B1 (ko) 2007-04-12 2007-04-12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6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650B1 (ko) * 2009-07-28 2011-12-26 이규상 유수분리장치
KR101400641B1 (ko) 2012-09-24 2014-05-29 윤승찬 절삭유 정제용 부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222B1 (ko) * 2011-12-29 2013-06-04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유수분리장치
US8679335B1 (en) 2012-12-21 2014-03-25 Saniprotex Inc. Vehicle-mounted vacuum system and method of separating liquid and solids fractions of a sludge-like mixture inside a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4406A (en) 1980-03-06 1981-09-30 Shigeru Kobayashi Separator for oil contained in miscellaneous waste water
JPS60137486A (ja) 1983-12-24 1985-07-22 Yasuyuki Tanaka 分離した液体の一方を取出す装置
JPH02273590A (ja) * 1989-04-12 1990-11-08 Ueda Serbo Kikai Kk 浮上油吸引排除装置
KR0119390B1 (ko) * 1994-07-20 1997-10-27 이희근 이피에스(eps) 유수분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4406A (en) 1980-03-06 1981-09-30 Shigeru Kobayashi Separator for oil contained in miscellaneous waste water
JPS60137486A (ja) 1983-12-24 1985-07-22 Yasuyuki Tanaka 分離した液体の一方を取出す装置
JPH02273590A (ja) * 1989-04-12 1990-11-08 Ueda Serbo Kikai Kk 浮上油吸引排除装置
KR0119390B1 (ko) * 1994-07-20 1997-10-27 이희근 이피에스(eps) 유수분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650B1 (ko) * 2009-07-28 2011-12-26 이규상 유수분리장치
KR101400641B1 (ko) 2012-09-24 2014-05-29 윤승찬 절삭유 정제용 부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511A (ko)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970B1 (ko) 유수분리장치
US20110297608A1 (en) Crouse big mouth barge skimmer
US2876903A (en) Oil skimmer and separator vessel
US37546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on of oil from surface of the sea
KR100889661B1 (ko)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WO2012108790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нефти с поверхности воды
TW201233587A (en) Oil skimmer barge
CN112673135B (zh) 用于从湿地的底部清除污泥和/或沙子的装置
KR100738906B1 (ko) 오염하천의 정화용 펜스
EP221218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material from water systems
JPH10258793A (ja) 流出油回収装置
NO151049B (no) Innretning for fjernelse av olje fra en vannoverflate
CN102490873A (zh) 一种可升降移动的水面作业船
KR100220270B1 (ko) 공기양수관을 이용한 담수호의 폭기 및 침전물제거장치
KR20020017631A (ko) 자연순환식 유수분리 장치
US20150041142A1 (en) Vertical Oil Storage System and Its Method For Deepwater Drilling and Production
KR101788606B1 (ko) 선박용 부유기름제거장치
KR102204377B1 (ko) 유수분리장치를 이용한 방제시스템
KR200448372Y1 (ko) 유출 오일 회수설비
KR101684362B1 (ko)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KR20100118046A (ko) 유류 제거용 선박
JP3428898B2 (ja) 船舶ビルジ用浮遊油回収装置
KR100970200B1 (ko) 오일회수장치 및 오일회수방법
KR101165828B1 (ko) 원유 유출 방지장치
EA007211B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загрязняющей жидкости, содержащейс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одной поперечной секции танков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