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585A -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585A
KR20160000585A KR1020140077798A KR20140077798A KR20160000585A KR 20160000585 A KR20160000585 A KR 20160000585A KR 1020140077798 A KR1020140077798 A KR 1020140077798A KR 20140077798 A KR20140077798 A KR 20140077798A KR 20160000585 A KR20160000585 A KR 20160000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stewater
water level
skimmer
t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순
성혁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7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585A/ko
Publication of KR20160000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5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06Arrangements for treating drilling fluids outside the borehol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06Arrangements for treating drilling fluids outside the borehole
    • E21B21/063Arrangements for treating drilling fluids outside the borehole by separating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탱크를 구비한 스키머 탱크에 오수를 체류시켜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오수에서 유체를 분리가능하게 한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추선의 OBM(Oil Based Mud)을 포함하는 오수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오수를 유입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를 통과한 오수를 체류시켜 상기 오수에서 유체를 분리시키는 스키머(skimmer) 탱크; 및 상기 스키머 탱크의 하부에 퇴적된 퇴적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스키머 탱크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탱크와, 상기 복수의 탱크를 구획하고 상단이 스키머 탱크의 상부면과 이격되어 있는 세로벽을 포함하여, 상기 세로벽의 상단을 넘어서 상기 유체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SEWAGE TREATMENT SYSTEM OF DRILLSHIP AND SEWAGE TREATMENT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탱크를 구비한 스키머 탱크에 오수를 체류시켜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오수에서 유체를 분리가능하게 한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추선 등과 같은 선박은 해저 유전 등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 장비를 탑재한 선박으로,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가 가능하며 선체를 일정한 시추 지점에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해저의 탐사 또는 시추가 가능하다.
이러한 시추선(예로서, DRILLSHIP, Semi Drilling Rig, Jack-up Rig)은 시추작업과정에서 오일 혼합물을 포함하여 진흙(mud), 분쇄물 등을 포함하는 오수를 끌어 올리게 되고, 끌어 올려진 오수는 처리장치를 통하여 재 사용 가능한 상태로 분리되게 된다.
한편, 시추작업과정에서 순환되는 오수는 대부분 처리장치를 통하여 재 순환되게 되나, 시추작업과정에서 드릴 플로어(drill floor), 캔틸레버(cantilever) 등에서 누설되는 오수는 별도의 고정 탱크에 모아지게 된다.
모아진 오수는 선외로 마지막 배출전에 분리기를 통해서 IMO 규정에 따라서 15ppm을 맞춘다. 이때 IMO 규정을 맞추기 위하여 decanter, chemical dossing unit, centrifuge와 같은 기계적 장치를 통해서 해당 오수를 분리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시추선에서 생성되는 오수를 처리하는 시스템은 고가인 기계적 장치의 빈번한 유지/보수/점검 등의 행위가 필요하여 그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고, 기계적 장치의 장비를 배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15744호(2013.10.22) "선박용 오수분리장치 "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탱크를 구비한 스키머 탱크에 오수를 체류시켜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오수에서 유체를 분리가능하게 한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추선의 OBM(Oil Based Mud)을 포함하는 오수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오수를 유입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를 통과한 오수를 체류시켜 상기 오수에서 유체를 분리시키는 스키머(skimmer) 탱크; 및 상기 스키머 탱크의 하부에 퇴적된 퇴적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스키머 탱크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탱크와, 상기 복수의 탱크를 구획하고 상단이 스키머 탱크의 상부면과 이격되어 있는 세로벽을 포함하여, 상기 세로벽의 상단을 넘어서 상기 유체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탱크 각각은 보관되는 오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와, 해당 탱크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탱크, 제 2 탱크 및 제 3 탱크로 순차적으로 유체가 이송되도록 상기 제 1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 사이의 세로벽은 상기 제 2 탱크와 상기 제 3 탱크 사이의 세로벽보다 높이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탱크 중 적어도 하나 탱크의 하부에 퇴적된 퇴적물은 상기 배출수단에 포함된 펌프를 이용하여 