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480A - 유수 분리 선박 - Google Patents
유수 분리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28480A KR20220028480A KR1020200109539A KR20200109539A KR20220028480A KR 20220028480 A KR20220028480 A KR 20220028480A KR 1020200109539 A KR1020200109539 A KR 1020200109539A KR 20200109539 A KR20200109539 A KR 20200109539A KR 20220028480 A KR20220028480 A KR 202200284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water
- water separation
- suction
- separation vess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ab- or ad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유수 분리 선박은 선박 본체, 상기 선박 본체의 선수, 좌현, 및 우현에 장착되며, 수면에 접촉하도록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수면에 위치하는 유수를 흡입하는 유수 흡입부, 상기 선박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수 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수를 물과 오일로 분리하는 유수 분리 유닛, 및 상기 유수 분리 유닛과 이웃하여 상기 선박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선박 본체의 횡동요를 감쇠시키는 횡동요 감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기재는 유수 분리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사고로 인해 사고 선박으로부터 오일이 유출되는 해양 오염 발생 시 해양 오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오일 유출 확산을 빠르게 차단하는 긴급 대응이 필요하다.
한국특허등록 제1954923호에 개시된 종래의 유수 분리 선박은 해수면에 부유된 유수(oil water)를 선박의 속력을 이용해 자연적으로 회수하고, 회수된 유수를 물과 오일로 분리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유수 분리 선박은 방제 현장에서 높은 파도가 발생될 경우, 높은 파고로 인해 선박 운항이 어려운 동시에 해수면에 부유된 유수를 선박의 속력을 이용해 자연적으로 회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 실시예는, 해양에서 오일이 유출된 방제 현장에서 높은 파도가 발생되더라도, 높은 파고와 관계없이 해수면에 부유된 유수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유수 분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은 선박 본체, 상기 선박 본체의 선수, 좌현, 및 우현에 장착되며, 수면에 접촉하도록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수면에 위치하는 유수를 흡입하는 유수 흡입부, 상기 선박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수 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수를 물과 오일로 분리하는 유수 분리 유닛, 및 상기 유수 분리 유닛과 이웃하여 상기 선박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선박 본체의 횡동요를 감쇠시키는 횡동요 감쇠부를 포함하는 유수 분리 선박을 제공한다.
상기 유수 흡입부는, 상기 선박 본체의 상기 선수, 상기 좌현, 및 상기 우현에 위치하며, 복수의 흡입홀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오일 흡입판들, 상기 복수의 오일 흡입판들과 상기 선박 본체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수면의 높이를 센싱하여 상기 수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복수의 오일 흡입판들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들, 및 상기 복수의 흡입홀들에 연결된 복수의 흡입 펌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오일 흡입판들은 상기 복수의 흡입홀들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 돌출된 복수의 부유물 제거 구조물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들은 상기 수면의 높이를 센싱하는 수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수 분리 유닛은, 상기 유수 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수를 집하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와 연결되며, 상기 유수로부터 상기 오일을 분리하고 상기 물을 상기 선박 본체로부터 배출하는 유수 분리기, 및 상기 유수 분리기와 연결되며, 상기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저장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수 분리기는, 상기 유수를 상기 오일과 상기 물로 분리하는 스크린 챔버, 및 상기 스크린 챔버와 연결되며, 상기 스크린 챔버로부터 이송된 상기 물에 포함된 미세 오일 성분을 흡착하는 미디어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수 분리기는 복수의 서브 유수 분리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횡동요 감쇠부는 상기 유수 분리기와 상기 오일 저장 탱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횡동요 감쇠부는 상기 선박 본체의 내면을 따라 U자 형태로 연장된 U자형 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박 본체의 상부에 장착된 물 대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양에서 오일이 유출된 방제 현장에서 높은 파도가 발생되더라도, 높은 파고와 관계없이 해수면에 부유된 유수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유수 분리 선박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의 유수 흡입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의 유수 분리 유닛의 유수 분리기의 일례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의 횡동요 감쇠부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의 횡동요 감쇠부에 의한 선박의 횡동요 감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의 유수 흡입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의 유수 분리 유닛의 유수 분리기의 일례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의 횡동요 감쇠부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의 횡동요 감쇠부에 의한 선박의 횡동요 감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을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에서는 선박 본체의 외부 및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들을 함께 도시하였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은 해양 사고 선박으로부터 오일이 유출된 방제 현장에서 해수면에 부유된 유수(oil water)(OW)를 흡입 및 처리하는 선박이다. 유수 분리 선박은 선박 본체(100), 유수 흡입부(200), 유수 분리 유닛(300), 횡동요 감쇠부(400), 물 대포(500)를 포함한다.
