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401B1 -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401B1
KR102003401B1 KR1020120091677A KR20120091677A KR102003401B1 KR 102003401 B1 KR102003401 B1 KR 102003401B1 KR 1020120091677 A KR1020120091677 A KR 1020120091677A KR 20120091677 A KR20120091677 A KR 20120091677A KR 102003401 B1 KR102003401 B1 KR 102003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waste oil
diaphragm
water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5697A (ko
Inventor
이태환
이호철
조정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401B1/ko
Publication of KR20140025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2Hydrocarbons, e.g. oi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처리장치는 전처리 탱크 안으로 폐유를 유입하도록 입구 쪽에 설치되는 폐유 유입라인, 전처리 탱크 안에 설치되는 격막, 격막에 의해서 전처리 탱크 안에 설치되는 유수 분리 실, 유수 분리 실의 상측에 위치하는 폐유를 배출하기 위하여 전처리 탱크 상측에 설치되는 폐유 배출라인, 유수 분리 실의 하측에 위치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전처리 탱크 하측에 설치되는 물 배출라인, 및 유수 분리 실의 바닥에 설치되는 드레인 라인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폐유 드레인 탱크 입구 쪽에 설치되어 폐유 드레인 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폐유로부터 재차 물을 분리함으로써 폐유 드레인 탱크 용량을 늘일 수 있으며, 오염 드레인 탱크(dirty drain tank)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물이 포함되지 않은 폐유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폐유 처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Waste oil and Water Separation System and Pretreatment Apparatus of the Separation System}
본 발명은 선박용 유수 분리시스템(油水分離 System)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선박의 기관실, 갑판 등에서 발생되는 각종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폐유를 분리하여 물은 해상으로 배출하고 폐유는 폐유 드레인 탱크(waste oil tank) 안에 수집하게 되는데, 폐유 드레인 탱크 입구 쪽에 설치되어 폐유 드레인 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폐유에 포함되어 있는 물을 분리함으로써 폐유 드레인 탱크 용량을 늘일 수 있으며, 폐유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운항시나 정박시 기관의 가동, 청소 등으로 인하여 기름성분이 많이 포함된 폐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폐수는 선박의 밑바닥에 설치되는 빌지 탱크(bilge tank)에 수집되고, 이렇게 수집한 폐수는 선박 내에 설치되어 있는 워터 세퍼레이터를 통하여 여과, 분리시켜 규정이상(배출허용 농도 15 ppm 이하)으로 정화된 물만 해상으로 배출시키고, 물과 분리 수집된 기름성분의 폐유는 폐유 드레인 탱크 안에 수집된 후, 별도의 처리방식, 예를 들어 소각기로 보내 소각하는 방식을 통해서 처리된다.
도 1은 종래 유수 분리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유수 분리시스템(1)에서는 우선, 선박 운항시나 정박시 기관의 가동, 청소 등으로 인하여 기름성분이 많이 포함된 폐수가 선박의 밑바닥에 설치되는 빌지 탱크(bilge tank)(10)에 수집되고, 이렇게 수집한 폐수는 선박 내에 설치되어 있는 워터 세퍼레이터(11)를 통하여 여과, 분리시켜 규정이상(배출허용농도 15 ppm 이하)으로 정화된 물만 해상으로 배출시키고, 물과 분리 수집된 기름성분의 폐유는 폐유 드레인 탱크(12) 안에 수집된다. 또한 기타 장비(13)에서 발생하는 폐유가 폐유 드레인 탱크(12) 안에 수집된다.
한편, 엔진 유닛(20)에서 발생하는 폐유는 정화기(21)를 통하여 여과, 분리시켜 규정이상(배출허용농도 15 ppm 이하)으로 정화된 물만 해상으로 배출시키고, 물과 분리 수집된 기름성분의 폐유는 오염 드레인 탱크(dirty drain tank)(30) 안에 수집된다.
발전 유닛(40)에서 발생하는 폐유는 정화기(41)를 통하여 여과, 분리시켜 규정이상(배출허용농도 15 ppm 이하)으로 정화된 물만 해상으로 배출시키고, 물과 분리 수집된 기름성분의 폐유는 오염 드레인 탱크(30) 안에 수집된다.
상기 엔진 유닛(20)과 발전 유닛(40)에서 발생하는 폐유에는 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폐유를 폐유 드레인 탱크(12) 안에 수집하지 못하고, 별도의 오염 드레인 탱크(30) 안에 수집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유수 분리시스템에서는 엔진 유닛(20)에서 발생하는 폐유, 발전 유닛(40)에서 발생하는 폐유는 각각 정화기(21)(41)를 거친 후에도 폐유 안에 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된 폐유를 폐유 드레인 탱크(12)로 수집하지 못하고, 별도의 오염 드레인 탱크(30) 안에 수집하게 된다.
