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505B1 - 빌지 처리 탱크 - Google Patents

빌지 처리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505B1
KR101741505B1 KR1020150114776A KR20150114776A KR101741505B1 KR 101741505 B1 KR101741505 B1 KR 101741505B1 KR 1020150114776 A KR1020150114776 A KR 1020150114776A KR 20150114776 A KR20150114776 A KR 20150114776A KR 101741505 B1 KR101741505 B1 KR 101741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bilge
outlet
tank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0077A (ko
Inventor
구재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4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5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2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빌지 처리 탱크가 제공된다. 빌지 처리 탱크는, 탱크 본체; 상기 탱크 본체 내부로 빌지를 도입하는 빌지 도입구; 및 상기 탱크 본체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빌지로부터 폐유를 분리 배출하는 분리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 배출구는: 일단이 하부 차단판에 의해 폐쇄된 중공형 몸체; 상기 중공형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형 몸체를 제1 용적부 및 제2 용적부로 분리 및 차단하는 제1 차단판; 상기 제1 용적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배출구; 상기 제2 용적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배출구; 및 상기 제2 용적부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제1 유입 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빌지 처리 탱크{a bilge disposal tank}
본 발명은 빌지 처리 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용 빌지 처리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운항시나 정박시 기관의 가동, 청소 등으로 인하여 기름 성분이 많이 포함된 폐수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폐수는 선박의 밑바닥에 설치되는 빌지 탱크(bilge tank)에 수집되고, 이렇게 수집된 폐수는 선박 내에 설치된 유수분리장치를 통하여 여과, 분리시켜 정화된 물만 해상으로 배출시키고, 물과 분리 수집된 기름성분의 폐유는 드레인 탱크 안에 수집되어, 별도의 처리 방식, 예를 들어, 소각하는 방식으로 통해서 처리된다.
한국공개특허 KR 10-2014-0025697
빌지가 저장되는 빌지 탱크 그 자체 또는 이와 별도로 설치되는 빌지 처리 탱크는 빌지를 유수 분리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빌지 처리 탱크는 일반적으로 자연적 유수 분리 방식이라고 불리는 방식을 통해 빌지 내의 기름과 물을 분리하는 데, 이는 빌지를 탱크 내에서 유동이 적은 상태, 즉, 물과 기름의 혼합되지 않는 정적이 상태에서, 물에 비해 비중이 작아 떠오르는 기름 만을 분리 배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빌지 처리 탱크 내에 저장된 빌지의 양이 적어서, 빌지의 유수위가 낮을 경우, 물 위에서 부유하는 기름의 높이가 배출구의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자연적 유수 분리 방식을 사용하는 빌지 처리 탱크 내에, 하나의 기름 배출구만이 배치된 경우에, 적어도 빌지의 유수위가 배치된 배출구의 높이까지 차오를 필요가 있고, 이는 지속적으로 빌지를 처리하는 데 장애가 될 수 있고, 또한, 갑자기 많은 양의 빌지가 발생하는 등의 상황에서 적절하게 빌지를 처리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빌지의 양 또는 빌지의 수위에 따라 빌지를 유수 분리하는 빌지 처리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다 단순한 구조의 배출구 구조를 포함하는 빌지 처리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빌지 처리 탱크는, 탱크 본체; 상기 탱크 본체 내부로 빌지를 도입하는 빌지 도입구; 및 상기 탱크 본체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빌지로부터 폐유를 분리 배출하는 분리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 배출구는: 일단이 하부 차단판에 의해 폐쇄된 중공형 몸체; 상기 중공형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형 몸체를 제1 용적부 및 제2 용적부로 분리 및 차단하는 제1 차단판; 상기 제1 용적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배출구; 상기 제2 용적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배출구; 및 상기 제2 용적부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제1 유입 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리 배출구는: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 내부를 제1 격실 및 제2 격실로 분리하는 내부 격벽; 및 일단이 상기 제1 격실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격벽을 관통하며, 타단이 제2 격실 하부에 배치되는 격실간 빌지 전달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 배출구는 상기 제2 격실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분리 배출구는: 상기 분리 배출구의 타단을 폐쇄하는 상부 차단판 및 상기 제1 용적부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제2 유입 개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유입 개구는 상기 제2 용적부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리 배출구는: 상기 제1 차단판과 함께 상기 중공형 몸체를 제1 용적부, 제2 용적부 및 제3 용적부로 분리 및 차단하는 제2 차단판; 상기 제3 용적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3 배출구; 및 상기 제3 용적부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유입 개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공형 몸체는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이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탱크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탱크의 사시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의 분리 배출구를 도시한 투과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의 분리 배출구를 도시한 투과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의 분리 배출구를 도시한 투과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의 분리 배출구를 도시한 투과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의 분리 배출구를 도시한 투과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탱크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탱크의 사시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탱크(10)는, 탱크 본체(100), 탱크 본체(100)로 빌지를 도입하는 빌지 도입구(130), 및 탱크 본체(100)의 일측에 배치된 분리 배출구(200)를 포함한다.