선박 본체(10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선박 본체(100)의 외부에는 유수 흡입부(200) 및 물 대포(500)가 위치하고 있으며, 선박 본체(100)의 내부에는 유수 분리 유닛(300) 및 횡동요 감쇠부(400)가 위치하고 있다.
유수 흡입부(200)는 선박 본체(100)의 선수, 좌현, 및 우현에 장착된다. 유수 흡입부(200)는 해수면에 접촉하도록 높이가 조절되어 해수면에 위치하는 유수(OW)를 흡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의 유수 흡입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유수 흡입부(200)는 복수의 오일 흡입판(210)들, 복수의 액추에이터(220)들, 복수의 흡입 펌프(230)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오일 흡입판(210)들은 선박 본체(100)의 선수, 좌현, 및 우현에 위치한다. 복수의 오일 흡입판(210)들은 선박 본체(100)의 선수, 좌현, 및 우현을 둘러싸도록 위치한다. 오일 흡입판(210)은 유출된 오일 회수용 흡입판으로 흡입 펌프(230)를 이용해 선박 본체(100) 내부의 침전조(310)로 유수(OW)를 모은다.
복수의 오일 흡입판(210)들은 복수의 흡입홀(211)들 및 복수의 부유물 제거 구조물(212)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흡입홀(211)들은 오일 흡입판(210)의 판면을 따라 복수개가 행렬 형태로 배치된다. 복수의 흡입홀(211)들을 통해 해수면에 부유된 유수(OW)가 유수 흡입부(200)로 흡입된다.
복수의 부유물 제거 구조물(212)들은 복수의 흡입홀(211)들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해수면에 부유된 유수(OW)가 오일 흡입판(210)의 복수의 흡입홀(211)들로 흡입될 때, 해수면에 부유된 해초 등의 부유물이 복수의 부유물 제거 구조물(212)들에 제거되어 부유물이 오일 흡입판(210)에 부착되거나 오일 흡입판(210)의 복수의 흡입홀(211)들에 흡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복수의 액추에이터(220)들은 복수의 오일 흡입판(210)들과 선박 본체(100) 사이를 연결한다. 액추에이터(220)는 센서에 의해 오일 흡입판(210)의 해수면에 대한 상하 위치를 조절한다.
복수의 액추에이터(220)들은 해수면의 높이를 센싱하여 해수면과 접촉하도록 복수의 오일 흡입판(210)들의 높이를 조절한다. 복수의 액추에이터(220)들은 유압 실린더 등의 공지의 다양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액추에이터(220)들은 해수면의 높이를 센싱하는 수면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수면 감지 센서는 해수면의 높이를 센싱하는 공지의 다양한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흡입 펌프(230)들은 복수의 오일 흡입판(210)들의 복수의 흡입홀(211)들과 연결된다. 흡입 펌프(230)는 흡입된 유수(OW)를 침전조(310)로 이송하는 역할은 한다.
복수의 흡입 펌프(230)들이 구동함으로써, 복수의 흡입홀(211)들을 통해 해수면에 부유된 유수(OW)가 흡입되어 유수 분리 유닛(300)으로 이송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유수 분리 유닛(300)은 선박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수 흡입부(200)와 연결된다. 유수 분리 유닛(300)은 유수 흡입부(200)를 통해 흡입된 유수(OW)를 물(WT)과 오일(OL)로 분리한다.
유수 분리 유닛(300)은 침전조(310), 유수 분리기(320), 오일 저장 탱크(330)를 포함한다.
침전조(310)는 유수 흡입부(200)와 연결되며, 유수 흡입부(200)를 통해 흡입된 유수(OW)를 집하(collecting)한다. 침전조(310)는 모아진 오일 성분과 협잡물을 유수 분리기(320)로 이송한다. 침전조(310)는 공지된 다양한 탱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유수 분리기(320)는 침전조(310)와 연결된다. 유수 분리기(320)는 침전조(310)로부터 이송된 유수(OW)로부터 오일(OL)을 분리하고 오일(OL)이 분리된 물(WT)을 선박 본체(100)로부터 외부로 배출한다. 유수 분리기(320)는 유수(OW)를 물(WT)과 오일(OL)로 분리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유수 분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수 분리기(320)는 유수 분리 효율 향상을 위해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된 복수의 서브 유수 분리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수 분리기(320)는 직렬 연결된 제1 서브 유수 분리기(320a) 및 제2 서브 유수 분리기(320b)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의 유수 분리 유닛의 유수 분리기의 일례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례로서, 유수 분리기(320)는 스크린 챔버(321) 및 미디어 챔버(322)를 포함한다.
