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864B1 - 유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864B1
KR101284864B1 KR1020110034878A KR20110034878A KR101284864B1 KR 101284864 B1 KR101284864 B1 KR 101284864B1 KR 1020110034878 A KR1020110034878 A KR 1020110034878A KR 20110034878 A KR20110034878 A KR 20110034878A KR 101284864 B1 KR101284864 B1 KR 101284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level
mud
storage spac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242A (ko
Inventor
권청명
조동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4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864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4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sludge, e.g. tank washing slu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유체 관리 방법은 머드, 물 및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유체 탱크, 유체 탱크 내의 유체 저장 공간에서 유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유체 레벨 측정부, 유체 탱크 내의 유체 저장 공간에서 유체에 포함된 머드의 레벨을 측정하는 머드 레벨 측정부, 유체 탱크에 형성되는 전체 레벨 중 서로 다른 각각의 레벨과 대응하여 유체 탱크와 각각이 연통하는 복수의 유체 튜브, 복수의 유체 튜브 각각을 개폐하는 복수의 유체 밸브를 포함하며, 머드의 레벨 및 유체의 레벨에 기초하여 복수의 유체 밸브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관리 시스템 {FLUI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유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 오일 및 머드가 혼합된 유체를 관리하는 유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을 이용해 해양에서 일정의 작업을 수행할 경우, 물, 오일 및 머드가 혼합된 유체가 발생된다.
일례로, 물, 오일 및 머드가 혼합된 유체는 드릴쉽(drillship)과 같은 선박을 이용해 해저를 굴착할 때 발생되는데, 이 유체를 해양에 그대로 폐기할 경우 환경이 파괴되므로, 종래에는 드릴쉽 내에 설치된 탱크 내에 유체를 저장한 후 추후에 다른 선박에 의해 유체를 드릴쉽으로부터 육지로 이동시켜 처리하거나 또는 드릴쉽이 육지로 이동하여 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육지에서 처리하였다.
그런데, 종래에는 물, 오일 및 머드가 혼합된 유체가 그대로 탱크 내에 저장됨으로써, 해저를 굴착하는 등의 작업에 의해 발생되는 모든 유체가 선박 내에 설치된 탱크 내에 저장되기 때문에,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막대한 공간이 선박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정의 작업에 의해 발생되는 물, 오일 및 머드를 포함하는 유체 전부를 선박에 저장할 필요가 없도록 유체를 처리할 수 있는 유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머드, 물 및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유체 탱크, 상기 유체 탱크 내의 상기 유체 저장 공간에서 상기 유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유체 레벨 측정부, 상기 유체 탱크 내의 상기 유체 저장 공간에서 상기 유체에 포함된 상기 머드의 레벨을 측정하는 머드 레벨 측정부, 상기 유체 탱크에 형성되는 전체 레벨 중 서로 다른 각각의 레벨과 대응하여 상기 유체 탱크와 각각이 연통하는 복수의 유체 튜브, 상기 복수의 유체 튜브 각각을 개폐하는 복수의 유체 밸브, 및 상기 머드의 레벨 및 상기 유체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유체 밸브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머드 레벨 측정부는 상기 머드의 비중보다 낮은 비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체 튜브는 상기 유체 탱크에 형성되는 전체 레벨 중 제1 레벨과 대응하여 상기 유체 탱크와 연통하는 머드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체 밸브는 상기 머드 튜브를 개폐하는 머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체 튜브는 상기 유체 탱크에 형성되는 전체 레벨 중 상기 제1 레벨보다 높은 레벨과 대응하여 상기 유체 탱크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유수 튜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체 밸브는 상기 유수 튜브 각각을 개폐하는 유수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수 튜브는 상기 제1 레벨보다 높은 제2 레벨과 대응하여 상기 유체 저장 공간과 연통하는 제1 서브 유수 튜브, 상기 제2 레벨보다 높은 제3 레벨과 대응하여 상기 유체 저장 공간과 연통하는 제2 서브 유수 튜브, 및 상기 제3 레벨보다 높은 제4 레벨과 대응하여 상기 유체 저장 공간과 연통하는 제3 서브 유수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 중 하나에 의하면, 일정의 작업에 의해 발생되는 물, 오일 및 머드를 포함하는 유체 전부를 선박에 저장할 필요가 없도록 유체를 처리할 수 있는 유체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유체 관리 방법에서 유체 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선택적으로 유체 탱크로부터 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표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관리 시스템은 드릴쉽(drillship) 등을 포함하는, 해양에서 일정의 작업을 하는 선박에 설치된다. 유체 관리 시스템은 선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일정의 작업에 의해 발생된 머드(mud), 물(water) 및 오일(oil)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체를 머드, 물 및 오일 등 각각으로 분리시키며, 유체 탱크(100), 유체 레벨 측정부(200), 머드 레벨 측정부(300), 유체 튜브(400), 유체 밸브(500), 제어부(600), 머드 탱크(700), 유수 분리기(800) 및 오일 탱크(900)를 포함한다.
