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643B1 - 유수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유수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643B1
KR101411643B1 KR1020130037075A KR20130037075A KR101411643B1 KR 101411643 B1 KR101411643 B1 KR 101411643B1 KR 1020130037075 A KR1020130037075 A KR 1020130037075A KR 20130037075 A KR20130037075 A KR 20130037075A KR 101411643 B1 KR101411643 B1 KR 101411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 tank
water
tank
slop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일
김원모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7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12Auxiliary equipment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with liquid-separating apparatus, e.g. control circu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유수 분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는, 물과 기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제1 슬롭탱크와 제2 슬롭탱크와, 제1 슬롭탱크와 제2 슬롭탱크에 각각 연결되어 기름이 섞인 물(oily water)을 공급하는 제1 유입라인과 제2 유입라인과, 일 측이 제1 슬롭탱크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 측이 제2 슬롭탱크에 연결되어 제1 슬롭탱크에서 분리된 물을 제2 슬롭탱크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라인, 및 일 측이 제2 슬롭탱크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 측이 제1 슬롭탱크에 연결되어 제2 슬롭탱크에서 분리된 물을 제1 슬롭탱크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라인을 포함하며, 제1 유입라인과 제2 유입라인은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제1 슬롭탱크와 제2 슬롭탱크 중 어느 하나를 유수분리탱크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를 물저장탱크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수 분리 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oily-water}
본 발명은 유수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유수분리탱크와 물저장탱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수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기름에 의한 해상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슬롭탱크(Slop Tank)가 설치된다. 슬롭탱크는 각종 탱크와 송유관을 세정할 때 발생되는 오수, 유수 등의 유성혼합물이 유입되어 유수 분리가 이루어지는 탱크이다. 이러한 슬롭탱크는 유수분리가 이루어지는 더티 슬롭탱크(Dirty Slop Tank)와 분리된 물이 저장되는 클린 슬롭탱크(Clean Slop Tank)로 구성된다. 유성혼합물은 모두 더티 슬롭탱크로 유입되며, 더티 슬롭탱크에서는 유입된 유성혼합물이 중력분리를 통해 물과 기름으로 분리된다. 분리된 기름은 별도의 펌핑 장치(pumping system)를 통해 흡입되어 기름 저장탱크로 재유입되거나, 필요한 곳에 재활용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물은 더티 슬롭탱크와 연결된 클린 슬롭탱크로 이송되어 별도의 정화 과정을 거쳐 해상으로 배출된다.
한편, 더티 슬롭탱크와 클린 슬롭탱크가 독립적으로 사용됨에 따라, 더티 슬롭탱크의 유지 보수가 요구되는 경우 유성혼합물을 저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유성혼합물이 해상에 그대로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필요에 따라 유수분리탱크와 물저장탱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수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는, 물과 기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제1 슬롭탱크와 제2 슬롭탱크와, 상기 제1 슬롭탱크와 상기 제2 슬롭탱크에 각각 연결되어 기름이 섞인 물(oily water)을 공급하는 제1 유입라인과 제2 유입라인과, 일 측이 상기 제1 슬롭탱크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제2 슬롭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슬롭탱크에서 분리된 상기 물을 상기 제2 슬롭탱크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라인, 및 일 측이 상기 제2 슬롭탱크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제1 슬롭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슬롭탱크에서 분리된 상기 물을 상기 제1 슬롭탱크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입라인과 상기 제2 유입라인은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 슬롭탱크와 상기 제2 슬롭탱크 중 어느 하나를 유수분리탱크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를 물저장탱크로 사용한다.
