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306B1 -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306B1
KR101358306B1 KR1020120064275A KR20120064275A KR101358306B1 KR 101358306 B1 KR101358306 B1 KR 101358306B1 KR 1020120064275 A KR1020120064275 A KR 1020120064275A KR 20120064275 A KR20120064275 A KR 20120064275A KR 101358306 B1 KR101358306 B1 KR 101358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por
drain
overflow
fuel oil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1125A (ko
Inventor
김성현
우영철
김영건
박성원
박은배
이종균
제정미
최정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4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306B1/ko
Publication of KR20130141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52Details on the fuel return circuit; Arrangement of pressure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0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 B60K2015/0351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with vapor recovery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는, 이종 이상의 연료유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엔진과; 이러한 엔진에서 누출되는 연료유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드레인 탱크와; 이러한 복수의 드레인 탱크 중 하나에서 발생한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overflow)가 복수의 드레인 탱크 중 다른 하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벤팅부(vent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FUEL OIL RECOVERY DEVICE AND SHI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용 엔진의 연료유 이송 시스템을 살펴보면, 연료탱크의 연료유는 이송펌프에 의해 필요한 만큼 세틀링탱크(settling tank)로 이송되며, 이러한 세틀링탱크 내의 연료유는 항상 설정된 높이를 유지한다.
또한, HFO (Heavy Fuel Oil)와 같이 불순물이 포함된 저질유는 정화장치(purifier)를 통해 불순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며, 이렇게 불순물이 제거된 깨끗한 연료유(clean fuel oil)는 서비스탱크(service tank)로 보내진다.
사용 준비된 서비스탱크 내의 깨끗한 연료유는 펌프나 압축기 등을 통해 적정한 압력으로 승압된 후 엔진의 노즐을 통해 엔진 내로 분사된다.
이때, 서비스탱크에서 엔진으로 공급되는 깨끗한 연료유는 일반적으로 필요보다 많은 연료량이 공급되며, 이때 남은 잔여 연료유는 별도의 탱크에 모아서 서비스탱크에서 온 새로운 연료유와 함께 다시 엔진으로 공급된다.
또한, 엔진이나 연료유 이송 시스템 내 깨끗한 곳에서 누출(누출)된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연료유는 재사용할 수 있도록 드레인 탱크(drain tank)로 회수된다. 이때, 드레인 탱크 내의 깨끗한 연료유는 서비스탱크에서 이송된 연료유와 혼합되어 다시 엔진으로 공급되는 순환방식의 연료유 이송 시스템이 구성된다.
한편, 세계적으로 선박의 운항과 관련하여 국제해사기구(IMO, or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는 환경보호를 위해 황산화물(SOx)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저유황유의 연료유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10년부터는 EC, 발틱해, 북해 지역을 지나는 선박은 MGO (Marine Gas Oil)와 같이 0.1% 미만의 유황을 포함하는 연료유만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MGO와 같은 저유황유는 다른 연료유에 비해 가격이 비싼 이유로 국제해사기구에서 규제하지 않는 해역을 운항할 시에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HFO (Heave Fuel Oil), MDO (Marine Diesel Oil) 등의 저렴한 연료유를 사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최근의 선박에는 여러 종류의 연료유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엔진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엔진으로 이종 이상의 연료유를 공급할 때 엔진과 연료유 이송 시스템 내에서 깨끗한 연료유가 누출되더라도 재사용 가능하도록 누출된 연료유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회수할 필요가 있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64027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종류의 연료유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엔진과 이러한 엔진에 이종 이상의 연료유를 공급하는 연료유 이송 시스템에서 누출(누출)되는 깨끗한 연료유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고, 이러한 각각의 회수된 연료유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나 오버플로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이종 이상의 회수된 연료유 각각에서 발생한 유증기나 오버플로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료유 재사용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종 이상의 연료유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서 누출되는 연료유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드레인 탱크와; 상기 복수의 드레인 탱크 중 하나에서 발생한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overflow)가 상기 복수의 드레인 탱크 중 다른 하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벤팅부(venting unit)를 포함하는 연료유 회수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벤팅부는, 상기 복수의 드레인 탱크에서 발생한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체경로를 제공하는 벤트 라인과; 상기 벤트 라인 상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드레인 탱크 중 하나에서 발생한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가 