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506A -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506A
KR20120020506A KR1020100084158A KR20100084158A KR20120020506A KR 20120020506 A KR20120020506 A KR 20120020506A KR 1020100084158 A KR1020100084158 A KR 1020100084158A KR 20100084158 A KR20100084158 A KR 20100084158A KR 20120020506 A KR20120020506 A KR 20120020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measuring sensor
holding tank
recover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590B1 (ko
Inventor
원대한
윤상찬
홍성일
이진웅
황인순
이신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5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1Build in apparatus for autonomous on board water supply and wastewater treatment (e.g. for aircrafts, cruiseships, oil drilling platforms, railway trains, spac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오염수(contaminated drain water)를 회수하여 선박 내에서 재활용함으로써 오염물질의 배출을 원천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선박용 오염배출수 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오염수를 회수하여 저장하는 홀딩탱크; 상기 홀딩탱크의 일측에서 다양한 유틸리티로 연장되는 오염수배관; 및 상기 오염수배관 상에 설치되고, 상기 홀딩탱크에서 공급되는 오염수에서 오일 및 입자상태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분리하는 처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유닛에 의해 처리된 물은 상기 오염수배관을 통해 다양한 유틸리티로 공급되어 재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CONTAMINATED DRAIN WATER RECOVERY SYSTEM FOR VESSEL}
본 발명은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오염수(contaminated drain water)를 회수하여 선박 내에서 재활용함으로써 오염물질의 배출을 원천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상선, 오프쇼어 선박(offshore vessel), 기타 선박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오프쇼어 선박은 화물운송이 아니라 해양유전, 해양 플랜트 등의 해상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정지된 선박을 말하고, 특히 시추선(drilling rigs), 프로듀서(FPSO), 지원선박(support vessel) 등이 있다.
한편, 이러한 오프쇼어 선박과 같이 정지된 선박에는 오일, 기타 오염물질이 함유된 다량의 오염수가 발생하고, 이에 선박에는 오염수를 처리하기 위한 오염수 처리설비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오염수 처리설비는 유수분리기(oily water separator)를 이용하여 오염수에서 오일성분을 필터링한 후에, 오일 모니터링설비에 의해 검출하여 오일함량(oil contents)가 5ppm이하의 물만을 선외로 배출하고, 5ppm이상의 물은 재처리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배출되는 물에는 오일 이외에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해상 오염이 심각해질 뿐만 아니라 선박의 장비 오작동 등으로 인한 오염의 가능성이 존재하며, 근원적으로 오일 성분 및 기타 오염물질의 배출을 완전히 막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선박 내에서 발생되는 오염수(contaminated drain water)를 회수하여 선박 내에서 재활용함으로써 오일 또는 기타 오염물질의 배출을 원천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 내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에서 있어서, 상기 오염수를 회수하여 저장하는 홀딩탱크; 상기 홀딩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오염수에서 오일 및 입자상태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분리하는 처리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유닛을 통과한 물은 재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홀딩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오염수로부터 물, 폐오일 및 입자상태의 오염물질로 분리하는 3상 분리기, 상기 분리된 폐오일을 저장하는 폐오일 저장탱크 및 상기 분리된 입자상태의 오염물질을 저장하는 입자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유닛을 통과한 물에 잔류오일이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오일 측정센서와, 상기 오일 측정센서에서 설정치 이상의 값이 검출되면 상기 처리유닛을 통과한 물을 다시 상기 홀딩탱크로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개폐되는 3웨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순환을 위하여 상기 3웨이밸브와 상기 홀딩탱크는 리턴배관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 측정센서를 통과한 물에 잔류염분이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염도 측정센서와, 상기 염도 측정센서에서 설정치 이상의 값이 검출되면 상기 오일 측정센서를 통과한 물을 염분을 제거할 수 있는 탈염유닛으로 보낼 수 있도록 개폐되는 3웨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 내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에서 있어서, 상기 오염수를 회수하여 저장하는 홀딩탱크; 상기 홀딩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오염수에서 오일 및 머드 상태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분리하는 처리유닛; 상기 처리유닛을 통과한 물에 잔류오일이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오일 측정센서; 및 상기 오일 측정센서에서 설정치 이상의 값이 검출되면 상기 처리유닛을 통과한 물을 다시 상기 홀딩탱크로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개폐되는 3웨이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유닛을 통과한 물은 재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홀딩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오염수로부터 물, 폐오일 및 머드상태의 오염물질로 분리하는 3상 분리기, 상기 분리된 폐오일을 저장하는 폐오일 저장탱크 및 상기 분리된 머드 상태의 오염물질을 저장하는 머드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순환을 위하여 상기 3웨이밸브와 상기 홀딩탱크는 리턴배관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 측정센서를 통과한 물에 잔류염분이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염도 측정센서와, 상기 염도 측정센서에서 설정치 이상의 값이 검출되면 상기 오일 측정센서를 통과한 물을 염분을 제거할 수 있는 탈염유닛으로 보낼 수 있도록 개폐되는 3웨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 내에서 발생되는 오염수(contaminated drain water)를 회수하여 선박 내의 다양한 유틸리티에서 재활용함으로써 오일 또는 기타 오염물질의 배출을 원천적으로 제한하고, 이를 통해 해양오염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함과 더불어 선박 내에 사용되는 다양한 용수의 소비량을 대폭 절감함으로써 그 유지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템은 오프쇼어 선박(offshore vessel) 등과 같은 정지 선박, 상선, 기타 선박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회수하여 저장하는 홀딩탱크(11), 홀딩탱크(11)의 일측에서 다양한 유틸리티(20, utility)로 연장되는 오염수배관(12), 오염수배관(12) 상에 설치되어 오염수에서 오일 및 입자상태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분리하는 처리유닛(15)을 포함한다.