상기 제1 이송라인과 상기 제2 이송라인에 각각 설치된 제1 이송밸브와 제2 이송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기름이 섞인 물(oily water)이 상기 제1 슬롭탱크로 유입될 때 상기 제1 이송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기름이 섞인 물이 상기 제2 슬롭탱크로 유입될 때 상기 제2 이송밸브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라인과 상기 제2 이송라인은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며, 상기 제1 이송라인과 상기 제2 이송라인은, 상기 제1 슬롭탱크와 상기 제2 슬롭탱크 내부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수직관과 제2 수직관과, 상기 제1 수직관과 상기 제2 수직관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관과 상기 제2 수직관은 상기 수평관을 사이에 두고 각각 상단과 하단에 제어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수분리탱크와 물저장탱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유수분리탱크의 유지 보수가 요구되는 경우에도 유성혼합물을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유성혼합물이 해상에 그대로 배출되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추가 구성만으로 실현이 가능하여, 슬롭탱크를 갖춘 종래의 모든 선박 및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수 분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1)는 기름이 섞인 물(Oily Water)을 중력분리를 통해 물과 기름으로 분리하는데 사용하는 장치로서, 유조선 등과 같이 액체화물을 수송하는 선박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유수 분리 장치(1)가 액체화물을 수송하는 선박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중력분리를 통해 물과 기름을 분리하는 다양한 구조물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유수 분리 장치(1)는 유수분리가 이루어지는 유수분리탱크와 분리된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어떠한 경우에도 기름이 섞인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기름이 섞인 물이 해상으로 그대로 배출되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유수 분리 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1)는 제1 슬롭탱크(10) 및 제2 슬롭탱크(20)와, 제1 슬롭탱크(10)와 제2 슬롭탱크(20)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유입라인(11) 및 제2 유입라인(21)과, 제1 슬롭탱크(10)와 제2 슬롭탱크(20)로부터 분리된 물이 이동하는 제1 이송라인(13) 및 제2 이송라인(23)을 포함한다.
제1 슬롭탱크(10)와 제2 슬롭탱크(20)는 물과 기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 등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슬롭탱크(10)와 제2 슬롭탱크(2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물 또는 기름이 섞인 물을 선택적으로 수용한다. 다시 말해, 제1 슬롭탱크(10)와 제2 슬롭탱크(20)는 동시에 물을 수용하거나 동시에 기름이 섞인 물을 수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슬롭탱크(10)에 기름이 섞인 물이 수용되는 경우 제2 슬롭탱크(20)에는 물이 수용되며, 제2 슬롭탱크(20)에 기름이 섞인 물이 수용되는 경우 제1 슬롭탱크(10)에는 물이 수용된다. 제1 슬롭탱크(10)와 제2 슬롭탱크(20)에는 각각 제1 유입라인(11)과 제2 유입라인(21)이 연결된다.
제1 유입라인(11)과 제2 유입라인(21)은 각각 제1 슬롭탱크(10)와 제2 슬롭탱크(20)에 기름이 섞인 물을 공급하는 통로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중공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입라인(11)의 일 측에는 제1 유입밸브(12)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입밸브(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1 슬롭탱크(10)에 기름이 섞인 물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유입라인(11)은 제1 슬롭탱크(10)의 상부를 관통하여 단부가 제1 슬롭탱크(10)의 내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입라인(11)의 단부가 제1 슬롭탱크(10)의 내벽을 향해 배치됨으로써, 공급되는 유체와 저장된 유체의 충돌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유체가 제1 슬롭탱크(10)의 바닥에 직접적으로 타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유입라인(21)은 제1 유입라인(11)으로부터 분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유입라인(21)이 제1 유입라인(11)으로부터 분지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입라인(21)은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입라인(21)의 일 측에는 제2 유입밸브(22)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유입밸브(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2 슬롭탱크(20)에 기름이 섞인 물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유입라인(21)은 제2 슬롭탱크(20)의 상부를 관통하여 단부가 제2 슬롭탱크(20)의 내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입라인(11)과 제2 유입라인(21)은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제1 슬롭탱크(10)와 제2 슬롭탱크(20) 중 어느 하나를 유수분리탱크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를 물저장탱크로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유입라인(11)에 형성된 제1 유입밸브(12)가 개방되어 제1 슬롭탱크(10)로 기름이 섞인 물이 공급되면, 제2 유입라인(21)에 형성된 제2 유입밸브(22)는 폐쇄되어 제2 슬롭탱크(20)로 기름이 섞인 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제1 슬롭탱크(10)는 유수분리탱크로 사용되고, 제2 슬롭탱크(20)는 물저장탱크로 사용된다. 반대로, 제2 유입밸브(22)가 개방되어 제2 슬롭탱크(20)로 기름이 섞인 물이 공급되면, 제1 유입밸브(12)는 폐쇄되어 제1 슬롭탱크(10)로 기름이 섞인 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제2 슬롭탱크(20)는 유수분리탱크로 사용되며, 제1 슬롭탱크(10)는 물저장탱크로 사용된다.
제1 슬롭탱크(10) 또는 제2 슬롭탱크(20)에 선택적으로 공급된 기름이 섞인 물은 중력분리를 통해 물과 기름으로 분리된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물은 아래쪽에 배치되며, 밀도가 작은 기름은 물의 위쪽으로 배치되어 물과 기름은 완전히 분리된다.