운반탱크에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탱크 각각은 오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레벨 측정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은 상기 레벨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수위를 수신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탱크별 수위와 기준수위를 비교하여 기준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키머 탱크과 연결된 밸브를 닫고 상기 시추선의 드레인배관에서 분기되어 선외로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라인에 설치된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해당 밸브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추선의 OBM(Oil Based Mud)을 포함하는 오수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추선의 오수 처리 방법으로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탱크와, 상기 복수의 탱크를 구획하는 세로벽을 구비한 스키머 탱크의 유입구를 통과한 오수를 체류시키는 단계; 상기 체류시킨 오수에서 유체를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키머 탱크의 하부에 퇴적된 퇴적물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수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세로벽의 상단과 상기 스키머 탱크의 상부면 사이가 이격되어 있어 상기 세로벽의 상단을 넘어서 순차적으로 인접하는 탱크에 상기 유체가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오수 처리 방법은 상기 분리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탱크에 구비된 레벨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수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탱크별 수위와 기준수위를 비교하여 기준수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결과 기준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탱크별 수위와 기준수위를 비교하여 기준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키머 탱크과 연결된 밸브를 닫고 상기 시추선의 드레인배관에서 분기되어 선외로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라인에 설치된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해당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탱크를 구비한 스키머 탱크에 오수를 체류시켜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오수에서 유체를 분리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탱크와 제 2 탱크 사이의 세로벽이 제 2 탱크와 제 3 탱크의 세로벽보다 높이가 높게 정해짐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탱크에서 순차적으로 유체가 세로벽의 상단을 넘어 인접하는 탱크로 이송되어 별도의 고가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시추선의 오수 처리를 가능하게 한 효과도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수공식으로 기계의 사용이 없으므로 유지/보수/점검 비용이 상당히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키머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의 오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키머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은 시추선의 OBM(Oil Based Mud)를 포함하는 오수에서 유체를 분리시키는 스키머(skimmer) 탱크(10)와, 스키머 탱크(10)의 하부에 퇴적된 퇴적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20) 등을 포함한다.
스키머 탱크(10)는 시추작업과정에서 드릴 플로어(drill floor), 캔틸레버(cantilever) 등에서 누설되는 오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미도시)를 구비한다. 도 1에서는 드릴 플로어 드레인 배관(L1)과 연결된 캔틸레버 드레인 배관(L2)을 통하여 드릴 플로어 및 캔틸레버에서 누설된 오수를 스키머 탱크(10)에 유입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대로 드릴 플로어 드레인 배관(L1)에 캔틸레버 드레인 배관(L2)이 연결되어 스키머 탱크(10)에 오수를 공급하는 구조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드릴 플로어 드레인 배관(L1) 및 캔틸레버 드레인 배관(L2)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설치되어 있어, 밸브의 개도정도를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조절하여 스키머 탱크(10)에 공급되는 오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스키머 탱크(10)에 설치된 레벨 측정기(도 2의 113, 123, 133)로부터 수신된 수위가 기준수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준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밸브의 개도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컨트롤러는 드릴 플로어 드레인 배관(L1)과 캔틸레버 드레인 배관(L2)이 연결되는 지점에서 스키머 탱크(10)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를 폐쇄하도록 밸브폐쇄신호를 해당 밸브를 제어하는 밸브제어기(미도시)에 전송하고, 캔틸레버 드레인 배관(L2)에서 선외로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라인(L3)에 설치된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밸브개방신호를 해당 밸브를 제어하는 밸브제어기(미도시)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스키머 탱크(10)의 수위가 기준수위를 초과하면 스키머 탱크(10)로 오수의 공급을 막고 선외로 바로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어 스키머 탱크(10)의 수위가 기준수위를 초과하여 발생하는 위험한 상황을 막을 수 있다.
