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446B1 -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446B1
KR101201446B1 KR1020110019574A KR20110019574A KR101201446B1 KR 101201446 B1 KR101201446 B1 KR 101201446B1 KR 1020110019574 A KR1020110019574 A KR 1020110019574A KR 20110019574 A KR20110019574 A KR 20110019574A KR 101201446 B1 KR101201446 B1 KR 10120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ing tank
water
storage container
pip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581A (ko
Inventor
박성진
김기욱
윤승제
김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to KR1020110019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446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C12Q1/06Quantitative determi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분포와 개체수 등을 측정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걸러내는 원추형의 여과기를 샘플링탱크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고, 상기 샘플링탱크의 하부측에는 여과기를 거쳐 미생물이 농축된 추출수가 저장되는 저장용기를 설치하되, 상기 저장용기의 하단측에 미생물의 분포와 개체수 및 사멸 여부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미생물검출기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미생물검출기가 선박용 모니터실의 검출모니터와 접속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저장용기를 샘플링탱크로부터 분리하여 측정장비가 있는 실험실로 운반시키는 번거러운 작업을 배제시키는 한편, 여과기를 거쳐 저장용기로 배출되는 추출수의 미생물 분포와 개체수 및 사멸 여부 등을 모니터실에서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작업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는 동시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밸러스트수 정화장치의 효율적인 피드백 제어 및 배출기준에 적합한 밸러스트수 처리가 가능토록 한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본 발명은, 샘플링탱크(2)의 상단측과 하단측에는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밸러스트수의 유입관(1)과 여과수의 배출관(8)이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샘플링탱크(2)의 내부에는 밸러스트수중의 미생물을 걸러내기 위한 원추 형상의 여과기(3)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샘플링탱크(2)의 하부측에는 미생물이 포함된 추출수를 저장하는 저장용기(6)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6)는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채수관(5)에 의하여 여과기(3)의 하단집수부(4)와 연결 설치된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6)의 하단에는 저장용기(6)속의 추출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측정하는 미생물검출기(7)가 설치되고, 상기 미생물검출기(7)는 모니터실(14)의 검출모니터(17)와 케이블(16)로 접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저장용기(6)는 원추형의 용기로 형성되고, 상기 미생물검출기(7)는 원추형 저장용기(6)의 하단 꼭지점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for ballast water of a ship}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걸러내는 원추형의 여과기를 샘플링탱크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고, 상기 샘플링탱크의 하부측에는 여과기를 거쳐 미생물이 농축된 추출수가 저장되는 저장용기를 설치하되, 상기 저장용기의 하단측에 미생물의 분포와 개체수 및 사멸 여부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미생물검출기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미생물검출기가 선박용 모니터실의 검출모니터와 접속되도록 함으로서, 여과기를 거쳐 저장용기로 배출되는 추출수의 미생물 분포와 개체수 및 사멸 여부 등을 모니터실에서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러스트수(Ballast Water)는 선박으로부터 화물을 하역시킨 상태 또는 선박에 적재된 화물의 량이 매우 적은 상태에서 선박을 운행할 경우, 선박이 균형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박의 저부 양측에 설치된 밸러스트탱크의 내부에 채우는 부력조정용 담수 또는 해수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밸러스트수에는 밸러스트수를 채운 지역의 담수나 해수에 포함된 병원성균 및 플랑크톤 등의 각종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므로, 이를 아무런 처리없이 타지역의 수역으로 배출시킬 경우 밸러스트수로 인한 심각한 해양오염 및 생태계 파괴를 유발시킬 우려가 높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 입각하여, 1996년 미국에서는 국가 침입종 법률을 제정함으로서, 외래종을 침입자로 규정하여 밸러스트수에 대한 관리와 통제를 의무화 하였으며, 호주에서는 검역법을 개정하여 밸러스트수를 검역대상이 되는 수입화물로 규정함은 물론, 이에 대한 직접 검역을 실시하고 있다.
한편,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는 2004년 2월 국제협약을 체결하여 2009년부터 순차적으로 밸러스트수의 살균 및 정화처리에 필요한 장치를 선박에 탑재토록 하였으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해당 선박의 입항을 전면 금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최근에 들어 선박용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바, 대표적인 것으로는 오존(Ozone: 03)을 이용한 밸러스트수의 살균 및 정화처리를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여러 가지 종류의 밸러스트수 정화장치가 개발되었거나 또는 개발중에 있다.
