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154B1 - 오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오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154B1
KR101903154B1 KR1020160135447A KR20160135447A KR101903154B1 KR 101903154 B1 KR101903154 B1 KR 101903154B1 KR 1020160135447 A KR1020160135447 A KR 1020160135447A KR 20160135447 A KR20160135447 A KR 20160135447A KR 101903154 B1 KR101903154 B1 KR 101903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valve
temperature
oil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903A (ko
Inventor
조동인
여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1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 B63B2705/00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오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오수 처리 장치는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유입된 오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오수가 선박에 구비된 오수 저장 탱크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 1 밸브, 및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오수가 상기 선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 2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는 개방 및 폐쇄가 상호 반전된다.

Description

오수 처리 장치{Wastewater man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오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FLNG, FPSO, 드릴쉽(drillship) 등과 같은 선박은 위험 물질 배출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위험 물질 배출 시스템은 오일의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 선박의 특정 지점에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여 별도의 탱크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한편, 오일 처리 과정 중 극저온의 유체를 처리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중에 극저온의 유체가 유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적절한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선박의 구조물이 파손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0972호 (2016.07.2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오수 처리 장치의 일 면(aspect)은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유입된 오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오수가 선박에 구비된 오수 저장 탱크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 1 밸브, 및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오수가 상기 선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 2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는 개방 및 폐쇄가 상호 반전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된 온도가 임계 온도의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는 각각 개방 및 폐쇄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임계 온도의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는 각각 폐쇄 및 개방된다.
또한,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오수에 접촉되어 상기 오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소자, 및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온도 감지 소자는 상기 유입관의 하측에 구비된다.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가 오일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오일 감지부, 및 상기 오일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개방되어 상기 오일을 상기 오수 저장 탱크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 3 밸브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오수가 수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오일이 유입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수용된 오수가 선박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위험 물질이 유입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지부가 제 3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지부가 오수 처리 장치에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수 처리 시스템(10)은 오수 제공 영역(100), 오수 처리 장치(200), 오수 저장 탱크(300) 및 이송 배관(410, 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오수 처리 시스템(10)은 FLNG, FPSO 또는 드릴쉽(drillship)과 같은 선박에 구비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오수 처리 시스템(10)이 선박에 구비된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오수 제공 영역(100)은 선박에 구비된 영역 중 오수가 처리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선박은 재액화 등의 과정을 통하여 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 중 오수가 배출되는 영역이 오수 제공 영역(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선박에는 승무원이 거주하는 거주구가 포함되는데, 거주구 중 생활 오수를 발생시키는 영역이 오수 제공 영역(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결국, 오수 제공 영역(100)에서 배출되는 오수는 연료의 생산, 이송 및 저장 등의 과정 중에서 배출되는 산업 오수이거나, 거주구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 오수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은 2개의 오수 제공 영역(100)이 오수 처리 시스템(10)에 포함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그 수는 선박의 규모 및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오수 처리 장치(200)는 오수 제공 영역(100)으로부터 유입된 오수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오수 처리 장치(200)는 유입된 오수를 오수 저장 탱크(300)로 이송되도록 하거나 선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오수 처리 장치(200)는 유입된 오수의 온도를 참조하여 오수의 배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오수 제공 영역(100)으로부터 유입된 오수 중 일부는 극저온의 위험 물질일 수 있는데, 유입된 오수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 온도의 미만인 경우 오수 처리 장치(200)는 오수가 오수 저장 탱크(300)로 이송되지 않도록 하고, 선박의 외부로 곧바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극저온의 위험 물질이 오수 저장 탱크(300)로 이송되지 않기 때문에 오수 저장 탱크(300)의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극저온의 위험 물질의 발생 즉시 배출되기 때문에 선박에 구비된 각종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오수 처리 장치(2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오수 저장 탱크(300)는 오수 배출 장치로부터 전달된 오수를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항해 중에 발생된 오수는 오수 처리 장치(200)에 의하여 분류되어 오수 저장 탱크(300)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항해가 완료된 이후에 선박에 정박한 경우 오수 저장 탱크(300)에 수용된 오수는 육상에 구비된 별도의 장비(미도시)로 전달되어 처리될 수 있다. 또는, 드릴쉽 또는 잭업 리그(jack-up rig)와 같이 해상에서 원유를 생산하는 선박에 오수 저장 탱크(300)가 구비된 경우 별도의 선박으로 오수가 전달되어 처리될 수도 있다.
