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923B1 -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 - Google Patents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923B1
KR101954923B1 KR1020170053873A KR20170053873A KR101954923B1 KR 101954923 B1 KR101954923 B1 KR 101954923B1 KR 1020170053873 A KR1020170053873 A KR 1020170053873A KR 20170053873 A KR20170053873 A KR 20170053873A KR 101954923 B1 KR101954923 B1 KR 101954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il
space
hull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002A (ko
Inventor
이성종
박선기
이창은
Original Assignee
수상에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상에스티(주) filed Critical 수상에스티(주)
Priority to KR1020170053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923B1/ko
Priority to PCT/KR2017/004491 priority patent/WO2018199357A1/ko
Publication of KR20180120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E02B15/047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provided with an oil collecting boom arrang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ul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6Overflow skimmers with suction heads; suction h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은 유수분리 작업시에만 하강하여 선체 추진방향에서의 무동력 유수 포집/유수 분리를 수행하고 선박 항해시에는 수면 위로 상승하여 선체로의 유체저항을 최소화하는 유수분리모듈을 선체에 탑재시킴으로써 동력 소모가 최소화되는 조건에서의 원활한 항해와 유수분리 효율 향상이 동시적으로 도모되고, 선체 추진에 의해 선박 속도만큼 급속 유입되는 유수에 포함된 물이 나노필터를 통과하면서 오일과 분리되는 구조임에 따라 에너지의 소비 없이 유수분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Realtime flowing oil skimmer based on nano micro mesh filter with no power}
본 발명은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유수분리 작업시에만 하강하여 선체 추진방향에서의 무동력 유수 포집/유수 분리를 수행하고 선박 항해시에는 수면 위로 상승하여 선체로의 유체저항을 최소화하는 유수분리모듈을 선체에 탑재시킴으로써 동력 소모가 최소화되는 조건에서의 원활한 항해와 유수분리 효율 향상이 동시적으로 도모되고, 선체 추진에 의해 선박 속도만큼 급속 유입되는 유수에 포함된 물이 나노필터를 통과하면서 오일과 분리되는 구조임에 따라 에너지의 소비 없이 유수분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 사용되는 오일을 해상에 버리거나, 선박 사고 또는 자연재해에 따른 해상의 송유관 망실이나 유전 망실 등으로 오일 유출사고 발생시 해상이 오염되므로, 해상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제작업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오일 유출에 대응하는 방제작업을 위하여 유화제나 흡습제가 해상에 투입되거나, 유수분리기가 해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종래의 유수분리기는 등록번호 제10-1114746호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 등에서와 같이 선박에 비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유출된 오일의 처리능력이 떨어지고, 기상이 악화되거나 갯바위나 모래사장, 갯벌 등의 연안에서는 유수분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선박으로부터 독립되어 구동되는 구조의 유수분리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02889호 "오일스키머", 등록번호 제10-1024970호 "유수분리장치" 등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선박으로부터 독립되어 구동되는 구조의 종래 유수분리기는 수면의 물과 부유물의 낙하를 이용하여 유수를 분리하거나,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유수를 분리하거나, 흡입 또는 흡착에 의해 오일을 분리하는 것이어서 유수분리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구성이 복잡하고, 장치운용에 번거로움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14746호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02889호 "오일스키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24970호 "유수분리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선체에 탑재되는 유수포집기와 유수분리모듈이 유수분리 작업시에만 하강하여 선체 추진방향에서의 무동력 유수 포집/유수 분리를 수행하도록 하고, 선박 항해시에는 수면 위로 상승하여 선체로의 유체저항을 최소화하도록 함으로써 동력 소모가 최소화되는 조건에서의 원활한 항해와 유수분리 효율 향상이 동시적으로 도모되는 새로운 