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387B1 -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387B1
KR101495387B1 KR1020107012011A KR20107012011A KR101495387B1 KR 101495387 B1 KR101495387 B1 KR 101495387B1 KR 1020107012011 A KR1020107012011 A KR 1020107012011A KR 20107012011 A KR20107012011 A KR 20107012011A KR 101495387 B1 KR101495387 B1 KR 101495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llast
ballast water
sampling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487A (ko
Inventor
카츄미 요시다
케이 쿠시로
히데유키 야마모토
타쿠오 오무라
료우이치 미야나베
이주미 오니쉬
수지 우에끼
케니치 혼다
Original Assignee
쉽 앤 오션 파운데이션
가부시키가이샤 수이켄카가쿠콘사루탄토
엠코 인코퍼레이티드.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쉽 앤 오션 파운데이션, 가부시키가이샤 수이켄카가쿠콘사루탄토, 엠코 인코퍼레이티드.,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쉽 앤 오션 파운데이션
Publication of KR20100103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4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sludge, e.g. tank washing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큰 저장탱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용이하면서 연속하여 밸러스트수를 채취하여, 밸러스트수 중에 포함되는 수생생물을 산 채로 샘플링할 수 있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및 샘플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밸러스트수의 일부를 연속하여 채취하는 샘플링 노즐과, 채취된 밸러스트수에 포함되는 수생생물을 농축하는 샘플링 장치(143)를 구비하고, 샘플링 장치(143)는, 저수 용기(300)와, 저수 용기(300) 내를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여포(303)와, 샘플링 노즐로부터 채취된 밸러스트수를 여포(303)의 내측에 공급하는 공급구(308b)와, 여포(303)의 외측으로부터 저수 용기(300) 내의 저장수를 배수하는 배수구(313)와, 저장수가 배수되었을 때에 여포(303)의 내측에 잔류하는 수생생물을 포함한 물을 저장시키는 저장부(304)와, 저장부(304)에 저장된 물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307)를 가진다.

Description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SAMPLING SYSTEM FOR BALLAST WATER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선내에 끌어들인 밸러스트수가 기준을 만족한 것인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서 밸러스트수를 연속하여 샘플링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유나 컨테이너 등을 수송하는 화물용 선박에는 항행 시의 선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밸러스트 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원유 등이 적재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밸러스트 탱크 내를 밸러스트수로 채워 원유나 컨테이너 등을 실을 때에 밸러스트수를 배출함으로써 선체의 부력을 조정해 선체를 안정화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밸러스트수는 선박의 안전한 항행을 위해 필요한 물로서, 통상적으로 하역을 실시하는 항만의 해수가 이용된다. 그 양은 세계적으로 보면 연간 30~40억톤으로 추계되고 있다.
그런데, 밸러스트수 중에는 그것을 취수한 항만에 생식하는 수생생물(미생물이나 세균류를 포함)이 혼입되어 있어 선박의 이동에 따라 이런 수생생물이 동시에 이국으로 옮겨지게 된다.
따라서, 원래 그 해역에는 생식하고 있지 않았던 생물종이 기존 생물종을 대신한다고 하는 생태계의 파괴가 심각화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국제해사기관(IMO)의 외교회의에서 선박의 밸러스트수 및 침전물의 규제 및 관리를 위한 조약이 채택되어 밸러스트수 관리의 실시 의무가 2009년 이후의 건조선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때문에, 선박으로부터는 상기 조약을 만족하는 깨끗한 밸러스트수를 배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플랑크톤 등 미생물을 포함한 물을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는 밸러스트수에 오존 가스를 주입하여 밸러스트수 중의 미생물을 살균 혹은 제균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또, 수생생물이 포함된 물을 고압 펌프에 의해 슬릿판에 통과시켜 수생생물을 기계적으로 파괴해 살멸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특개 2004-160437호 공보 특허 문헌 2 : 특개 2003-200156호 공보 특허 문헌 3 : 특개 평 9-192680호 공보 특허 문헌 4 : 특개 2003-326275호 공보
선박으로부터 배수되는 밸러스트수가 상기의 기준을 만족하는 것인지 여부는, 밸러스트수의 일부를 샘플수로서 취출해 검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경우, 밸러스트수 중에 포함되는 수생생물의 생식수(數)를 산출하기 위해서, 샘플수는 한 번에 최대로 3m3채취할 필요가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 3m3의 용량을 가지는 큰 저장탱크를 선박 내에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선박 내에 3m3의 용량을 가지는 큰 저장탱크를 설치하는 공간을 새롭게 확보하는 것은, 특히 기존의 선박에 있어서는 아주 곤란하다.
또한, 크면서 복수 실로 분할되어 있는 밸러스트 탱크 내로부터 밸러스트수를 직접 채취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기도 하다.
또, 수생생물의 생식수의 검사는, 샘플수를 현미경 관찰하여, 그 샘플수 중에 서식하고 있는 수생생물을 확인하면서 실시한다고 하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된다. 때문에, 밸러스트수의 검사와 같이 샘플수량(水量)이 방대해지면, 우선, 대량의 밸러스트수로부터 수생생물을 농축하는 작업부터 시작해야 하며 작업시간도 장시간에 이르게 된다. 그 사이, 선박은 밸러스트수의 배수를 실시할 수 없고, 적하 작업도 출항도 할 수 없는 상황이 계속되기 때문에, 선박 회사에 있어서는 큰 손실이다. 따라서, 밸러스트수의 검사는 단시간에 끝마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된다.