이송 배관(410, 420)은 오수 제공 영역(100), 오수 처리 장치(200) 및 오수 저장 탱크(300)간의 오수 이송을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오수 제공 영역(100)과 오수 처리 장치(200)를 연결하는 제 1 이송 배관(410) 및 오수 처리 장치(200)와 오수 저장 탱크(300)를 연결하는 제 2 이송 배관(420)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수 제공 영역(100)에 의하여 극저온의 위험 물질이 배출될 수도 있는데, 이에 제 1 이송 배관(410)은 극저온의 위험 물질에 견딜 수 있는 비교적 높은 내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 2 이송 배관(420)으로는 극저온의 위험 물질이 이송되지 않기 때문에 제 2 이송 배관(420)은 제 1 이송 배관(410)에 비하여 낮은 내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오수 처리 장치(200)는 하우징(210), 유입관(220), 배출관(231, 232, 233, 240), 온도 감지부(270), 오일 감지부(280) 및 밸브(261, 262, 2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210)은 유입관(220)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를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오수 제공 장치에 의하여 배출된 오수는 제 1 이송 배관(410)을 통하여 이송되어 유입관(220)을 통해 하우징(210)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수용된 오수가 유입관(220)을 통하여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유입관(220)은 하우징(2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20)은 하우징(210)의 일측 측벽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유입관(220)은 하우징(210)의 상측벽에 연결될 수도 있다. 유입관(220)이 하우징(210)의 상측에 구비됨에 따라 유입된 오수는 하우징(210)의 하부면을 향하여 낙하하여 하부면에서부터 적층되면서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온도 감지부(270)는 유입관(220)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온도 감지부(270)는 감지된 온도에 따라 밸브(261, 26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밸브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온도 감지부(270)는 온도 감지 소자(271) 및 제어부(2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온도 감지 소자(271)는 오수에 접촉되어 오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온도 감지 소자(271)는 접촉된 물체의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써미스터(thermisto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온도 감지 소자(271)는 유입관(22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감지 소자(271)의 위치는 유입관(220)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가 낙하하는 경로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온도 감지 소자(271)는 유입된 오수의 온도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온도 감지 소자(271)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는 제어부(272)로 전달되고, 제어부(272)는 전달된 온도에 따라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 신호는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제어 신호는 동시에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로 송신될 수 있다. 즉, 제어부(272)는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동시에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로 송신하는 것이다. 이에,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는 동시에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제 1 밸브(261)는 온도 감지부(27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에 따라 개방되어 하우징(210)에 수용된 오수가 선박에 구비된 오수 저장 탱크(300)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 2 밸브(262)는 온도 감지부(27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에 따라 개방되어 하우징(210)에 수용된 오수가 선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는 개방 및 폐쇄가 상호 반전될 수 있다. 즉, 제 1 밸브(261)가 개방된 경우 제 2 밸브(262)가 폐쇄되고, 제 1 밸브(261)가 폐쇄된 경우 제 2 밸브(262)가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온도 감지부(27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가 임계 온도의 이상인 경우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는 각각 개방 및 폐쇄되고, 온도 감지부(27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가 임계 온도의 미만인 경우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는 각각 폐쇄 및 개방될 수 있다.
임계 온도는 극저온 위험 물질의 유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부(272)는 감지된 온도가 임계 온도의 이상인 경우 유입된 오수가 위험 물질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감지된 온도가 임계 온도의 미만인 경우 유입된 오수가 위험 물질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272)는 온도 감지 소자(271)로부터 전달된 온도가 임계 온도의 이상인 경우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가 각각 개방 및 폐쇄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고, 온도 감지 소자(271)로부터 전달된 온도가 임계 온도의 미만인 경우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가 각각 폐쇄 및 개방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 오수는 제 1 밸브(261)를 구비하고 있는 분기 배출관(240)을 통하여 오수 저장 탱크(300)로 이송되고, 위험 물질은 제 2 밸브(262)를 구비하고 있는 제 1 주 배출관(231)을 통하여 선박의 외부로 배출된다.