유체 탱크(100)는 드릴쉽 등과 같은 선박에서 발생되는 머드, 물 및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 저장 공간(S)을 형성한다. 유체 저장 공간(S)은 0% 내지 100%의 레벨(높이)을 형성하며, 머드, 물 및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유체는 이 유체 저장 공간(S)에 쌓이게 된다. 유체 탱크(100) 내에는 유체 레벨 측정부(200) 및 머드 레벨 측정부(300)가 위치한다.
유체 레벨 측정부(200)는 유체 저장 공간(S)에 쌓여 저장되는 전체 유체의 레벨을 측정한다. 유체 레벨 측정부(200)는 유체 저장 공간(S)에 위치하는 유체의 밀도를 센싱하여 유체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유체 레벨 측정부(200)에는 머드 레벨 측정부(300)가 설치되어 있다. 유체 레벨 측정부(200)는 유체의 레벨을 측정한 측정값을 가지는 신호를 제어부(600)로 전달할 수 있다.
머드 레벨 측정부(300)는 유체 저장 공간(S)에 쌓여 저장되는 머드, 물 및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유체에서 다른 재료에 비해 비중이 높아 아래로 가라앉아 쌓이는 머드의 레벨을 측정한다. 머드 레벨 측정부(300)는 머드의 비중보다 낮은 비중을 가지는 동시에 물 및 오일보다 높은 비중을 가짐으로써, 머드 상에 플로팅(floating)될 수 있다. 이 경우, 머드 레벨 측정부(300)는 자성을 띠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자성체는 머드 상에 플로팅되면서 자성체가 위치하는 부분의 전류값을 변화시켜 유체 저장 공간(S)에 저장되는 머드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머드 레벨 측정부(300)는 머드, 물 및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체 유체 중 머드의 레벨만을 측정한 측정값을 가지는 신호를 제어부(600)로 전달할 수 있다.
유체 튜브(400)는 복수개이며, 유체 탱크(100)와 연결되어 있다. 유체 튜브(400)는 유체 저장 공간(S)이 형성하는 전체 레벨 중 서로 다른 각각의 레벨과 대응하여 유체 저장 공간과 각각이 연통한다. 보다 상세하게, 복수의 유체 튜브(400)는 머드 튜브(410) 및 유수 튜브(420)를 포함한다.
머드 튜브(410)는 한 개 이상이 유체 저장 공간(S)과 연결되어 있으며, 유체 저장 공간(S)이 형성하는 전체 레벨 중 0% 내지 10%인 제1 레벨과 대응하여 유체 저장 공간(S)과 연통하고 있다. 일례로서, 머드 튜브(410)는 유체 저장 공간(S)이 형성하는 전체 레벨 중 5%인 제1 레벨과 대응하여 유체 저장 공간(S)과 연통할 수 있다. 머드 튜브(410)는 유체 저장 공간(S)에 저장된 머드, 물 및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유체에서 다른 재료에 비해 비중이 높아 아래로 가라앉아 쌓이는 머드가 이동하는 채널(channel)이다.
유수 튜브(420)는 한 개 이상이 유체 저장 공간(S)과 연결되어 있으며, 유체 저장 공간(S)이 형성하는 전체 레벨 중 제1 레벨보다 높은 레벨과 대응하여 유체 저장 공간(S)과 연통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유수 튜브(420)는 제1 서브 유수 튜브(421), 제2 서브 유수 튜브(422) 및 제3 서브 유수 튜브(423)를 포함한다.
