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948B1 -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 - Google Patents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948B1
KR102373948B1 KR1020190171362A KR20190171362A KR102373948B1 KR 102373948 B1 KR102373948 B1 KR 102373948B1 KR 1020190171362 A KR1020190171362 A KR 1020190171362A KR 20190171362 A KR20190171362 A KR 20190171362A KR 102373948 B1 KR102373948 B1 KR 102373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primary filter
oil
bil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9513A (ko
Inventor
유호근
Original Assignee
(주)한영기연
유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영기연, 유호근 filed Critical (주)한영기연
Priority to KR1020190171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9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기존의 빌지수의 유분함량을 15ppm으로 낮추는 시스템에 추가 장치 및 수정 등을 최소화하면서 기존의 시스템의 후단에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를 추가함으로써 유분함량을 5ppm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오일센서, 오일드레인밸브, 빌지수흡입밸브 및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상부케이싱과,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 사이에 결합하여 1차 필터를 고정해주는 1차필터지지대와, 여과수토출밸브와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하부케이싱 및 1차필터, 2차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의 백플러싱(Back Flushing)을 통하여 1차필터에 묻어있는 슬러지 또는 농축오일을 제거가능 하여 필터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킴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Double Filter of Water Treatment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차필터와 2차필터를 거쳐 물에 포함된 유분 함량이 15ppm인 빌지수를 5ppm까지 낮추어 주는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에 관한 것이다.
빌지수(Bilge Water)란 선박의 바닥에 고인 물로 엄밀히 따지면 물이 아닌 여러물질의 혼합체로써 배관/밸브, 각종 기기, 장비에서의 누유 및 각종 탱크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 등에 의한 혼합수이다.
국제사회는 해양생태계를 파괴하고 해양 및 수산 관련 산업에 심각한 손상을 야기하는 유류와 기타 오염물질이 해상에 무차별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박이 준수하여야 할 구조적ㆍ기술적 조건과 배출기준을 강화하여 왔으며, 1992년 국제해사기구(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33차 회의에서 선박의 기관 구역 빌지에 대한 오염 방지 장비에 관한 지침 및 규격을 포함하는 결의안 MEPC.60 (33)을 채택하였고, 2003 년에 1992 년부터 기술의 발전을 인정하여 위원회는 1992 년에 채택 된 지침 및 규격을 포함하는 결의안 MEPC.107 (49)를 채택하였다 .
MEPC.107 (49)에 따라 빌지 분리장치는 유분이 15ppm을 초과하지 않도록 배출하여야 하며, 데이터와 시간, 기름 함량 및 작동 상태를 기록하고 18 개월 동안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선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중에서 대표적인 빌지 폐수는 기관실과 화물창 선저에서 발생하는 모든 폐수들이 모여 형성 되는데, 모든 선박에 Bilge Separator가 설치되어 빌지 폐수를 처리하여 배출하도록 규정하였으나 장치 자체의 문제점과 이를 운용하는 선원들의 운용능력의 미흡으로 인해 제대로 처리되지 않고 선외로 배출되는 실정이다.
빌지 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 에멀젼은 상당히 안정한 상태로 존재하며 빌지 폐수의 에멀젼은 계면활성제나 유화제와 섞여 형성되는 화학적 에멀젼과 각종 기계류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에멀젼이 있는데, 화학적 에멀젼의 경우에는 특별히 처리를 하지 않으면 아주 오랜시간 안정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기계적 에멀젼 또한 아주 안정한데 화학적 에멀젼보다는 약간 큰 입자형태의 에멀젼이다. 선박 기인 오염물 배출 기준이 강회 됨에 따라 선박 내에서 발생하는 빌지 수 중 안정화 되고 있는 에멀젼의 처리를 위해서 기존 빌지분리장치 외 추가적인 설비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기존 15ppm Bilge Separator 기술에 새로운 기술을 추가하여 안정화 되어 있는 에멀젼을 처리하고 추가로 규정 강화를 대비한 5ppm Bilge Separator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662039호는 기존의 유수분리기는 Bilge Well/ Bilge Holding Tank/ Oily Bilge Tank 의 빌지수를 각각 정화처리할수 있겠끔 배관되어 있어나 보통 Bilge Holding Tank 의 빌지수를 정화 처리하여 선외로 배출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기존의 정치식(Static type) 유수분리기로 오일 및 잔유물(Oil residues)을 다량 함유한 오염된 빌지수 를 정화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어 5ppm이하 수준까지 정화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오일 및 잔유물(Oil residues)을 다량 함유한 오염된 빌지수가 정치식 유수분리기내를 흐르면서 중력과 필터링에 의해서 분리되기 때문에 다량의 오일과 잔유물이 유수분리기 내벽과 필터를 오손시켜 내부를 개방, 소제 및 필터를 교환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정치식 유수분리기는 정화처리수의 유분 함량을 5ppm 이하까지 제거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고,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빌지수 정화처리시스템으로서 원심분리기를 포함하는 원심분리시스템을 설치하여, 선내에서 기름으로 오염된 빌지수를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확실하게 정화처리함으로써 해양오염을 예방하는 빌지수 정화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원심분리시스템을 이용한 빌지수 정화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필터(10)와, 3방향 밸브1(20), 원심분리기(30), 슬러지탱크(4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필터(10)에서 인입된 빌지수를 여과하고, 상기 여과된 빌지수는 원심분리기(30)에 의해 원심분리된 후, 깨끗한 빌지수는 정치식 유수분리기 나 Clean bilge tank 로 배출되고, 정유된 오일은 연료유세트링탱크로 배출되고, 고비중 오일잔류물 및 슬러지는 슬러지탱크로 배출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빌지수 정화처리시스템으로서 원심분리기를 포함하는 원심분리시스템을 정치식 유수분리기 시스템에 추가 설치하여, 선내에서 기름으로 오염된 빌지수를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확실하게 정화처리함으로써 해양 오염을 예방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도록 하였다.