상기 복수의 드레인 탱크 중 다른 하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벤트 챔버와; 상기 벤트 챔버 내에 모인 유증기나 오버플로우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유닛(drain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트 라인은, 상기 복수의 드레인 탱크와 상기 벤트 챔버를 상호 연결시키는 복수의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과; 상기 벤트 챔버 내에 모인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증기 배출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증기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벤트 챔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은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유닛은, 상기 유증기나 오버플로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체경로를 제공하는 드레인 라인과; 상기 드레인 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 라인의 개폐를 제어하는 드레인 제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팅부는, 상기 벤트 챔버 내에 모인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로 인해 상기 벤트 챔버가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압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와;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료유 종류별로 복수개의 드레인 탱크를 설치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연료유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엔진과 이러한 엔진에 이종 이상의 연료유를 공급하는 연료유 이송 시스템에서 누출(누유)되는 깨끗한 연료유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고, 이러한 각각의 드레인 탱크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나 오버플로우를 공통의 밴팅시스템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드레인 탱크 각각에서 발생한 유증기나 오버플로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료유 재사용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의 선박은, 예를 들어 드릴쉽(drill ship)과 같이 자항능력을 가지고 추진 가능한 선박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 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 offloading unit, or FPSO)나 부유식 가스저장재기화 설비(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or FSRU)와 같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0)은 선체(1)와 상기 선체(1)에 설치되는 연료유 회수 장치(100)를 포함한다.
연료유 회수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종 이상의 연료유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엔진에서 누출되는 깨끗한 연료유를 종류별로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엔진(110)과, 복수의 드레인 탱크(120)와, 벤팅부(venting unit,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료유 회수 장치(100)는, 연료유 종류별로 복수개의 드레인 탱크(120)를 설치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연료유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엔진(110)과 이러한 엔진(110)에 이종 이상의 연료유를 공급하는 연료유 이송 시스템에서 누출(누유)되는 깨끗한 연료유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드레인 탱크(120)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한 유증기나 오버플로우가 공통의 밴팅시스템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유증기나 오버플로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각각의 드레인 탱크(120) 내에 회수된 연료유 재사용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드레인 탱크(120) 별로 별도의 벤팅라인을 설치할 필요 없이 본 실시예와 같이 공통의 벤팅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벤팅라인을 설치함에 따른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한된 면적을 가진 기관실(엔진룸) 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통의 벤팅시스템을 통해 각각의 드레인 탱크(120)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나 오버플로우를 외부로 배출시 이들이 다른 인접한 드레인 탱크(120)로 유입되거나 인접한 드레인 탱크(120)에서 발생한 유증가나 오버플로우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회수된 연료유의 재사용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엔진(110)은 적어도 이종 이상의 연료유를 병행(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비록 도 2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엔진(110)은 엔진 자체뿐만 아니라 그 주변에 부가적으로 구성되는 서비스탱크나 오버플로우탱크(overflow tank)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엔진(110)은 선박(1000)에 설치되며, 앞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국제해사기구에서 규제하는 해역을 운항할 시에는 저유황유의 연료유를 사용하고, 국제해사기구에서 규제하지 않는 해역을 운항할 시에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HFO (Heave Fuel Oil), MDO (Marine Diesel Oil) 등의 저렴한 연료유를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고가의 저유황유 중 한 종류인 MGO (Marine Gas Oil)와 같은 연료유는 다른 연료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점도(low viscosity) 상태에서 연료펌프를 통해 엔진(110)으로 분사되는데, 이때 많은 양의 연료유가 엔진(110)에서 누유(드레인)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고가의 연료유가 그냥 배출될 경우 그 비용부담이 상당하다.