홀딩탱크(11)는 선박 내의 다양한 장소 예컨대, 선박의 모든 데크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회수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오염수배관(12)의 일단은 홀딩탱크(11)의 일측, 특히 홀딩탱크(11)의 하단에 소통되게 연결되고, 오염수배관(12)의 타단은 다양한 유틸리티(20)로 다양한 연결구조를 통해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유틸리티(20)는 오염수를 처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유틸리티(20)에는 처리된 오염수가 상황에 따라서 드릴워터(drill water), 테크니컬 워터(technical water), 프레쉬 워터(fresh water), 인젝션워터(injection water)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처리유닛(15)은 홀딩탱크(11)의 하류측 오염수배관(12) 상에 설치되어 홀딩탱크(11)에서 공급되는 오염수를 필터링하여 오염수에서 오일 및 입자상태의 오염물질을 분리한다.
처리유닛(15)은 오염수에서 오일 및 입자상태의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3상 분리기(15a, 3-phase contaminated drain water separator), 분리된 폐오일을 저장하는 폐오일 저장탱크(15b) 및 분리된 입자 상태의 오염물질을 저장하는 입자 저장탱크(15c)를 포함한다. 3상 분리기(15a)에는 연결배관(15d)을 통해 폐오일 저장탱크(15b)가 연결되며, 폐오일 저장탱크(15b)에는 분리된 폐오일이 저장된다. 또한, 3상 분리기(15a)에는 연결배관(15e)을 통해 입자 저장탱크(15c)가 연결되며, 입자 저장탱크(15c)에는 분리된 입자상태의 오염물질이 저장된다.
그리고, 처리유닛(15)의 하류측 오염수배관(12) 도중에는 오일 측정센서(16)가 설치되고, 오일 측정센서(16)는 오염수배관(12) 내에 오일 함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처리유닛(15)에 의해 처리된 물의 오일함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오일 측정센서(16)의 하류측 오염수배관(12)의 도중에는 리턴배관(13)의 일단이 연결되고, 리턴배관(13)의 타측은 홀딩탱크(11)측에 연결된다. 이에, 오일 측정센서(16)에 의해 측정된 오일함량이 소정의 설정치(예컨대, 5ppm)이상이 되면 리턴배관(13)을 통해 처리된 물을 홀딩탱크(11)측으로 재순환시킨다. 여기서, 리턴배관(13)에는 개폐밸브(미도시) 및 재순환펌프(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처리된 물의 재순환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오일 측정센서(16)의 하류측 오염수배관(12) 도중에는 3웨이밸브(14, 3-way valve)가 설치되고, 3웨이밸브(14)는 오일 측정센서(16)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오일 측정센서(16)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3웨이밸브(14)의 제1포트(14a)는 처리유닛(15)측의 오염수배관(12)에 연결되며, 3웨이밸브(14)의 제2포트(14b)는 유틸리티(20)측의 오염수배관(12)에 연결되고, 3웨이밸브(14)의 제3포트(14c)는 리턴배관(13)에 연결된다.