탱크 본체(100)는, 예를 들어, 선박과 같은 구조물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용적을 갖는 육면체형, 원구형, 반원구형, 또는 원기둥형의 탱크 구조물일 수 있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직육면체 형의 탱크 본체(100)가 예시되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탱크 본체(100)는, 선박 자체가 선각화되어 내부 용적을 형성하는 탱크 구조물일 수도 있다.
빌지 도입구(130)는 탱크 본체(100)의 외부로부터 탱크 본체(100) 내부로 빌지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 운항시나 정박시 기관의 가동, 청소 등으로 인하여 기름 성분이 많이 포함된 폐수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기름, 오염물 및 물 등이 뒤섞인 폐수는 빌지로서 빌지 처리 탱크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빌지 도입구(130)는 빌지 탱크의 상면 또는 상부 측면으로부터 빌지 탱크 내부의 하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빌지는 빌지 탱크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분리 배출구는 탱크 본체(100) 내부로 도입된 빌지를 자연적 유수 분리 방식을 통해 빌지 내의 기름만을 분리 배출할 수 있다. 즉, 탱크 본체(100) 내부로 빌지가 도입된 이후, 빌지를 구성하는 오염물 및 기름 등은 그 비중이 물의 비중 보다 낮기 때문에 수면 위에서 부유할 수 있고, 분리 배출구는 수면 위에 부유하는 기름 등 오염물만을 분리하여 빌지 처리 탱크(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리 배출구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리 배출구는 제1 격실(102)에 배치된 제1 분리 배출구(140) 및 제2 격실(104)에 배치된 제2 분리 배출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분리 배출구(200)는 복수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통합형 분리 배출구 일 수 있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분리 배출구(200)는 제1 배출구(220) 및 제2 배출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리 배출구(140)는 제1 탱크 내 배출관(142), 제1 분리 밸브(144), 및 제1 탱크 외 배출관(146)에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분리된 기름 등 오염물을 탱크 외부의 제1 드레인(148)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제1 드레인(148)은 드레인 탱크(미도시)에 연결되어 기름 등의 오염물을 드레인 탱크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드레인(148)은 제2 격실(104)에 연결되어, 한번 걸러진 분리된 기름 등의 오염물을 제2 격실(104) 내에서 다시 분리하게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분리 배출구(200)의 제1 배출구(220)는 제2 탱크 내 배출관(162), 제2 분리 밸브(164), 및 제2 탱크 외 배출관(166)에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분리 배출구(200)의 제2 배출구(240)은 제3 탱크 내 배출관(172), 제3 분리 밸브(174), 및 제2 탱크 외 배출관(166)에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배출구(220) 및 제2 배출구(240)가 분리한 기름 등 오염물은 제2 탱크 외 배출관(166)을 통해 탱크 외부의 제2 드레인(178)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드레인(178)은 드레인 탱크(미도시)에 연결되어 기름 등의 오염물을 드레인 탱크로 전달할 수 있다.
탱크 본체(100) 내부에는, 내부 격벽(110)이 배치될 수 있고, 제1 격실(102) 및 제2 격실(104)은 내부 격벽(110)에 의해 분리된 탱크 본체(100) 내부의 용적부일 수 있다.
탱크 본체(100) 내부에는, 격실간 빌지 전달관(120)이 형성될 수 있고, 격실간 빌지 전달관(120)은 그 일단이 제1 격실(102)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 격벽(110)을 관통하며 그 타단이 제2 격실(10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격실(102)에서 점점 차오르는 빌지는 격실간 빌지 전달관(120)에 의해 제2 격실(104)의 하부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의 분리 배출구를 도시한 투과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의 제2 분리 배출구(200)는 중공형 몸체, 중공형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차단판,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를 포함한다.