복수의 드레인 탱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10)에서 사용되는 연료유의 종류별 개수에 상응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탱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 탱크(120)는 엔진(110)에서 누출되는 연료유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재사용될 때까지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드레인 탱크(120) 각각과 엔진(110) 사이에는 엔진(110)에서 누출되는 깨끗한 연료유를 각각의 드레인 탱크(120)로 이송하는 이송관(112)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송관(112) 상에는 사용 연료유 별로 구분하여 이송할 수 있는 방향전환밸브(114)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엔진(110)에서 사용되는 연료유의 종류별로 복수개의 드레인 탱크(120)를 설치함으로써 엔진(110)에서 누출되는 고가의 깨끗한 연료유를 구분하여 저장하였다가 재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고가의 연료유를 낭비하는 일 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선박의 운항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연료유 별로 각각의 드레인 탱크(120)를 통해 회수율을 높일 수 있어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드레인 탱크(120)에서는 소정의 온도 이상(예를 들어 섭씨 30도 이상)이 되거나 또는 외부의 충격(예를 들어 선박의 운행에 따른 선체의 횡동요 등) 등으로 인해 내부에 저장된 연료유에서 유증기 또는 갑작스러운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는 벤팅시스템(venting system)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와 같이 각각의 드레인 탱크(120) 별로 별도의 벤팅라인을 설치할 경우 설치비용이 크게 증가한다.
또한, 이러한 드레인 탱크는 주로 기관실 내에 설치되게 되는데, 제한된 면적을 가진 기관실 내에 다수의 벤팅라인을 설치할 경우 공간이 협소해져 작업자의 안정사고 위험성과 근무 환경을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벤팅라인을 설치할 경우 이에 따른 비용발생뿐만 아니라 선체의 중량 증가에 따른 운항시 연료비 등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벤팅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드레인 탱크(120) 중 하나에서 발생한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가 복수의 드레인 탱크(120) 중 다른 하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벤팅부(130)는 각각의 드레인 탱크(120) 별로 별도의 벤팅라인을 설치할 필요 없이 공통의 벤팅라인을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통의 벤팅라인을 구성하더라도, 각각의 드레인 탱크(120)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가 다른 드레인 탱크(120)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고가의 연료유가 서로 섞이는 일 없이 재사용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벤팅부(130)는 벤트 라인(vent line, 132)과 벤트 챔버(vent chamber, 134)와 드레인 유닛(drain unit, 136)을 포함할 수 있다.
벤트 라인(132)은 복수의 드레인 탱크(120)에서 발생한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체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벤트 라인(1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드레인 탱크(120)와 벤트 챔버(134)를 상호 연결시키는 복수의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과, 벤트 챔버(134) 내에 모인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증기 배출라인(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벤트 라인(132)을 통해, 예를 들어 복수의 드레인 탱크(120) 중 하나에서 배출된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가 그 드레인 탱크(120)에 상응하는(즉, 연결된)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을 통해 벤트 챔버(134)로 배출되며, 이렇게 벤트 챔버(134) 내로 유입된 유증기나 오버플로우는 벤트 챔버(134)의 상측으로 연장된 유증기 배출라인(132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후술할 드레인 유닛(13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의 단부와 유증기 배출라인(132b)의 단부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챔버(134) 내에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챔버(134) 내에 위치한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의 단부는 벤트 챔버(134)의 내부 상측 부분과 최소 이격되도록 근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의 단부를 벤트 챔버(134)의 내부 상측 부분에 근접되게 설치함으로써,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을 통해 유증기나 오버플로우가 벤트 챔버(134) 내로 갑자기 유입되더라도 한 번 유입된 유증기나 오버플로우가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을 통해 드레인 탱크(120)로 역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드레인 탱크(110)와 유체흐름 가능하게 연결된 각각의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의 단부가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벤트 챔버(134) 내에서 유증기 배출라인(132b)의 단부와 상호 이격됨으로써, 예를 들어 복수의 드레인 탱크(110) 중 어느 하나에서 유증기나 오버플로우가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을 통해 벤트 챔버(134) 내로 넘쳐 흐르더라도(즉, 오버플로우되더라도), 이렇게 유입된 유증기나 오버플로우가 인접한 다른 드레인 탱크(11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의 유증기란 연료유와 같은 석유나 휘발성 물질이 소정의 상온 이상에서 공기 중에 증기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오버플로우(overflow)란 드레인 탱크(120)와 같은 밀폐된 공간에 저장된 석유나 휘발성 물질이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내부 압력이 높아져 드레인 탱크(120)의 출구를 통해 갑자기 배출되는 유체를 의미한다.