형태의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체 추진에 의해 선박 속도만큼 급속 유입되는 유수에 포함된 물이 유수분리모듈 내부의 나노필터를 통과하면서 오일과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의 소비 없이 유수분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수상(水上)에서 이동하게 되는 선체(10)와; 선체(10)의 선수부위 좌우측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날개편(21)으로 이루어지고, 선체(10) 전방 수상 표면의 유수(혼합되어 있는 물과 오일)를 선체(10)의 선수부위로 집적시키는 유수 포집기(20)와; 선체(10)의 선수부위 중앙에 배치되고, 유수 포집기(20)에 의해 집적된 유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유수를 물과 오일로 분리하며, 분리된 물과 오일을 각각 설정지점으로 전달하게 되는 유수분리모듈(30)과; 유수분리모듈(30)과 연결되어 분리된 오일을 전달받아 저장하게 되는 회수유 탱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에서 유수 포집기(20)는 선체(10)의 선수 좌우측 부위에 설치되는 한쌍의 날개편 회전장치(22)에 각 날개편(21)이 연결되어 날개편(21)의 접힘 동작과 펼침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되, 날개편 회전장치(22)는, 선체(10)의 선수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고정되는 회전축 베이스(221)와; 회전축 베이스(221) 상단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연결되고, 날개편(21)이 고정되되, 날개편(21)의 접힘 동작시 날개편(21)이 상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날개편(21)의 펼침 동작시 날개편(21)이 하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날개편고정용 회전대(22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에서 유수분리모듈(30)은,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선체(10)의 선수부위 중앙 전방에 배치되고, 하향 이동시 일부가 수면 아래 놓이도록 하고, 상향 이동시 전체부위가 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외부케이스(31)와; 외부케이스(31) 내측에 배치되고, 전방 부위의 유수 유입공간(321)과 후방 부위의 유수 분리공간(322)이 분리되게 형성되며, 유수 분리공간(322)을 통과하여 분리된 물이 수용되는 회수 물 수용공간(313)이 외부케이스(31)와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내부케이스(32)와; 외부 케이스(31)와 내부케이스(3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면 상단 부위에 장착되는 이물질 유입방지 필터(33)와; 내부케이스(32)의 유수 유입공간(321)과 유수 분리공간(322)을 분할하는 벽체의 하단 부위에 장착되는 프리필터(34)와; 내부케이스(32)의 유수 분리공간(322)과 외부케이스(31) 내측의 회수 물 수용공간(313)을 분할하는 좌우측 벽체 부위에 장착되는 나노필터(35)와; 내부케이스(32)의 유수 분리공간(322)에 연결되어 유수 분리공간(322)에 수용된 오일을 회수유 탱크(40)로 전달하게 되는 오일 회수파이프(36)와; 외부케이스(31) 내측의 회수 물 수용공간(313)에 연결되어 회수 물 수용공간(313)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배수 파이프(37)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에서 외부케이스(31)는 전면 중앙부위에 유수 흐름 안내블록(311)과 유수 흐름 안내판(312)이 형성되도록 하되, 유수 흐름 안내블록(311)은 삼각형 단면 형상의 블록체로 이루어지고, 유수 흐름 안내판(312)은 유수 흐름 안내블록(311) 하측에 이격배치되는 평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에서 프리필터(34)와 나노필터(35)는 교체가능하게 착탈식으로 내부케이스(32)에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은 내부케이스(32)의 유수 분리공간(322) 전방 부위에 배치되고, 프리필터(34)에 대한 단속적인 타격을 수행하여 프리필터(34) 표면에서의 이물질 부착이 방지되도록 하는 프리필터 타격장치(39)를 더 포함하되,
프리필터 타격장치(39)는, 외부케이스(31)와 내부케이스(3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단 부위에 방수 고정되는 구동모터(391)와; 구동모터(391)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회전축(392)과; 내부케이스(32)의 유수 분리공간(322) 하단 부위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 회전축(393)과; 수직 회전축(392)과 수평 회전축(393)을 연결시켜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기어세트(394)와; 수평 회전축(393)에 결합되어 수평 회전축(393)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하면서 프리필터(34)를 단속적으로 타격하게 되는 타격용 캠(39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에서 나노필터(35)는,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케이싱 유닛(351a)(351b)이 볼트-너트 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필터 케이싱과; 필터 케이싱의 내부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누수방지 고무리브(352)와; 한쌍의 누수방지 고무리브(352) 