그러나, 현미경검사에는, 수생생물을 밸러스트수로부터 산 채로 농축해야 하며, 이 농축 작업에 지극히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여, 밸러스트수의 검사를 단시간에 끝마치는 것은 매우 곤란해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큰 저장탱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용이하면서 연속하여 밸러스트수를 채취해, 밸러스트수 중에 포함되는 수생생물을 산 채로 샘플링할 수 있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및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이하의 기재에 의해 분명해진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각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은, 선박 밸러스트수에 포함되는 수생생물을 검사하기 위해서 상기 밸러스트수를 샘플링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으로서, 밸러스트 탱크에 밸러스트수를 주수(注水)하는 주수 라인 및/또는 밸러스트 탱크 내의 밸러스트수를 선박 외로 배수하는 배수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주수 라인 및/또는 상기 배수 라인으로부터 밸러스트수의 일부를 연속하여 채취하는 샘플링 노즐과, 상기 샘플링 노즐로부터 채취된 밸러스트수에 포함되는 수생생물을 농축하는 샘플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샘플링 장치는, 내부에 저장수가 일정 수량(水量)이 되도록 조정 가능하게 저장되는 저수 용기와, 상단 개구 및 하단 개구를 가지고,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저장수 중에 상기 상단 개구가 노출하도록 침지되며, 상기 저수 용기 내를 외측과 내측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여포와, 상기 샘플링 노즐로부터 채취된 밸러스트수를 상기 여포의 상기 상단 개구의 내측에 공급하는 공급구와,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상기 여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저장수를 배수하는 배수구와,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상기 여포의 하단 개구에 연속 설치 되어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저장수가 상기 배수구로부터 배수되었을 때에 상기 여포의 내측에 잔류하는 수생생물을 포함한 물을 일단 저장시키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수생생물을 포함한 물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수 용기로부터 배수된 저장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드레인 탱크와, 상기 드레인 탱크 내의 저장수를 상기 주수 라인 또는 상기 배수 라인에 연속하여 배수하는 배수 펌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급구는, 상기 여포의 내측에 밸러스트수를 공급할 때 및/또는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저장수를 배수할 때에 상기 여포의 내주를 따르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노즐의 선단에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샘플링 장치는,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상기 여포의 외측에 상기 여포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수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여포의 내측에 부착하는 수생생물을 박리시키는 수류 발생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샘플링 장치에 공급되는 밸러스트수의 유로를 개폐하는 샘플링 밸브와, 상기 샘플링 장치에 공급되는 밸러스트수의 공급량을 계측하는 유량계와, 상기 유량계의 계측 결과에 근거해, 상기 샘플링 밸브을 개폐 제어하는 제 1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 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상기 유량계의 계측 결과에 근거해, 상기 샘플링 밸브를 폐쇄 제어한 후, 상기 배수 밸브를 개방 제어해,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저장수를 상기 배수구로부터 배수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밸러스트 탱크는 복수 설치되며, 상기 각 밸러스트 탱크의 상기 주수 라인 및/또는 상기 배수 라인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 밸브와, 정보를 가시화하는 가시화 수단과,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에 대해서 하나의 탱크씩 밸러스트수를 주수 또는 배수하도록 상기 개폐 밸브를 개폐 제어함과 동시에, 주수 또는 배수를 실시하고 있는 밸러스트 탱크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샘플링 노즐에 의해 밸러스트수를 채취할 때에, 상기 주수 또는 배수를 행하고 있는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샘플링 노즐에 의해 채취된 밸러스트수를 1대 1로 대응시켜 그 결과를 상기 가시화 수단에 출력하는 제 2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시화 수단은,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모니터 및/또는 정보를 인쇄하는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큰 저장탱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용이하면서 연속하여 밸러스트수를 채취하고, 밸러스트수 중에 포함되는 수생생물을 산 채로 샘플링할 수 있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및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을 설치한 선박의 주요부의 개략 평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도 2 중의 A부 확대도.
도 4는 샘플링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여포의 메시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샘플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샘플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샘플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샘플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저수 용기 내의 저수량을 항상 일정 수량(水量)으로 조정하기 위한 수단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사용해 설명한다.
도 1은, 기설치된 밸러스트수계 배관에 선박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을 설치한 밸러스트수계 배관의 개략 평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여기서, 선박으로서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컨테이너 선(船)을 예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은 선체, 2는 선체(1)의 뱃머리 부근에 배설된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이다.
각 밸러스트 탱크(2)에는, 배 바닥부 부근에 설치된 시 체스트(3)로부터,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에 의해 밸러스트수가 끌어들여진다. 본 발명에서 처리 대상으로 되는 밸러스트수는, 예를 들면 해수, 담수 등이 사용되며, 이러한 밸러스트수에는, 동물 플랑크톤, 식물 플랑크톤 등 수생생물, 미생물이나 세균류 등(이하, 이들을 단지 '수생생물'이라고 한다.)이 포함되어 있다. 밸러스트 펌프(4)는, 시 체스트(3)로부터 선체(1) 내에 밸러스트수를 끌어들이는 취수관(5)에 설치되어 있고, 그 취수관(5)의 1차측(밸러스트 펌프(4)의 입구측)의 부분(5')에는 스트레이너(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트레이너(6)는, 밸러스트 펌프(4)에 유입하는 밸러스트수 중의 비교적 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5~10mmΦ, 바람직하게는 8mmΦ의 구멍이, 5~15mm피치, 바람직하게는 11mm피치로 열려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참조부호 7은 선체(1)를 횡단하도록 배설된 배관이며, 양단이 선체(1)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된 배수구(8, 8')에 접속되어 있다. 취수관(5)의 밸러스트 펌프(4)의 2차측(출구측)의 부분(5'')은, 이 배관(7)의 중도부에 접속되어 있다.
참조부호 9는 상기 배관(7)과 각 밸러스트 탱크(2) 사이에 설치되어 밸러스트수를 각 밸러스트 탱크(2)에 주수 함과 동시에 밸러스트수를 각 밸러스트 탱크(2)로부터 배수하는 주배관이며, 그 일단은 상기 배관(7)의 중도부에 접속되어 있다. 그 타단에는, 각 밸러스트 탱크(2)의 주수 및 배수를 실시할 수 있도록 각 밸러스트 탱크(2) 내에 배설된 주배수 노즐(10)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참조부호 11은 각 밸러스트 탱크(2) 내의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에 의해 선체(1)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바이패스관이며, 취수관(5)의 스트레이너(6)의 2차측(출구측)의 부분(5')으로, 또한 밸러스트 펌프(4)의 1차측(입구측)과 주배관(9) 사이를 접속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한, 참조부호 12a~12g의 구성부품은 개폐 밸브이다.
이러한 밸러스트수계 배관에 의해 각 밸러스트 탱크(2)에 밸러스트수를 주수 하는 경우, 개폐 밸브(12a, 12b, 12e, 12g)를 각각 열린 상태, 개폐 밸브(12c, 12d 12f)를 각각 닫힌 상태로 한 후, 밸러스트 펌프(4)를 운전시켜, 시 체스트(3)로부터 취수관(5)을 통해 밸러스트수를 취수한다. 시 체스트(3)로부터 취수관(5)에 유입한 밸러스트수는, 스트레이너(6)에 의해 큰 쓰레기가 제거된 후, 선체(1)를 횡단하도록 설치된 배관(7)을 통해 주배관(9)에 이송된다. 주배관(9)에 이송된 밸러스트수는, 각 밸러스트 탱크(2) 내에 설치된 주배수 노즐(10)로부터 각 밸러스트 탱크(2) 내에 주수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취수관(5), 배관(7) 및 주배관(9)이, 밸러스트수계 배관에서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2)에 주수하기 위한 주수 라인을 구성한다.
