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388B1 -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388B1
KR102025388B1 KR1020180119772A KR20180119772A KR102025388B1 KR 102025388 B1 KR102025388 B1 KR 102025388B1 KR 1020180119772 A KR1020180119772 A KR 1020180119772A KR 20180119772 A KR20180119772 A KR 20180119772A KR 102025388 B1 KR102025388 B1 KR 102025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outlet
valve
filtration
bottom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19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선체에 유입되는 해수와 기관실 내의 기름을 포함한 오염물질이 혼합되는 선저 폐수 중 기름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은
선저 폐수가 저장되고, 펌프를 포함하는 저장용기;
상단에 캡이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펌프에 배출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선저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상기 선저 폐수 중 기름이 여과된 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필터박스;
상기 필터박스 내부에 교체가능하게 일단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저 폐수 중 기름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를 받쳐지지하고 기름이 여과된 해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천공되는 타공판을 포함하는 여과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a bilge processing system using filter}
본 명세서는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체에 유입되는 해수와 기관실, 조타실 내의 기름을 포함한 오염물질이 혼합되는 선저 폐수 중 기름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선체 후미에 스크류가 구비되어, 스크류가 엔진에 의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선체의 추진력을 발생시키고, 엔진과 스크류는 샤프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즉, 샤프트는 선체의 후미를 관통하여 스크류와 연결되며, 샤프트는 엔진에 의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선체의 후단에서 샤프트 및 샤프트가 관통하는 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술한 간극을 통해 선체 내부로 일정량의 해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선체 내부로 유입된 해수는 기관실, 조타실 내에서 기름과 같은 여러 오염물질과 혼합되어 선저 폐수(bilge)를 발생시키게 되며, 선저 폐수는 기관실, 조타실의 부식을 초래할 뿐 아니라 선저 폐수를 바다로 배출시킬 경우 해양 오염의 주 원인으로 지적된다.
한편, 선저 폐수를 정화시켜 배출시키는 방식은 그 정화율에 한계가 있고, 정화장치를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발생되며, 소형 선박을 운영하는 영세어민의 경우 정화장치를 마련하는데 소요되는 경제적 부담과 작업의 복잡함으로 인해 선저 폐수를 정화시키지 않고 몰래 방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선저 폐수로부터 선박을 보호하는 동시에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저 폐수를 정화시키는 방식 대신에 선박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킴에 따라 선저 폐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70129호에 선박용 선저 폐수 발생방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이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선저 폐수 중 기름을 여과시키는 여과필터를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도록 한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선저 폐수 중 기름을 여과하는 시스템을 경량화 및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한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유수분리기용 여과필터(유흡착제, 부직포 등)를 사용하고, 기름 제거율을 극대화시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과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저 폐수가 저장되고, 펌프를 포함하는 저장용기;
상단에 캡이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펌프에 배출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선저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상기 선저 폐수 중 기름이 여과된 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필터박스;
상기 필터박스 내부에 교체가능하게 일단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저 폐수 중 기름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를 받쳐지지하고 기름이 여과된 해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천공되는 타공판을 포함하는 여과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선저 폐수 중 기름을 여과시키는 여과필터를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고, 여과시스템을 경량화 및 소형화시킴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수분리기용 여과필터를 사용하고 기름 제거율을 극대화시킴에 따라 실용성 및 효율성을 갖게 된다.