벤트 챔버(1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벤트 라인(132) 상에 설치되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드레인 탱크(120) 중 하나에서 발생한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가 상기 복수의 드레인 탱크(120) 중 다른 하나로 흘려 들어가거나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벤트 챔버(134)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드레인 유닛(136)은 이러한 벤트 챔버(134) 내에 모인 오버플로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 유닛(136)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챔버(134)의 하단부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드레인 유닛(136)의 설치 위치는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드레인 유닛(136)은, 벤트 챔버(134) 내에 모인 유증기나 오버플로우가 벤트 챔버(134)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체경로를 제공하는 드레인 라인(136a)과, 이러한 드레인 라인(136a) 상에 설치되어 드레인 라인(136a)의 개폐를 제어하는 드레인 제어밸브(13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레인 제어밸브(136b)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벤트 챔버(134) 내에 모인 오버플로우나 유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응축유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드레인 라인(136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오버플로우나 응축유는 예를 들어 빌지 오일탱크(bilge oil tank, 미도시)나 유수의 분리가 가능한 탱크(미도시) 등으로 보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벤팅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방지 유닛(1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방지 유닛(138)은 벤트 챔버(134) 내에 모인 유증기나 오버플로우 등으로 인해 벤트 챔버(134) 내부의 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또한, 가압 방지 유닛(138)은 드레인 유닛(136)의 고장 등으로 인해 벤트 챔버(134) 내에 모인 유증기나 오버플로우가 외부로 배출이 안될 경우 벤트 챔버(134)가 오버플로우(overflow, 즉 넘쳐나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방지 유닛(138)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벤트 챔버(134)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유증기 배출라인(132b)에 연결되는 가압 방지라인(138a)과, 이러한 가압 방지라인(138a) 상에 설치되어 가압 방지라인(138a)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13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밸브(138b)는 평상시에는 가압 방지라인(138a)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벤트 챔버(134) 내에 모인 오버플로우나 유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응축유가 드레인 유닛(13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드레인 유닛(136)의 고장 등으로 인해 벤트 챔버(134) 내에 모인 유증기나 오버플로우가 외부로 배출이 안될 경우에는 가압 방지라인(138a)를 개방함으로써 벤트 챔버(134) 내의 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10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101)에서는 복수의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 중 적어도 하나가 유증기 배출라인(132b)을 통해 벤트 챔버(134)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드레인 탱크(120)에서 발생한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를 벤트 챔버(134)로 안내하는 복수의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 중 적어도 하나는 벤트 챔버(134)에 직접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증기 배출라인(132b)을 통해 벤트 챔버(134)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유증기 배출라인(132b)을 통해 벤트 챔버(134)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의 상단부(도 3을 기준으로 상단부)에는 그 하단부 측을 향해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부(133)가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의 상단부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과 연결된 드레인 탱크(120)에서 발생한 유증기가 벤트 챔버(134) 측으로 이동하는 중에 냉각되더라도 이러한 응축유가 절곡부(133)를 통과하기 전에 상기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을 통해 드레인 탱크(120)로 다시 보내질 수 있다.
따라서, 벤트 챔버(13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증기 또는 이러한 유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응축유의 손실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고가의 연료유의 재사용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절곡부(133)는 예를 들어 두 번 절곡된 부분을 가진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곡선부를 구비한 절곡부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101)는 상술한 벤트 라인(132)의 세부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10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102)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102)에서는 복수의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가 유증기 배출라인(132b)을 통해 벤트 챔버(134)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드레인 탱크(120)에서 발생한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를 벤트 챔버(134)로 안내하는 복수의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증기 배출라인(132b)을 통해 벤트 챔버(134)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유증기 배출라인(132b)을 통해 벤트 챔버(134)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의 상단부(도 4를 기준으로 상단부)에는 그 하단부 측을 향해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부(133)가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의 상단부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과 연결된 드레인 탱크(120)에서 발생한 유증기가 벤트 챔버(134) 측으로 이동하는 중에 냉각되더라도 이러한 응축유가 절곡부(133)를 통과하기 전에 상기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132a)을 통해 드레인 탱크(120)로 다시 보내질 수 있다.