한편, 제1 슬롭탱크(10)와 제2 슬롭탱크(20) 사이에는 제1 이송라인(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송라인(13)은 제1 슬롭탱크(10)에서 분리된 물을 제2 슬롭탱크(20)로 이동시키는 통로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중공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송라인(13)은 일 측이 제1 슬롭탱크(1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 측이 제2 슬롭탱크(2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슬롭탱크(10)에서 분리된 물은 제1 이송라인(13)을 통해 제2 슬롭탱크(20)로 이동된다. 제2 슬롭탱크(20)에 연결된 제1 이송라인(13)의 단부는 제2 슬롭탱크(20)의 상부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송라인(13)의 일 측에는 제1 이송밸브(14)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이송밸브(14)는 제1 슬롭탱크(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이송라인(13)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송밸브(14)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이송라인(13) 상에 설치된 제1 이송밸브(14)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분리된 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이송밸브(14)는 기름이 섞인 물이 제1 슬롭탱크(10)로 유입되었을 때만 개방된다. 이러한 제1 이송라인(13)과 나란하게 제2 이송라인(23)이 배치된다.
제1 슬롭탱크(10)와 제2 슬롭탱크(20) 사이에는 제2 이송라인(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송라인(23)은 제2 슬롭탱크(20)에서 분리된 물을 제1 슬롭탱크(10)로 이동시키는 통로로, 제1 이송라인(13)과 같이 일정한 직경을 갖는 중공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송라인(23)은 일 측이 제2 슬롭탱크(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 측이 제1 슬롭탱크(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슬롭탱크(20)에서 분리된 물은 제2 이송라인(23)을 통해 제1 슬롭탱크(10)로 이동한다. 제1 슬롭탱크(10)에 연결된 제2 이송라인(23)의 단부는 제1 슬롭탱크(10)의 상부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송라인(23)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송밸브(2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이송밸브(24)는 제2 슬롭탱크(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송라인(23) 상에 설치된 제2 이송밸브(24)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분리된 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이송밸브(24)는 기름이 섞인 물이 제2 슬롭탱크(20)로 유입되었을 때만 개방된다.
한편, 제1 슬롭탱크(10)와 제2 슬롭탱크(20)의 하부에는 제1 배출라인(15)과 제2 배출라인(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라인(15)과 제2 배출라인(25)은 각각 제1 슬롭탱크(10)와 제2 슬롭탱크(2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중공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라인(15)과 제2 배출라인(25) 상에는 별도의 정화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분리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배출라인(15)과 제2 배출라인(25)은 단부가 해상으로 개방되어 있어 분리된 물은 정화과정을 거쳐 해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출라인(15)과 제2 배출라인(25)은 일 측이 서로 통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배출라인(15)과 제2 배출라인(25)의 일 측이 서로 통합되거나 단부가 해상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배출라인(15)의 일 측에는 제1 배출밸브(16)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배출밸브(16)는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제1 슬롭탱크(10)에 저장된 물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배출밸브(16)는 제2 이송밸브(24)와 같이 기름이 섞인 물이 제2 슬롭탱크(20)에 유입되었을 때만 개방된다.
제2 배출라인(25)의 일 측에는 제2 배출밸브(26)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배출밸브(26)는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제2 슬롭탱크(20)에 저장된 물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배출밸브(26)는 제1 이송밸브(14)와 같이 기름이 섞인 물이 제1 슬롭탱크(10)에 유입되었을 때만 개방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유수 분리 장치(1)의 동작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유수 분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1)는 제1 슬롭탱크(10)와 제2 슬롭탱크(20)에 선택적으로 기름이 섞인 물을 유입하여 어느 하나를 유수분리탱크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를 물저장탱크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슬롭탱크(10)와 제2 슬롭탱크(20) 중 어느 하나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다른 하나에 기름이 섞인 물을 저장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슬롭탱크(10)를 유수분리탱크로, 제2 슬롭탱크(20)를 물저장탱크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먼저, 제1 유입밸브(12)를 개방하여 기름이 섞인 물이 제1 유입라인(11)을 통해 제1 슬롭탱크(10)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 때, 제2 유입밸브(22)는 폐쇄하여 기름이 섞인 물이 제2 슬롭탱크(20)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배출밸브(16)는 폐쇄하고 제2 배출밸브(26)는 개방한다. 제1 유입라인(11)으로 공급된 기름이 섞인 물은 제1 슬롭탱크(10)의 내벽을 향해 배출되며, 제1 슬롭탱크(10)에 저장된다.
