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810B1 - 누출 기름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누출 기름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810B1
KR101954810B1 KR1020170092957A KR20170092957A KR101954810B1 KR 101954810 B1 KR101954810 B1 KR 101954810B1 KR 1020170092957 A KR1020170092957 A KR 1020170092957A KR 20170092957 A KR20170092957 A KR 20170092957A KR 101954810 B1 KR101954810 B1 KR 101954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ischarge pipe
accommodating portion
flammable liquid
flamm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325A (ko
Inventor
이충현
류용희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2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8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63B17/0036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누출 기름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화성 액체의 누출 가능성이 있는 설비의 하측에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배출관; 및 상기 수용부에 상기 인화성 액체보다 비중이 크고 상기 인화성 액체와 비중 차이에 의해 층상 구조를 형성하는 불연성 액체를 주입하는 유체주입부를 포함하는 누출 기름 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누출 기름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OIL LEAKAGE}
본 발명은 누출 기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갑판에는 기름을 저장하거나 처리하는 각종 설비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설비에서 기름이 누출될 경우, 누출 기름은 갑판을 따라 이동하면서 주변 설비로 확산될 수 있다. 누출 기름의 확산 방향 및 범위는 롤러(rolling), 피칭(pitching), 상하동요(heave)와 같은 선체 운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기름 누출 사고 직후에 이를 예측하고 대처하기는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다.
종래 갑판에는 누출 기름이 주변 설비로 확산되지 않도록 누출 기름을 일시 수용하는 제방(bunding)을 설치하고, 제방에 고인 기름은 드레인 시스템을 통해 배출시켰다. 하지만, 제방에 고인 기름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다면 잔류 기름에 의해 오히려 화재 가능성을 높일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2661호(2016.01.08, 모듈러 화재 방재 플로어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누출된 인화성 액체가 배출관을 통해 바로 배출되게 하는 누출 기름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화성 액체의 누출 가능성이 있는 설비의 하측에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배출관; 및 상기 수용부에 상기 인화성 액체보다 비중이 크고 상기 인화성 액체와 비중 차이에 의해 층상 구조를 형성하는 불연성 액체를 주입하는 유체주입부를 포함하는 누출 기름 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불연성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불연성 액체의 수위가 상기 배출관의 입구 하단의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유체주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연성 액체의 수위가 상기 배출관의 입구 하단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연성 액체의 수위가 상기 배출관의 입구 하단과 입구 상단 사이에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인화성 액체와 상기 불연성 액체를 분리하는 유수분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수분리기에서 분리되는 상기 불연성 액체를 상기 유체주입부로 반송하는 반송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조공차, 풍화작용 등으로 인하여 수용부의 저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수용부의 하부에 채워지는 불연성 액체로 인하여 인화성 액체의 수용 공간의 저면이 고르게 형성될 수 있고, 그 결과 누출된 인화성 액체가 수용부에 유입되면 불연성 액체의 상측에서 바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인화성 액체의 일부가 수용부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 가능성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출 기름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불연성 액체가 채워진 상태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불연성 액체가 채워진 상태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누출 기름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출 기름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출 기름 처리장치는 수용부(100), 배출관(110), 유수분리기(120), 반송라인(130), 유체주입부(200), 수위센서(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0)는 인화성 액체의 누출 가능성이 있는 설비(10), 예를 들어 기름탱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설비(10)에서 누출된 인화성 액체는 수용부(1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수용부(100)에 유입될 수 있다.
수용부(100)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갑판(20)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110)은 수용부(10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배출관(110)의 입구(111)는 수용부(100)의 저면에서 상향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수용부(1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110)은 수용부(100)에 유입되는 인화성 액체의 배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배출관(110)을 통해 배출되는 인화성 액체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설치되는 저유조(미도시)에 저장되거나 바다에 버려질 수 있다.
유수분리기(120)는 배출관(110)에 설치되어 배출관(110)을 통해 이송되는 인화성 액체에 포함될 수 있는 불연성 액체를 분리할 수 있다. 유수분리기(120)에서 분리된 불연성 액체는 반송라인(130)을 통해 유체주입부(200)로 반송됨으로써 재 활용될 수 있다. 유수분리기(120) 및 반송라인(130)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불연성 액체가 배출관(110)을 통해 인화성 액체와 함께 배출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유체주입부(200)는 수용부(100)에 불연성 액체를 주입할 수 있다. 불연성 액체는 인화성 액체보다 비중이 크고 인화성 액체와 섞이지 않는 액체, 예를 들어 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불연성 액체는 인화성 액체와 비중 차이에 의해 층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인화성 액체는 불연성 액체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유체주입부(200)는 저장탱크(210) 및 펌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탱크(210)는 불연성 액체를 수용할 수 있고, 펌프(220)는 수용부(100)와 저장탱크(210)를 연결하는 배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210)의 불연성 액체를 수용부(100)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유체주입부(200)는 수용부(10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노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노즐은 불연성 액체를 분사하여 수용부(100)의 개방된 상면에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수용부(100)에 유입된 인화성 액체가 외기, 즉 산소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그로 인해 화재 발생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수위센서(300)는 수용부(100)에 수용된 불연성 액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수위센서(300)에서 감지되는 불연성 액체의 수위가 배출관(110)의 입구(111)의 하단의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유체주입부(200), 구체적으로 펌프(220)를 제어하여 불연성 액체가 수용부(100)에 주입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불연성 액체가 채워진 상태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불연성 액체가 채워진 상태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불연성 액체(A)의 수위가 배출관(110)의 입구(111)의 하단(113)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배출관(110)의 입구(111)의 하단(113)과 상단(115) 사이에 형성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인화성 액체(B)가 수용부(100)에 유입되는 즉시 배출관(110)을 통해 배출될 수 있고, 특히 전자의 경우에는 불연성 액체(A)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불연성 액체(A)와 인화성 액체(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불연성 액체(A)와 인화성 액체(B)의 혼합 층에 존재하는 인화성 액체(B)까지 원활하게 배출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설비 20: 갑판
100: 수용부 110: 배출관
111: 입구 113: 하단
115: 상단 120: 유수분리기
130: 반송라인 200: 유체주입부
210: 저장탱크 220: 펌프
300: 수위센서 400: 제어부