제1 서브 유수 튜브(421)는 한 개 이상이 유체 저장 공간(S)과 연결되어 있으며, 유체 저장 공간(S)이 형성하는 전체 레벨 중 제1 레벨보다 높은 10% 내지 100%인 제2 레벨과 대응하여 유체 저장 공간(S)과 연통하고 있다. 일례로서, 제1 서브 유수 튜브(421)는 유체 저장 공간(S)이 형성하는 전체 레벨 중 10%인 제2 레벨과 대응하여 유체 저장 공간(S)과 연통할 수 있다. 제1 서브 유수 튜브(421)는 유체 저장 공간(S)에 저장된 머드, 물 및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유체에서 머드에 비해 비중이 낮아 머드 상으로 플로팅된 물 및 오일이 이동하는 채널이다.
제2 서브 유수 튜브(422)는 한 개 이상이 유체 저장 공간(S)과 연결되어 있으며, 유체 저장 공간(S)이 형성하는 전체 레벨 중 제2 레벨보다 높은 10% 내지 100%인 제3 레벨과 대응하여 유체 저장 공간(S)과 연통하고 있다. 일례로서, 제2 서브 유수 튜브(422)는 유체 저장 공간(S)이 형성하는 전체 레벨 중 40%인 제3 레벨과 대응하여 유체 저장 공간(S)과 연통할 수 있다. 제2 서브 유수 튜브(422)는 유체 저장 공간(S)에 저장된 머드, 물 및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유체에서 머드에 비해 비중이 낮아 머드 상으로 플로팅된 물 및 오일이 이동하는 채널이다.
제3 서브 유수 튜브(423)는 한 개 이상이 유체 저장 공간(S)과 연결되어 있으며, 유체 저장 공간(S)이 형성하는 전체 레벨 중 제3 레벨보다 높은 10% 내지 100%인 제4 레벨과 대응하여 유체 저장 공간(S)과 연통하고 있다. 일례로서, 제3 서브 유수 튜브(423)는 유체 저장 공간(S)이 형성하는 전체 레벨 중 70%인 제4 레벨과 대응하여 유체 저장 공간(S)과 연통할 수 있다. 제3 서브 유수 튜브(423)는 유체 저장 공간(S)에 저장된 머드, 물 및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유체에서 머드에 비해 비중이 낮아 머드 상으로 플로팅된 물 및 오일이 이동하는 채널이다.
유체 밸브(500)는 복수개이며, 각각이 각 유체 튜브(400)에 결합되어 복수의 유체 튜브(400)를 개폐한다. 상세하게, 유체 밸브(500)는 머드 밸브(510) 및 유수 밸브(520)를 포함한다.
머드 밸브(510)는 머드 튜브(410)에 결합되어 있으며, 머드 튜브(410)를 개폐한다. 머드 밸브(510)는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60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머드 밸브(510)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유수 밸브(520)는 유수 튜브(420)에 결합되어 있으며, 유수 튜브(420)를 개폐한다. 보다 상세하게, 유수 밸브(520)는 제1 서브 유수 밸브(521), 제2 서브 유수 밸브(522) 및 제3 서브 유수 밸브(523)를 포함한다.
제1 서브 유수 밸브(521)는 제1 서브 유수 튜브(421)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 서브 유수 튜브(421)를 개폐한다. 제1 서브 유수 밸브(521)는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60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제1 서브 유수 밸브(521)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2 서브 유수 밸브(522)는 제2 서브 유수 튜브(422)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2 서브 유수 튜브(422)를 개폐한다. 제2 서브 유수 밸브(522)는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60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제2 서브 유수 밸브(522)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3 서브 유수 밸브(523)는 제3 서브 유수 튜브(423)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3 서브 유수 튜브(423)를 개폐한다. 제3 서브 유수 밸브(523)는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60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제3 서브 유수 밸브(523)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유체 레벨 측정부(200) 및 머드 레벨 측정부(300)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유체 저장 공간(S)에 저장된 전체 유체의 레벨 및 전체 유체 중 머드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술한 복수의 유체 밸브(500)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제어부(600)에 의한 유체 밸브(500)의 선택적 개폐에 대해서는 후술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관리 시스템에 이용한 유체 관리 방법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머드 탱크(700)는 유체 튜브(400) 중 머드 튜브(410)와 연통하고 있으며, 유체 탱크(100)로부터 머드 튜브(410)를 통한 머드가 저장되는 탱크이다.