또, 각 밸러스트 탱크(2) 내의 밸러스트수를 배수하는 경우, 개폐 밸브(12b, 12c, 12d, 12g)를 열린 상태, 개폐 밸브(12a, 12e)를 닫힌 상태로 한 후, 밸러스트 펌프(4)를 운전시키면, 각 밸러스트 탱크(2) 내의 밸러스트수는, 주배수 노즐(10)로부터 주배관(9), 바이패스관(11), 취수관(5) 및 밸러스트 펌프(4)를 통해 배관(7)에 유입하여, 선체(1)의 양측부의 배수구(8, 8')로부터 외부에 배수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주배관(9), 바이패스관(11), 취수관(5) 및 배관(7)이, 밸러스트수계 배관에 있어서 밸러스트 탱크(2) 내의 밸러스트수를 선박 외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 라인을 구성한다.
이러한 기설치된 밸러스트수계 배관에는, 밸러스트수의 처리장치(13)가 설치되어 있다.
처리장치(13)는, 이상 설명한 기설치된 밸러스트수계 배관에서의 배관(7) 중, 취수관(5)과의 접속 부위와 주배관(9)과의 접속 부위 사이의 배관부분(7`)에서, 그 중도부로부터 분기하여 밸러스트수를 끌어들이고, 이 밸러스트수 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제거, 살균 혹은 살멸한 후에 다시 배관부분(7`)에 되돌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처리장치(13)에는, 예를 들면, 밸러스트수 중의 비교적 큰 수생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나, 밸러스트수 중에 오존 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소정 농도로 주입함으로써,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오존의 강산화 작용에 의해 살균 혹은 살멸하는 장치나, 밸러스트수를 슬릿 형상의 개구를 가지는 슬릿판에 통과시킴으로써, 통과 시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수생생물을 파괴하는 장치, 오존 주입 후의 미 용해 오존을 제거 및 분해하는 장치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도면 중의 참조부호 13a, 13b, 13c는, 배관(7)과 처리장치(13) 사이에서 밸러스트수의 취수 및 배수를 행하기 위한 개폐 밸브이다.
이러한 처리장치(13)에 의한 밸러스트수의 처리는 밸러스트수를 선박 내에 끌어들일 때에 행해진다. 따라서,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 경우, 개폐 밸브(12a, 12 b, 12e, 12g, 13b, 13c)를 각각 열린 상태, 개폐 밸브(12c, 12d, 12f, 13a)를 각각 닫힌 상태로 한 후, 밸러스트 펌프(4)를 운전시켜, 시 체스트(3)로부터 취수관(5)을 통해 밸러스트수를 취수한다. 시 체스트(3)로부터 취수관(5)에 유입한 밸러스트수는, 스트레이너(6)에 의해 큰 쓰레기가 제거된 후, 배관(7)을 통해 처리장치(13)에 유입하며, 여기서 밸러스트수 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의 제거, 살균 혹은 살멸이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14)은, 이러한 처리장치(13)에 의해 처리된 후의 밸러스트수가 IMO 기준을 만족하는 것인지 여부를 검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샘플링 시스템(14)은, 배관(7)에서의 주배관(9)이 접속되어 있는 부위와 배수구(8`) 사이의 배관부분(7``)으로부터, 선체(1) 외부로 배수되는 밸러스트수를 채취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샘플링 시스템(14)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밸러스트수를 선체(1) 외로 배수할 때, 밸러스트수 중의 유해한 브롬산화물을 포함한 옥시던트를 제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옥시던트를 활성탄에 의해 제거하는 제거장치(15)를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장치(15)에 의해, 처리된 밸러스트수 중에 포함되는 유해한 옥시던트 등 산화성 물질(예를 들면 브롬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거장치(15)는, 배관(7)의 배관부분(7``)의 주배관(9)과의 접속 부위와 샘플링 시스템(1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거장치(15)에는, 예를 들면 활성탄조가 설치되어 있고, 배관(7)을 통해 배수되는 밸러스트수를 끌어들여, 활성탄조를 통과시킨 후, 다시 배관(7)에 반송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거장치(15)는, 샘플링 시스템(14)의 앞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샘플링 시스템(14)과 배수구(8`) 사이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도 2는, 샘플링 시스템(14)의 개요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여기서는 4개의 밸러스트 탱크(2A, 2B, 2C, 2D)만을 나타내고 있다. 그 외, 도 1과 동일 부호는 동일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샘플링 시스템(14)에는, 배관(7) 중 배관부분(7``) 내를 흐르는 밸러스트수의 일부가 채취된다.
도 3은 도 2 중의 A부분 확대도이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부분(7``) 내에는, 샘플링 노즐(141)이 밸러스트수의 흐름방향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관부분(7``) 내의 밸러스트수의 일부(이하, 샘플수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를 등유속 샘플링하여, 채수관(142)을 통해 샘플링 장치(143)에 보내진다. 등유속 샘플링이란, 배관부분(7``) 내를 흐르는 밸러스트수의 유속과 샘플링 노즐(141)에서 채취되는 샘플수의 유속이 등유속이 되도록 샘플링하는 것이다. 이 샘플수의 채취에는, 밸러스트 펌프(4)의 구동에 의한 압력이 사용된다.
샘플링 노즐(141)은, 배관(7) 중 배관부분(7``) 내를 흐르는 밸러스트수의 일부를 연속하여 채취하기 위한 것이며, 일례를 들면, 배관(7)의 내경을 300mm로 했을 경우, 샘플링 노즐(141)의 관경을 예를 들면 25mm로 할 수 있다.
채수관(142)에는, 샘플수의 유량(적산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144)와 채수관(142)의 유로를 개폐하는 샘플링 밸브(145)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계(144)의 계측 결과는, 제어부(100)에 보내진다.
제어부(100)에서는, 이 유량계(144)의 계측 결과로부터, 소정량의 밸러스트수, 예를 들면 3m3의 밸러스트수가 샘플링 장치(143)에 보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샘플링 밸브(145)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제어 수단).
또, 제어부(100)는, 각 밸러스트 탱크(2A~2D)의 주배수를 하나의 탱크씩 실시하도록 개폐 밸브(12g)를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 제어(제 2 제어 수단) 함과 동시에, 배관(7)에 설치된 개폐 밸브(14a)의 개도를 제어한다.
다음에, 샘플링 장치(143)의 상세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참조부호 300은 저수 용기, 참조부호 301은 저수 용기(300)의 상부에 설치된 덮개이다. 저수 용기(300)는, 예를 들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채취 대상이 되는 수생생물을 채취하기 위한 여포(303)가 설치되어 있다.
여포(303)는, 상단 개구(303a)와 하단 개구(303b)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단 개구(303a)로부터 하단 개구(303b)로 감에 따라 앞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는 약 역원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 개구(303a)의 둘레가 저수 용기(300)의 상부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저수 용기(300)의 내부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저수 용기(300)의 내부는, 여포(303) 외측의 공간(300A)과 여포(303) 내측의 공간(300B)으로 구획되어 있다.