제1 슬롭탱크(10)에 저장된 물은 일정 시간을 거쳐 중력분리를 통해 물과 기름으로 분리된다. 밀도가 큰 물은 아래쪽에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밀도가 작은 기름은 물의 위쪽으로 배치된다. 물과 기름이 완전히 분리되면, 제1 이송밸브(14)를 개방하여 분리된 물이 제1 이송라인(13)을 통해 제2 슬롭탱크(20)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 때, 제2 이송라인(23)에 형성된 제2 이송밸브(24)는 폐쇄한다. 제1 이송라인(13)을 통해 제2 슬롭탱크(20)로 이동된 물은 제2 배출라인(25)을 통해 정화과정을 거쳐 제2 슬롭탱크(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1)는 제1 이송라인(13)과 제2 이송라인(23)이 적어도 일부를 공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1)는 제1 이송라인(13)과 제2 이송라인(23)이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이송라인(13)과 제2 이송라인(23)은 제1 수직관(17)과 제2 수직관(27), 및 수평관(28)을 포함한다.
제1 수직관(17)은 제1 슬롭탱크(1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중공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직관(17)은 제1 슬롭탱크(10)의 상부와 하부를 향해 배치된다. 제2 수직관(27)은 제2 슬롭탱크(2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제1 수직관(17)과 같이 일정한 직경을 갖는 중공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직관(27)은 제2 슬롭탱크(20)의 상부와 하부를 향해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수직관(17)과 제2 수직관(27)은 수평관(2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수평관(28)은 제1 수직관(17)과 제2 수직관(27)을 연결하는 것으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중공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관(28)은 일 측이 제1 수직관(17)에 연결되고 타 측이 제2 수직관(27)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수직관(17)과 제2 수직관(27)은 서로 연통되어 제1 슬롭탱크(10)에서 분리된 물을 제2 슬롭탱크(20)로 이동시키거나, 제2 슬롭탱크(20)에서 분리된 물을 제1 슬롭탱크(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슬롭탱크(10)에서 분리된 물은 제1 수직관(17), 수평관(28), 제2 수직관(27)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2 슬롭탱크(20)로 이동된다. 반대로, 제2 슬롭탱크(20)에서 분리된 물은 제2 수직관(27), 수평관(28), 제1 수직관(17)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1 슬롭탱크(10)로 이동된다.
제1 수직관(17)과 제2 수직관(27)은 수평관(28)을 사이에 두고 각각 상단과 하단에 제어밸브(29)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직관(17)과 제2 수직관(27)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어밸브(29)가 설치됨으로써, 물의 이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름이 섞인 물이 제2 유입라인(21)을 통해 제2 슬롭탱크(20)로 공급되는 경우, 기름과 물이 완전히 분리되면 제2 수직관(27)의 상단에 설치된 제어밸브(29)는 폐쇄하고 하단에 설치된 제어밸브(29)만 개방한다. 분리된 물은 제2 수직관(27)의 하부로 유입되어 수평관(28)을 지나 제1 수직관(17)으로 배출된다. 이 때, 제1 수직관(17)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제어밸브(29)는 모두 개방하여 물의 이동이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1 슬롭탱크(10)로 이동된 물은 제1 배출라인(15)을 통해 정화과정을 거쳐 제1 슬롭탱크(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유수 분리 장치 10: 제1 슬롭탱크
11: 제1 유입라인 12: 제1 유입밸브
13: 제1 이송라인 14: 제1 이송밸브
15: 제1 배출라인 16: 제1 배출밸브
17: 제1 수직관 20: 제2 슬롭탱크
21: 제2 유입라인 22: 제2 유입밸브
23: 제2 이송라인 24: 제2 이송밸브
25: 제2 배출라인 26: 제2 배출밸브
27: 제2 수직관 28: 수평관
29: 제어밸브

Claims (4)

  1. 물과 기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제1 슬롭탱크와 제2 슬롭탱크;
    상기 제1 슬롭탱크와 상기 제2 슬롭탱크에 각각 연결되어 기름이 섞인 물(oily water)을 공급하는 제1 유입라인과 제2 유입라인;
    일 측이 상기 제1 슬롭탱크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제2 슬롭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슬롭탱크에서 분리된 상기 물을 상기 제2 슬롭탱크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라인; 및
    일 측이 상기 제2 슬롭탱크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제1 슬롭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슬롭탱크에서 분리된 상기 물을 상기 제1 슬롭탱크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입라인과 상기 제2 유입라인은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 슬롭탱크와 상기 제2 슬롭탱크 중 어느 하나를 유수분리탱크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를 물저장탱크로 사용하는 유수 분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라인과 상기 제2 이송라인에 각각 설치된 제1 이송밸브와 제2 이송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기름이 섞인 물(oily water)이 상기 제1 슬롭탱크로 유입될 때 상기 제1 이송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기름이 섞인 물이 상기 제2 슬롭탱크로 유입될 때 상기 제2 이송밸브가 개방되는 유수 분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라인과 상기 제2 이송라인은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며,
    상기 제1 이송라인과 상기 제2 이송라인은,
    상기 제1 슬롭탱크와 상기 제2 슬롭탱크 내부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수직관과 제2 수직관;
    상기 제1 수직관과 상기 제2 수직관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관을 더 포함하는 유수 분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관과 상기 제2 수직관은 상기 수평관을 사이에 두고 각각 상단과 하단에 제어밸브가 설치되는 유수 분리 장치.