사이에 배치되는 원판체 형상의 나노 메쉬필터(353)와; 한쌍의 누수방지 고무리브(352) 사이에 배치되어 나노 메쉬필터(353)가 부착되는 메쉬 부착링(35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에 의하면, 유수분리 작업시에만 하강하여 선체 추진방향에서의 무동력 유수 포집/유수 분리를 수행하고 선박 항해시에는 수면 위로 상승하여 선체로의 유체저항을 최소화하는 유수분리모듈의 사용으로, 동력 소모가 최소화되는 조건에서의 원활한 항해와 유수분리 효율 향상이 동시적으로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에 의하면, 선체 추진에 의해 선박 속도만큼 급속 유입되는 유수에 포함된 물이 나노필터를 통과하면서 오일과 분리되는 구조임에 따라 에너지의 소비 없이 유수분리 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의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 포집기의 날개편 회전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모듈의 수직이동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모듈의 상세 내부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모듈을 이루는 프리필터 타격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모듈을 이루는 프리필터 타격장치의 동작 원리와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모듈을 이루는 나노 필터가 장착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모듈을 이루는 나노 필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유회수기, 유회수선, 유수분리 기술, 필터, 프리필터, 나노필터, 캠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100)은 도 1에서와 같이 선체(10), 유수 포집기(20), 유수분리모듈(30), 회수유 탱크(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선체(10)는 유회수선(100)의 본체로서, 수상(水上)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선체(10)에 유수 포집기(20), 유수분리모듈(30), 회수유 탱크(40) 등이 설치된다.
유수 포집기(20)는 선체(10)의 선수부위 좌우측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날개편(21)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선체(10) 전방 수상 표면의 유수(혼합되어 있는 물과 오일)를 선체(10)의 선수부위로 집적시키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 포집기(20)는 선체(10)의 선수 좌우측 부위에 설치되는 한쌍의 날개편 회전장치(22)에 각 날개편(21)이 연결되어 날개편(21)의 접힘 동작과 펼침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날개편 회전장치(22)는 도 2에서와 같이 회전축 베이스(221)와 날개편고정용 회전대(22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축 베이스(221)는 선체(10)의 선수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날개편(21)을 수평면 상에서 회전시키게 된다. 즉 회전축 베이스(221)는 선체(10) 좌우측 후방 측면으로 날개편(21)이 접히도록 하거나, 선체(10) 좌우측 전방으로 날개편(21)이 펼쳐지도록 한다.
날개편고정용 회전대(222)는 회전축 베이스(221) 상단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날개편고정용 회전대(222)에 날개편(21)이 연결홀더(211)를 매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날개편고정용 회전대(222)는 회전축 베이스(221) 회전시 일체로 회전하게 한다. 또한 날개편고정용 회전대(222)는 날개편(21)을 수직면 상에서 회전시키게 된다. 즉 날개편(21)의 접힘 동작시 날개편(21)이 상측에 배치되도록 날개편고정용 회전대(222)가 회전하게 되고, 날개편(21)의 펼침 동작시 날개편(21)이 하측에 배치되도록 날개편고정용 회전대(222)가 회전하게 된다.
유수분리모듈(30)은 선체(10)의 선수부위 중앙에 도 3에서와 같이 상하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유수 포집기(20)에 의해 집적된 유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유수를 물과 오일로 분리하며, 분리된 물과 오일을 각각 설정지점으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모듈(30)은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외부케이스(31), 내부케이스(32), 이물질 유입방지 필터(33), 프리필터(34), 나노필터(35), 오일 회수파이프(36), 배수 파이프(37)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외부케이스(31)는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선체(10)의 선수부위 중앙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향 이동시 외부케이스(31)의 일부가 수면 아래 놓이게 되고, 상향 이동시 외부케이스(31) 전체부위가 수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를 통해 선박 항해시 선체로의 유체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외부케이스(31) 전면 중앙부위에는 유수 흐름 안내블록(311)과 유수 흐름 안내판(312)이 형성되는데, 유수 흐름 안내블록(311)은 삼각형 단면 형상의 블록체로 이루어지고, 유수 흐름 안내판(312)은 유수 흐름 안내블록(311) 하측에 이격배치되는 평판체로 이루어진다.