여포(303)에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일론 등 수지제의 날실 및 씨실을 교차시켜 망형상으로 직성(織成)되고, 가열에 의해 날실과 씨실의 교차부를 용착시켜 고정함으로써 그물코 엇갈림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포(303)의 메시는, 채취하는 수생생물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지만, 예를 들면 50㎛를 넘는 크기의 수생생물을 채취하는 경우에는, 50㎛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 메시는, 도 5에 나타내듯이, 여포(303)의 날실(303A)과 씨실(303B) 사이에 형성되는 격자의 대각선의 거리(A)에 의해 규정된다.
여포(303)의 하단 개구(303b)에는 저장부(304)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저장부(304)는, 저수 용기(300) 내에서 최종적으로 여포(303)의 내측에 잔류하는 수생생물을 포함한 물(농축수)을 일단 저장시키고, 농축된 수생생물을 수집하는 용기이며,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저수 용기(300)보다 충분히 작은, 예를 들면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장부(304)의 저부에는, 개폐 밸브(306)에 의해 개폐되는 채수관(305)이 접속되어 있고, 개폐 밸브(306)를 개방함으로써, 저장부(304) 내에 저장된 수생생물을 포함한 물(농축수)을, 저수 용기(300) 외부의 수용 용기(307)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용 용기(307)는, 채수관(30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일단에 샘플링 노즐(141)이 설치된 채수관(142)의 타단은, 저수 용기(300)의 측부 상방으로부터 상기 저수 용기(300)의 내부에 이르러, 여포(303)의 상단 개구(303a)의 내측에 걸쳐 배설되어 있다. 이 채수관(142)의 타단에 설치된 노즐(308)은, 여포(303)의 상단 개구(303a)보다 하부의 여포(30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그 단부에 개구하는 공급구(308a)가 여포(303)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굴곡하고 있다. 노즐(308)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 수단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급구(308a)가 여포(303)의 내주를 따라 회전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포(303)의 상단 개구(303a)보다 하부이고, 노즐(308)보다 상방에 액면검출 수단인 액면센서(309)가 설치되어 있고, 여포(303) 내측의 수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액면센서(309)의 검출 신호는, 도 2에 도시한 제어부(100)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채수관(142)의 도중에는, 저수 용기(300)의 외측에 전환 밸브(310)가 설치되며, 상기 전환 밸브(310)로부터 분기관(311)이 분기되어 있다. 분기관(311)은, 저수 용기(300)의 측부 상방으로부터 내부에 배설되며, 그 선단(311a)은 여포(303)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여포(303)의 외측에 저수 용기(300) 내에 채수관(142)으로부터 보내지는 샘플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저수 용기(300) 내에서, 같은 여포(303)의 외측에 오버플로우관(312)이 설치되며, 저수 용기(300)의 저부(300a)를 관통하여 배수관(146)과 접속되어 있다. 오버플로우관(312)은, 저수 용기(300) 내가 일정 이상의 수량이 되었을 경우에 남은 물을 오버플로우시켜 저수 용기(300) 밖으로 배출하여, 저수 용기(300) 내가 항상 일정 수량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며, 그 상단 개구(312a)의 위치에 의해 저수 용기(300) 내의 저장수의 수위를 결정한다. 이 상단 개구(312a)는, 여포(303)의 상단 개구(303a)보다 하부이고, 액면센서(309)보다 하부이며, 여포(303)의 하단 개구(303b)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저수 용기(300) 내의 공간(300A)의 저부(300a)에는 배수구(313)가 형성되어 있고, 배수 밸브(314)를 개방함으로써 내부의 저장수를 배수관(146)에 배수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배수 밸브(314)는, 도 2에 도시한 제어부(100)에 의해 개폐 제어된다.
저수 용기(300) 내부의 여포(303)의 외측에는, 수류 발생기(315)가 배설되어 있다. 수류 발생기(315)는, 저수 용기(300) 내에 물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여포(303)의 외주면을 향해 물을 분사함으로써, 여포(303)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수류를 발생시켜 여포(303)의 내측에 부착하는 수생생물을 박리시키고, 저장부(304) 내로의 저장, 수집을 원활하게 실시하기 위한 보조를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설치된다.
수류 발생기(315)로부터의 물의 분사는, 도시하지 않는 펌프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저수 용기(3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여포(303) 외측의 저장수를 사용해 실시할 수 있다.
수류 발생기(315)는, 여포(303)의 외주에 걸쳐 링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포(303)의 외주에 걸쳐 적당수의 수류 발생기가 소정간격을 두고 분할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수류 발생기(315)는, 저수 용기(300) 내부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러한 샘플링 장치(143)의 작용에 대해, 도 6 내지 도 9를 사용해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밸브(310)의 조작에 의해, 채수관(142)으로부터 분기관(311)에 의해 저수 용기(300) 내의 여포(303) 외측의 공간(300A)에 물을 공급하여 저수 용기(300) 내에 저장수(W1)를 저장해 둔다. 이 저장수(W1)는, 저수 용기(300) 내의 수생생물의 서식 환경을 유지하는 관점으로부터 밸러스트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수 용기(300) 내의 여포(303)의 외측에 공급된 저장수(W1)는, 여포(303)를 통해 상기 여포(303) 내측의 공간(300B)에도 침입한다. 저장수(W1)가 오버플로우관(312)의 상단 개구(312a)를 넘을 경우는, 오버플로우관(312)으로부터 배수됨으로써 일정 수량이 되도록 저수 용기(300) 내에 저장된다.
이 때, 여포(303)의 상단 개구(303a)는, 이 저장 수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저장수(W1)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또, 여포(303) 외측 공간(300A)의 저장수(W1)에 수생생물이 포함되어 있어도, 여포(303)의 내측에는 여포(303)의 메시를 초과하는 크기의 수생생물, 즉 여포(303)에 의해 채취 대상이 되는 크기의 수생생물은 침입하지 않는다.
저수 용기(300) 내에 소정량의 저장수(W1)가 저장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밸브(310)의 조작에 의해, 샘플링 노즐(141)로부터 채수관(142)에 의해 보내지는 샘플수(W2)를, 노즐(308)로부터 여포(303) 내측 공간(300B)에 공급한다. 이때, 노즐(308)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308)의 회전은, 예를 들면 1회/초로 할 수 있다.
노즐(308)로부터 여포(303)의 내측에 샘플수(W2)가 공급됨으로써, 저수 용기(300) 내의 저수량은 증가하지만, 증가분은 오버플로우관(312)으로부터 오버플로우하여 저수 용기(300)의 외부로 배수되어 저수 용기(300) 내는 항상 일정 수량으로 유지된다. 때문에, 저수 용기(300)의 용적에 관계없이, 원하는 대량의 샘플수(W2)를 계속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308)로부터 여포(303)의 내측에 샘플수(W2)를 계속 공급하면, 증가분은 오버플로우관(312)으로부터 오버플로우함으로써, 여포(303)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남은 물이 이동하고, 여포(303) 내에는 상기 여포(303)를 통과할 수 없는 채취 대상이 되는 크기의 수생생물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저수 용기(300) 내에는, 최초에 저장수(W1)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여포(303)의 내측에 공급되는 샘플수(W2) 중에 포함되는 수생생물이 갑자기 여과되어 여포(303)에 압접되는 일이 없고, 수생생물의 생물 개체에 여포(303)에 의한 상처 등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므로, 수생생물이 사멸하지는 않는다.