KR1020130037075A 2013-04-04 2013-04-04 유수 분리 장치 KR101411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75A KR101411643B1 (ko) 2013-04-04 2013-04-04 유수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75A KR101411643B1 (ko) 2013-04-04 2013-04-04 유수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643B1 true KR101411643B1 (ko) 2014-06-25

Family

ID=5113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075A KR101411643B1 (ko) 2013-04-04 2013-04-04 유수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6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370A (ko) * 2018-05-16 2019-11-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20190131374A (ko) * 2018-05-16 2019-11-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2662A (en) * 1978-01-30 1979-08-13 Hitachi Zosen Corp Method of accelerating separation of oil and water
JPH0431542B2 (ko) * 1986-08-29 1992-05-26
KR20060050646A (ko) * 2004-09-03 2006-05-19 비 플러스 브이 인더스트리테크닉 게엠베하 액체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장치
KR100583432B1 (ko) 2005-02-16 2006-05-29 박광주 유수분리기의 병렬운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2662A (en) * 1978-01-30 1979-08-13 Hitachi Zosen Corp Method of accelerating separation of oil and water
JPH0431542B2 (ko) * 1986-08-29 1992-05-26
KR20060050646A (ko) * 2004-09-03 2006-05-19 비 플러스 브이 인더스트리테크닉 게엠베하 액체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장치
KR100583432B1 (ko) 2005-02-16 2006-05-29 박광주 유수분리기의 병렬운전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370A (ko) * 2018-05-16 2019-11-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20190131374A (ko) * 2018-05-16 2019-11-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102104171B1 (ko) * 2018-05-16 2020-04-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102162160B1 (ko) * 2018-05-16 2020-10-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1516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утечки среды через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183611B1 (ko)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를 구비한 해양구조물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2555682B1 (ko) 선박배기가스의 세정배수처리장치
KR101411643B1 (ko) 유수 분리 장치
KR101036625B1 (ko) 선박용 밸러스트 시스템
CN110461772A (zh) 废水处理系统和船舶
CA2799808C (en) Vehicle-mounted vacuum system and method of separating liquid and solids fractions of a sludge-like mixture inside a container
US10118840B2 (en) Centrifugal solid-liquid separation device and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same
KR20150011138A (ko) 선박의 폐유 처리 시스템
KR101854750B1 (ko) 선박 화물창의 빌지 배출 설비
KR20110096879A (ko) 안티 힐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KR101295663B1 (ko) 유수분리용 세틀링탱크가 구비된 선박
US9745024B2 (en) Recessed barge design
KR101741505B1 (ko) 빌지 처리 탱크
KR101954810B1 (ko) 누출 기름 처리장치
KR101358306B1 (ko)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107675B1 (ko) 외부 평형수 처리용 선박
KR101516288B1 (ko) 해저 구조체 내부의 기름 분리 선박 및 그 제어 방법
KR101280473B1 (ko) 밸러스트수 살균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2011504798A (ja) 液処理装置
KR101744640B1 (ko) 선박용 친환경 밸러스팅 장치
US3059664A (en) Marine loading dock
TW200720196A (en) Oily water separator
KR20150000275A (ko) 해양플랜트용 해양자원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플랜트
KR101572442B1 (ko) 기름의 재분리 기능을 구비한 가스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