또한, 여과시스템의 구조 간단화로 인해 경제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에서, 필터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에서, 필터박스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에서, 필터박스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에 의해 선저 폐수를 여과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6(a,b)은 도 1에 도시된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에서, 저장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선저 폐수를 필터박스 또는 보조 저장용기에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의 변형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은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선저 폐수(bilge)가 저장되고, 펌프(10)(수중펌프를 말함)를 포함하는 저장용기(11);
상단에 캡(35)이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펌프(10)에 배출호스(12)를 통해 연결되어 선저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3)와, 유입된 선저 폐수 중 기름이 여과(filtering)된 해수를 해양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4)가 형성되는 필터박스(15)(일 예로서, 사각형태로 형성되고 이로 한정되지 않음);
필터박스(15) 내부에 교체가능하게 일단 이상으로 형성되고, 선저 폐수를 기름과 해수로 분리시켜 기름을 여과하기 위한 1장 이상의 여과필터(16)와, 여과필터(16)를 받쳐지지하고 기름이 여과된 해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17)이 천공되는 타공판(18)을 포함하는 여과장치(19);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여과장치(19)는
여과필터(16)의 가장자리에 안착되고, 여과필터(16)와 필터박스(15) 내측면사이의 틈새를 통해 선저 폐수가 여과되지않고 곧바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용 오링(20);을 더 구비한다.
전술한 배출호스(12) 중간측에 설치되고, 유입구(21)를 통해 밸브하우징(22)에 유입되는 선저 폐수를 필터박스(15)로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23)와, 유입구(21)를 통해 밸브하우징(22)에 유입되는 선저 폐수를 바이패스(by-pass)시키기 위한 제2배출구(24)로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삼방밸브(25);
제2배출구(24)에 연결되고, 제2배출구(24)를 통해 바이패스되는 선저 폐수를 저장하기 위한 보조 저장용기(26);를 더 구비한다.
전술한 캡(35)에 형성되고, 필터박스(15)로부터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제1밸브(27);를 더 구비한다.
전술한 여과장치(19)가 필터박스(15)에 2단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부에 형성되는 제1여과필터(16a)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밸브(36)를 구비하되, 제1여과필터(16a)를 통과하여 제2밸브(36)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 관찰에 의해 제1여과필터(16a)의 교체시기 또는 파손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여과필터(16a) 밑으로 형성되는 제2여과필터(16b)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3밸브(37)를 구비하되, 제2여과필터(16b)를 통과하여 제3밸브(37)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 관찰에 의해 제2여과필터(16b)의 교체시기 또는 파손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배출구(14)에 형성되는 제4밸브(38)를 구비하되, 제2여과필터(16b)를 통과하여 제3밸브(37)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 관찰에 의해 외부(해양)로 배출가능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배출구(14)를 폐쇄시키게 된다.
즉, 제3밸브(37)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 ppm이 설정된 기준치(일 예로서, 15ppm을 말함) 이하인 경우 해수를 해양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14)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장치(19)에 의해 여과되어 배출되는 해수 PPM이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빌지알람(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여과필터(16)는 유흡착제 또는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34는 필터박스(15)를 받쳐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선박의 기관실(A) 또는 조타실 등으로부터 흡입되는 선저 폐수(bilge)를 저장용기(11)에 수용하게 된다.
이때, 캡(35)에 형성된 제1밸브(27)를 통해 내부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저장용기(11)에 채워지는 선저 폐수에 기포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장용기(11)에 수용된 기름을 포함하는 선저 폐수는 펌프(10)의 펌핑에 의해 배출호스(12) 및 삼방밸브(25)를 통해 필터박스(15)에 유입된다.
이때, 저장용기(11)에 수용된 선저 폐수의 기름 ppm이 과다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저장용기(11)의 선저 폐수를 배출호스(12)를 통해 필터박스(15)로 이송시키지 않고, 삼방밸브(25)의 핸들(미 도시됨) 조작에 의해 보조 저장용기(26)로 바이패스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저장용기(11)에 수용된 펌프(10)의 일측에는 오일 레벨 디텍터(OLD)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오일 레벨 디텍터는 저장용기(11)에 포함된 오일의 양을 측정하여 일정 농도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삼방밸브(25)를 조작하여 보조 저장용기(26)로 바이패스시킴으로써 필터의 오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선저 폐수는 펌프(10)와 삼방밸브(25) 사이의 제1관로(12a) 및 유입구(21)를 통과하여 삼방밸브(25)의 밸브하우징(22)에 유입된 후, 삼방밸브(25)와 보조 저장용기(26) 사이의 제3관로(12c)를 따라 바이패스되어 보조 저장용기(26)에 곧바로 이송된다.