시추선의 시추작업과정에서 누설되는 오수가 유입된 스키머 탱크(10)는 오수를 체류시켜 오수에서 유체를 분리시킨다. 즉 스키머 탱크(10)에 공급된 오수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여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오수에서 유체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키머 탱크(10)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탱크(11, 12, 13)와, 복수의 탱크(11, 12, 13)을 구획하는 세로벽(14, 15)을 포함한다. 세로벽(14, 15)의 상단은 스키머 탱크(10)의 상부면과 이격되어 있어, 세로벽(14, 15)의 상단을 넘어서 유체가 이송된다. 또한 스키머 탱크(10)는 배출구(16)를 구비한다. 배출구(16)를 통하여 오수에서 분리된 정제된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스키머 탱크(10)의 상부에는 복수의 탱크(11, 12, 13)에 각각 에어 배출구(115, 125, 135)를 구비한다. 에어 배출구(115, 125, 135)를 통하여 해당 탱크내의 공기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더 설명하면 제 1 탱크 내지 제 3 탱크(11, 12, 13)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 1 탱크(11) 및 제 2 탱크(12) 사이에 제 1 세로벽(14)이 배치되어 있고 제 2 탱크(12)와 제 3 탱크(13) 사이에 제 2 세로벽(15)이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세로벽(14)의 높이가 제 2 세로벽(15)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정해져 있다. 이에 따라 제 1 세로벽(14)과 시키머 탱크(10)의 상부면 사이의 이송통로가 제 2 세로벽(15)과 스키머 탱크(10)의 상부면 사이의 이송통로보다 좁게 마련되어 있어 제 3 탱크(13)에서 제 1 탱크(11)로 역류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시추작업과정에서 누설되는 오수를 제 1 탱크(11)에 체류시켜 밀도가 높은 고체는 제 1 탱크(11)의 하부에 퇴적되고 밀도가 낮은 유체는 제 1 탱크(11)의 상부에 머무르다가 제 1 탱크(11)와 제 2 탱크(12) 사이에 배치된 제 1 세로벽(14)의 상단을 넘어서 제 2 탱크(12)에 이송된다. 제 2 탱크(12)에서도 마찬가지로 이송된 유체를 제 2 탱크(12)에 체류시켜 밀도가 높은 물질은 제 2 탱크(12)의 하부에 퇴적되고 밀도가 낮은 유체는 제 2 탱크(12)와 제 3 탱크(13) 사이에 배치된 제 2 세로벽(15)의 상단을 넘어서 제 3 탱크(13)에 이송된다. 제 3 탱크(13)에서도 마찬가지로 이송된 유체를 제 3 탱크(13)에 체류시켜 밀도가 높은 물질은 제 3 탱크(13)의 하부에 퇴적되고 밀도가 낮은 유체는 제 3 탱크(13)에 머무른다.
이때 제 1 탱크 내지 제 3 탱크(11, 12, 13) 각각에는 수위를 측정하는 레벨측정기(113, 123, 133)를 구비하고, 측정된 수위는 컨트롤러에 전송된다.
또한 제 1 탱크 내지 제 3 탱크(11, 12, 13) 각각에는 보관되는 오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기(111, 121, 131)를 구비하고, 해당 탱크를 가열시키는 히터(112, 122, 132)를 구비한다. 이때 히터(112, 122, 132)는 탱크내에 체류되는 머드 등이 굳지 않도록 탱크를 가열시킨다.
온도 측정기(111, 121, 131)에 의해 측정된 오수의 온도는 온도 측정기(111, 121, 131)과 연결된 제어기(114, 124, 134)에 보내져 컨트롤러에 탱크별 오수의 온도가 전송된다. 제어기(114, 124, 134)는 컨트롤러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컨트롤러는 제어기(114, 124, 134)로부터 오수의 온도를 수신하여 수신된 오수의 온도를 기준 온도와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온도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12, 122, 132)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레벨 측정기(113, 123, 133)로부터 측정된 수위를 제어기(114, 124, 134)를 거쳐 수신하여 수신된 수위를 기준수위와 비교하여 하부에 퇴적된 퇴적물의 배출 여부를 결정하고 배출이 필요한 경우 이를 알리는 알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레벨 측정기(113, 123, 133)로부터 측정된 수위를 수신하여 수신된 수위를 기준수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준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스키머 탱크(10)와 연결된 캔틸레버 드레인 배관(L2)에서 분기되어 선외로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라인(L3)에 설치된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밸브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컨트롤러에 의해 제 1 탱크 내지 제 3 탱크(11, 12, 13) 중 퇴적물의 배출이 필요한 탱크를 알림할 수 있다. 따라서 퇴적물의 배출이 필요한 탱크에 퇴적된 퇴적물을 배출수단(20)을 통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수단(20)은 복수의 밸브(B1, B2, B3)와, 복수의 펌프(P1, P2) 및 운반탱크(TT)를 포함한다.