상기와 같이 선박에 탑재된 밸러스트수 정화장치는, 국제해사기구(IMO)의 기준에 맞추어 육상시험 및 선상시험을 거쳐 인증서를 받은 다음, 상기 인증서를 선박에 비치하고 운항하게 되므로, 밸러스트수 정화장치에 의하여 처리된 밸러스트수가 국제해사기구에서 규정한 배출기준에 적합한 것인지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밸러스트수 모니터링을 위한 샘플링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0-103487호(공개일자: 2010년 09월 27일)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걸러내는 원추형의 여과기를 샘플링탱크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고, 상기 샘플링탱크의 하부측에는 여과기를 거쳐 미생물이 농축된 추출수가 저장되는 저장용기를 설치한 샘플링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샘플링 시스템에 의하면, 샘플링탱크를 통하여 밸러스트수를 유입 및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여과기의 내부 표면에 미생물이 갇히도록 하고, 이와 같이 여과기의 내부 표면에 갇힌 미생물을 씻어 내리는 린싱작업에 의하여 샘플용 추출수가 저장용기에 저장되도록 하며, 위와 같은 작업을 수 회 반복하여 요구하는 량의 추출수를 얻어낸 다음, 샘플링탱크로부터 저장용기를 분리하여 추출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분포나 개체수 등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샘플링 시스템은, 샘플용 추출수가 저장된 저장용기를 샘플링탱크로부터 분리하여 측정장비가 구비된 실험실로 저장용기를 운반시킨 다음, 샘플용 추출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분포나 개체수 등을 실험실에서 측정하여야 함으로서,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작업에 불필요한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수 회의 반복 과정을 거쳐 저장용기에 샘플용 추출수가 저장되는 시간 동안에는 추출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분포나 개체수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추출수의 저장 및 운반 과정에서 미생물의 사멸 여부 또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사멸된 미생물이 정화장치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외부 요인에 의한 것인지를 규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샘플링 시스템에 의해서는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분포나 개체수 및 사멸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우므로, 선박에 탑재된 밸러스트수 정화장치가 배출기준에 적합한 수준으로 작동하는 지의 여부 또한 불확실하게 됨으로서,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한 밸러스트수 정화장치의 효율적인 피드백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종래의 샘플링 시스템에 의하면, 여과기의 내부 표면에 갇힌 미생물을 저장용기측으로 씻어 내리는 린싱작업시 여과기의 내부에 설치된 린싱노즐을 이용함에 따라, 여과기의 망에 끼인 미생물의 회수가 용이하지 않게 됨은 물론, 린싱작업의 과정에서도 여과기의 표면에 미생물이 지속적으로 부착되며, 이로 인하여 여과기의 린싱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고 여과기의 막힘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해당 여과기에서 걸러내지 못하는 미생물에 대한 추가적이고 복합적인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샘플용 추출수의 저장용기 하단측에 미생물검출기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미생물검출기가 모니터실의 검출모니터와 접속되도록 함으로서, 여과기를 거쳐 저장용기로 배출되는 추출수의 미생물 분포와 개체수 및 사멸 여부 등을 모니터실에서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1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장용기를 원추형의 용기로 형성시키는 한편, 이 원추형 저장용기의 하단 꼭지점 부분에 상기 미생물검출기를 설치함으로서, 미생물검출기에 의한 검출범위와 검출성능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측정된 데이터에 의한 모니터링의 신뢰도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2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2개의 샘플링탱크를 사용하여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2차에 걸쳐 크기별로 추출하는 한편, 각각의 샘플링탱크에서 걸러진 추출수를 미생물검출기를 사용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서, 밸러스트수의 처리결과에 대한 다양하고 복합적인 데이터를 확보하여 배출기준에 적합한 밸러스트수의 처리를 보다 완벽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3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샘플링탱크의 상단측과 하단측에는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밸러스트수의 유입관과 여과수의 배출관이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샘플링탱크의 내부에는 밸러스트수중의 미생물을 걸러내기 위한 원추 형상의 여과기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샘플링탱크의 하부측에는 미생물이 포함된 추출수를 저장하는 저장용기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는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채수관에 의하여 여과기의 하단집수부와 연결 설치된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하단에는 저장용기속의 추출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측정하는 미생물검출기가 설치되며, 상기 미생물검출기는 모니터실의 검출모니터와 케이블로 접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저장용기는 원추형의 용기로 형성되고, 상기 미생물검출기는 원추형 저장용기의 하단 꼭지점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여과수의 배출관은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드레인배관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배관으로부터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여과수회수관이 분기되어, 상기 여과수회수관이 여과수탱크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여과수탱크로부터 린싱펌프를 구비하는 린싱배관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린싱배관이 샘플링탱크의 내부에 구비된 여과기의 세척노즐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샘플링탱크를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1차 샘플링탱크로 한 상태에서, 상기 1차 샘플링탱크의 여과기에서 농축되지 아니한 미생물을 걸러내는 2차 샘플링탱크가 1차 샘플링탱크와 함께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2차 샘플링탱크의 내부에는 1차 샘플링탱크의 여과기에서 걸러내지 못하는 미생물의 여과를 위한 원추 형상의 2차 여과기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2차 샘플링탱크의 하부측에는 미생물이 