내부케이스(32)는 외부케이스(31)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전방 부위의 유수 유입공간(321)과 후방 부위의 유수 분리공간(322)이 분리 형성되어 있다. 내부케이스(32)의 후방 부위는 도 5에서와 같이 좁게 형성되어 내부케이스(32)와 외부케이스(31) 간 이격공간에 회수 물 수용공간(313)이 형성되도록 한다. 회수 물 수용공간(313)은 유수 분리공간(322)을 통과하여 분리된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다.
이물질 유입방지 필터(33)는 유수가 유입되는 외부 케이스(31)나 내부케이스(32)의 전면 상단 부위에 장착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프리필터(34)는 내부케이스(32)의 유수 유입공간(321)과 유수 분리공간(322)을 분할하는 벽체 하단 부위의 필터 배치영역(323)에 장착되는 것으로, 프리필터(34)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유수가 유수 통과영역(324)을 통과하여 내부케이스(32)의 유수 분리공간(322)으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터(34)는 교체가 용이한 삽입형 프리필터로서, 프리필터 고정판(341)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나노필터(35)는 내부케이스(32)의 유수 분리공간(322)과 외부케이스(31) 내측의 회수 물 수용공간(313)을 분할하는 좌우측 벽체 부위에 장착되어 내부케이스(32)의 유수 분리공간(322)으로 유입된 유수 중 물만 통과시켜 외부케이스(31)의 회수 물 수용공간(313)으로 물이 분리 회수되도록 한다. 여기서 프리필터(34)와 나노필터(35)는 교체가능하게 착탈식으로 내부케이스(32)에 장착된다.
오일 회수파이프(36)는 내부케이스(32)의 유수 분리공간(322)에 연결되어 유수 분리공간(322)에 수용된 오일을 회수유 탱크(40)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내부케이스(32)의 유수 분리공간(322)에는 도 8에서와 같이 레벨 센서(38)가 배치되어 설정높이 이상으로 회수 오일이 집적될 경우 오일 회수파이프(36)에 연결된 오일회수 펌프(미도시)가 작동하면서 회수 오일이 회수유 탱크(40)로 전달되도록 한다.
배수 파이프(37)는 외부케이스(31) 내측의 회수 물 수용공간(313)에 연결되어 회수 물 수용공간(313)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배수 파이프(37)도 배수 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수된 물을 펌핑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회수유 탱크(40)는 유수분리모듈(30)과 연결되어 분리된 오일을 전달받아 저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100)은 도 8에서와 같이 프리필터 타격장치(39)를 구비하게 된다.
프리필터 타격장치(39)는 내부케이스(32)의 유수 분리공간(322) 전방 부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 9에서와 같이 프리필터(34)에 대한 단속적인 타격을 수행하여 프리필터(34) 표면에서의 이물질 부착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터 타격장치(39)는 외부케이스(31)나 내부케이스(32)의 상단 부위에 방수 고정되는 구동모터(391), 구동모터(391)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회전축(392), 내부케이스(32)의 유수 분리공간(322) 하단 부위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 회전축(393), 수직 회전축(392)과 수평 회전축(393)을 연결시켜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기어세트(394), 수평 회전축(393)에 결합되어 수평 회전축(393)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타격용 캠(39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타격용 캠(395)이 회전하면서 도 9에서와 같이 프리필터(34)를 단속적으로 타격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필터(35)는 도 10과 도 11에서와 같이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케이싱 유닛(351a)(351b)이 볼트-너트 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필터 케이싱, 필터 케이싱의 내부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누수방지 고무리브(352), 한쌍의 누수방지 고무리브(352) 사이에 배치되는 원판체 형상의 나노 메쉬필터(353), 한쌍의 누수방지 고무리브(352) 사이에 배치되어 나노 메쉬필터(353)가 부착되는 메쉬 부착링(354)을 포함하는 이중 누수방지/이중 커버 구조로 이루어져 나노필터(35)의 미세한 틈새공간을 통해 유수 분리공간(322)의 오일이 회수 물 수용공간(313)으로 유입되거나, 회수 물 수용공간(313)의 물이 유수 분리공간(322)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100)은 선체(10)에 탑재되는 유수 포집기(20)와 유수분리모듈(30)이 유수분리 작업시에만 하강하여 선체 추진방향에서의 무동력 유수 포집/유수 분리를 수행하도록 하고, 선박 항해시에는 수면 위로 상승하여 선체(10)로의 유체저항을 최소화하도록 하므로, 동력 소모가 최소화되는 조건에서의 원활한 항해와 유수분리 효율 향상이 동시적으로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100)은 선체 추진에 의해 선박 속도만큼 급속 유입되는 유수에 포함된 물이 유수분리모듈(30) 내부의 나노필터(35)를 통과하면서 오일과 분리되도록 하므로, 에너지의 소비 없이 유수분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선체