퇴적물의 배출이 필요한 탱크와 연결된 밸브를 개방시켜 탱크의 하부에 퇴적된 퇴적물을 복수의 펌프(P1, P2)를 통해 운반 탱크(TT)에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스키머 탱크에 오수를 체류시켜 오수에서 유체가 분리되고 하부에 퇴적된 퇴적물도 용이하게 운반탱크에 배출시킬 수 있어 decanter, chemical dossing unit, centrifuge와 같은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시추선의 시추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OBM을 포함하는 오수를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오수 처리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오수 처리 방법은 시추선의 시추작업과정에서 누설되는 오수를 스키머 탱크(10)에 체류시킨다(S11).
이와 같은 스키머 탱크(10)에서 오수의 체류시간을 가짐에 따라 제 1 탱크(11)의 하부에 밀도가 높은 물질이 가라앉게 되어 오수에서 유체를 분리시킨다(S13).
더 자세하게 시추선에 설치된 드릴 플로어 드레인 배관(L1)과 캔틸레버 드레인 배관(L2)을 거쳐 스키머 탱크(10)에 유입되는 오수는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탱크 중 첫번째 탱크, 여기서는 제 1 탱크(11)에 보관되어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밀도가 높은 물질이 하부로 가라앉게 되고 밀도가 낮은 물질이 그 위에 쌓인다.
이와 같이 제 1 탱크(11)에 채워지는 밀도가 낮은 물질, 즉 유체가 제 1 탱크(11) 및 제 2 탱크(12) 사이의 제 1 세로벽(14)의 상단을 넘어서 제 2 탱크(12)로 이송된다. 제 2 탱크(12)도 마찬가지로 제 2 탱크(12)에 이송된 유체 중에서 밀도가 높은 물질이 하부로 가라앉게 되고 밀도가 낮은 물질이 제 2 세로벽(15)을 넘어서 제 3 탱크(13)로 이송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제 1 탱크(11), 제 2 탱크(12) 및 제 3 탱크(13) 순으로 밀도가 낮은 유체가 제 1 및 제 2 세로벽(14, 15)의 상단을 넘어서 이송되고 해당 탱크에서 밀도가 높은 물질이 하부에 퇴적된다. 이때 제 1 탱크(11)의 하부에 가장 높은 밀도를 갖는 물질이 퇴적된다.
이후 제 1 내지 제 3 탱크(11, 12, 13)별로 설치된 레벨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수위를 수신하여 수신된 수위가 기준수위를 초과하면 기준수위를 초과한 수위가 측정된 탱크를 식별하여 해당 탱크의 하부에 퇴적된 퇴적물을 배출수단(20)을 통해 배출시킨다(S15).