스크린 챔버(321)는 유수 분리기(320)로 이송된 유수(OW)를 오일과 물(WT)로 분리한다. 스크린 챔버(321)는 유수(OW)를 오일과 물(WT)로 분리하기 위한 공지된 다양한 필터 및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챔버(322)는 스크린 챔버(321)와 연결된다. 미디어 챔버(322)는 스크린 챔버(321)로부터 이송된 물(WT)에 포함된 미세 오일 성분을 흡착한다. 스크린 챔버(321)는 미세 오일 성분 흡착을 위한 공지된 다양한 필터 및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수 분리기(320)는 오일 성분과 협잡물이 섞인 혼합수가 침전조로 유입되면 침전조에서 고형물은 침전되고 오일 성분은 부유 된다. 스크린 챔버(321)에 내장 된 고분자 필터에 의해 오일 성분을 흡착, 부유시켜 제거한다. 스크린 챔버를 거친 혼합수는 미디어 챔버(322) 하단으로 유입되어 상향식 흐름을 통해 미디어 챔버(322)에 내장된 고분자 필터에 의해 다시 한번 미세한 오일 성분을 흡착, 응집하여 여과조 상단으로 모아지게 되며, 오일성분이 제거된 처리수는 유출구를 통해 선박 본체 외부로 배출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오일 저장 탱크(330)는 유수 분리기(320)와 연결된다. 오일 저장 탱크(330)는 유수 분리기(320)에서 유수(OW)로부터 분리된 오일(OL)을 저장한다. 오일 저장 탱크(330)에 저장된 오일(OL)은 공지된 다양한 외부의 오일 처리 장치와 연결되어 처리될 수 있다.
횡동요 감쇠부(400)는 유수 분리 유닛(300)과 이웃하여 선박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한다. 횡동요 감쇠부(400)는 유수 분리기(320)와 오일 저장 탱크(330) 사이에 위치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횡동요 감쇠부(400)는 유수 분리 선박이 해양에 운항 시 파도에 의한 선박 본체(100)의 횡동요를 감쇠시킨다. 횡동요 감쇠부(400)는 선박의 횡동요를 감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의 횡동요 감쇠부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횡동요 감쇠부(400)는 U자형 수조(410), 공기 밸브(420), 주기 조절판(430)을 포함한다.
U자형 수조(410)는 선박 본체(100)의 내면을 따라 U자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U자형 수조(410)는 선박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U자형 수조(410)의 내부에는 물이 채워져 있으며, U자형 수조(4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위는 공기 밸브(420) 및 주기 조절판(43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횡동요 감쇠부(400)는 파도에 의한 유수 분리 선박의 횡동요에 따른 U자형 수조(4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좌현 및 우현 이동을 이용해 선박의 횡동요를 감쇠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의 횡동요 감쇠부에 의한 선박의 횡동요 감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방제 현장에서 높은 파도가 발생되어 유수 분리 선박에 횡동요가 발생하면, U자형 수조 내부에 채워진 물의 좌현 및 우현 수위(TANK WATER, M)가 유수 분리 선박의 좌현 및 우현의 횡동요 각도(ROLL ANGLE, θ)에 늦은 시간(TIME)으로 위상차 대응하는 U자형 수조 내부 유동의 공진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횡동요 감쇠부에 의해 유수 분리 선박의 횡동요가 감소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물 대포(500)는 선박 본체(100)의 상부에 장착된다. 