또, 노즐(308)을 회전시키면서 샘플수(W2)를 공급함으로써 여포(303)의 내측에 선회류를 만들 수 있다. 때문에, 만일 여포(303)의 내주면에 수생생물이 부착하고 있어도, 선회류에 의해 벗겨지면서 샘플수(W2)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여포(303)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어, 효율 좋게 수생생물의 농축을 실시할 수 있다.
만일, 여포(303)나 오버플로우관(312)의 막힘 등의 어떠한 요인에 의해, 여포(303) 내측의 수위가 상승했을 경우는, 액면센서(309)에 의해 검출된다. 이 검출을 트리거로서 도 2에 도시한 제어부(100)가 샘플수(W2)의 공급을 자동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여포(303)의 내측에 공급되는 샘플수(W2)가 여포(303)의 상단 개구(303a)로부터 넘쳐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노즐(308)로부터 여포(303)의 내측에 공급되는 샘플수(W2)의 유량은, 도 2에 나타내는 채수관(142)에 설치된 유량계(144)에 의해 계측되며, 그 계측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부(100)에 의해 샘플링 밸브(145)의 개폐가 제어된다. 때문에, 예를 들면 매 3m3의 수량에 포함되는 수생생물을 계측하는 경우, 이 유량계(144)에 의해 3m3를 계측함으로써, 샘플수(W2)를 저장해 두기 위한 대용량의 탱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원하는 수량을 공급할 수 있다. 게다가, 저수 용기(300)는 오버플로우관(312)에 의해 내부가 항상 일정 수량이 되도록 조정되므로, 저수 용기(300)의 용적에 관계없이, 원하는 수량을 계속 공급함으로써, 정확하게 원하는 단위 수량당 수생생물의 샘플링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노즐(308)로부터 여포(303)의 내측에 원하는 수량의 샘플수(W2)가 공급되면,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샘플링 밸브(145)를 닫아 샘플수(W2)의 공급을 정지한 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에 의해 배수 밸브(314)를 개방하여 배수구(313)로부터 저수 용기(300) 내의 공간(300A)의 저장수(W1)를 배수한다.
배수 시, 여포(303) 외측의 저장수(W1) 뿐만 아니라, 여포(303) 내측의 샘플수(W2)도, 여포(303)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이동해 배수구(312)로부터 배수된다. 따라서, 여포(303) 내에는 상기 여포(303)를 통과할 수 없는 수생생물이 잔류한다.
이때, 회전하고 있는 노즐(308)로부터, 수생생물이 혼입하고 있지 않는 세정 용 물 등을 여포(303)의 내주면을 향해 공급함으로써, 여포(303)의 내측에 부착하고 있는 수생생물을 씻어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 노즐(308)로부터의 살수(撒水)에 가세해 또는 대신해, 수류 발생기(315)로부터 여포(303)의 외주면을 향해 수류를 발생시켜, 여포(303)의 내측에 부착하는 수생생물을 박리시키면서 배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여포(303)에 미진동을 가하는 미진동 수단을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설치해 두어 배수 시에 여포(303)를 미진동시켜 수생생물의 박리를 촉진시키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미진동 수단에 의한 여포(303)의 미진동은, 여포(303)의 내측에의 샘플수(W2)의 공급 시에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저수 용기(300) 내의 저장수(W1)를 배수구(313)로부터 배수를 마치면, 또는 저장수(W1)의 수위가 저장부(304)보다 하위가 되는 정도까지 배수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포(303) 내에 잔류하는 수생생물을 포함하는 농축수(W3)만이 저장부(304) 내에 저장된다. 이 농축수(W3)는, 여포(303)에 의해 걸러내지는 것 같은 압력을 실질적으로 가하지 않고 수생생물을 농축하고 있기 때문에, 수생생물이 다치는 일 없이 산 채로 농축되고 있다.
저장부(304) 내의 농축수(W3)는, 제어부(100)에 의해 개폐 밸브(306)를 개방함으로써, 채수관(305)로부터 수용 용기(307) 내에 수용된다. 농축수(W3)의 수용 용기(307)로의 수용은, 제어부(100)가 저수 용기(300)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수위 검출 수단(수위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신호를 받아 실시할 수 있다. 그 외, 배수 밸브(314)로부터 배수되는 배수량을 계측하거나 배수 밸브(314)의 개방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트리거로서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농축수(W3)에 포함되는 수생생물은, 생물 개체에 손상을 주는 일 없이 산 채로 채취되어 농축되어 있다. 게다가, 농축 작업은 원하는 량의 밸러스트수(샘플수)를 공급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간단하면서 단시간에 작업할 수 있다.
또, 저수 용기(300)는, 내부가 일정 수량이 되도록 저수량이 조정되므로, 공급되는 샘플수(W2)의 수량에 관계없이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어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저수 용기(300) 내의 저수량을 일정 수량으로 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오버플로우관(312)을 대신해, 도시하지 않지만, 저수 용기(300)의 측벽에 오버플로우용의 배수구를 개설하고, 상기 배수구로부터 외부로 직접 오버플로우시키는 구조이어도 좋다.
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 용기(300) 내의 소정 위치에 상하로 2개의 수위 검출 센서(316A, 316B)를 배치하고, 상위의 수위 검출 센서(316A)가 수위를 검출하면, 수량 제어부(317)에 의해 배수 밸브(314)를 개방하여 저장수를 배수시키며, 하위의 수위 검출 센서(316B)가 수위를 검출 못하게 되면, 수량 제어부(317)에 의해 배수 밸브(314)를 폐쇄하도록 제어하여, 저수 용기(300) 내의 저장수가 일정 수량이 되도록 조정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수량 제어부(317)의 기능은, 도 2에 도시한 제어부(100)가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여포(303)의 하단 개구(303b)에 저장부(304)를 연속 설치하는 구성 대신해, 여포(303)의 하단 개구(303b)에 채수관(305)를 직접연속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여포(303)의 하단 개구(303b)와 개폐 밸브(306) 사이의 채수관(305) 내가 농축수(W3)를 저장시키기 위한 저장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저수 용기(300) 내의 여포(303)의 외측에 저장수(W1)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은, 채수관(142)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311) 대신에, 채수관(142)과는 다른 계통의 배관에 의해 밸러스트수 또는 그 외의 물을 공급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샘플링 장치(143)로부터의 배수(오버플로우수를 포함한다.)를 배수하는 배수관(146)에는 드레인 탱크(147)가 접속되어 있고, 배수는, 이 드레인 탱크(147)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드레인 탱크(147)에는, 도시하지 않는 수위 검출계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가 소정 수위가 되었을 경우에, 제어부(100)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드레인 펌프(148)에 의해 연속하여 배관(7) 중 배관부분(7``) 에 되돌려진다.