포함된 추출수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2차 여과수의 배출관이 각각 연결 설치되며, 모니터실의 검출모니터와 케이블로 접속되는 상기 미생물검출기가 1차 샘플링탱크의 저장용기와 2차 샘플링탱크의 저장용기 하단에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2차 샘플링탱크의 저장용기도 1차 샘플링탱크의 저장용기와 마찬가지로 원추형의 용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린싱배관의 경우는 린싱펌프를 구비하는 배관으로부터 다수 개의 린싱배관을 분기시켜, 각각의 린싱배관이 1차 샘플링탱크와 2차 샘플링탱크의 내부에 구비된 여과기용 세척노즐과 연결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미생물이 농축된 샘플용 추출수의 저장용기 하단에 미생물검출기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미생물검출기가 모니터실의 검출모니터와 접속되도록 함으로서, 저장용기에 샘플용 추출수를 저장시켜 놓은 상태로 추출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분포나 개체수 및 사멸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로 인하여, 샘플용 추출수가 저장된 저장용기를 샘플링탱크로부터 분리하여 측정장비가 구비된 실험실로 저장용기를 운반시키는 번거러운 작업을 배제시킴으로서,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저장용기로 추출수가 유입되는 시간대별로 미생물의 상태를 수시로 체크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측정과정에서 사멸된 미생물이 정화장치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외부 요인에 의한 것인지를 실시간 모니터링에 의하여 보다 확실하게 규명할 수 있게 됨으로서, 선박에 탑재된 밸러스트수 정화장치가 배출기준에 적합한 수준으로 작동하는지의 여부 또한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밸러스트수 정화장치의 효율적인 피드백 제어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를 원추형으로 형성시킨 상태에서 저장용기의 하단 꼭지점 부분에 미생물검출기를 설치한 경우에는, 저장용기의 내부영역 전체가 센싱팁에 의한 검출범위에 포함되어 미검출 영역인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미생물검출기에 의한 추출수의 검출범위 및 검출성능을 최대한으로 확보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측정된 데이터에 의한 모니터링의 신뢰도를 보다 더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여과기를 거쳐 미생물이 제거된 여과수를 여과기의 린싱작업에 사용함으로서, 해당 작업시 여과기의 표면에 미생물이 지속적으로 부착되는 현상 및 이로 인한 여과기의 막힘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여과기의 린싱작업을 보다 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2개의 샘플링탱크를 사용하여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2차에 걸쳐 크기별로 추출하는 한편, 각각의 샘플링탱크에서 걸러진 추출수를 미생물검출기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원격 모니터링 함으로서, 밸러스트수의 정화처리 결과에 대한 다양하고 복합적인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한층 더 정확한 정화장치의 피드백 제어를 통하여 배출기준에 적합한 밸러스트수의 처리를 보다 완벽하게 보장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배관도.
도 2는 미생물의 여과 및 검출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미생물 검출원리를 나타내는 저장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배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배관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걸러내는 원추형의 여과기(3)가 샘플링탱크(2)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샘플링탱크(2)의 하부측에 여과기(3)를 거쳐 미생물이 농축된 추출수가 저장되는 저장용기(6)가 설치된 구성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통상 여과기(3)의 상단 입구측은 샘플링탱크(2)의 내측벽에 제공된 지지대상에 장착되는 한편, 여과기(3)의 하단 출구측은 플랜지 형상의 장착기구(3a)를 사용하여 샘플링탱크(2)의 바닥면과 수밀(水密)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지만,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방식을 사용하여 여과기(3)를 샘플링탱크(2)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여과기(3)는 통상 직물(천)이나 부직포 재질의 여과포가 사용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금속망을 원추형으로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여과기(3)에 의하여 걸러지는 미생물의 크기(㎛)는 여과기(3)에 제공된 여과구멍의 치수(Mesh)에 의하여 좌우된다.
상기 샘플링탱크(2)는 통상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한 원통형 탱크가 되며, 샘플링탱크(2)의 덮개판에 해당하는 상부면 중앙측에는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밸러스트수의 유입관(1)이 연결 설치되고, 샘플링탱크(2)의 바닥면 일측부에는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여과수의 배출관(8)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샘플링탱크(2)의 덮개판에는 밸러스트수의 유입과 배출에 따른 내압변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기구멍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샘플링탱크(2)의 하측에는 저장용기(6)의 설치공간을 확보하는 한편, 낙차(落差)를 이용한 여과수의 공급이나 배출을 위하여 지지다리(2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관(1)은 밸러스트수 정화장치를 거쳐 선박용 밸러스트 탱크로 밸러스트수를 공급하는 미도시된 밸러스트수 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것이지만, 대조군(정화처리 이전의 미생물군)의 샘플을 채수할 목적으로 필요시 밸러스트수 정화장치 이전에 해당하는 밸러스트수 배관측에도 연결시킬 수 있으며, 샘플링탱크(2)의 내부로 공급되는 밸러스트수의 량은 유입관(1)에 설치된 유량계(F)에 의하여 제어된다.
다시 말해서, 밸러스트수 배관으로부터 유입관(1)을 거쳐 샘플링탱크(2)의 내부로 유입되는 밸러스트수의 량을 유량계(F)가 체크하여 적정량의 밸러스트수가 샘플링탱크(2)의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유량계(F)가 유입관(1)에 설치된 개폐밸브(V)를 폐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바, 이와는 달리 상기 개폐밸브(V)가 다른 제어수단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하여 유입관(1)의 개폐밸브(V)는 자동식 솔레노이드 밸브가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저장용기(6)는 도 2 및 도 3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탱크(2)의 하부측 중앙에 위치한 상태로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채수관(5)에 의하여 여과기(3)의 하단측과 연결 설치되며, 채수관(5)이 연결되는 여과기(3)의 하단측 부분은 배관연결의 편의성과 추출수의 1차 집수를 위하여 파이프 형상의 하단집수부(4)로 형성된다.