그리고, 오일 측정센서(16)에 의해 설정치 이하로 오일함량이 검출되면, 처리유닛(15)에 의해 처리된 물은 오염수배관(12)을 통해 다양한 유틸리티(20)로 공급되고, 이렇게 처리된 물은 다양한 유틸리티(20, utility)에서 드릴워터(drill water), 테크니컬 워터(technical water), 프레쉬 워터(fresh water), 인젝션워터(injection water) 등으로 다양하게 재활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오일 측정센서(16)와 유틸리티(20) 사이에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 측정센서(1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염도 측정센서(17)는 오일 측정센서(16)의 하류측 오염수배관(12) 도중에 설치되고, 염도 측정센서(17)는 오염수배관(12) 내에 염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처리유닛(15)에 의해 처리된 물의 염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염도 측정센서(17)의 하류측 오염수배관(12)에는 3웨이밸브(18, 3-way valve) 및 탈염유닛(19)이 설치되고, 3웨이밸브(18)는 염도 측정센서(17)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염도 측정센서(17)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3웨이밸브(18)의 제1포트(18a)는 오일 측정센서(16)측의 오염수배관(12)에 연결되며, 3웨이밸브(18)의 제2포트(18b)는 유틸리티(20)측의 오염수배관(12)에 연결되고, 3웨이밸브(18)의 제3포트(18c)는 탈염배관(19a)에 연결된다.
탈염유닛(19)은 탈염배관(19a) 상에 설치되고, 탈염 측정센서(17)에 의해 물의 염도가 설정치 이상이 측정되면 제3포트(18c)를 통해 탈염유닛(19)측으로 처리된 물을 송급하여 탈염처리한다. 이와 달리, 설정치 이상의 염도를 가진 물을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 미도시)로 회수할 수도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은 선행하는 제1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처리유닛(25)은 홀딩탱크(11)의 하류측 오염수배관(12) 상에 설치되어 홀딩탱크(11)에서 공급되는 오염수를 필터링하여 오염수에서 오일 및 머드상태의 오염물질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처리유닛(25)은 오염수에서 오일 및 머드상태의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3상 분리기(25a, 3-phase contaminated drain water separator), 폐오일 저장탱크(25b) 및 머드 저장탱크(25c)를 포함한다. 3상 분리기(25a)에는 연결배관(25d)을 통해 폐오일 저장탱크(25b)가 연결되며, 폐오일 저장탱크(25b)에는 분리된 폐오일이 저장된다. 또한, 3상 분리기(25a)에는 연결배관(25e)을 통해 머드 저장탱크(25c)가 연결되며, 머드 저장탱크(25c)에는 분리된 머드상태의 오염물질이 저장된다.
이때 제3실시예를 시추선에 적용할 경우, 머드상태의 오염물질은 단순 폐기되는 불순물이 아닌 시추작업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머드이므로 시추선에서 시추작업을 할 때 재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은 선행하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처리유닛(15, 25)은 오염수에서 오일, 입자상태의 오염물질, 머드상태의 오염물질을 동시에 분리한 후에 오일, 입자상태의 오염물질, 머드상태의 오염물질을 개별적으로 저장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1: 홀딩탱크 12: 오염수배관
13: 리턴배관 14, 18: 3웨이밸브
15, 25: 처리유닛 16: 오일 측정센서
17: 염도 측정센서 19: 탈염유닛

Claims (9)

  1. 선박 내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에서 있어서,
    상기 오염수를 회수하여 저장하는 홀딩탱크;
    상기 홀딩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오염수에서 오일 및 머드 상태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분리하는 처리유닛;
    상기 처리유닛을 통과한 물에 잔류오일이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오일 측정센서; 및
    상기 오일 측정센서에서 설정치 이상의 값이 검출되면 상기 처리유닛을 통과한 물을 다시 상기 홀딩탱크로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개폐되는 3웨이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유닛을 통과한 물은 재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홀딩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오염수로부터 물, 폐오일 및 머드상태의 오염물질로 분리하는 3상 분리기, 상기 분리된 폐오일을 저장하는 폐오일 저장탱크 및 상기 분리된 머드 상태의 오염물질을 저장하는 머드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을 위하여 상기 3웨이밸브와 상기 홀딩탱크는 리턴배관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 측정센서를 통과한 물에 잔류염분이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염도 측정센서와, 상기 염도 측정센서에서 설정치 이상의 값이 검출되면 상기 오일 측정센서를 통과한 물을 염분을 제거할 수 있는 탈염유닛으로 보낼 수 있도록 개폐되는 3웨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5. 선박 내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에서 있어서,
    상기 오염수를 회수하여 저장하는 홀딩탱크;
    상기 홀딩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오염수에서 오일 및 입자상태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분리하는 처리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유닛을 통과한 물은 재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홀딩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오염수로부터 물, 폐오일 및 입자상태의 오염물질로 분리하는 3상 분리기, 상기 분리된 폐오일을 저장하는 폐오일 저장탱크 및 상기 분리된 입자상태의 오염물질을 저장하는 입자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처리유닛을 통과한 물에 잔류오일이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오일 측정센서와, 상기 오일 측정센서에서 설정치 이상의 값이 검출되면 상기 처리유닛을 통과한 물을 다시 상기 홀딩탱크로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개폐되는 3웨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을 위하여 상기 3웨이밸브와 상기 홀딩탱크는 리턴배관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오일 측정센서를 통과한 물에 잔류염분이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염도 측정센서와, 상기 염도 측정센서에서 설정치 이상의 값이 검출되면 상기 오일 측정센서를 통과한 물을 염분을 제거할 수 있는 탈염유닛으로 보낼 수 있도록 개폐되는 3웨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KR1020100084158A 2010-08-30 2010-08-30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KR101722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158A KR101722590B1 (ko) 2010-08-30 2010-08-30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158A KR101722590B1 (ko) 2010-08-30 2010-08-30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506A true KR20120020506A (ko) 2012-03-08