또한, 다른 장비 측에서 수집되는 폐유분에도 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폐유 드레인 탱크(12) 자체의 용량이 줄어들게 되고 폐유 처리비용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1988-01106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폐유 드레인 탱크 입구 쪽에 설치되어 폐유 드레인 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폐유에 포함되어 있는 물을 분리함으로써 폐유 드레인 탱크 용량을 늘일 수 있으며, 오염 드레인 탱크(dirty drain tank)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물이 포함되지 않은 폐유만을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폐유 처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은 폐유 드레인 탱크 안으로 폐유가 수집되기 이전에 폐유로부터 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폐유 드레인 탱크 입구에 설치되는 유수 분리시스템의 유수 전처리장치에 있어서, 전처리 탱크 안으로 폐유를 유입하도록 입구 쪽에 설치되는 폐유 유입라인; 상기 전처리 탱크 안에 설치되는 격막; 상기 격막에 의해서 상기 전처리 탱크 안에 설치되는 유수 분리 실; 상기 유수 분리 실의 상측에 위치하는 폐유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전처리 탱크에 설치되는 폐유 배출라인; 상기 유수 분리 실의 하측에 위치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전처리 탱크에 설치되는 물 배출라인; 및 상기 유수 분리 실의 바닥에 설치되는 드레인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격막은 제1 격막과 제2 격막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격막과 제2 격막에 의해서 제1 유수 분리실, 제2 유수 분리실, 제3 유수 분리실이 구획되며, 상기 제1 유수 분리실 및 상기 제3 유수 분리실 각각에는 상기 폐유 배출라인과 상기 물 배출라인이 모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수 분리실 안으로 폐유가 유입되어 1차로 유수 분리된 후, 잔류하는 폐유가 순차적으로 상기 제2 유수 분리실, 상기 제3 유수 분리실로 이동하여 재차 유수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처리 탱크의 하부에는 유지보수를 위해서 맨홀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전처리 탱크의 하부에 설치된 맨홀은 유지보수를 위해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격막은 상기 제1 유수 분리실, 제2 유수 분리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격막은 상기 제2 유수 분리실, 제3 유수 분리실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격막은 상기 제2 격막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폐유 배출라인에서 배출되는 폐유는 상기 폐유 드레인 탱크 안으로 유입되고, 상기 물 배출라인에서 배출되는 물은 해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 탱크에는 벤트 라인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유 드레인 탱크 입구 쪽에 설치되어 폐유 드레인 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폐유에 포함되어 있는 물을 분리함으로써 폐유 드레인 탱크 용량을 늘일 수 있으며, 오염 드레인 탱크(dirty drain tank)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물이 포함되지 않은 폐유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폐유 처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유수 분리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수 분리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수 전처리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폐유가 제1 유수 분리실에서 제3 유수 분리실로 유입하면서 폐유와 물로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수 전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수 전처리장치를 보인 측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수 분리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처리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처리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선박에서 발생하는 각종 폐유를 처리하기 위하여 그 폐유에 혼입 또는 함유되어 있는 물을 분리, 정화하여 규정이상(배출허용농도 15 ppm 이하)으로 정화된 물만 해상으로 배출하고, 분리한 폐유는 폐유 드레인 탱크(12) 안으로 수집하게 되는 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수 분리시스템은 폐유 드레인 탱크(12) 안으로 폐유가 수집되기 이전에 폐유로부터 재차 물을 분리할 수 있도록 폐유 드레인 탱크(12) 입구에 전처리장치(1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처리장치(100)는 전처리 탱크(110') 안으로 폐유를 유입하도록 입구 쪽에 설치되는 폐유 유입라인(111); 전처리 탱크 (110') 안에 설치되는 격막(112); 격막(112)에 의해서 전처리 탱크(110') 안에 설치되는 유수 분리 실(113); 유수 분리 실(113)의 상측에 위치하는 폐유를 배출하기 위하여 전처리 탱크(110')에 설치되는 폐유 배출라인(114)(114'); 유수 분리 실(113)의 하측에 위치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전처리 탱크(110')에 설치되는 물 배출라인(115)(115'); 및 유수 분리 실(113)의 바닥에 설치되는 드레인 라인(116);을 구비한다. 상기 전처리 탱크(110')의 상부에는 벤트 라인(118)이 형성된다.