상기 하단집수부(4)는 샘플링탱크(2)의 바닥면 하측에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여과기(3)의 하단 출구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여과기(3)의 하단측에 파이프 형상의 하단집수부(4)를 일체로 형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단집수부(4)가 샘플링탱크(2)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하단집수부(4)의 내측 바닥면은 채수관(5)의 개폐밸브(V)를 개방할 시 추출수가 잔류되지 않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깔대기 형상의 바닥면 구성이 바람직하다.
도면상 상기 하단집수부(4)에 여액의 배출을 위하여 드레인밸브(5b)가 구비된 드레인배관(5a)이 설치되지만, 이러한 드레인배관(5a)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저장용기(6)를 개폐밸브(V)와 함께 채수관(5)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여액의 배출작업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용기(6) 또한 스테인레스 스틸 용기가 바람직하지만, 그 이외의 다른 내부식성 소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샘플링탱크(2)의 상단측에는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오버플로우관(9)이 설치되는 바, 상기 오버플로우관(9)은 많은 양의 샘플링으로 인하여 기준치 이상의 밸러스트수가 샘플링탱크(2)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 이를 자동적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오버플로우관(9)의 개폐밸브(V)는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자동식 솔레노이드 밸브 보다는 수동식 볼밸브가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 1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1 내지 도 3에 걸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6)의 하단에는 저장용기(6)속의 추출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측정하는 미생물검출기(7)가 설치되며, 상기 미생물검출기(7)는 모니터실(14)의 검출모니터(17)와 케이블(16)로 접속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미생물검출기(7)는 추출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분포와 개체수 및 사멸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을 설치하여 사용하더라도 무방하지만, 연속적인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FACS(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모듈이나 DLS(Dynamic light scattering) Sensor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PD(Photodiode) 방식의 광학검출기 등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모니터실(14)은 선박의 기관실이나 조타실 또는 실험실과 같은 다양한 공간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미생물검출기(7)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실(14)의 검출모니터(17)로 출력하는 방식 또한 매우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사이즈 필터링(Size Filtering), 대상 추출(Object Extraction), 대상 측정(Object Measurement), 패턴 일치(Pattern Matching), 패턴 인식(Pattern Recognition), 센서 데이터 모니터링(Sensor data monitoring), 로그 데이터 기록(Log data recording), 검량 방법(Calibration Method), 데이터 전환(Data Conversion) 등의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미생물이 농축된 샘플용 추출수의 저장용기(6) 하단에 미생물검출기(7)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미생물검출기(7)가 모니터실(14)의 검출모니터(17)와 접속되도록 하면, 저장용기(6)에 샘플용 추출수를 저장시켜 놓은 상태로 추출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분포나 개체수 및 사멸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샘플용 추출수가 저장된 저장용기(6)를 샘플링탱크(2)로부터 분리하여 측정장비가 구비된 실험실로 저장용기(6)를 운반시키는 번거러운 작업을 배제시킴으로서,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저장용기(6)로 추출수가 유입되는 시간대별로 미생물의 상태를 수시로 체크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측정과정에서 사멸된 미생물이 정화장치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외부 요인에 의한 것인지를 실시간 모니터링에 의하여 보다 확실하게 규명할 수 있게 됨으로서, 선박에 탑재된 밸러스트수 정화장치가 배출기준에 적합한 수준으로 작동하는지의 여부 또한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밸러스트수 정화장치의 효율적인 피드백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1 내지 도 4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6)를 원추형의 용기로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미생물검출기(7)는 원추형 저장용기(6)의 하단 꼭지점 부분에 설치되도록 한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생물검출기(7)가 수밀용(水密用) 밀폐링 등을 개재시킨 상태로 저장용기(6)의 하단부에 체결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저장용기(6)와 미생물검출기(7)를 설치하게 되면, 저장용기(6)의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측에 이르기까지 미생물검출기(7)의 상단에 제공된 센싱팁(7a)에 의한 추출수의 검출범위(θ) 및 검출성능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측정된 데이터에 의한 모니터링의 신뢰도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저장용기(6)를 원추형으로 형성시킨 상태에서 저장용기(6)의 하단 꼭지점 부분에 미생물검출기(7)를 설치하게 되면, 도 4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6)의 