물 대포(500)는 해양에 발생된 화재를 진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물 대포(500)는 타 선박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화재진압시스템 장착을 하여 구난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물 대포(500)는 공지된 다양한 물 대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유수 분리 선박의 선수 및 선체 좌우 3면에 설치된 오일 흡입판(210)은 유수 분리 선박의 선수 및 선체의 좌우 3면에서 협잡물을 흡입하고 수면 감지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수면의 중간 위치에 오도록 액추에이터(220)에 의해 조절이 되며, 오일 흡입판(210)을 통과한 오일은 흡입 펌프(230)를 경유하여 침전조(310)에 유입하게 된다. 일정량 이상 집하된 오일 성분과 협잡물이 혼합된 혼합수는 침전조(310)에서 고형물은 침전이 되고 오일 성분은 부유하게 된다. 부유된 오일 성분은 유수 분리기(320) 내의 고분자 필터에 의해 일정량 이상 제거되고, 스크린 챔버(321)를 거친 혼합수는 미디어 챔버(322)에 유입되어 고분자 필터에 의해 다시 한번 미세한 오일 성분을 흡착, 응집하여 여과조 상단으로 모아지게 되며, 오일 성분이 제거된 처리수는 유출구를 통해 선체 밖으로 배출되게 되는데, 오일 회수에서부터 유수 분리까지 원 스톱 방식으로 온전한 오일만 선체의 오일 저장 탱크(330)에 저장된다. 한편,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효과적으로 빠르고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파도나 불순한 일기 상황에서도 선체가 안정적인 항해를 하여야 하는데, 이를 고려하여 횡동요 감쇠부(400)가 선체 내부에 위치한다. 횡동요 감쇠부(400)가 설치된 선박은 평균 횡동요 각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업무 수행과 해상에서 최상의 작업 효율을 보장할 수 있으며, 횡동요 감쇠부(400)의 U자형 수조 내부의 물이 중력에 의해 좌우로 선체를 가로질러 이동함으로써, 선박의 횡동요를 줄여주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은 해수면에 부유된 유수(OW)를 선박 본체(100)의 선수, 좌현, 및 우현에 장착된 유수 흡입부(200)로 흡입함으로써, 유수 분리 선박의 정면뿐 아니라 양 측면에 위치하는 유수(OW)를 동시에 흡입하여 유수 흡입률이 향상되는 동시에 방제 시간이 단축되어 유수 흡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은 선박의 속력을 이용해 해수면에 부유된 유수(OW)를 자연적으로 회수하는 것이 아니라, 흡입 펌프(230)를 포함하는 유수 흡입부(200)로 유수(OW)를 강제 회수함으로써, 유수 흡입률이 향상되는 동시에 방제 시간이 단축되어 유수 흡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은 복수의 액추에이터(220)들이 해수면의 높이를 센싱하여 해수면과 접촉하도록 오일 흡입판(210)들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유수 흡입률이 향상되는 동시에 방제 시간이 단축되어 유수 흡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은, 방제 현장에서 높은 파도가 발생되어 유수 분리 선박에 횡동요가 발생되더라도, 횡동요 감쇠부(400)에 의해 파도에 의한 유수 분리 선박의 횡동요가 감쇠되어 복수의 액추에이터(220)들에 의한 오일 흡입판(210)들의 높이 조절 제어가 용이함으로써, 유수 흡입률이 향상되는 동시에 방제 시간이 단축되어 유수 흡입 효율이 향상된다.
유수 분리 선박은 선수, 좌현, 및 우현인 3면에서 오일이 포함된 유수(OW) 회수를 위한 유수 흡입부(200)가 설치되어 선제적으로 대규모 오일 유출 사고 대응에 적합하며,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대해 액추에이터(22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오일 흡입판(210)의 높이가 조절되어 파고에 관계없이 유수(OW) 회수 작업을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선박은 유수 흡입부(200) 및 횡동요 감쇠부(400)를 포함함으로써, 방제 현장에서 높은 파도가 발생되어 유수 분리 선박에 횡동요가 발생되더라도, 파도에 의한 유수 분리 선박의 횡동요가 감쇠되어 복수의 액추에이터(220)들에 의한 오일 흡입판(210)들의 높이 조절 제어가 용이한 동시에 유수 분리 선박의 정면뿐 아니라 양 측면에 위치하는 유수(OW)를 동시에 강제로 흡입하기 때문에, 유수 흡입률이 향상되는 동시에 방제 시간이 단축되어 유수 흡입 효율이 향상된다.