중공형 몸체는 그 일단이 개방되어 제1 유입 개구(210)를 형성하고 그 타단이 하부 차단판(26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공형 몸체는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 용적을 갖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내부에 용적을 갖는 다양한 중공 형상일 수 있다.
제1 차단판(250)은, 중공형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형 몸체를 제1 용적부(160)와 제2 용적부(170)로 분리할 수 있고, 제1 용적부(160) 및 제2 용적부(170)는 제1 차단판(250)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유체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제1 배출구(220)는 제1 용적부(160)의 일측 하단부에 배치되어 제1 용적부(160)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출구(240)는 제2 용적부(170)의 일측 하단부에 배치되어 제2 용적부(170)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제1 배출구(220) 및 제2 배출구(240)은 각각 제1 플랜지(222) 및 제2 플랜지(242)에 연결되어 탱크 외부 또는 탱크 내부의 연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용적부(170)의 일측 상부에는 제2 유입 개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유입 개구(230)는 제2 용적부(170)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릿의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유입 개구(230)는 복수의 측면에 형성된 절개 형상일 수 있고, 또는 복수의 개구가 하나 이상의 측면 상에 걸쳐 형성된 형상일 수도 있다.
빌지 처리 탱크의 제2 격실(104)에 빌지가 차오를 때, 기름 등 오염물은 우선 제2 유입 개구(230)를 통해 제2 용적부(170)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제2 용적부(170) 내로 유입된 기름 등의 오염물은 제2 배출구(240)을 통해 탱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만일, 빌지 처리 탱크의 제2 격실(104)의 빌지의 수위가 제2 유입 개구(230) 이상으로 높아질 때, 제2 배출구(240)에 연결된 제3 분리 밸브(도 1의 174)를 폐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기름이 아닌 물 등이 탱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빌지 처리 탱크의 제2 격실(104)의 빌지의 수위가 제1 유입 개구(210)의 높이까지 차오를 때, 기름 등의 오염물은 제1 유입 개구(210)을 통해 제1 용적부(160)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제1 용적부(160) 내로 유입된 기름 등의 오염물은 제1 배출구(220)을 통해 탱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만일, 빌지 처리 탱크의 제2 격실(104)의 빌지의 수위가 제1 유입 개구(210) 이상으로 높아질 때, 제1 배출구(220)에 연결된 제2 분리 밸브(도 1의 164)를 폐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기름이 아닌 물 등이 태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탱크 하부에 마련된 배수구(미도시)를 개방하여, 기름 등 오염물이 분리된 물을 외부, 예를 들어, 해상으로 방류할 수 있고, 차후의 빌지 처리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는, 빌지가 탱크 내에 차오르는 수위에 따라 계속적으로 빌지의 유수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하부에 복수개 설치된 분리 배출구가 하나의 구성, 즉, 중공형 몸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제2 분리 배출구(200)으로 통합 형성됨으로써, 그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의 분리 배출구를 도시한 투과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의 분리 배출구(400)는 중공형 몸체, 중공형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차단판(450), 제1 배출구(420) 및 제2 배출구(440)를 포함한다.
중공형 몸체는 그 일단이 상부 차단판(4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그 타단이 하부 차단판(46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공형 몸체는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 용적을 갖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내부에 용적을 갖는 다양한 중공 형상일 수 있다.
제1 차단판(450)은, 중공형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형 몸체를 제1 용적부(402)와 제2 용적부(404)로 분리할 수 있다. 제1 용적부(402) 및 제2 용적부(404)는 제1 차단판(450)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유체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제1 배출구(420)는 제1 용적부(460)의 일측 하단부에 배치되어 제1 용적부(460)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출구(440)는 제2 용적부(404)의 일측 하단부에 배치되어 제2 용적부(404)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제1 배출구(420) 및 제2 배출구(440)는 각각 제1 플랜지(422) 및 제2 플랜지(442)에 연결되어 탱크 외부 또는 탱크 내부의 연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용적부(402)의 일측 상부에는 제1 유입 개구(430)가 형성되고, 제2 용적부(404)의 일측 상부에는 제2 유입 개구(432)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유입 개구(430) 및 제2 유입 개구(432)는 제1 용적부(402) 또는 제2 용적부(404)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릿의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유입 개구(430) 또는 제2 유입 개구(432)는 복수의 측면에 형성된 절개 형상일 수 있고, 또는 복수의 개구가 하나 이상의 측면 상에 걸쳐 형성된 형상일 수도 있다.