내부영역 전체가 센싱팁(7a)에 의한 검출범위(θ)에 포함되는 한편, 센싱팁(7a)의 검출범위(θ)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수의 배출관(8) 및 오버플로우관(9)이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드레인배관(10)과 연결 설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드레인배관(10)으로부터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여과수회수관(11a)을 분기시켜, 상기 여과수회수관(11a)이 여과수탱크(11)와 연결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여과수탱크(11)로부터는 린싱펌프(12)를 구비하는 린싱배관(13)을 연장시켜, 상기 린싱배관(13)이 샘플링탱크(2)의 내부에 구비된 여과기(3)의 세척노즐(13b)과 연결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 3요부의 구성에 의하면, 샘플링탱크(2)의 여과기(3)를 거쳐 미생물이 제거된 여과수를 여과수회수관(11a)을 통하여 여과수탱크(11)에 저장시킨 다음, 린싱펌프(12)를 구비하는 린싱배관(13) 및 세척노즐(13b)을 통하여 여과수탱크(11)에 저장된 여과수를 여과기(3)의 린싱(Rinsing)작업에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린싱작업은 여과기(3)의 세척작업 및 하단집수부(4)를 통한 미생물의 농축작업을 병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여과기(3)를 거쳐 미생물이 제거된 여과수를 여과기(3)의 린싱작업에 사용함으로서, 해당 작업시 여과기(3)의 표면에 미생물이 지속적으로 부착되는 현상 및 이로 인한 여과기(3)의 막힘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여과기(3)의 린싱작업을 보다 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린싱작업의 과정은, 샘플링탱크(2)로의 밸러스트수 유입→여과기(3)에서의 미생물 여과 및 여과수의 배출→여과수탱크(11)로의 여과수 저장→여과수를 이용한 여과기(3)의 린싱(2~3회) 및 저장용기(6)로의 추출수 저장→드레인배관(10)을 통한 여과수의 최종 배출이 1회의 싸이클을 이루며, 이와 같은 싸이클이 수 회 반복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최초의 싸이클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여과수탱크(11)에 저장된 여과수를 이후에 수행되는 싸이클의 린싱작업에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한편, 이후 싸이클의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여과수는 드레인배관(10)을 통하여 배출시킬 수도 있고, 매회 싸이클마다 샘플링탱크(2)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수를 해당 싸이클의 린싱작업에 이용하는 한편, 1회의 린싱작업에 사용된 여과수는 드레인배관(1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의 여과수 저장 또는 배출작업은 배출관(8)과 드레인배관(10) 및 여과수회수관(11a)에 설치된 개폐밸브(V)를 조작하여 필요시마다 요구하는 경로로 여과수를 유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폐밸브(V)는 모니터실(14) 또는 다른 제어수단에 의하여 자동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바람직하지만, 밸브가 설치되는 위치나 여건에 따라 수동식 볼밸브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세척노즐(13b)은 여과기(3)의 표면으로 여과수를 분사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고, 세척노즐(13b)이 설치되는 위치 역시 여과기(3)의 내측 또는 외측이 될 수 있지만,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세척노즐(13b)을 여과기(3)의 외부측에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인 린싱작업의 측면에서 보다 더 유리한 잇점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요구하는 량의 샘플용 추출수를 얻어낸 다음, 새로운 샘플링 작업을 다시 수행코자 할 경우에는, 세척노즐(13b)을 통하여 스팀이나 살균용 세척수, 예를 들어 오존처리수를 공급시킴으로서, 여과기(3)의 표면과 저장용기(6)의 내부면을 살균 및 세척하는 클리닝 작업이 필요하며, 이러한 클리닝 작업시 상기 린싱배관(13)을 스팀발생기 또는 살균수탱크와 연결시킬 수도 있고, 여과수탱크(11)에 살균수를 직접 저장시켜 사용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4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에서 설명되어진 샘플링탱크(2)가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1차 샘플링탱크(2)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1차 샘플링탱크(2)의 여과기(3)에서 농축되지 아니한 미생물을 걸러내는 2차 샘플링탱크(20)가 1차 샘플링탱크(2)와 함께 추가로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2차 샘플링탱크(20)의 경우, 그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기(21)가 1차 샘플링탱크(2)를 거쳐 공급된 여과수중의 미생물을 걸러내기 위한 2차 여과기(21)가 되는 한편, 1차 샘플링탱크(2)보다 그 크기와 용량이 작은 소형탱크가 되며, 그 이외의 다른 부가적인 구성은 위에서 설명되어진 1차 샘플링탱크(2)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2차 샘플링탱크(20)의 경우에도, 1차 샘플링탱크(2)의 여과기(3)를 거친 여과수의 유입을 위하여, 개폐밸브(V)와 유량계(F)가 구비된 2차 유입관(19) 및 개폐밸브(V)가 구비된 오버플로우관(27)이 해당 탱크의 상단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한편, 2차 샘플링탱크(20)의 하부측에도 미생물이 포함된 2차 추출수의 저장용기(24)와,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2차 여과수의 배출관(26)이 각각 연결 설치된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2차 샘플링탱크(20)의 저장용기(24) 또한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채수관(23)에 의하여 2차 여과기(21)의 하단집수부(22)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저장용기(24)의 하단에는 해당 용기속의 2차 추출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측정하는 미생물검출기(25)가 설치되고, 상기 미생물검출기(25) 또한 1차 샘플링탱크(2)의 미생물검출기(7)와 마찬가지로 모니터실(14)의 검출모니터(17a)와 케이블(16)로 접속 설치된다.