이때, 삼방밸브(25)와 필터박스(15) 사이의 제2관로(12b)는 삼방밸브(25)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한편, 핸들 조작시 볼밸브(미 도시됨)의 구동에 의해 제1관로(12a) 및 제2관로(12b)를 서로 연통시키거나, 또는 제1관로(12a)와 제3관로(12c)를 서로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삼방밸브(25)는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삼방밸브(25) 뿐만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솔레노이드밸브(3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필터의 오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오일 레벨 디텍터가 저장용기(11)에 포함된 오일의 양이 일정 농도 이상으로 측정되면 솔레노이드밸브(33)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보조 저장용기(26)로 향하는 통로를 개방하여 필터를 보호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10)에 의해 토출되는 선저 폐수가 배출호스(12) 및 유입구(13)를 통해 필터박스(15)에 유입될 경우(이때, 삼방밸브(25)와 보조 저장용기(26) 사이의 제3관로(12c)는 삼방밸브(25)의 볼밸브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내부의 여과장치(19)에 의해 선저 폐수를 기름과 해수로 분리하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유입구(13)를 통해 필터박스(15)에 유입된 선저 폐수는 내부에 상,하 2단으로 형성된 여과장치(19)를 차례로 통과함에 따라 선저 폐수 중에 포함된 기름을 여과할 수 있게 된다.
즉, 선저 폐수 중에 포함된 기름은 여과장치(19)의 유흡착제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여과필터(16)에 의해 여과하게 된다. 이로 인해 여과필터(16)에 의해 기름이 여과된 해수는 여과필터(16)를 통과한 후, 여과필터(16)를 지지하는 타공판(18)에 천공된 관통공(17)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유입구(13)를 통해 필터박스(15)에 유입된 선저 폐수 중의 기름을 여과장치(19)의 여과필터(16)에 의해 여과시킬 경우, 여과필터(16) 가장자리에 안착된 씰링용 오링(20)에 의해 여과필터(16)와 필터박스(15) 내측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선저 폐수가 곧바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선저 폐수 중의 기름을 여과하는 여과필터(16)의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선저 폐수 중의 기름을 여과하는 유흡착제,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여과필터(16)는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필터박스(15)에 유입된 선저 폐수 중의 기름을 여과장치(19)에 의해 여과시킨 해수는 필터박스(15)의 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필터박스(15)에 유입된 선저 폐수 중 여과장치(19)에 의해 기름을 여과시킨 해수를 배출구(14)를 통해 외부(해양을 말함)로 배출시킬 경우, 배출되는 해수 ppm이 설정값 이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 ppm이 기준치(일 예로서, 15ppm을 말함) 이하일 경우에는 배출구(14)를 통해 해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필터박스(15)에 상,하로 설치된 제1,2여과필터(16a,16b) 중, 상측 제1여과필터(16a) 하측에 설치된 제2밸브(36)를 개방시킬 경우, 제2밸브(36)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 관찰에 의해 제1여과필터(16a)의 교체시기 또는 파손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여과필터(16a) 밑으로 설치된 제2여과필터(16b)의 하측에 설치된 제3밸브(37)를 개방시킬 경우, 제3밸브(37)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 관찰에 의해 제2여과필터(16b)의 교체시기 또는 파손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배출구(14)에 형성된 제4밸브(38)를 닫아 배출구(14)를 폐쇄시킨 후, 제2여과필터(16b)를 통과하여 제3밸브(37)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 관찰에 의해 외부(해양)로 배출가능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여과필터(16b)를 통과하는 해수 중 기름이 기준값으로 이상으로 포함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1여과필터(16a) 또는 제2여과필터(16b)의 파손 여부 또는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 ppm을 빌지알람(39)에 의해 검출하되, 검출된 해수 ppm이 기준치(일 예로서, 15ppm을 말함) 이하일 경우에 배출구(14)를 통해 해수를 배출시키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와 반면에, 빌지알람(39)에 의해 검출된 해수 ppm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고수단(일 예로서, 부저 또는 LED 등을 말함)에 의해 선박의 기관실, 조타실 등의 관리자에게 검출값을 알림에 따라 관리자가 적절한 조치(일 예로서, 여과필터(16) 또는 타공판(18)의 관통공(17) 막힘상태 등을 확인하는 작업을 말함)를 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경고수단을 단순히 시각적으로 알리거나 소리로 알리는 수단 뿐만 아니라,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관리자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자발적으로 필터를 교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제1여과필터(16a) 또는 제2여과필터(16b)의 기능이 떨어진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필터박스(15)로부터 캡(35)을 분리시킨 후 제1,2여과필터(16a,16b)를 교체하거나, 또는 타공판(18)을 물로써 세척하여 재 사용할 수 있다.