빌지 처리 탱크 내에 차오르는 빌지는 우선, 제2 유입 개구(432)를 통해 제2 용적부(404) 내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고, 이후 제1 유입 개구(430)를 통해 제1 용적부(402) 내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의 분리 배출구를 도시한 투과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의 분리 배출구(500)는 중공형 몸체, 중공형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차단판(550), 제1 배출구(520) 및 제2 배출구(540)를 포함한다.
중공형 몸체는 그 일단이 개방되어 제1 유입 개구(510)을 형성하며, 그 타단이 하부 차단판(56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공형 몸체는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 용적을 갖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내부에 용적을 갖는 다양한 중공 형상일 수 있다.
제1 차단판(550)은, 중공형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형 몸체를 제1 용적부(502)와 제2 용적부(504)로 분리할 수 있다. 제1 용적부(502) 및 제2 용적부(504)는 제1 차단판(550)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유체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제1 배출구(520)는 제1 용적부(502)의 일측 하단부에 배치되어 제1 용적부(502)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출구(540)는 제2 용적부(504)의 일측 하단부에 배치되어 제2 용적부(504)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제1 배출구(520) 및 제2 배출구(540)는 각각 제1 플랜지(522) 및 제2 플랜지(542)에 연결되어 탱크 외부 또는 탱크 내부의 연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용적부(502)의 상부는 개방되어 제1 유입 개구(510)을 형성하고, 제2 용적부(504)의 일측 상부에는 유입 개구(530)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 개구(530)는 제2 용적부(504)의 네 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빌지 처리 탱크 내에 차오르는 빌지는 우선, 유입 개구(530)를 통해 제2 용적부(504) 내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고, 이후 제1 유입 개구(510)를 통해 제1 용적부(502) 내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의 분리 배출구를 도시한 투과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의 분리 배출구(600)는 중공형 몸체, 중공형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차단판(650) 와 제2 차단판(660), 제1 배출구(620), 제2 배출구(640) 및 제3 배출구(680)를 포함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는 두 개 보다 많은, 예를 들어, 세 개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분리 배출구(600)을 형성한다.
중공형 몸체는 그 일단이 개방되어 제1 유입 개구(610)을 형성하며, 그 타단이 하부 차단판(67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공형 몸체는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 용적을 갖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내부에 용적을 갖는 다양한 중공 형상일 수 있다.
제1 차단판(650) 및 제2 차단판(660)은, 중공형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형 몸체를 제1 용적부(602), 제2 용적부(604), 및 제3 용적부(606)로 분리할 수 있다. 제1 용적부(602) 및 제2 용적부(604)는 제1 차단판(650)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유체 연통이 차단되며, 제2 용적부(604) 및 제3 용적부(606)는 제2 차단판(660)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유체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제1 배출구(620)는 제1 용적부(602)의 일측 하단부에 배치되어 제1 용적부(602)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출구(640)는 제2 용적부(604)의 일측 하단부에 배치되어 제2 용적부(604)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3 배출구(680)는 제3 용적부(6066)의 일측 하단부에 배치되어 제3 용적부(606)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제1 배출구(620), 제2 배출구(640), 및 제3 배출구(660)는 각각 제1 플랜지(622), 제2 플랜지(642) 및 제3 플랜지(682)에 연결되어 탱크 외부 또는 탱크 내부의 연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용적부(602)의 상부는 개방되어 제1 유입 개구(610)을 형성하고, 제2 용적부(604)의 일측 상부에는 제2 유입 개구(630)가 형성되며, 제3 용적부(606)의 일측 상부에는 제3 유입 개구(635)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유입 개구(630) 및 제3 유입 개구(635)는 제2 용적부(604) 또는 제3 용적부(606)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릿의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유입 개구(630) 또는 제3 유입 개구(635)는 복수의 측면에 형성된 절개 형상일 수 있고, 또는 복수의 개구가 하나 이상의 측면 상에 걸쳐 형성된 형상일 수도 있다.