또한, 2차 샘플링탱크(20)의 저장용기(24) 역시 1차 샘플링탱크(2)의 저장용기(6)와 마찬가지로 원추형의 용기로 형성되는 한편, 2차 샘플링탱크(20)의 미생물검출기(25) 역시 해당 원추형 저장용기(24)의 하단 꼭지점 부분에 설치되며, 2차 샘플링탱크(20)의 채수관(23)에도 하단집수부(22)에 저장된 여액의 배출을 위하여 드레인밸브를 구비하는 드레인배관(23a)이 연결 설치된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모니터링 범위는, 1차 샘플링탱크(2)의 여과기(3)에서 50㎛ 보다 큰 미생물(동물성 플랑크톤)이 걸러지도록 하고, 2차 샘플링탱크(20)의 2차 여과기(21)에서는 50㎛ 보다는 작고 8㎛ 보다는 큰 미생물(식물성 플랑크톤)이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지만, 1차 샘플링탱크(2)의 여과기(3)와 2차 샘플링탱크(20)의 2차 여과기(21)에서 걸러지는 미생물의 크기는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4요부 구성에 있어서도 여과수를 이용한 린싱작업이 적용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1차 샘플링탱크(2)와 2차 샘플링탱크(20)의 하단측에 설치되는 여과수의 배출관(8)(26)이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드레인배관(10)과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드레인배관(10)으로부터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여과수회수관(11a)이 분기 형성되고, 상기 여과수회수관(11a)이 여과수탱크(11)와 연결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여과수탱크(11)로부터 린싱펌프(12)를 구비하는 배관이 연장 형성되고, 해당 배관이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2개의 린싱배관(13)(13a)으로 분기 형성되며, 이와 같이 분기된 각각의 린싱배관(13)(13a)이 1차 샘플링탱크(2)와 2차 샘플링탱크(20)의 내부에 구비된 여과기(3)(21)용 세척노즐(13b)(13c)과 연결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1차 샘플링탱크(2)로의 밸러스트수 유입→여과기(3)에서의 미생물 1차 여과 및 1차 여과수의 배출→여과수탱크(11)로의 1차 여과수 저장→1차 여과수를 이용한 여과기(3)의 린싱(2~3회) 및 저장용기(6)로의 1차 추출수 저장→드레인배관(10)을 통한 1차 여과수의 배출 순서대로 1차 샘플링 싸이클을 거친 다음, 1차 여과수 중의 일부를 2차 샘플링탱크(20)로 유입시켜 2차 샘플링 싸이클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2차 샘플링 싸이클은, 1차 샘플링탱크(2)로부터 2차 샘플링탱크(20)로의 1차 여과수 유입→2차 여과기(21)에서의 미생물 2차 여과 및 2차 여과수의 배출→여과수탱크(11)로의 2차 여과수 저장→2차 여과수를 이용한 2차 여과기(21)의 린싱(2~3회) 및 저장용기(24)로의 2차 추출수 저장→드레인배관(10)을 통한 2차 여과수의 최종 배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2차 여과수를 이용한 2차 여과기(21)의 린싱작업 역시 위에서 설명되어진 1차 여과기(3)의 린싱작업과 마찬가지로, 최초의 2차 샘플링 싸이클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여과수탱크(11)에 저장된 2차 여과수를 이후 싸이클의 린싱작업에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차 샘플링의 매회 싸이클마다 2차 샘플링탱크(20)로부터 배출되는 2차 여과수를 1회의 린싱작업에 사용한 다음 드레인배관(10)을 통하여 배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1,2차 여과수의 저장과 배출작업 및 1,2차 여과기(3)(21)의 린싱작업의 경우에도, 상기 배출관(8)(26)과 드레인배관(10) 및 여과수회수관(11a)과 린싱배관(13)(13a)에 설치된 개폐밸브(V)를 조작하여 필요시마다 요구하는 경로로 여과수를 유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1차 여과기(3)와 2차 여과기(21)의 린싱작업은 해당 샘플링탱크(2)(20)로부터 배출된 여과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하여 미생물의 크기별 분리가 유용하지 않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차 유입관(19)을 1차 샘플링탱크(2)의 유입관(1)으로부터 분기시켜 2차 샘플링탱크(20)의 상단측과 연결 설치함으로서, 1차 샘플링탱크(2)와 2차 샘플링탱크(20)에 밸러스트수를 동시에 유입시키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2차 유입관(19)이 분기되는 위치는 유입관(1)의 개폐밸브(V) 이전에 해당하는 위치가 되도록 함으로서, 1차 샘플링탱크(2)와 2차 샘플링탱크(20)를 통한 밸러스트수의 공급이 해당 유입관(1)(19)에 설치된 유량계(F)와 개폐밸브(V)에 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2개의 샘플링탱크(2)(20)를 사용하여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2차에 걸쳐 또는 밸러스트수의 동시 유입 방식을 통하여 크기별로 추출하는 한편, 각각의 샘플링탱크(2)(20)에서 걸러진 추출수를 미생물검출기(7)(25)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원격 모니터링 함으로서, 밸러스트수의 정화처리 결과에 대한 다양하고 복합적인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한층 더 정확한 정화장치의 피드백 제어를 통하여 배출기준에 적합한 밸러스트수의 처리를 보다 완벽하게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1차 샘플링탱크(2)와 2차 샘플링탱크(20)의 상단 내측에 설치된 것은, 세척노즐(13b)(13c)에 의한 여과기(3)(21)의 린싱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카메라(15)(28)로서, 상기 카메라(15)(28) 역시 마찬가지로 모니터실(14)의 영상모니터(18)(18a)와 케이블(16)로 접속 설치되는 바,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모니터링의 기술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영상모니터(18)(18a) 및 검출모니터(17)(17a)는 1차 샘플링탱크(2)와 2차 샘플링탱크(20)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케이블(16)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이나 검출신호를 제어하여 하나의 영상모니터 및 검출모니터로 1차 샘플링탱크(2)와 2차 샘플링탱크(20)를 동시에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최적 실시예만이 상세하게 설명되어진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예시된 구조를 기초로 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사항이며, 본 발명은 이후에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적 내용을 기초로 평가되어져야 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1 : 유입관 2 : (1차) 샘플링탱크 2a,20a : 지지다리