도 6(a,b)은 도 1에 도시된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에서, 저장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선저 폐수를 필터박스 또는 보조 저장용기에 배출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의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호스(12) 중간측에 설치되고, 유입구(28)를 통해 밸브하우징(29)에 유입되는 선저 폐수를 필터박스(15)로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30)와, 유입구(28)를 통해 밸브하우징(29)에 유입되는 선저 폐수를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제2배출구(31)와, 외부로부터 전기적 제어신호 인가에 따라 절환시 제1배출구(30)와 제2배출구(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플런저(32)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밸브(33);
제2배출구(31)에 연결되고, 제2배출구(31)를 통해 바이패스되는 선저 폐수를 저장하기 위한 보조 저장용기(26);를 더 구비한다.
도 6(a)에서와 같이, 저장용기(11)로부터 펌프(10)에 의해 토출되는 선저 폐수는 배출호스(12)를 따라 솔레노이드밸브(33)의 유입구(28)를 통해 밸브하우징(29)에 유입된다. 이때 내부의 플런저(32)에 의해 제1배출구(30)는 개방시키고 제2배출구(31)는 닫힌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유입구(28)를 통해 밸브하우징(29)에 유입된 선저 폐수는 제1배출구(30)를 통해 필터박스(15)로 이송된다.
도 6(b)에서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33)의 플런저(32)가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절환된다(이때 플런저(3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6)는 압축력을 받게 된다). 즉 플런저(32) 절환에 의해 제2배출구(31)는 개방시키고 제1배출구(30)는 닫힌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유입구(28)를 통해 밸브하우징(29)에 유입된 선저 폐수는 제2배출구(31)를 통해 보조 저장용기(26)로 이송된다.
이때, 외부로부터 전기적신호 인가에 따라 플런저(32)가 절환되어 제1배출구(30)와 제2배출구(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33)는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저장용기(11)에서 펌프(10)에 결합된 오일 레벨 디텍터가 저장용기(11)에 포함된 오일의 양을 측정하고, 설정된 기준 이상의 농도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오일 레벨 디텍터가 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밸브(33)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제1배출구(30)가 닫히고 제2배출구(31)를 개방시켜 보조 저장용기(26)로 이송시킴으로써, 여과필터(16)가 오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터박스(15)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펌프
10a; 오일 레벨 디텍터
11; 저장용기
12; 배출호스
13; 유입구
14; 배출구
15; 필터박스
16; 여과필터
17; 관통공
18; 타공판
19; 여과장치
20; 씰링용 오링
21; 유입구
22; 밸브하우징
23; 제1배출구
24; 제2배출구
25; 삼방밸브
26; 보조 저장용기
27; 제1밸브
28; 유입구
29; 밸브하우징
30; 제1배출구
31; 제2배출구
32; 플런저(plunger)
33; 솔레노이드밸브
34; 받침대
35; 캡
36; 제2밸브
37; 제3밸브
38; 제4밸브
39; 빌지 알람

Claims (8)

  1. 선저 폐수가 저장되고, 펌프를 포함하는 저장용기;
    배출호스 중간측에 설치되고, 유입구를 통해 밸브하우징에 유입되는 선저 폐수를 필터박스로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밸브하우징에 유입되는 선저 폐수를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제2배출구로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밸브수단;
    상기 제2배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바이패스되는 선저 폐수를 저장하기 위한 보조 저장용기;
    상단에 캡이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펌프에 배출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선저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상기 선저 폐수 중 기름이 여과된 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필터박스;
    상기 필터박스 내부에 교체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선저 폐수 중 기름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를 받쳐지지하고 기름이 여과된 해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천공되는 타공판과 상기 여과필터의 가장자리에 안착되고, 상기 여과필터와 필터박스 내측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선저 폐수가 여과되지않고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용 오링으로 구성된 여과장치;를 구비하는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필터박스의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제1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장치에는 상기 여과필터가 2단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형성되는 제1여과필터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제1여과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제2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 관찰에 의해 상기 제1여과필터의 