분기 배출관(240)은 제 1 주 배출관(231)에서 분기된 배출관으로서, 제 2 밸브(262)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제 1 주 배출관(231)으로 유입된 오수는 우선적으로 분기 배출관(240)을 지나가고, 이후에 제 2 밸브(262)에 도달하게 된다. 분기 배출관(240)은 오수 저장 탱크(300)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합류관(25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주 배출관(231)은 하우징(210)의 하측벽에 연결되어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주 배출관(231)으로 유입된 위험 물질은 제 1 주 배출관(231)에 머물러 있는 시간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선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오일 감지부(280)는 유입관(220)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가 오일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오일 감지부(280)는 오일 감지 소자(281) 및 제어부(2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오일 감지 소자(281)는 접촉된 물질의 유전율을 참조하여 해당 물질이 오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오일 감지 소자(281)는 하우징(210)의 상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오일 감지 소자(281)의 말단은 하우징(210)의 하부면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210)에 수용된 오수 전체가 오일인 경우에도 일정 양을 초과한 경우에만 오일 감지 소자(281)에 의한 감지가 수행될 수 있다.
오일 감지 소자(281)에 의하여 감지된 오일 존재 여부는 제어부(282)로 전달되고, 제어부(282)는 전달된 정보에 따라 제 3 밸브(263)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 신호는 제 3 밸브(263)로 전달될 수 있다. 제 3 밸브(263)는 오일 감지부(28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개방되어 오일을 오수 저장 탱크(300)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3 밸브(263)는 제 2 주 배출관(232)에 구비되는데, 오일은 제 2 주 배출관(232)을 통해 오수 저장 탱크(300)로 이송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주 배출관(232)은 하우징(210)의 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210)에 오일이 수용되는 경우 오일의 수면부터 제 2 주 배출관(232)을 따라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하우징(210)은 오일과 이에 비하여 높은 비중을 갖는 비오일(NOL)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데, 비오일(NOL)의 상측에 부유하는 오일이 우선적으로 제 2 주 배출관(232)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제 2 주 배출관(232)은 오수 저장 탱크(300)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합류관(25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기 배출관(240)도 합류관(250)에 연결되는데, 합류관(250)으로 유입된 오수 및 오일은 오수 저장 탱크(300)로 전달된다.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격벽(290)이 구비될 수 있다. 격벽(290)은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격벽(290)은 하우징(2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하우징(210)을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공간은 유입관(220), 제 1 배출관 및 제 2 배출관이 연결된 하우징(210)의 공간일 수 있다.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은 완전히 격리된 것이 아닐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하부 공간을 통하여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이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유입관(220)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는 하우징(210)의 하부에 누적되면서 제 1 공간과 제 2 공간 모두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오수가 누적된 상태에서 오일이 유입되는 경우 비오일(NOL)의 상측에 오일이 부유하는데, 이에 오일은 격벽(290)에 의하여 제 2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제 2 주 배출관(232)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 3 주 배출관(233)은 제 2 공간에 수용된 오수를 선박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3 주 배출관(233)은 하우징(210)의 하부면에서 일정 거리만큼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210)에 수용된 오수의 높이가 제 3 주 배출관(233)의 돌출 거리를 초과한 경우에만 오수가 제 3 주 배출관(233)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된 제 3 주 배출관(233)의 말단의 높이는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대한 제 2 주 배출관(232)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에, 유입관(220)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의 양이 제 2 주 배출관(232)을 통하여 배출되는 오일의 양보다 많은 경우 하우징(210)에 수용된 오수는 우선적으로 제 3 주 배출관(233)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통하여 오수 처리 장치(200)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오수가 수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입관(220)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W)는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유입관(220)은 하우징(210)의 상측에 구비되는데, 이에 유입관(220)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W)는 낙하하여 하우징(210)의 하부면에서부터 누적될 수 있다.
온도 감지부(270)는 하우징(210)에 수용된 오수(W)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오수(W)의 온도가 임계 온도의 이상인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온도 감지부(270)는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가 각각 개방 및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 밸브(261)가 개방되고, 제 2 밸브(262)가 폐쇄됨에 따라 하우징(210)에 수용된 오수(W)는 분기 배출관(240)을 통하여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된 오수(W)는 합류관(250)을 통하여 오수 저장 탱크(300)로 이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오일이 유입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수용된 오수가 선박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입관(220)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W)는 오일(OL)을 포함할 수 있다.