드레인 탱크(147)는, 샘플링 장치(143)로부터 배수된 물을 드레인 펌프(148)에 의해 배관부분(7``) 에 보내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이른바 버퍼 탱크이기 때문에, 대용량으로 할 필요가 없고, 소용량의 탱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드레인 탱크(147)에는, 에어배출구(147a)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샘플링 시스템(14)에 의한 샘플링 동작의 제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각 밸러스트 탱크(2A~2D) 내에 저장된 밸러스트수를 배수할 때, 제어부(100)는 개폐 밸브(14a)의 개도를 적절히 제어함과 동시에, 최초에, 예를 들면 밸러스트 탱크(2A)의 개폐 밸브(12g)만을 개방 조작하여 밸러스트 탱크(2A)로부터의 밸러스트수의 배수를 개시한다. 이 배수 시의 밸러스트수는, 이미 처리장치(13)에 의해 처리된 후의 밸러스트수이며, 배수구(8`)를 향해 배관(7)의 배관부분(7``)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샘플링 노즐(141)에 의해 채취되어 채수관(142)으로 흘러들어간다. 이 샘플수의 채취에는, 밸러스트 펌프(4)의 구동에 의한 압력이 사용된다.
샘플링 노즐(141)로부터 소정량의 샘플수가 연속하여 채취되면, 상술한 대로 샘플링 장치(143)에 의해 수생생물이 농축하여 수집되어 수용 용기(307)에 수용된다.
여기서, 샘플링 시스템(14)은, 샘플링 장치(143)의 부근에 가시화 수단인 모니터(201)와 프린터(202)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 제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모니터(201)는 예를 들면 액정 모니터로 이루어지며, 제어부(100)로부터 현재 밸러스트수의 배수를 실시하고 있는 밸러스트 탱크(2A)의 정보를 화면 표시함으로써 가시화한다. 또, 프린터(202)는, 제어부(100)로부터 보내개방 밸러스트수의 배수를 실시하고 있는 밸러스트 탱크(2A)의 정보를 프린트 하여 라벨 시트(202a) 등에 인쇄하여 출력함으로써 가시화한다.
샘플수의 채취량은, 제어부(100)가 유량계(144)에 의해 감시하고 있다. 이 사이에, 연속하여 채취되는 샘플수는, 샘플링 장치(143)의 저수 용기(300)로부터 차례로 오버플로우하여 드레인 탱크(147)에 저장된 후, 연속하여 배관(7)의 배관부분(7``) 에 되돌려진다.
소정량의 샘플수가 샘플링 노즐(141)로부터 샘플링 장치(143)에 채취되면, 샘플링 밸브(145)를 폐쇄 조작하는 한편, 개폐 밸브(14a)의 개도를 원래대로 되돌려,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장치(143)로의 채취를 종료한다.
밸러스트 탱크(2A)로부터 배수되는 밸러스트수로부터 소정량의 샘플수가 채취되면, 작업자는 모니터(201)를 확인하거나 또는, 프린터(202)로부터 출력된 밸러스트 탱크(2A)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인쇄된 라벨 시트(202a)를, 샘플링 장치(143)로부터 분리된 수용 용기(307)에 접착하여 둠으로써, 밸러스트 탱크(2A)와 샘플수를 1대 1로 대응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밸러스트 탱크(2A)와 샘플수의 1대 1의 대응관계에는, 모니터(201) 또는 프린터(202)의 어느 한쪽만이어도 좋고, 또, 이들 외에도, 수용 용기(307)에 직접 정보를 인쇄 가능한 프린터를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후, 다른 밸러스트 탱크(2B~2D)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이 하여, 차례로 배수되는 밸러스트수로부터 샘플수를 채취한다.
또한 여기서, 수용 용기(307) 내의 샘플수를 검사한 결과, 밸러스트수가 IMO 기준을 만족하는 것이 아니었던 경우는, 배수구(8`) 앞의 배관부분(7``) 에, 도시하지 않는 오존 주입부를 설치하고, 밸러스트수 중에 오존을 주입하여 잔존하는 수생생물을 제거, 살균 혹은 살멸한 다음 선체(1) 밖으로 배수하도록 하거나 또, 배수해야 할 밸러스트수를 다시 처리장치(13)에 보내, 처리장치(13)에서 재처리 하거나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에 의하면, 샘플링 노즐(141)에 의해 배관(7) 내를 흐르는 밸러스트수 중으로부터 샘플수를 연속하여 채취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각 밸러스트 탱크(2)로부터 직접 채취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용이하게 밸러스트수의 샘플링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샘플링 시스템(14)에 의해 밸러스트수의 배수 시에 샘플수의 채취를 실시하도록 했지만, 샘플링 시스템(14)은, 밸러스트수의 주수 시에 샘플수의 채취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따라서, 이 경우는, 샘플링 시스템(14)을, 처리장치(13)에 의해 처리된 후이고, 각 밸러스트 탱크(2)에 주수 되기 전의 밸러스트수로부터 샘플수의 채취를 실시하도록, 예를 들면 배관(7)의 배관부분(7``)에서, 처리장치(13)와 주배관(9)과의 접속 부위의 사이에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또, 보다 안전하게 하기 위해, 밸러스트수의 주수 시 및 배수 시의 양측에서 샘플수를 채취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는, 하나의 샘플링 시스템(14)에 의해, 밸러스트수의 주수 라인과 배수 라인의 양측으로부터 샘플수를 채취 가능해지도록 채수관을 배설해도 좋고, 밸러스트수의 주수 라인과 배수 라인의 양측에 각각 개별적으로 샘플링 시스템(14)을 배설함으로써 밸러스트수의 주수 시와 배수 시에 각각 다른 샘플링 시스템(14)을 가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1:선체
2, 2A~2D:밸러스트 탱크
3:시 체스트
4:밸러스트 펌프
5:취수관
6:스트레이너
7:배관
8, 8':배수구
9:주배관
10:주배수 노즐
11:바이패스관
12a~12g:개폐 밸브
13:처리 장치
13a, 13b, 13c:개폐 밸브
14:샘플링 시스템
141:샘플링 노즐
142:채수관
143:샘플링 장치
144:유량계
145:개폐 밸브
146:반송관
147:드레인 탱크
148:드레인 펌프
15:제거 장치
100:제어부
201:표시장치
202:프린터
202a:라벨 시트
300:저수 용기
301:덮개
303:여포
303A:날실
303B:씨실
303a:상단 개구
303b:하단 개구
304:저장부
305:채수관
306:개폐 밸브
307:수용 용기
308:노즐
308a:공급구
309:액면센서
310:전환 밸브
311:분기관
311a:공급구
312:오버플로우관
312a:상단 개구
313:배수구
314:개폐 밸브
315:수류 발생기
316A, 316B:수위 검출계
317:수량(水量) 제어부

Claims (8)

  1. 선박 밸러스트수에 포함되는 수생생물을 검사하기 위해서 상기 밸러스트수를 샘플링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으로서,
    밸러스트 탱크에 밸러스트수를 주수하는 주수 라인 및/또는 밸러스트 탱크 내의 밸러스트수를 선박 밖으로 배수하는 배수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주수 라인 및/또는 상기 배수 라인으로부터 밸러스트수의 일부를 연속하여 채취하는 샘플링 노즐과, 상기 샘플링 노즐로부터 채취된 밸러스트수에 포함되는 수생생물을 농축하는 샘플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샘플링 장치는, 내부에 저장수가 일정 수량(水量)이 되도록 조정 가능하게 저장되는 저수 용기와;
    상단 개구 및 하단 개구를 가지고,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저장수 중에 상기 상단 개구가 노출하도록 침지되며, 상기 저수 용기 내를 외측과 내측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여포와;
    상기 샘플링 노즐로부터 채취된 밸러스트수를 상기 여포의 상기 상단 개구의 내측에 공급하는 공급구와;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상기 여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저장수를 배수하는 배수구와;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상기 여포의 하단 개구에 연속 설치되어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저장수가 상기 배수구로부터 배수되었을 때에 상기 여포의 내측에 잔류하는 수생생물을 포함한 물을 일단 저장시키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수생생물을 포함한 물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급구는, 상기 여포의 내측에 밸러스트수를 공급할 때 및/또는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저장수를 배수할 때에 상기 여포의 내주를 따르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노즐의 선단에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2. 선박 밸러스트수에 포함되는 수생생물을 검사하기 위해서 상기 밸러스트수를 샘플링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으로서,