20 : 유수 포집기
21 : 날개편
211 : 연결홀더
22 : 날개편 회전장치
221 : 회전축 베이스
222 : 날개편고정용 회전대
30 : 유수분리모듈
31 : 외부케이스
311 : 유수 흐름 안내블록
312 : 유수 흐름 안내판
313 : 회수 물 수용공간
32 : 내부케이스
321 : 유수 유입공간
322 : 유수 분리공간
323 : 필터 배치영역
324 : 유수 통과영역
33 : 이물질 유입방지 필터
34 : 프리필터
341 : 프리필터 고정판
35 : 나노필터
351a, 351b : 케이싱 유닛
352 : 누수방지 고무리브
353 : 나노 메쉬필터
354 : 메쉬 부착링
36 : 오일 회수파이프
37 : 배수 파이프
38 : 레벨 센서
39 : 프리필터 타격장치
391 : 구동모터
392 : 수직 회전축
393 : 수평 회전축
394 : 기어세트
395 : 타격용 캠
40 : 회수유 탱크
100 :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

Claims (7)

  1. 수상(水上)에서 이동하게 되는 선체(10)와;
    선체(10)의 선수부위 좌우측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날개편 회전장치(22)에 각 날개편(21)이 연결되어 날개편(21)의 접힘 동작과 펼침 동작이 수행되고, 선체(10) 전방 수상 표면의 유수(혼합되어 있는 물과 오일)를 선체(10)의 선수부위로 집적시키는 유수 포집기(20)와;
    선체(10)의 선수부위 중앙에 배치되고, 유수 포집기(20)에 의해 집적된 유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유수를 물과 오일로 분리하며, 분리된 물과 오일을 각각 설정지점으로 전달하게 되는 유수분리모듈(30)과;
    유수분리모듈(30)과 연결되어 분리된 오일을 전달받아 저장하게 되는 회수유 탱크(40)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편 회전장치(22)는,
    선체(10)의 선수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고정되는 회전축 베이스(221)와;
    회전축 베이스(221) 상단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연결되고, 날개편(21)이 고정되되, 날개편(21)의 접힘 동작시 날개편(21)이 상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날개편(21)의 펼침 동작시 날개편(21)이 하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날개편고정용 회전대(222)를 포함하며,
    유수분리모듈(30)은,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선체(10)의 선수부위 중앙 전방에 배치되고, 하향 이동시 일부가 수면 아래 놓이도록 하고, 상향 이동시 전체부위가 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외부케이스(31)와;
    외부케이스(31) 내측에 배치되고, 전방 부위의 유수 유입공간(321)과 후방 부위의 유수 분리공간(322)이 분리되게 형성되며, 유수 분리공간(322)을 통과하여 분리된 물이 수용되는 회수 물 수용공간(313)은 외부케이스(31)와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내부케이스(32)와;
    외부 케이스(31)와 내부케이스(3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면 상단 부위에 장착되는 이물질 유입방지 필터(33)와;
    내부케이스(32)의 유수 유입공간(321)과 유수 분리공간(322)을 분할하는 벽체의 하단 부위에 장착되는 프리필터(34)와;
    내부케이스(32)의 유수 분리공간(322)과 외부케이스(31) 내측의 회수 물 수용공간(313)을 분할하는 좌우측 벽체 부위에 장착되는 나노필터(35)와;
    내부케이스(32)의 유수 분리공간(322)에 연결되어 유수 분리공간(322)에 수용된 오일을 회수유 탱크(40)로 전달하게 되는 오일 회수파이프(36)와;
    외부케이스(31) 내측의 회수 물 수용공간(313)에 연결되어 회수 물 수용공간(313)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배수 파이프(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케이스(31)는 전면 중앙부위에 유수 흐름 안내블록(311)과 유수 흐름 안내판(312)이 형성되도록 하되,
    유수 흐름 안내블록(311)은 선박 항해시 선체로의 유체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삼각형 단면 형상의 블록체로 이루어지고,
    유수 흐름 안내판(312)은 유수 흐름 안내블록(311) 하측에 이격배치되는 평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나노필터(35)는,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케이싱 유닛(351a)(351b)이 볼트-너트 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필터 케이싱과;
    필터 케이싱의 내부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누수방지 고무리브(352)와;
    한쌍의 누수방지 고무리브(352) 사이에 배치되는 원판체 형상의 나노 메쉬필터(353)와;