오수(W)에 오일(OL)이 포함된 경우 오일(OL)은 그 보다 비중이 높은 비오일(NOL)의 상측에 부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오수(W)의 높이가 제 2 주 배출관(232)의 높이에 도달한 경우 오일(OL)은 제 2 주 배출관(232)을 통하여 배출된다. 오일 감지부(280)는 오수(W)에 포함된 오일(OL)을 감지할 수 있는데, 이에 오일 감지부(280)는 제 3 밸브(263)를 개방시켜 오일(OL)이 제 2 주 배출관(23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된 제 3 주 배출관(233)의 말단의 높이는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대한 제 2 주 배출관(232)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에, 하우징(210)에 수용된 오수(W)의 높이가 제 2 주 배출관(232)의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 오수(W)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주 배출관(233)으로 유입되어 선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10)에 수용되는 오수(W)의 높이는 제 3 주 배출관(233)의 높이로 한정되고, 이후에 유입관(220)을 통하여 오일(OL)이 유입되는 경우 모두 제 2 주 배출관(232)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일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W)의 높이가 제 3 주 배출관(233)의 높이에 도달한 이후에는 유입관(220)을 통하여 유입된 오일(OL)이 격벽(290)에 의하여 제 2 공간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제 2 주 배출관(232)을 통하여 모두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3 주 배출관(233)을 통해서는 오일(OL)이 배출되지 않고, 비오일(NOL)만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오일 감지부(280)의 동작과는 독립적으로 온도 감지부(270)가 동작할 수 있는데, 온도 감지부(270)는 하우징(210)에 수용된 오수(W)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오수(W)의 온도가 임계 온도의 이상인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제 2 주 배출관(232)을 통하여 오일(OL)이 배출됨과 동시에 분기 배출관(240)을 통하여 비오일(NOL)이 배출될 수 있다.
제 2 주 배출관(232) 및 분기 배출관(240)을 통하여 배출된 오일(OL) 및 비오일(NOL)은 합류관(250)을 통하여 오수(W) 저장 탱크(300)로 이송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에 위험 물질이 유입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유입관(220)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W)는 극저온의 위험 물질(CR)을 포함할 수 있다.
극저온의 위험 물질(CR)이 유입되어 하우징(210)에 머무르는 경우 하우징(210)을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극저온의 위험 물질(CR)이 제 2 주 배출관(232) 또는 분기 배출관(240)을 통하여 배출되어 오수 저장 탱크(300)로 전달되는 경우 오수 저장 탱크(300)뿐만 아니라 제 2 주 배출관(232), 분기 배출관(240) 및 합류관(250)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온도 감지부(27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유입된 오수(W)가 극저온의 위험 물질(CR)인 경우 온도 감지부(270)는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를 제어하여 위험 물질(CR)이 분기 배출관(240)을 통해서는 흐르지 못하도록 하고, 제 1 주 배출관(231)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온도 감지부(270)는 극저온의 위험 물질(CR)을 감지하자마자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오수 처리 장치(200)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극저온의 위험 물질(CR)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지부가 제 3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지부(270)는 제 1 밸브(261) 및 제 2 밸브(262)뿐만 아니라 제 3 밸브(263)를 제어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270)는 감지된 온도가 임계 온도의 미만인 경우 제 1 밸브(261)가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제 2 밸브(262)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제 3 밸브(263)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오수(W)에 오일(OL)이 포함된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오일 감지부(280)는 개방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제 3 밸브(263)에게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제 3 밸브(263)가 개방되는 경우 오일(OL)뿐만 아니라 극저온의 위험 물질(CR)도 제 2 주 배출관(232)을 통하여 배출되어 오수 저장 탱크(300)로 전달될 수 있다.