    밸러스트 탱크에 밸러스트수를 주수하는 주수 라인 및/또는 밸러스트 탱크 내의 밸러스트수를 선박 밖으로 배수하는 배수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주수 라인 및/또는 상기 배수 라인으로부터 밸러스트수의 일부를 연속하여 채취하는 샘플링 노즐과, 상기 샘플링 노즐로부터 채취된 밸러스트수에 포함되는 수생생물을 농축하는 샘플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샘플링 장치는, 내부에 저장수가 일정 수량(水量)이 되도록 조정 가능하게 저장되는 저수 용기와;
    상단 개구 및 하단 개구를 가지고,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저장수 중에 상기 상단 개구가 노출하도록 침지되며, 상기 저수 용기 내를 외측과 내측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여포와;
    상기 샘플링 노즐로부터 채취된 밸러스트수를 상기 여포의 상기 상단 개구의 내측에 공급하는 공급구와;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상기 여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저장수를 배수하는 배수구와;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상기 여포의 하단 개구에 연속 설치되어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저장수가 상기 배수구로부터 배수되었을 때에 상기 여포의 내측에 잔류하는 수생생물을 포함한 물을 일단 저장시키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수생생물을 포함한 물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를 가지고 있고,
    상기 샘플링 장치는,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상기 여포의 외측에, 상기 여포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수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여포의 내측에 부착하는 수생생물을 박리시키는 수류 발생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용기로부터 배수된 저장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드레인 탱크와,
    상수 드레인 탱크 내의 저장수를 상기 주수 라인 또는 상기 배수 라인에 연속하여 배수하는 드레인 펌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장치에 공급되는 밸러스트수의 유로를 개폐하는 샘플링 밸브와,
    상기 샘플링 장치에 공급되는 밸러스트수의 공급량을 계측하는 유량계와,
    상기 유량계의 계측 결과에 근거해, 상기 샘플링 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제 1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 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상기 유량계의 계측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샘플링 밸브를 폐쇄 제어한 후, 상기 배수 밸브를 개방 제어하여 상기 저수 용기 내의 저장수를 상기 배수구로부터 배수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탱크는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각 밸러스트 탱크의 상기 주수 라인 및/또는 상기 배수 라인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 밸브와,
    정보를 가시화하는 가시화 수단과,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에 대해서 하나의 탱크씩 밸러스트수를 주수 또는 배수하도록 상기 개폐 밸브를 개폐 제어함과 동시에, 주수 또는 배수를 실시하고 있는 밸러스트 탱크의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샘플링 노즐에 의해 밸러스트수를 채취할 때에, 상기 주수 또는 배수를 실시하고 있는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샘플링 노즐에 의해 채취된 밸러스트수를 1 대 1로 대응시키고, 그 결과를 상기 가시화 수단에 출력하는 제 2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화 수단은,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모니터 및/또는 정보를 인쇄하는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8. 삭제
KR1020107012011A 2007-11-02 2008-10-31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KR101495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86248 2007-11-02
JP2007286248A JP4845855B2 (ja) 2007-11-02 2007-11-02 船舶バラスト水のサンプリングシステム
PCT/JP2008/069885 WO2009057751A1 (ja) 2007-11-02 2008-10-31 船舶バラスト水のサンプリング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487A KR20100103487A (ko) 2010-09-27
KR101495387B1 true KR101495387B1 (ko) 2015-02-24

Family

ID=4059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011A KR101495387B1 (ko) 2007-11-02 2008-10-31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845855B2 (ko)
KR (1) KR101495387B1 (ko)
CN (1) CN101842686B (ko)
DE (1) DE112008002979B4 (ko)
WO (1) WO20090577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382A (ko) * 2019-11-14 2021-05-24 (주) 테크로스 농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0274A (ja) * 2008-03-31 2009-10-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プランクトン濃縮装置及びプランクトン濃縮システム
CN102042916B (zh) * 2009-10-15 2013-04-24 贝荣辉 船舶压载水采集装置
WO2011142186A1 (ja) * 2010-05-11 2011-11-17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バラストタンクの排砂装置及び排砂方法
KR101285451B1 (ko) * 2010-06-24 2013-07-12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밸러스트수 중의 잔류 옥시던트(tro) 농도의 측정 장치, 감시 방법, 및 감시 시스템
JP4824133B1 (ja) * 2011-03-03 2011-11-30 北斗電工株式会社 バラスト水中の残留オキシダント(tro)濃度の監視方法、および監視システム
JP2012020218A (ja) * 2010-07-13 2012-02-02 Panasonic Corp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及びバラスト水処理方法
KR101242714B1 (ko) * 2011-01-20 2013-03-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경사시험 수행장치
CN102305732A (zh) * 2011-05-19 2012-01-04 上海海洋大学 船舶压载水的排放取样方法及装置
KR101313163B1 (ko) * 2011-06-29 2013-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잠수함식 원유제거선
DE102011088235A1 (de) 2011-12-12 2013-06-13 Endress + Hauser Conducta Gesellschaft für Mess- und Regeltechnik mbH + Co. KG Probenvorbereitungseinrichtung für eine Analyseeinrichtung zur Bestimmung einer Messgröße einer flüssigen Probe
JP5667106B2 (ja) * 2012-03-07 2015-02-12 三井造船株式会社 バラスト水の水質監視方法及び水質監視装置
KR101287626B1 (ko) * 2012-03-20 2013-07-23 주식회사 엔케이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검사장치