3 : 여과기 4,22 : 하단집수부 5,23 : 채수관
5a,23a : 드레인배관 5b : 드레인밸브 6,24 : 저장용기
7,25 : 미생물검출기 7a : 센싱팁 8,26 : 배출관
9,27 : 오버플로우관 10 : 드레인배관 11 : 여과수탱크
11a : 여과수회수관 12 : 린싱펌프 13,13a : 린싱배관
13b,13c : 세척노즐 14 : 모니터실 15,28 : 카메라
16 : 케이블 17,17a : 검출모니터 18,18a : 영상모니터
19 : 2차 유입관 20 : 2차 샘플링탱크 21 : 2차 여과기
100 : 모니터링 시스템 V : 개폐밸브 F : 유량계
θ : 검출범위

Claims (8)

  1. 샘플링탱크(2)의 상단측과 하단측에는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밸러스트수의 유입관(1)과 여과수의 배출관(8)이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샘플링탱크(2)의 내부에는 밸러스트수중의 미생물을 걸러내기 위한 원추 형상의 여과기(3)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샘플링탱크(2)의 하부측에는 미생물이 포함된 추출수를 저장하는 저장용기(6)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6)는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채수관(5)에 의하여 여과기(3)의 하단집수부(4)와 연결 설치된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6)의 하단에는 저장용기(6)속의 추출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측정하는 미생물검출기(7)가 설치되며,
    상기 미생물검출기(7)는 모니터실(14)의 검출모니터(17)와 케이블(16)로 접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6)는 원추형의 용기로 형성되며, 상기 미생물검출기(7)는 원추형 저장용기(6)의 하단 꼭지점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의 배출관(8)은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드레인배관(10)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배관(10)으로부터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여과수회수관(11a)이 분기 형성되고, 상기 여과수회수관(11a)이 여과수탱크(11)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여과수탱크(11)로부터 린싱펌프(12)를 구비하는 린싱배관(13)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린싱배관(13)이 샘플링탱크(2)의 내부에 구비된 여과기(3)의 세척노즐(13b)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4. 샘플링탱크(2)의 상단측과 하단측에는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밸러스트수의 유입관(1)과 여과수의 배출관(8)이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샘플링탱크(2)의 내부에는 밸러스트수중의 미생물을 걸러내기 위한 원추 형상의 여과기(3)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샘플링탱크(2)의 하부측에는 미생물이 포함된 추출수를 저장하는 저장용기(6)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6)는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채수관(5)에 의하여 여과기(3)의 하단집수부(4)와 연결 설치된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탱크(2)는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1차 샘플링탱크(2)가 되고, 상기 1차 샘플링탱크(2)와 함께 2차 샘플링탱크(20)가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1차 샘플링탱크(2)의 하단측으로부터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2차 유입관(19)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2차 유입관(19)이 2차 샘플링탱크(20)의 상단측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2차 샘플링탱크(20)의 내부에는 1차 샘플링탱크(2)의 여과기(3)에서 여과되지 못하는 미생물을 걸러내기 위한 원추 형상의 2차 여과기(21)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2차 샘플링탱크(20)의 하부측에는 미생물이 포함된 추출수를 저장하는 저장용기(24)와,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2차 여과수의 배출관(26)이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2차 샘플링탱크(20)의 저장용기(24)는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채수관(23)에 의하여 2차 여과기(21)의 하단집수부(22)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1차 샘플링탱크(2)의 저장용기(6)와 2차 샘플링탱크(20)의 저장용기(24) 하단에는 해당 저장용기(6)(24)속의 추출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측정하는 미생물검출기(7)(25)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미생물검출기(7)(25)는 모니터실(14)의 검출모니터(17)(17a)와 케이블(16)로 접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입관(19)은 1차 샘플링탱크(2)의 유입관(1)으로부터 분기되어 2차 샘플링탱크(20)의 상단측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2차 유입관(19)이 분기되는 위치는 유입관(1)의 개폐밸브(V) 이전에 해당하는 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샘플링탱크(2)의 저장용기(6)와 2차 샘플링탱크(20)의 저장용기(24)는 원추형의 용기로 형성되며,