KR101722590B1 KR101722590B1 (ko) 2017-04-03

Family

ID=4612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158A KR101722590B1 (ko) 2010-08-30 2010-08-30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5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85B1 (ko) * 2012-04-02 2014-04-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설비용 화학물질 분리 배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80646B1 (ko) * 2012-12-26 2014-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수분리시스템 및 유수분리방법
KR20160030769A (ko) * 2014-09-11 2016-03-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모형시험 수조
WO2019106708A1 (en) * 2017-11-28 2019-06-06 Chiyoda Corporatio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fpso
KR102457227B1 (ko) * 2022-08-26 2022-10-20 주식회사 에코에이블 반도체 생산설비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650B1 (ko) * 2013-07-05 2019-12-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슬러지 탱크 내 빌지 자동 제거 장치
KR102051000B1 (ko) * 2018-06-25 2019-12-03 박태원 패키지화된 환경오염방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8136A (ja) * 1995-05-25 1996-12-03 Sumitomo Heavy Ind Ltd 海水の淡水化及び製塩法
KR200186375Y1 (ko) * 2000-01-25 2000-06-15 오승원 활동용 안경
JP2006104233A (ja) * 2004-09-30 2006-04-20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廃油の処理方法
KR20090089351A (ko) * 2007-03-13 2009-08-21 시엔 간 선박용 유수 자동 분리 및 회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8136A (ja) * 1995-05-25 1996-12-03 Sumitomo Heavy Ind Ltd 海水の淡水化及び製塩法
KR200186375Y1 (ko) * 2000-01-25 2000-06-15 오승원 활동용 안경
JP2006104233A (ja) * 2004-09-30 2006-04-20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廃油の処理方法
KR20090089351A (ko) * 2007-03-13 2009-08-21 시엔 간 선박용 유수 자동 분리 및 회수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85B1 (ko) * 2012-04-02 2014-04-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설비용 화학물질 분리 배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80646B1 (ko) * 2012-12-26 2014-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수분리시스템 및 유수분리방법
KR20160030769A (ko) * 2014-09-11 2016-03-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모형시험 수조
WO2019106708A1 (en) * 2017-11-28 2019-06-06 Chiyoda Corporatio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fpso
CN111183117A (zh) * 2017-11-28 2020-05-19 千代田化工建设株式会社 用于fpso的废水处理系统
KR102457227B1 (ko) * 2022-08-26 2022-10-20 주식회사 에코에이블 반도체 생산설비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590B1 (ko) 201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0506A (ko)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US8025795B2 (en)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US3565252A (en) Oil water separation system for tankers
KR101096538B1 (ko) 선박용 유수 자동 분리 및 회수 시스템
CA2921434C (en) System for separating contaminants from fluids
CA2664182A1 (en) Water treatment plant
WO2002036233A3 (en) Removing oil from water, monitoring of adsorbent saturation
US8864985B2 (en) Oil decanting system
US8394265B2 (en) Visual bilgewater quality indicator
KR101036621B1 (ko) 드레인 처리 장치
JP2015139771A (ja) 逆浸透膜へのケミカルファウリング防止システム及び方法
CN103319026A (zh) 一种用于船舶洗涤脱硫系统废液的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KR101511949B1 (ko) 해상 유출유류의 오염방지를 위한 유류 처리장치
JP4243603B2 (ja) 含油廃水処理船
US20180222566A1 (en)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KR20110097713A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US8314157B2 (en) Microwave-enhanced process to treat marine emulsion wastes
KR102025388B1 (ko)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
KR102003401B1 (ko)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WO2017078445A1 (ko) 선박의 평형수 자동관리장치와 그 작동방법
KR101867022B1 (ko) 선박용 제로 디스차지 시스템
JP2007237939A (ja) 廃水処理船
KR20150028503A (ko) 유류제거장치 및 유류제거방법
KR200479288Y1 (ko) 드릴쉽의 드레인 워터 재생 시스템
KR100469950B1 (ko) 빌지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