따라서, 벤트 챔버(13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증기 또는 이러한 유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응축유의 손실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고가의 연료유의 재사용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절곡부(133)는 예를 들어 두 번 절곡된 부분을 가진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곡선부를 구비한 절곡부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102)는 상술한 벤트 라인(132)의 세부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10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선체 1000: 선박
100: 연료유 회수 장치 110: 엔진
112: 이송관 114: 방향전환밸브
120: 드레인 탱크 130: 벤팅부
132: 벤트 라인 132a: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
132b: 유증기 배출라인 133: 절곡부
134: 벤트 챔버 136: 드레인 유닛
136a: 드레인 라인 136b: 드레인 제어밸브
138: 가압 방지 유닛 138a: 가압 방지라인
138b: 제어밸브

Claims (7)

  1. 이종 이상의 연료유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서 누출되는 연료유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드레인 탱크와;
    상기 복수의 드레인 탱크 중 하나에서 발생한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overflow)가 상기 복수의 드레인 탱크 중 다른 하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벤팅부(venting unit)를 포함하되,
    상기 벤팅부는,
    상기 복수의 드레인 탱크에서 발생한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체경로를 제공하는 벤트 라인과;
    상기 벤트 라인 상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드레인 탱크 중 하나에서 발생한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가 상기 복수의 드레인 탱크 중 다른 하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벤트 챔버와;
    상기 벤트 챔버 내에 모인 유증기나 오버플로우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유닛(drain unit)을 포함하는, 연료유 회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라인은,
    상기 복수의 드레인 탱크와 상기 벤트 챔버를 상호 연결시키는 복수의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과;
    상기 벤트 챔버 내에 모인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증기 배출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증기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벤트 챔버에 연결되는, 연료유 회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오버플로우 배출라인은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연료유 회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유닛은,
    상기 유증기나 오버플로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체경로를 제공하는 드레인 라인과;
    상기 드레인 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 라인의 개폐를 제어하는 드레인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연료유 회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팅부는,
    상기 벤트 챔버 내에 모인 유증기 또는 오버플로우로 인해 상기 벤트 챔버가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압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연료유 회수 장치.
  7. 선체와;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제1항과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료유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120064275A 2012-06-15 2012-06-15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358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275A KR101358306B1 (ko) 2012-06-15 2012-06-15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275A KR101358306B1 (ko) 2012-06-15 2012-06-15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125A KR20130141125A (ko) 2013-12-26
KR101358306B1 true KR101358306B1 (ko) 2014-02-05

Family

ID=49985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275A KR101358306B1 (ko) 2012-06-15 2012-06-15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035A (ko) 2021-08-26 2023-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010U (ko) * 2008-06-24 2010-01-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밸러스트 탱크용 에어 벤트 메니폴드
KR20110009047U (ko) * 2010-03-17 2011-09-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복수의 연료유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선박의 연료유 재사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010U (ko) * 2008-06-24 2010-01-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밸러스트 탱크용 에어 벤트 메니폴드
KR20110009047U (ko) * 2010-03-17 2011-09-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복수의 연료유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선박의 연료유 재사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035A (ko) 2021-08-26 2023-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125A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7108B (zh) 海上船舶的燃料罐装置
KR101259630B1 (ko) 액상 화물 하역 장치
KR20240047494A (ko)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연료 공급 장치
KR101358306B1 (ko)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665320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저감 장치
KR101879573B1 (ko) 고속 보트용 연료누유 방지 및 연료 회수 장치
KR200468286Y1 (ko) 복수의 연료유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선박의 연료유 재사용 장치
KR101028484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빌지 처리장치
KR20110070428A (ko) 선박의 빌지 시스템
CN110843998A (zh) 一种船舶洗舱水排放系统
KR20110069241A (ko) 선박의 연료유 탱크 오버플로우 방지 장치
KR101138347B1 (ko) 원유 공급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유조선
KR20150092488A (ko) 선박용 냉각시스템
KR101680757B1 (ko) 원유를 이용한 이중연료 추진 장치
KR101411494B1 (ko) 횡동요 저감형 선박
RU2610844C1 (ru) Подвод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еспричальной загрузки/выгруз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KR101249401B1 (ko) 증발가스 처리장치
KR101295663B1 (ko) 유수분리용 세틀링탱크가 구비된 선박
KR20110094366A (ko) 해상 구조물의 밸러스트 장치
KR20120002168A (ko) 선박의 청정기 상태 통보장치
KR20150123570A (ko) 연료유 공급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시추선
KR101096659B1 (ko) 선박의 기름 유출 방지 설비
KR101802203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KR200492481Y1 (ko)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1559412B1 (ko)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