허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시스템이 복잡하고 초기투입 자본이 많이 투입되며, 기존선박에 구비되어 있는 기존설비를 이용하기 어렵고, 힘든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2039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빌지수의 유분함량을 15ppm으로 낮추는 기존의 시스템에 추가 장치 및 수정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의 시스템의 후단에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를 추가함으로써 유분함량을 5ppm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하여 비용이 저렴하며 환경오염을 예방함과 동시에 기존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하여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는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오일센서, 오일드레인밸브, 빌지수흡입밸브 및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상부케이싱과,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 사이에 결합하여 1차 필터를 고정해주는 1차필터지지대와, 여과수토출밸브와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하부케이싱 및 1차필터, 2차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빌지수 흡입밸브는 상부케이싱의 내주면을 따라 원형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중심에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싱은 빌지수가 직접적으로 1차필터에 접촉하는 것을 막아주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필터는 하부로만 빌지수를 흐르게하여 여과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싱은 1차필터의 백플러싱(Back Flushing)을 위한 플러싱워터흡입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빌지수의 유분함량을 15ppm으로 낮추는 시스템에 추가 장치 및 수정 등을 최소화하면서 기존의 시스템의 후단에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를 추가함으로써 유분함량을 5ppm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하여 기존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기존의 시스템의 여과방식이 유수분리기 방식, 필터 등을 불문하고 기존여과시스템 말단부에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를 추가 함으로써 5ppm 수준까지 여과가능하다.
또한,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의 백플러싱(Back Flushing)을 통하여 1차필터에 묻어있는 슬러지 또는 농축오일을 제거가능 하여 필터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킴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1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의 분해도
도2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의 단면도
도3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의 측면도
도4a 및 도4b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의 1차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5a, 도5b 및 도5c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의 2차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6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2차필터 상면을 통한 빌지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1차필터 가이드 플래이트가 구비되고, 2차필터의 하면을 통한 빌지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의 오일드레인 및 백플러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각 구성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의 분해도이고, 도2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의 측면도이고, 도4a 및 도4b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의 1차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며, 도5a, 도5b 및 도5c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의 2차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며, 도6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2차필터 상면을 통한 빌지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7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1차필터 가이드 플래이트가 구비되고, 2차필터의 하면을 통한 빌지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8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의 오일드레인 및 백플러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15ppm이하로 유분함량을 낮추어 주는 시스템의 말단부에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를 연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5ppm 이하로 유분함량을 낮추어 배출함으로써 해양오염을 예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보면,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1)는 상부케이스(110), 하부케이스(140), 1차필터(120), 1차필터 지지대(130) 및 2차필터(150)를 포함한다.
상기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1)의 필터케이스(1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케이스지지대(200)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100)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40)로 나눌 수 있으며,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40)는 플랜지타입으로 결합하며, 플랜지결합부 사이에 동일한 플랜지면을 가진 1차필터지지대(130)를 사이에 두고 상하에서 볼팅결합한다.