즉, 해양에서 오일이 유출된 방제 현장에서 높은 파도가 발생되더라도, 높은 파고와 관계없이 해수면에 부유된 유수(OW)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유수 분리 선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선박 본체(100), 유수 흡입부(200), 유수 분리 유닛(300), 횡동요 감쇠부(400)
Claims (10)
- 선박 본체;
상기 선박 본체의 선수, 좌현, 및 우현에 장착되며, 수면에 접촉하도록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수면에 위치하는 유수를 흡입하는 유수 흡입부;
상기 선박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수 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수를 물과 오일로 분리하는 유수 분리 유닛; 및
상기 유수 분리 유닛과 이웃하여 상기 선박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선박 본체의 횡동요를 감쇠시키는 횡동요 감쇠부
를 포함하는 유수 분리 선박. - 제1항에서,
상기 유수 흡입부는,
상기 선박 본체의 상기 선수, 상기 좌현, 및 상기 우현에 위치하며, 복수의 흡입홀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오일 흡입판들;
상기 복수의 오일 흡입판들과 상기 선박 본체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수면의 높이를 센싱하여 상기 수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복수의 오일 흡입판들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들; 및
상기 복수의 흡입홀들에 연결된 복수의 흡입 펌프들
을 포함하는 유수 분리 선박. -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오일 흡입판들은 상기 복수의 흡입홀들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 돌출된 복수의 부유물 제거 구조물들을 더 포함하는 유수 분리 선박. -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들은 상기 수면의 높이를 센싱하는 수면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수 분리 선박. - 제1항에서,
상기 유수 분리 유닛은,
상기 유수 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수를 집하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와 연결되며, 상기 유수로부터 상기 오일을 분리하고 상기 물을 상기 선박 본체로부터 배출하는 유수 분리기; 및
상기 유수 분리기와 연결되며, 상기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저장 탱크
를 포함하는 유수 분리 선박. - 제5항에서,
상기 유수 분리기는,
상기 유수를 상기 오일과 상기 물로 분리하는 스크린 챔버; 및
상기 스크린 챔버와 연결되며, 상기 스크린 챔버로부터 이송된 상기 물에 포함된 미세 오일 성분을 흡착하는 미디어 챔버
를 포함하는 유수 분리 선박. - 제5항에서,
상기 유수 분리기는 복수의 서브 유수 분리기들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유수 분리 선박. - 제5항에서,
상기 횡동요 감쇠부는 상기 유수 분리기와 상기 오일 저장 탱크 사이에 위치하는 유수 분리 선박. - 제1항에서,
상기 횡동요 감쇠부는 상기 선박 본체의 내면을 따라 U자 형태로 연장된 U자형 수조를 포함하는 유수 분리 선박. - 제1항에서,
상기 선박 본체의 상부에 장착된 물 대포를 더 포함하는 유수 분리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9539A KR20220028480A (ko) | 2020-08-28 | 2020-08-28 | 유수 분리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9539A KR20220028480A (ko) | 2020-08-28 | 2020-08-28 | 유수 분리 선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8480A true KR20220028480A (ko) | 2022-03-08 |
Family
ID=80812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9539A KR20220028480A (ko) | 2020-08-28 | 2020-08-28 | 유수 분리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28480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4923B1 (ko) | 2017-04-26 | 2019-03-06 | 수상에스티(주) |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 |
-
2020
- 2020-08-28 KR KR1020200109539A patent/KR2022002848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4923B1 (ko) | 2017-04-26 | 2019-03-06 | 수상에스티(주) | 무동력 나노마이크로메쉬 기반 실시간 흐름형 유회수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4970B1 (ko) | 유수분리장치 | |
EP2157055B1 (en) | An auto-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for oil-water and a combined marine oil-water auto-separation and recovery system thereof | |
KR101985294B1 (ko) | 전기 구동 자항식 유회수기 | |
US9169610B2 (en) | Collector apparatus | |
US5066407A (en) | Petrochemical recovery machine | |
NO153014B (no) | Lense for innfangning og oppsamling av olje | |
CA2742691C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icking up particles from the surface of a water system | |
JP4151005B2 (ja) | 油水分離装置並びに油水分離方法 | |
JP2004050145A (ja) | 微細な浮遊物質を含むビルジ用油水分離装置 | |
JPH10287291A (ja) | 流出油等の回収装置 | |
KR20220028480A (ko) | 유수 분리 선박 | |
TW202142301A (zh) | 油水分離裝置及包括油水分離裝置的船舶 | |
JPH10258793A (ja) | 流出油回収装置 | |
CN105756592A (zh) | 负压钻井液回收处理装置 | |
CN1231390C (zh) | 舱底用分离微小浮游物质的油水分离装置 | |
KR102373948B1 (ko) |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 | |
KR100758345B1 (ko) | 부유물 수집장치 | |
KR20150028503A (ko) | 유류제거장치 및 유류제거방법 | |
KR20010019491A (ko) | 수면에 유출된 기름 수거장치 | |
KR100330715B1 (ko) | 기름회수시스템 | |
JPH0621521Y2 (ja) | 油水分離装置 | |
JPH08170351A (ja) | はしけを用いた真空式ヘドロ回収方法及びその装置 | |
KR200359700Y1 (ko) | 부유물 수집기 | |
JP3236072U (ja) | 浮遊物回収船 | |
KR19990036739U (ko) | 유출유류 회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