유수 분리기(800)는 제1 서브 유수 튜브(421), 제2 서브 유수 튜브(422) 및 제3 서브 유수 튜브(423)를 포함하는 유수 튜브(420)와 연통하고 있으며, 유체 탱크(100)로부터 유수 튜브(420)를 통해 유수 분리기(800)로 도달한 물 및 오일이 혼합된 유체를 물 및 오일 각각으로 분리한다. 유수 분리기(800)에 의해 분리된 오일은 오일 탱크(900)로 이동되며, 유수 분리기(800)에 의해 분리된 물은 물 내에 함유된 오일이 국제 규격(일례로 15ppm 이하)을 넘지 않은 경우 선박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오일 탱크(900)는 유수 분리기(800)와 연통하며, 유수 분리기(800)에 의해 분리된 오일이 저장되는 탱크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관리 시스템에 이용한 유체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관리 시스템에 이용한 유체 관리 방법에서 유체 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선택적으로 유체 탱크로부터 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표이다. 도 2에 도시된 표에서 A는 도 1에 도시된 제3 서브 유수 밸브(523)를 의미하고, B는 도 1에 도시된 제2 서브 유수 밸브(522)를 의미하며, C는 도 1에 도시된 제1 서브 유수 밸브(521)를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일정의 작업에 의해 발생된 머드, 물 및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각각이 혼합된 유체를 유체 탱크(100)의 유체 저장 공간(S)에 저장한다.
다음, 유체 저장 공간(S)에서 유체의 레벨 및 머드의 레벨을 측정한다.
상세하게, 유체 탱크(100)가 형성하는 유체 저장 공간(S) 내에 설치된 유체 레벨 측정부(200) 및 머드 레벨 측정부(300)를 이용하여 유체 저장 공간(S) 내에 저장된 전체 유체 레벨 및 머드 레벨 각각을 측정한다. 유체 저장 공간(S) 내에 저장된 전체 유체 레벨을 측정한 측정값에 대응하는 신호 및 머드 레벨을 측정한 측정값에 대응하는 신호 각각은 제어부(600)로 전달된다.
다음, 머드의 레벨 및 유체의 레벨에 기초하여 유체 저장 공간(S)이 형성하는 전체 레벨 중 서로 다른 각각의 레벨과 대응하는 유체를 선택적으로 유체 저장 공간(S)으로부터 배출한다.
상세하게, 복수개의 유체 밸브(500) 중 머드 튜브(410)가 유체 저장 공간(S)이 형성하는 전체 레벨 중 5%인 제1 레벨과 대응하여 유체 저장 공간(S)과 연통하고, 제1 서브 유수 튜브(421)가 유체 저장 공간(S)이 형성하는 전체 레벨 중 10%인 제2 레벨과 대응하여 유체 저장 공간(S)과 연통하고, 제2 서브 유수 튜브(422)가 유체 저장 공간(S)이 형성하는 전체 레벨 중 40%인 제3 레벨과 대응하여 유체 저장 공간(S)과 연통하고, 제3 서브 유수 튜브(423)는 유체 저장 공간(S)이 형성하는 전체 레벨 중 70%인 제4 레벨과 대응하여 유체 저장 공간(S)과 연통하고 있을 경우, 도 2에 나타낸 표와 같이 제어부(600)에 의해 복수개의 유체 밸브(500)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보다 상세하게, 유체 탱크(100)가 형성하는 유체 저장 공간(S) 내 머드의 레벨이 0% ~ 5%이고, 유체 저장 공간(S) 내 유체의 레벨이 0% ~ 10%이면 제어부(600)는 MP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MP 제어란, 제1 서브 유수 밸브(521), 제2 서브 유수 밸브(522) 및 제3 서브 유수 밸브(523)를 클로즈(close)한 상태에서 머드 밸브(510)를 오픈(open)하는 제어를 말한다. 이 때, 유체 탱크(100)가 형성하는 유체 저장 공간(S) 내 머드는 머드 튜브(410)를 통해 머드 탱크(700)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유체 탱크(100)가 형성하는 유체 저장 공간(S) 내 머드의 레벨이 0% ~ 5%이고, 유체 저장 공간(S) 내 유체의 레벨이 10% ~ 40%이면 제어부(600)는 제2 서브 유수 밸브(522) 및 제3 서브 유수 밸브(523)를 클로즈한 상태에서 제1 서브 유수 밸브(521)를 오픈한다. 