    한쌍의 누수방지 고무리브(352) 사이에 배치되어 나노 메쉬필터(353)가 부착되는 메쉬 부착링(35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
KR1020170053873A 2017-04-26 2017-04-26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 KR101954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73A KR101954923B1 (ko) 2017-04-26 2017-04-26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
PCT/KR2017/004491 WO2018199357A1 (ko) 2017-04-26 2017-04-27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73A KR101954923B1 (ko) 2017-04-26 2017-04-26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002A KR20180120002A (ko) 2018-11-05
KR101954923B1 true KR101954923B1 (ko) 2019-03-06

Family

ID=63920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873A KR101954923B1 (ko) 2017-04-26 2017-04-26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4923B1 (ko)
WO (1) WO20181993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480A (ko) 2020-08-28 2022-03-08 한국기계연구원 유수 분리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377B1 (ko) * 2020-05-12 2021-01-18 최진호 유수분리장치를 이용한 방제시스템
CN112429162B (zh) * 2020-11-12 2021-08-31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用于水面清理船翻转装置的复位机构
CN117127569B (zh) * 2023-10-26 2024-01-19 武汉理工大学三亚科教创新园 海洋工程用辅助打捞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970B1 (ko) * 2010-08-27 2011-03-25 김준용 유수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616B1 (ko) * 1999-10-07 2003-02-17 고영래 수상 부유물 수거처리장치
KR100970200B1 (ko) * 2008-01-08 2010-07-14 이예분 오일회수장치 및 오일회수방법
JP5537847B2 (ja) * 2009-07-02 2014-07-02 ナックフィーディング株式会社 油水分離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油水分離装置
KR101489584B1 (ko) * 2013-06-25 2015-02-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유수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오일 분리 방법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970B1 (ko) * 2010-08-27 2011-03-25 김준용 유수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480A (ko) 2020-08-28 2022-03-08 한국기계연구원 유수 분리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9357A1 (ko) 2018-11-01
KR20180120002A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923B1 (ko)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
CN102582797B (zh) 一种水上三体清污船及清理方法
CN109024515A (zh) 一种基于太阳能水面垃圾清理装置
RU265836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нефти
CN111392802A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便于清理的气浮系统
CN106284260A (zh) 一种水面漂浮微生物回收处理装置
CN201176586Y (zh) 滚筒式收油机
KR100944399B1 (ko) 부상수문이 구비된 청항선
CN205975543U (zh) 水上轻质漂浮物收集装置
CN101565942B (zh) 海上铲式浮油收集器
RU2462555C1 (ru) Плавуч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разлитой по воде нефти
CN109537553A (zh) 一种水面漂浮杂质清除设备
CN113753982A (zh) 一种餐饮用油水分离净化装置及其净化方法
CN211364866U (zh) 一种水面垃圾收集器
CN111392801A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便于调节的气浮系统
KR101985294B1 (ko) 전기 구동 자항식 유회수기
CN106592551A (zh) 水利水闸处水体漂浮物自动清理方法
CN201785734U (zh) 蓝藻自动捕捞船
CN115005459A (zh) 一种果蔬除泥筛选设备
CN108222107B (zh) 一种一体式清淤脱水设备
CN101942823A (zh) 蓝藻自动捕捞船
CN208559710U (zh) 一种水面垃圾及油渍收集船
CN111470569A (zh) 一种除渣效果好的气浮式污水处理装置
CN206345697U (zh) 用于无纺布生产的新型气浮处理池
JP4776520B2 (ja) 懸濁物質採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