    상기 미생물검출기(7)(25)는 각각의 원추형 저장용기(6)(24) 하단 꼭지점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샘플링탱크(2)와 2차 샘플링탱크(20)의 하단측에 설치되는 여과수의 배출관(8)(26)은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드레인배관(10)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배관(10)으로부터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여과수회수관(11a)이 분기 형성되고, 상기 여과수회수관(11a)이 여과수탱크(11)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여과수탱크(11)로부터 린싱펌프(12)를 구비하는 배관이 연장 형성되고, 해당 배관이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2개의 린싱배관(13)(13a)으로 분기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린싱배관(13)(13a)이 1차 샘플링탱크(2)와 2차 샘플링탱크(20)의 내부에 구비된 여과기(3)(21)용 세척노즐(13b)(13c)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샘플링탱크(2)와 2차 샘플링탱크(20)의 하단측에 설치되는 여과수의 배출관(8)(26)은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드레인배관(10)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배관(10)으로부터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여과수회수관(11a)이 분기 형성되고, 상기 여과수회수관(11a)이 여과수탱크(11)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여과수탱크(11)로부터 린싱펌프(12)를 구비하는 배관이 연장 형성되고, 해당 배관이 개폐밸브(V)를 구비하는 2개의 린싱배관(13)(13a)으로 분기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린싱배관(13)(13a)이 1차 샘플링탱크(2)와 2차 샘플링탱크(20)의 내부에 구비된 여과기(3)(21)용 세척노즐(13b)(13c)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10019574A 2011-03-04 2011-03-04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0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574A KR101201446B1 (ko) 2011-03-04 2011-03-04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574A KR101201446B1 (ko) 2011-03-04 2011-03-04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581A KR20120100581A (ko) 2012-09-12
KR101201446B1 true KR101201446B1 (ko) 2012-11-14

Family

ID=4711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574A KR101201446B1 (ko) 2011-03-04 2011-03-04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382A (ko) * 2019-11-14 2021-05-24 (주) 테크로스 농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350B1 (ko) * 2016-11-22 2018-08-02 (주) 테크로스 샘플수 분석장치 및 방법
KR101844928B1 (ko) * 2016-11-24 2018-04-03 (주) 테크로스 샘플수 분석장치 및 방법
EP3584558A4 (en) * 2017-02-20 2020-12-30 Satake Corporation MICRO-ORGANISMS SAMPLING DEVICE
CN109580291A (zh) * 2017-09-29 2019-04-05 江苏商达水务有限公司 一种水样自动采集装置
KR102231443B1 (ko) * 2019-05-22 2021-03-24 (주) 테크로스 농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997B1 (ko) 2007-04-05 2009-03-25 (주)월드이엔지 영상처리를 이용한 선박 밸러스트 워터 검사 장치 및 그방법
WO2010022057A1 (en) 2008-08-18 2010-02-25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Method and system for biofouling control of shipboard compon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997B1 (ko) 2007-04-05 2009-03-25 (주)월드이엔지 영상처리를 이용한 선박 밸러스트 워터 검사 장치 및 그방법
WO2010022057A1 (en) 2008-08-18 2010-02-25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Method and system for biofouling control of shipboard compon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382A (ko) * 2019-11-14 2021-05-24 (주) 테크로스 농축장치
KR102259409B1 (ko) * 2019-11-14 2021-06-01 (주) 테크로스 농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581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446B1 (ko)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99084B1 (ko) 린싱기능을 향상시킨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샘플링장치
KR101495387B1 (ko)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KR101201963B1 (ko)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샘플링장치
US9074355B2 (en) Domestic water recycling apparatus and fluid contamination detection system therefor
RU2439000C2 (ru) Установка водоподготовки
US8142660B2 (en) Filtrate monitoring device, and filtrate monitoring system
EP2010901B1 (en) The ultra filtration system for on-line analyzer
CN106458674A (zh) 用于对水流进行净化和杀菌的系统和方法
US20080093277A1 (en) Cadence detection in a sequence of video fields
KR101108614B1 (ko) 밸러스트수 실시간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방법
CN106706946B (zh) 海水水样自动分配及反冲洗装置
JP5657872B2 (ja) 水質監視装置
KR20170138334A (ko)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CN203785929U (zh) 保持生物活性的船舶压载水取样装置
KR20190001295A (ko) 농축장치
KR101312590B1 (ko)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정량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JP2009244199A (ja) フジツボ類付着期幼生の検出システム
CN106645611A (zh) 一种基于鱼类和发光菌的综合毒性在线分析仪
CN108254367B (zh) 船载或岸基水体营养盐自动检测和预警装置及其方法
JP3675808B1 (ja) 水質監視装置
KR20160135020A (ko) 해양생물 실험의 다항목제어가 가능한 해수순환장치
KR101149523B1 (ko) 내부관 여과층 및 외부관 여과층으로 구성된 여과장치를 구비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102576339B1 (ko) 정수효율 교대순환 측정장치
KR200423610Y1 (ko) 온라인 분석기용 울트라 필터레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