교체시기 또는 파손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제1여과필터 밑으로 형성되는 제2여과필터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3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제2여과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제3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 관찰에 의해 상기 제2여과필터의 교체시기 또는 파손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에는 제4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제2여과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제3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 관찰에 의해 외부(해양)로 배출가능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장치에 의해 여과되어 배출되는 해수 PPM이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빌지알람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는 유흡착제 또는 부직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외부로부터 전기적 제어신호 인가에 따라 절환시 상기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플런저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
KR1020180119772A 2018-10-08 2018-10-08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 KR102025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772A KR102025388B1 (ko) 2018-10-08 2018-10-08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772A KR102025388B1 (ko) 2018-10-08 2018-10-08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388B1 true KR102025388B1 (ko) 2019-11-04

Family

ID=6857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772A KR102025388B1 (ko) 2018-10-08 2018-10-08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186B1 (ko) * 2021-10-08 2022-05-25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오염수 긴급방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496A (ko) * 2003-08-14 2005-02-23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간이정수처리시스템
KR100943423B1 (ko) * 2009-10-15 2010-02-19 주식회사유진케임텍 다용도 여과기
KR20150076521A (ko) * 2013-12-27 2015-07-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천연가스 수은제거용 필터링 부재 교체 시기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496A (ko) * 2003-08-14 2005-02-23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간이정수처리시스템
KR100943423B1 (ko) * 2009-10-15 2010-02-19 주식회사유진케임텍 다용도 여과기
KR20150076521A (ko) * 2013-12-27 2015-07-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천연가스 수은제거용 필터링 부재 교체 시기 측정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186B1 (ko) * 2021-10-08 2022-05-25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오염수 긴급방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8440B2 (ja) 水浄化装置
KR101495387B1 (ko)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KR100856188B1 (ko) 휴대용 정수기
US5372722A (en) Oil separator with integrated microfiltration device
KR20070011407A (ko)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제조 방법, 선박용 밸러스트수 제조장치 및 그의 용도
US6056881A (en) Bilge water cleaning device
KR102025388B1 (ko)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
KR20120020506A (ko)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KR101511949B1 (ko) 해상 유출유류의 오염방지를 위한 유류 처리장치
KR20110097713A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CN203090567U (zh) 自动止逆高压反冲洗过滤装置
JP2014161810A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EP0739858A2 (en) Liquid separator and polishing filter thereof
US5908549A (en) Filtration and regeneration system
JP2014094337A (ja) 浄水器
KR20160115576A (ko) 농축수를 이용하여 압력탱크의 정수수를 토출시키는 정수기
JP2021030176A (ja) 船体搭載用濾過装置
US6572762B2 (en) Supplemental bilge filtration system
JPH0550060A (ja) 含油水処理装置
KR102407366B1 (ko) 선체 청소 시스템
WO2022085582A1 (ja) 浮遊汚染物質回収装置及び浮遊汚染物質回収システム
JP2007125479A (ja) 濾過装置
KR102168831B1 (ko) 폐액 자동배출 여과장치
CN200991600Y (zh) 全自动破乳型油水分离装置
KR970020955A (ko) 정수기용 정수물탱크의 자동수 교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