Claims (6)

  1. 인화성 액체의 누출 가능성이 있는 설비의 하측에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배출관;
    상기 수용부에 상기 인화성 액체보다 비중이 크고 상기 인화성 액체와 비중 차이에 의해 층상 구조를 형성하는 불연성 액체를 주입하는 유체주입부;
    상기 불연성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불연성 액체의 수위가 상기 배출관의 입구 하단의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유체주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인화성 액체와 상기 불연성 액체를 분리하는 유수분리기; 및
    상기 유수분리기에서 분리되는 상기 불연성 액체를 상기 유체주입부로 반송하는 반송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연성 액체의 수위가 상기 배출관의 입구 하단과 입구 상단 사이에 형성되게 제어하는 누출 기름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92957A 2017-07-21 2017-07-21 누출 기름 처리장치 KR101954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57A KR101954810B1 (ko) 2017-07-21 2017-07-21 누출 기름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57A KR101954810B1 (ko) 2017-07-21 2017-07-21 누출 기름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25A KR20190010325A (ko) 2019-01-30
KR101954810B1 true KR101954810B1 (ko) 2019-03-06

Family

ID=6527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957A KR101954810B1 (ko) 2017-07-21 2017-07-21 누출 기름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8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3340A (ja) * 2005-11-30 2007-06-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油タンクからの油の抜き取り方法
JP2013150951A (ja) * 2012-01-24 2013-08-08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油分含有水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630B1 (ko) * 2010-12-07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상 화물 하역 장치
RU2015122657A (ru) 2012-11-13 2017-01-10 СЭЙФСПИЛЛ СИСТЕМЗ ЭлЭлСи Модульный противопожарный пол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3340A (ja) * 2005-11-30 2007-06-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油タンクからの油の抜き取り方法
JP2013150951A (ja) * 2012-01-24 2013-08-08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油分含有水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25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9639B2 (en) Large volume subsea chemical storage and metering system
KR101627662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밸러스트 시스템
US4623452A (en) Dockside system for the collection and disposal of bilge water and waste oil
US20150096760A1 (en) Modular Exploration and Production System Including an Extended Well Testing Service Vessel
KR101954810B1 (ko) 누출 기름 처리장치
WO2015082544A1 (en) Subsea storage system with a flexible storage bag and method for filling and emptying such subsea storage system
CN110510271B (zh) 适用于海洋石油开发的水下大型油水置换储卸油装置及其操作方法
US3307512A (en) Method of loading and unloading storage tanks in vessels
US20150041142A1 (en) Vertical Oil Storage System and Its Method For Deepwater Drilling and Production
KR101802203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KR101814686B1 (ko) 누출 기름 처리장치
KR101295663B1 (ko) 유수분리용 세틀링탱크가 구비된 선박
KR101470743B1 (ko) 기름포집장치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101325702B1 (ko) 워터 분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일 처리 시스템
KR101358306B1 (ko)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744640B1 (ko) 선박용 친환경 밸러스팅 장치
KR101762589B1 (ko) 에멀젼 분해장치
KR101540331B1 (ko) 원유 이송 장치 및 시스템
KR101523728B1 (ko)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KR101903154B1 (ko) 오수 처리 장치
KR200487932Y1 (ko) 선박의 발라스트 시스템
KR101276127B1 (ko) 해양구조물 용 기름 제거 장치
JPH0742482Y2 (ja) 油水分離装置
KR20110045867A (ko) 선박의 기름 유출 방지 설비
KR101712130B1 (ko) 분리형 코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