위험 물질(CR)이 제 2 주 배출관(232)을 통해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온도 감지부(270)는 제 3 밸브(263)를 제어할 수 있다. 결국, 제 3 밸브(263)는 오일 감지부(280) 및 온도 감지부(270)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는 것인데, 온도 감지부(270)의 제어 신호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오일 감지부(280)에 의하여 개방을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고 온도 감지부(270)에 의하여 폐쇄를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 3 밸브(263)는 폐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제 2 주 배출관(232)을 통하여 위험 물질(CR)이 이송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 2 주 배출관(232) 및 오수 저장 탱크(3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지부가 오수 처리 장치에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온도 감지부(270)는 복수의 온도 감지 소자(27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온도 감지 소자(271)는 넒은 영역에 걸쳐 배치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온도 감지 소자(271)가 직육면체 형상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전체적인 온도 감지 소자(271)의 그룹의 크기는 제 1 공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감지 소자(271)의 그룹은 유입관(220)의 높이 아래의 전체 공간에 걸쳐 온도 감지 소자(271)가 배치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온도 감지 소자(271)가 넓은 공간에 걸쳐 배치됨에 따라 극저온의 위험 물질(CR)의 감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즉, 위험 물질(CR)의 감지 속도가 향상되고, 감지 범위가 확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오수 처리 시스템
100: 오수 제공 영역
200: 오수 처리 장치
210: 하우징
220: 유입관
231, 232, 233, 240: 배출관
250: 합류관
261, 262, 263: 밸브
270: 온도 감지부
280: 오일 감지부
290: 격벽
300: 오수 저장 탱크
410, 420: 이송 배관

Claims (5)

  1.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유입된 오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개방되는 제 1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오수가 선박에 구비된 오수 저장 탱크로 이송되도록 오수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분기 배출관; 및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개방되는 제 2 밸브를 구비하고,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측벽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오수가 상기 선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오수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제 1 주 배출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는 개방 및 폐쇄가 상호 반전되고, 상기 분기 배출관은 상기 제 1 주 배출관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분기 배출관과 상기 제 1 주 배출관의 연결 지점은 상기 제 2 밸브의 상측에 위치하는 오수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온도가 임계 온도의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 2 밸브는 폐쇄되며,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임계 온도의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제 2 밸브는 개방되는 오수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오수에 접촉되어 상기 오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소자; 및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오수 처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소자는 상기 유입관의 하측에 구비되는 오수 처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가 오일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오일 감지부; 및
    상기 오일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개방되어 상기 오일을 상기 오수 저장 탱크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 3 밸브를 더 포함하는 오수 처리 장치.
KR1020160135447A 2016-10-19 2016-10-19 오수 처리 장치 KR101903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447A KR101903154B1 (ko) 2016-10-19 2016-10-19 오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447A KR101903154B1 (ko) 2016-10-19 2016-10-19 오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03A KR20180042903A (ko) 2018-04-27
KR101903154B1 true KR101903154B1 (ko) 2018-10-01

Family

ID=6208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447A KR101903154B1 (ko) 2016-10-19 2016-10-19 오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1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03A (ko)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19652A1 (en) Hydrostatic storage of produced water
US4623452A (en) Dockside system for the collection and disposal of bilge water and waste oil
KR101903154B1 (ko) 오수 처리 장치
US20120171051A1 (en) Bilge pump and method
KR20180001477U (ko) 플로팅 해상 구조물의 침수 차단설비시스템
WO2015082544A1 (en) Subsea storage system with a flexible storage bag and method for filling and emptying such subsea storage system
KR101434144B1 (ko) 부유식 생산저장설비의 불활성 가스 공급 시스템
KR101634960B1 (ko) 선박용 오수 분리 장치
KR101652253B1 (ko)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KR101802203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KR101470743B1 (ko) 기름포집장치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101096659B1 (ko) 선박의 기름 유출 방지 설비
KR101606687B1 (ko) 이종 유체 분리 배출 장치
KR101523728B1 (ko)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KR101954810B1 (ko) 누출 기름 처리장치
KR101318683B1 (ko) Fpso 슬롭 워터 처리 시스템
KR0132115Y1 (ko) 유수분리 장치
KR101571501B1 (ko) 버퍼 탱크
KR101744640B1 (ko) 선박용 친환경 밸러스팅 장치
KR20160000585A (ko)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03523858A (zh) 船用外甲板落水舱油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KR101652380B1 (ko) 다단식 기름 분리기
JP2009150784A (ja) 液位センサ内蔵容器及び保護具付液位センサ
CN214824038U (zh) 一种船舶用生活污水系统
KR101381185B1 (ko) 해양 설비용 화학물질 분리 배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