상기 1차필터지지대(130)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4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1차필터부와 2차필터부를 구분시켜줌과 동시에 1차필터(12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110)는 상단에 오일센서(111)와 오일드레인밸브(1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원통형상의 측면부에 압력센서(114)와 빌지수 흡입밸브(113)를 포함한다.
상기 빌지수 흡입밸브(113)와 상부케이스(110)가 연결되는 관은 상부케이스(110)의 원통형상의 중심을 향해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빌지수 흡입밸브(113)의 연결관이 상부케이스(110)의 원통형상의 중심으로 형성되는 경우 유입되는 빌지수는 특별한 흐름을 형성하지 못하나, 원통형상의 중심에서 벗어나서 형성되는 경우 유입되는 빌지수는 원통형상의 내주면을 따라 원형의 흐름을 가지면서 유입하여 1차필터(120)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부케이스(110)는 가이드 플레이트(124)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24)는 상부케이스(110) 내부에 상부케이스(110)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양단이 개방된 원통배관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원통내부에 1차필터(110)를 감싸는 구조로 구비된다.
이를 통하여, 빌지수흡입밸브(113)를 통하여 유입되는 빌지수가 유입구에 가까운 1차필터(120)에 바로 충돌하는 것을 막아 1차필터(120)를 보호함과 동시에 빌지수가 1차필터(120)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1차필터(120)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140)는 하단에 여과수 토출밸브(141)를 구비하고 토출밸브가 연결된 배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원통내부 바닥에 위치하는 2차필터결합부(144)는 2차필터(150)와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40)는 원통형상의 측면부에 압력센서(143)와 플러싱워터흡입밸브(142)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수 토출밸브(141)와 연결된 하부의 배관은 2차필터(150)와 연결되어 있어 여과과정이 완료되어 유분함량이 5ppm이하의 빌지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플러싱워터 흡입밸브(142)는 1차필터를 백플러싱(Back Flushing)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밸브이다.
도8을 참조하면, 상기 플러싱워터흡입밸브(142)를 통해서 깨끗한 물을 공급하여 하부케이스(140)에서 상부케이스(110)으로 역으로 물을 흐르게 함으로써 1차필터(12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1차필터(120)를 재사용가능하게 함으로써 1차필터의 사용수명을 연장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켜 준다.
또한, 상부케이스에 구비되어 있는 압력센서(114)와 하부케이스에 구비되어 있는 압력센서(143)를 이용하여 상부와 하부의 압력차이 값을 감시함으로써, 압력차이 값이 0.5 bar가 넘어서면 1차필터에 기름찌거기가 많이 쌓여있다는 것이므로, 1차필터 청소를 위한 백플러싱 작업을 수행하거나 1차필터를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40)에 부착된 압력센서(114,143)를 활용하여 1차필터의 백플러싱 작업 및 교체수명 등을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40) 사이에 위치하는 1차필터 지지대(130)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40)의 결합부의 플랜지형상과 대응하는 플랜지연결부(132)를 구비한 원형플레이트형상을 가지며, 원형플레이트 내부에는 1차필터(120)를 고정할 수 있는 1차필터(120)의 수와 대응 되는 수의 1차필터 결합구(1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1차필터지지대(130)의 플랜지연결부(132)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40)의 플랜지부와 대응되어 형성되므로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플랜지 결합부와 함께 볼팅되어 압착고정된다.
상기 1차필터 결합구(131)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중공체 형상이며 중공체의 내주면에는 1차필터(120)와 결합을 위한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1차필터결합구(131)와 1차필터지지대(130)의 원형플레이트 연결부분에도 중공에 대응하는 구멍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1차필터지지대(130)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40)의 공간을 구분지어 줌과 동시에,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40)의 유체통과할 수 있는 1차필터 결합구(131)에 1차필터(120) 결합하여 연결함으로써, 상부케이스(110)로 유입되었던 빌지수가 1차필터를 거친 후 1차필터지지대를 통하여 하부케이스로 유입되게 된다.
도4a 및 도4b를 참조하면, 상기 1차필터(120)는 1차필터 멤브레인(121), 필터지지판(122) 및 1차필터배출관(123)를 포함한다.
상기 1차필터 멤브레인(121)은 디스크형상을 가지고 있는 개별필터가 적층된 구조, 즉 원형의 필터 중심에 후술될 1차필터배출관(123)의 외주면과 내접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개별필터가 원통형의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는 구조이며, 원통형으로 적층된 필터를 상하에서 필터지지판(122)를 통하여 압착되는 구조를 형성하므로써 기존의 필터가 가지고 있던 기공을 압착을 통하여 더욱 미세한 입자도 필터링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압착하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필터링되는 입자의 크기 및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1차필터(120)의 경우, 1차필터(120)가 형성하고 있는 기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일정크기이상의 유분을 필터링하는 구조이다.