상기 전처리 탱크(110')의 하부에는 유지보수를 위해서 맨홀(117)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전처리 탱크(110')의 하부에 설치된 맨홀(117)은 유지보수를 위해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격막(112)은 제1 격막(112a)과 제2 격막(112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격막(112a)과 제2 격막(12b)에 의해서 제1 유수 분리실(113a), 제2 유수 분리실(113b), 제3 유수 분리실(113c)이 구획된다.
상기 제1 격막(112a)은 상기 제1 유수 분리실(113a), 제2 유수 분리실(113b)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격막(112b)은 상기 제2 유수 분리실(113b), 제3 유수 분리실(113c)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격막(112a)은 상기 제2 격막(112b)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유수 분리실(113a) 안으로 폐유가 유입되어 유수 분리된 후, 잔류하는 폐유가 순차적으로 상기 제2 유수 분리실(113b), 제3 유수 분리실(113c)로 이동하여 정밀하게 유수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유수 분리실(113a) 및 상기 제3 유수 분리실(113c)에는 폐유 배출라인(114)(114')과 물 배출라인(115)(115')이 설치된다.
상기 폐유 배출라인(114)(114')에서 배출되는 폐유는 폐유 드레인 탱크(12) 안으로 유입되고, 물 배출라인(115)(115')에서 배출되는 규정이상 (배출허용농도 15 ppm 이하)으로 정화된 물은 해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 유닛(20)에서 발생하는 폐유, 발전 유닛(40)에서 발생하는 폐유는 각각 정화기(21)(41)를 거친 후, 전처리장치(100) 안으로 유입된다.
폐유 유입라인(111)으로 유입된 폐유는 일차적으로 제1 유수 분리실(113a) 안으로 유입되고, 비중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가벼운 폐유는 상부에 위치하고 물은 하부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유수 분리실(113a)의 상부에 위치한 폐유가 제2 유수 분리실(113b)로 넘어가고, 제2 유수 분리실(113b)의 폐유는 다시 제3 유수 분리실(113c)로 넘어가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폐유와 물로 분리된다.
제1 유수 분리실(113a)에서 분리된 폐유는 폐유 배출라인(114)을 통해서 폐유 드레인 탱크(12)로 수집되고, 제1 유수 분리실(113a)에서 분리된 물은 물 배출라인(115)을 통해서 배출된다.
제3 유수 분리실(113c)에서 분리된 폐유는 폐유 배출라인(114')을 통해서 폐유 드레인 탱크(12)로 수집되고, 제3 유수 분리실(113c)에서 분리된 물은 물 배출라인(115')을 통해서 배출된다.
도 4를 참조하여, 폐유가 제1 유수 분리실(113a)에서 제3 유수 분리실(113c)로 유입하면서 폐유와 물로 분리되는 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폐유 유입라인(111)으로 유입된 폐유는 일차적으로 제1 유수 분리실(113a) 안으로 유입되고, 비중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가벼운 폐유는 상부에 위치하고 물은 하부에 위치하여 폐유와 물로 분리된다.
분리된 폐유 중에서도 물이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재차 폐유와 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거친다. 즉, 제1 유수 분리실(113a)에서 분리된 폐유는 제1 격막(112a)을 넘어 제2 유수 분리실(113b)로 유입하고, 제2 유수 분리실(113b)의 폐유는 제2 격막(112b)을 넘어 제3 유수 분리실(113c)로 유입하여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폐유와 물로 분리된다.
제1 유수 분리실(113a)에서 분리된 폐유는 폐유 배출라인(114)을 통해서 폐유 드레인 탱크(12)로 수집되고, 제1 유수 분리실(113a)에서 분리된 물은 물 배출라인(115)을 통해서 배출된다.