이렇게 함으로써 decanter, chemical dossing unit, centrifuge와 같은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시추선의 시추작업과정에서 누설되는 OBM을 포함하는 오수에서 유체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시킨 유체는 스키머 탱크(10)에 구비된 배출구(16)를 통하여 선외로 배출시킬 수 있고, 탱크의 수위가 기준수위를 초과하면 탱크의 하부에 퇴적된 퇴적물을 배출시켜 안전하게 시추작업에서 발생된 오수를 처리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 : 스키머 탱크
11, 12, 13 : 제 1 탱크 내지 제 3 탱크
14, 15 : 제 1 및 제 2 세로벽
16 : 배출구
111, 121, 131 : 온도 측정기
112, 122, 132 : 히터
113, 123, 133 : 레벨 측정기
114, 124, 134 : 제어기
115, 125, 135 : 에어 배출구
20 : 배출수단

Claims (9)

  1. 시추선의 OBM(Oil Based Mud)을 포함하는 오수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오수를 유입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를 통과한 오수를 체류시켜 상기 오수에서 유체를 분리시키는 스키머(skimmer) 탱크; 및
    상기 스키머 탱크의 하부에 퇴적된 퇴적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스키머 탱크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탱크와, 상기 복수의 탱크를 구획하고 상단이 스키머 탱크의 상부면과 이격되어 있는 세로벽을 포함하여, 상기 세로벽의 상단을 넘어서 상기 유체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탱크 각각은 보관되는 오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와, 해당 탱크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탱크, 제 2 탱크 및 제 3 탱크로 순차적으로 유체가 이송되도록 상기 제 1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 사이의 세로벽은 상기 제 2 탱크와 상기 제 3 탱크 사이의 세로벽보다 높이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탱크 중 적어도 하나 탱크의 하부에 퇴적된 퇴적물은 상기 배출수단에 포함된 펌프를 이용하여 운반탱크에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탱크 각각은 오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레벨 측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벨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수위를 수신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탱크별 수위와 기준수위를 비교하여 기준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키머 탱크과 연결된 밸브를 닫고 상기 시추선의 드레인배관에서 분기되어 선외로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라인에 설치된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해당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7. 시추선의 OBM(Oil Based Mud)을 포함하는 오수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추선의 오수 처리 방법으로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탱크와, 상기 복수의 탱크를 구획하는 세로벽을 구비한 스키머 탱크의 유입구를 통과한 오수를 체류시키는 단계;
    상기 체류시킨 오수에서 유체를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키머 탱크의 하부에 퇴적된 퇴적물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수 처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세로벽의 상단과 상기 스키머 탱크의 상부면 사이가 이격되어 있어 상기 세로벽의 상단을 넘어서 순차적으로 인접하는 탱크에 상기 유체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수 처리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리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탱크에 구비된 레벨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수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탱크별 수위와 기준수위를 비교하여 기준수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결과 기준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탱크별 수위와 기준수위를 비교하여 기준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키머 탱크과 연결된 밸브를 닫고 상기 시추선의 드레인배관에서 분기되어 선외로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라인에 설치된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해당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오수 처리 방법.
KR1020140077798A 2014-06-25 2014-06-25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05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798A KR20160000585A (ko) 2014-06-25 2014-06-25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798A KR20160000585A (ko) 2014-06-25 2014-06-25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585A true KR20160000585A (ko) 2016-01-05

Family

ID=5516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798A KR20160000585A (ko) 2014-06-25 2014-06-25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5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9497A (zh) * 2022-04-19 2022-07-12 中煤科工集团重庆研究院有限公司 一种钻孔钻屑随钻测定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744A (ko) 2012-04-13 2013-10-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오수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744A (ko) 2012-04-13 2013-10-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오수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9497A (zh) * 2022-04-19 2022-07-12 中煤科工集团重庆研究院有限公司 一种钻孔钻屑随钻测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22209A1 (en) Selective fluid retrieval and treatment system for oil and wastewater recovery
US9751790B2 (en) Solids removal system and method
US10166493B2 (en) Mobile flocculation and fracking water treatment system
US20160319652A1 (en) Hydrostatic storage of produced water
CA2989703C (en) Method and system for subsea separation of produced water
KR101390821B1 (ko) 선박용 오수분리장치
US20160202709A1 (en) Fluid level control system for oil and wastewater recovery
US11459245B2 (en) Wastewater and effluent separation and treatment systems
US7241380B2 (en) Ultraviolet treatment unit and septic tank system
WO2009084813A1 (en) An apparatus for prevention of mud hardening in drain holding tank
KR20160000585A (ko)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A3117658C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slop water treatment efficiency
US20240219271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water treatment
KR200478223Y1 (ko) 해양구조물의 오픈 드레인 시스템
KR101284864B1 (ko) 유체 관리 시스템
SU890113A1 (ru) Стенд дл береговых испытаний судовых установок по очистке сточных вод
KR102666094B1 (ko) 열에 의한 자연대류를 이용한 오일분리 장치
KR101903154B1 (ko) 오수 처리 장치
JP6652826B2 (ja) 排水処理装置
CA2801764C (en) Solids removal system and method
WO2022254084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water treatment
KR20190019711A (ko)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KR20160036265A (ko) 시추 구조물의 드레인 처리 시스템
KR20150146016A (ko) 수소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20150123052A (ko) 드레인 시스템 및 시추 해양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