상기 1차필터 배출관(123)은 1차필터의 중심에 위치하여 중공의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원통형의 측면부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뚫어여져 있으며, 하단부에는 1차필터지지대의 결합부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유입된 빌지수는 상기 1차필터 멤브레인(121)의 측면부를 통하여 흡입되어 1차필터 멤브레인(121)이 내포하고 있는 1차필터배출관(123)으로 흐른 후 하부케이스(140)로 흘러가게 된다.
도5a, 도5b 및 도5c를 참조하면, 상기 2차필터(150)는 다수개의 흡착포(152)와 흡착포를 내포하며 1차 필터링된 빌지수를 2차필터링하여 최종 5ppm의 여과수로 배출하는 2차필터케이스(151)를 포함한다.
상기 2차필터의 흡착포(152)는 기공의 크기로 유분을 걸러내는 1차필터(120)의 필터멤브레인(121)과 달리,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있는 흡착포(152)를 다수개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빌지수에 포함된 유분을 흡착하여 제거한다.
상기 흡착포(152)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다수개의 흡착포로 이루어져있어 빌지수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2차필터케이스(151)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측면부는 밀폐되어 있으며, 상부나 하부에 1차 필터링된 빌지수를 통과할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여 흡착포에서 유분을 흡착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되며, 하부에는 2차필터 결합구(144)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2차필터케이스(15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5a 내지 도5c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흡착포를 내포할 수 있으며, 빌지수의 흐름을 내부로 형성시켜, 빌지수와 흡착포가 접촉하게한 후 내부관을 통하여 여과수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2차필터케이스(151)의 내부에는 2차필터배출관(153)을 구비하고 있다. 2차필터배출관(153)은 1차필터배출관(123)과 마찬가지로 원통형의 구조로 측면부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하고 하단부는 2차필터케이스(151)의 결합구와 연결되어 있어, 측면부의 구멍을 통하여 2차필터(150) 흡착포(152)를 거쳐 2차필터링된 여과수가 흐르게 되면 하부 결합구를 통하여 여과수토출밸브(141)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2차필터케이스(151)에 형성되어 있는 1차필터링된 빌지수가 통과하는 구멍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여과효율을 증가시킬수 있다.
따라서, 2차필터케이스(151)는 내부에 흡착포(152)를 고정하여 빌지수와 접촉하여 여과 후 2차필터배출관을 통하여 여과된 빌지수를 배출 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상에 제한없이 다양한 형상이 적용가능 함이 명백하다.
도6 내지 도7을 참조하면, 1차필터링된 빌지수가 흐르는 구멍을 2차필터케이스(151)의 상부 두어서 빌지수의 흐름을 위쪽에서 흡입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하부에만 두어서 빌지수가 2차필터케이스(151)의 하부를 통하여 유입되게 함으로써, 빌지수의 흐름이 더 많은 흡착포를 거쳐서 2차필터배출관으로 배출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의 필터의 운전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5ppm 또는 그 이상의 유분을 포함한 빌지수가 빌지수흡입밸브(113)를 통하여 상부케이스(110)에 유입된 후 1차필터(120)를 거치면서 커다란 입자를 가진 유분이 걸러진 상태에서 하부케이스(140)로 유입되며 하부케이스(140)의 2차필터(150)가 잔류 유분을 흡착하므로서 최종적으로 5ppm을 가진 여과된 빌지수를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케이스(110)에 유입되는 빌지수에는 물에 뜨는 가벼운 유분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고, 물에뜨는 유분은 필터를 거쳐 하부케이스로 흘러가지못하고 상부에 쌓이게 될 수 밖에 없다. 상부에 쌓이게 되는 물보다 가벼운 유분은 상부케이스(110)의 상단에 위치하는 오일센서(111)가 감지하게 되어 오일 드레인을 실시하여 배출하게 된다.