제3 유수 분리실(113c)에서 분리된 폐유는 폐유 배출라인(114')을 통해서 폐유 드레인 탱크(12)로 수집되고, 제3 유수 분리실(113c)에서 분리된 물은 물 배출라인(115')을 통해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유 드레인 탱크 입구 쪽에 설치되어 폐유 드레인 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폐유로부터 재차 물을 분리함으로써 폐유 드레인 탱크 용량을 늘일 수 있으며, 오염 드레인 탱크(dirty drain tank)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물이 포함되지 않은 폐유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폐유 처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수 분리시스템에서는, 전처리 탱크(110')의 하부에 맨홀(117)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처리 탱크(110')의 하부에 설치된 바닥 맨홀(117)이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내부 청소, 관리 등의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100: 전처리장치
110': 전처리 탱크
111: 폐유 유입라인
112: 격막
112a: 제1 격막
112b: 제2 격막
113: 유수 분리 실
113a: 제1 유수 분리실
113b: 제2 유수 분리실
113c: 제3 유수 분리실
114,114': 폐유 배출라인
115,115': 물 배출라인
116: 드레인 라인
117: 맨홀
118: 벤트 라인

Claims (9)

  1. 폐유 드레인 탱크 안으로 폐유가 수집되기 이전에 폐유로부터 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폐유 드레인 탱크 입구에 설치되는 유수 분리시스템의 유수 전처리장치에 있어서,
    전처리 탱크 안으로 폐유를 유입하도록 입구 쪽에 설치되는 폐유 유입라인;
    상기 전처리 탱크 안에 설치되는 격막;
    상기 격막에 의해서 상기 전처리 탱크 안에 설치되는 유수 분리 실;
    상기 유수 분리 실의 상측에 위치하는 폐유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전처리 탱크에 설치되는 폐유 배출라인;
    상기 유수 분리 실의 하측에 위치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전처리 탱크에 설치되는 물 배출라인; 및
    상기 유수 분리 실의 바닥에 설치되는 드레인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격막은 제1 격막과 제2 격막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격막과 제2 격막에 의해서 제1 유수 분리실, 제2 유수 분리실, 제3 유수 분리실이 구획되며,
    상기 제1 유수 분리실 및 상기 제3 유수 분리실 각각에는 상기 폐유 배출라인과 상기 물 배출라인이 모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수 분리실 안으로 폐유가 유입되어 1차로 유수 분리된 후, 잔류하는 폐유가 순차적으로 상기 제2 유수 분리실, 상기 제3 유수 분리실로 이동하여 재차 유수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탱크의 하부에는 유지보수를 위해서 맨홀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탱크의 하부에 설치된 맨홀은 유지보수를 위해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막은 상기 제1 유수 분리실과 상기 제2 유수 분리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격막은 상기 제2 유수 분리실과 상기 제3 유수 분리실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격막은 상기 제2 격막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유 배출라인에서 배출되는 폐유는 상기 폐유 드레인 탱크 안으로 유입되고, 상기 물 배출라인에서 배출되는 물은 해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탱크에는 벤트 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9. 삭제
KR1020120091677A 2012-08-22 2012-08-22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KR102003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677A KR102003401B1 (ko) 2012-08-22 2012-08-22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677A KR102003401B1 (ko) 2012-08-22 2012-08-22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697A KR20140025697A (ko) 2014-03-05
KR102003401B1 true KR102003401B1 (ko) 2019-07-25

Family

ID=5064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677A KR102003401B1 (ko) 2012-08-22 2012-08-22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4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505B1 (ko) 2015-08-13 2017-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빌지 처리 탱크
KR102108482B1 (ko) 2019-02-14 2020-05-07 엠티시 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무필터방식의 폐수 산화처리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2817A (ja) * 2009-10-27 2011-05-12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油水分離前処理装置タン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069U (ko) * 1996-08-16 1998-05-25 유호근 선박용 유수분리장치의 전처리장치
KR101027368B1 (ko) * 2008-05-06 2011-04-11 천도철 유수분리기
KR101086069B1 (ko) * 2009-05-07 2011-11-23 거림엔지니어링(주) 유수분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2817A (ja) * 2009-10-27 2011-05-12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油水分離前処理装置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697A (ko)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714B1 (ko)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는 장치
US8206585B2 (en) Automatic oil-water separation and recovery system used on ships
CA3005192A1 (en) Standardized oilfield water treatment device and process using physical method
RU2681458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на борту судов
CN103319026B (zh) 一种用于船舶洗涤脱硫系统废液的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JP5945151B2 (ja) 再生油製造装置及び再生油製造方法
KR101086069B1 (ko) 유수분리시스템
KR102003401B1 (ko)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KR20120020506A (ko)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JP2004050145A (ja) 微細な浮遊物質を含むビルジ用油水分離装置
CN101952015B (zh) 废水处理设备和处理废水的方法
KR20180132481A (ko) 선박 폐유수 이동식 처리 시스템
NZ609160A (en) An effluent treatment unit
JP3196204U (ja) 油分混入排水処理装置
AU2017298020A1 (en) Hybrid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produced water and sea water to be re-injected into a subsea oil reservoir
JP5543743B2 (ja) 油水分離システム
CN208562084U (zh) 一种集成式污水处理装置
KR20020024008A (ko) 눈금판 필터 모듈이 구비된 유수분리장치
KR0169216B1 (ko) 유수분리방법 및 그 장치
CN209423131U (zh) 一种油水分离装置
KR101900022B1 (ko) 지천 수처리 방법
KR20210079513A (ko)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
CN205275280U (zh) 火炬单元污水处理系统
KR20200084665A (ko) 오수 처리 장치
KR100469950B1 (ko) 빌지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