빌지 처리 탱크 내에 차오르는 빌지는 우선, 제3 유입 개구(635)를 통해 제3 용적부(606) 내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고, 이후, 제2 유입 개구(630)를 통해 제2 용적부(604) 내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고, 이어 제1 유입 개구(610)를 통해 제1 용적부(602) 내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의 분리 배출구를 도시한 투과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지 처리 장치의 분리 배출구(700)는 원기둥형의 중공형 몸체를 포함하는 점에서 도 3에 도시된 분리 배출구(200)과 차별화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빌지 처리 장치는 단면이 원형인 중공형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배출구(200)의 중공형 몸체의 형상의 차이 및 그에 상응하는 다른 구성들의 형상의 차이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 및 구성을 가진다. 이에,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도 7의 세부 구성에 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100: 탱크 본체 130: 빌지 도입구
200: 분리 배출구 210: 제1 배출구
240: 제2 배출구 160: 제1 용적부
170: 제2 용적부 250: 제1 차단판

Claims (6)

  1. 탱크 본체;
    상기 탱크 본체 내부로 빌지를 도입하는 빌지 도입구; 및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빌지로부터 폐유를 분리 배출하는 분리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 배출구는,
    일단이 하부 차단판에 의해 폐쇄된 중공형 몸체; 및
    상기 중공형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형 몸체를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제1 용적부 및 제2 용적부로 분리 및 차단하는 제1 차단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용적부 및 상기 제2 용적부는 상기 탱크 본체에 수용된 빌지의 유입을 위한 제1 유입 개구 및 제2 유입 개구를 각각 구비하는 빌지 처리 탱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를 제1 격실 및 제2 격실로 분리하는 내부 격벽; 및
    일단이 상기 제1 격실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격벽을 관통하며, 타단이 상기 제2 격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격실간 빌지 전달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 배출구는 상기 제2 격실에 배치되는, 빌지 처리 탱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배출구는 상기 분리 배출구의 타단을 폐쇄하는 상부 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빌지 처리 탱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 개구는 상기 제2 용적부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들을 포함하는, 빌지 처리 탱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배출구는,
    상기 제1 용적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용적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빌지 처리 탱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배출구는,
    상기 제1 차단판과 함께 상기 중공형 몸체를 제1 용적부, 제2 용적부 및 제3 용적부로 분리 및 차단하는 제2 차단판;
    상기 제3 용적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3 배출구; 및
    상기 제3 용적부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제3 유입 개구를 더 포함하는, 빌지 처리 탱크.
KR1020150114776A 2015-08-13 2015-08-13 빌지 처리 탱크 KR101741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776A KR101741505B1 (ko) 2015-08-13 2015-08-13 빌지 처리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776A KR101741505B1 (ko) 2015-08-13 2015-08-13 빌지 처리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077A KR20170020077A (ko) 2017-02-22
KR101741505B1 true KR101741505B1 (ko) 2017-05-30

Family

ID=5831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776A KR101741505B1 (ko) 2015-08-13 2015-08-13 빌지 처리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5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401B1 (ko) 2012-08-22 2019-07-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077A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8352B1 (en) Separators
KR100900714B1 (ko)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는 장치
KR20110105332A (ko)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KR101796531B1 (ko) 생활 하수 다단 유수 분리 여과조
US3240343A (en) Combined septic tank and leaching pool
KR101741505B1 (ko) 빌지 처리 탱크
KR101547961B1 (ko) 휴대용 유수분리장치
KR20150011138A (ko) 선박의 폐유 처리 시스템
KR101460958B1 (ko)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KR20050100503A (ko) 유수분리기
KR101860121B1 (ko) 유수분리기
CN110652764B (zh) 分离装置
KR101411643B1 (ko) 유수 분리 장치
KR102003401B1 (ko)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EP3093053B1 (en) One-piece clarifiying tank
JP2000153102A (ja) 油水分離前処理タンク
KR20200084665A (ko) 오수 처리 장치
CN205821021U (zh) 生活污水油水分离一体化处理装置
KR101556209B1 (ko) 오염수 처리장치
JP7448269B1 (ja) 油水分離装置及び油水分離方法
CN217555915U (zh) 一种油水分离机
CN212050812U (zh) 一种石化污水处理装置
KR20150030485A (ko) 빌지 처리장치
CN213609927U (zh) 聚乙烯醇发泡海绵基罐式分离装置和油水分离系统
KR20130003766U (ko) 파이프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