오일 드레인 방법은 빌지수 흡입밸브(113)와 여과수 토출밸브(141)를 닫은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10) 상단에 구비된 오일드래인밸브(112)를 열고, 하부 케이스(140)에 구비된 플러싱워터흡입밸브(142)를 통하여 신선한 물을 공급함으로서 상부에 쌓여있던 가벼운 유부을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 경우, 플러싱워터 흡입밸브(142)를 통하여 공급되는 신선한 물이 하부케이스(140)에서 1차필터(120)를 거쳐 상부케이스(110)로 공급되어, 통상의 필터과정과 반대로 흐름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1차필터에 묻어있는 이물질이나 유분을 제거하는 백플러싱 효과를 함께 가질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
100 필터케이스 110 상부케이스
111 오일센서 112 오일드레인밸브
113 빌지수 흡입밸브 114 압력센서
120 1차필터 121 필터멤브레인
122 필터지지판 123 1차필터배출관
124 가이드 플레이트
130 1차필터지지대 131 1차필터결합구
132 플랜지연결부
140 하부케이스 141 여과수토출밸브
142 플러싱워터흡입밸브 143 압력센서
144 2차필터결합구
150 2차필터 151 2차필터케이스
152 흡착포 153 2차필터 배출관
154 결합구
200 필터케이스지지대

Claims (5)

  1. 오일센서, 오일드레인밸브, 빌지수흡입밸브 및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상부케이싱;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 사이에 결합하여 1차 필터를 고정해주는 1차필터지지대;
    여과수토출밸브와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하부케이싱;
    상기 상부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1차필터; 및
    상기 하부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2차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빌지수 흡입밸브는,
    상부케이싱의 내주면을 따라 원형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중심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싱은,
    빌지수가 직접적으로 1차필터에 접촉하는 것을 막아주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필터는,
    하부로만 빌지수를 흐르게하여 여과 효율을 높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하부케이싱은,
    1차필터의 백플러싱(Back Flushing)을 위한 플러싱워터흡입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


KR1020190171362A 2019-12-20 2019-12-20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 KR102373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362A KR102373948B1 (ko) 2019-12-20 2019-12-20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362A KR102373948B1 (ko) 2019-12-20 2019-12-20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513A KR20210079513A (ko) 2021-06-30
KR102373948B1 true KR102373948B1 (ko) 2022-03-15

Family

ID=7660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362A KR102373948B1 (ko) 2019-12-20 2019-12-20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9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99915A (zh) * 2023-12-25 2024-03-15 南源智慧水务有限公司 一种新型农饮水站过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302B1 (ko) * 2014-03-18 2014-06-27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선박용 일체형 유수분리기
JP2014147861A (ja) * 2013-01-31 2014-08-21 Ryuki Engineering:Kk ろ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039B1 (ko) 2016-04-28 2016-10-14 주식회사 코센코리아 원심분리시스템을 이용한 빌지수 정화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7861A (ja) * 2013-01-31 2014-08-21 Ryuki Engineering:Kk ろ過装置
KR101413302B1 (ko) * 2014-03-18 2014-06-27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선박용 일체형 유수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513A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7731B2 (ja) 廃水処理船
US3937662A (en) Marine dischar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fluids on a marine vessel
KR100900714B1 (ko)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는 장치
US5603825A (en) Multi-stage apparatus for separating immiscible fluids
US8206585B2 (en) Automatic oil-water separation and recovery system used on ships
MX2013010915A (es) Aparato de filtración.
JP2019209241A (ja) スクラバ排水の浄化装置及び方法並びに塩分濃度差発電システム
KR102373948B1 (ko)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
JP4421494B2 (ja) バラスト水の取水・処理装置
US5388542A (en) Water-borne ship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1789070B1 (ko) 해양 이물질 제거와 나노 메쉬를 구비한 유수 분리 모듈
JP2004050145A (ja) 微細な浮遊物質を含むビルジ用油水分離装置
US6129839A (en) Separation system for immiscible liquids
KR100542338B1 (ko) 눈금판 필터 모듈이 구비된 유수분리장치
JP2007245034A (ja) 膜モジュールを用いた膜処理方法及び膜処理装置
JP4243603B2 (ja) 含油廃水処理船
CN207493507U (zh) 除油过滤装置
KR101138263B1 (ko) 유수 분리장치
WO2022085582A1 (ja) 浮遊汚染物質回収装置及び浮遊汚染物質回収システム
US6652750B1 (en) Externally mounted bilge water filter and methods therefor
US5626746A (en) Filtering device containing chemical encapsulation filter and size discriminating filter
KR102003401B1 (ko)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CN1231390C (zh) 舱底用分离微小浮游物质的油水分离装置
KR20200026700A (ko)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액체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기
KR102427482B1 (ko) 소형선박의 유수분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