KR101312590B1 (ko) * 2012-05-01 2013-09-30 주식회사 엔케이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정량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99084B1 (ko) * 2012-05-01 2014-05-27 주식회사 엔케이 린싱기능을 향상시킨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샘플링장치
WO2013172931A1 (en) * 2012-05-14 2013-11-21 The Glosten Associates, Inc. Ballast water treatment monitoring system
JP6168388B2 (ja) * 2013-02-27 2017-07-26 三浦工業株式会社 バラスト水処理装置
JP6364712B2 (ja) 2013-07-05 2018-08-01 株式会社サタケ 微生物濃縮器
CN103940661B (zh) * 2014-04-23 2017-02-01 苏州大学 一种水体浮游生物的浓集装置及浓集方法
KR101591644B1 (ko) 2014-06-17 2016-02-05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선박 평형수용 혼 타입 샘플링 포트 장치
KR101698186B1 (ko) * 2014-06-17 2017-01-19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선박 평형수용 방사형 다공 샘플링 포트 장치
JP6666219B2 (ja) * 2016-09-06 2020-03-13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船舶の復原性確保方法
DE102016014457A1 (de) * 2016-12-05 2018-06-07 Pva Tepla Ag Probengefäß zur Aufnahme kleinvolumiger flüssiger Proben
DK3550299T3 (da) * 2016-12-15 2023-06-19 Horiba Advanced Techno Co Ltd Skibsmonteret vandkvalitetsanalyseapparat og skibsmonteret afskumningsindretning
EP3584558A4 (en) * 2017-02-20 2020-12-30 Satake Corporation MICRO-ORGANISMS SAMPLING DEVICE
CN106959224A (zh) * 2017-05-25 2017-07-18 青岛哈工程压载水检测有限公司 一种智能化船舶压载水取样器及取样方法
CN107873657A (zh) * 2017-11-22 2018-04-06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冬季冰下野外淡水浮游动物收集装置
CN108124829B (zh) * 2018-02-02 2023-07-25 中国科学院烟台海岸带研究所 一种智能化全自动多通道浮游生物采样系统及方法
KR102114327B1 (ko) * 2018-07-20 2020-05-25 (주) 테크로스 샘플 농축장치
KR102231443B1 (ko) 2019-05-22 2021-03-24 (주) 테크로스 농축장치
CN111257050A (zh) * 2020-03-05 2020-06-09 上海海洋大学 一种船舶压载水生物采集装置及其使用方法
JP2022067738A (ja) 2020-10-21 2022-05-09 三浦工業株式会社 浮遊汚染物質回収装置及び浮遊汚染物質回収システム
GB2605648A (en) 2021-04-09 2022-10-12 Nat Oceanography Centre Auto-sampler device and method of autosampling
CN113274786A (zh) * 2021-05-24 2021-08-20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压载水取样装置
CN113945428A (zh) * 2021-10-20 2022-01-18 上海海洋大学 一种智能化压载水采样设备
CN114659842B (zh) * 2022-02-15 2023-08-01 中国科学院水生生物研究所 一种浮游生物自动采样装置及其自动采样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5582A (ja) * 2005-10-19 2007-06-07 Jfe Engineering Kk バラスト水中の微生物検出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4892A (en) * 1978-02-04 1979-08-17 Zeniya Kaiyou Saabisu Kk Method and device for picking up plankton
JPS5833765Y2 (ja) * 1980-06-13 1983-07-28 株式会社 三進製作所 濾過機のドレンスラッジ槽
JPH09192680A (ja) 1996-01-16 1997-07-29 Hitachi Ltd オゾン処理方法及びオゾン処理装置
JP3821436B2 (ja) 2001-10-30 2006-09-13 株式会社海洋開発技術研究所 液中微生物殺減装置
JP2003326275A (ja) 2002-05-13 2003-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水の消毒システム及び消毒方法
JP4261955B2 (ja) 2002-09-26 2009-05-13 日本郵船株式会社 水浄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975366B (zh) * 2006-12-14 2010-12-08 厦门大学 船舶压载水浮游生物分级采样装置
CN101046432A (zh) * 2007-05-04 2007-10-03 大连海事大学 自动化船舶压载水取样装置
JP4845806B2 (ja) * 2007-05-18 2011-12-28 株式会社アムコ 水生生物のサンプリング装置及び水生生物のサンプリ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5582A (ja) * 2005-10-19 2007-06-07 Jfe Engineering Kk バラスト水中の微生物検出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382A (ko) * 2019-11-14 2021-05-24 (주) 테크로스 농축장치
KR102259409B1 (ko) * 2019-11-14 2021-06-01 (주) 테크로스 농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8002979T5 (de) 2010-11-04
CN101842686A (zh) 2010-09-22
CN101842686B (zh) 2012-10-10
DE112008002979B4 (de) 2013-09-05
KR20100103487A (ko) 2010-09-27
JP4845855B2 (ja) 2011-12-28
JP2009115500A (ja) 2009-05-28
WO2009057751A1 (ja)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387B1 (ko)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JP5358440B2 (ja) 水浄化装置
KR20170016867A (ko) 수류를 정화 및 살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2010901B1 (en) The ultra filtration system for on-line analyzer
KR101399084B1 (ko) 린싱기능을 향상시킨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샘플링장치
KR101201963B1 (ko)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샘플링장치
KR101201446B1 (ko)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37218B1 (ko) 선박의 빗물 재활용 시스템
US20070267358A1 (en) Online poultry reprocessing tablet chlorination system and method
KR20170138334A (ko)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KR101618611B1 (ko) 수소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20190001295A (ko) 농축장치
US5908549A (en) Filtration and regeneration system
JP2010013098A (ja) バラスト処理水供給船
KR101618625B1 (ko) 조류 균질화 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KR102025388B1 (ko) 필터를 이용한 선저 폐수 처리시스템
JP2017218023A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JP2017127811A (ja)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576339B1 (ko) 정수효율 교대순환 측정장치
JP6582934B2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20210058382A (ko) 농축장치
KR101512654B1 (ko) 방사능 오염 챔버의 세척장치
KR101865896B1 (ko) 고효율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JP2021146334A (ja) 液体処理装置、及び紫外線リアクタの汚れ検知方法
KR101047939B1 (ko) 양식장 세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