이 때, 유체 탱크가 형성하는 형성하는 유체 저장 공간(S) 내 물 및 오일은 제1 서브 유수 튜브(421)를 통해 유수 분리기(800)로 이동하여 물 및 오일 각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물은 선박 밖으로 배출되고 오일은 오일 탱크(9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유체 탱크(100)가 형성하는 유체 저장 공간(S) 내 머드의 레벨이 0% ~ 5%이고, 유체 저장 공간(S) 내 유체의 레벨이 40% ~ 70%이면 제어부(600)는 제1 서브 유수 밸브(521) 및 제3 서브 유수 밸브(523)를 클로즈한 상태에서 제2 서브 유수 밸브(522)를 오픈한다. 이 때, 유체 탱크가 형성하는 형성하는 유체 저장 공간(S) 내 물 및 오일은 제2 서브 유수 튜브(422)를 통해 유수 분리기(800)로 이동하여 물 및 오일 각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물은 선박 밖으로 배출되고 오일은 오일 탱크(9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유체 탱크(100)가 형성하는 유체 저장 공간(S) 내 머드의 레벨이 0% ~ 5%이고, 유체 저장 공간(S) 내 유체의 레벨이 70% ~ 95%이면 제어부(600)는 제1 서브 유수 밸브(521) 및 제2 서브 유수 밸브(522)를 클로즈한 상태에서 제3 서브 유수 밸브(523)를 오픈한다. 이 때, 유체 탱크가 형성하는 형성하는 유체 저장 공간(S) 내 물 및 오일은 제3 서브 유수 튜브(423)를 통해 유수 분리기(800)로 이동하여 물 및 오일 각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물은 선박 밖으로 배출되고 오일은 오일 탱크(90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유체 탱크(100)가 형성하는 유체 저장 공간(S) 내 머드의 레벨이 0% ~ 5%이고, 유체 저장 공간(S) 내 유체의 레벨이 95%이면 제어부(600)는 유체가 유체 탱크(100)를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체 탱크(100)가 형성하는 유체 저장 공간(S) 내 머드의 레벨이 0% ~ 5%이고, 유체 저장 공간(S) 내 유체의 레벨이 98%이면 제어부(600)는 유체가 유체 탱크(100)를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유체 탱크(100)가 형성하는 유체 저장 공간(S) 내 머드의 레벨이 5% ~ 10%, 10% ~ 20%, 20% ~ 30%, 30% ~ 40%, 40% ~ 50%, 50% ~ 60%, 60% ~ 70%, 70% ~ 80%, 80% ~ 90% 및 90% ~ 100% 중 어느 하나이고, 유체 저장 공간(S) 내 유체의 레벨이 0% ~ 10%, 10% ~ 40%, 40% ~ 70%, 70% ~ 95%, 95% 및 98% 중 어느 하나일 경우는 도 2에 도시된 표에 따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유체 관리 방법은 유체 저장 공간(S)에 저장되는 전체 유체의 레벨 및 머드의 레벨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복수개의 유체 밸브(500) 중 하나 이상을 개폐함으로써, 유체 저장 공간(S)이 형성하는 전체 레벨 중 서로 다른 각각의 레벨에 대응하는 머드 또는 물 및 오일을 선택적으로 유체 저장 공간(S)으로부터 배출하기 때문에, 작업 시 발생되는 물, 오일 및 머드를 포함하는 유체 전부를 유체 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선박에 저장할 필요가 없다. 이는 선박의 운용 비용을 크게 절감시키는 요인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유체 관리 방법은 유체 저장 공간(S)에 저장된 머드의 레벨 및 유체의 레벨에 기초하여 제어부(600)에 의해 선택적으로 복수개의 유체 밸브(500) 중 하나 이상이 자동적으로 개폐됨으로써, 유체 관리 시스템을 오퍼레이팅(operating)하는 오퍼레이터(operator)의 단순 조작 실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적 손실 및 인력 낭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유체 탱크(100), 유체 레벨 측정부(200), 머드 레벨 측정부(300), 유체 튜브(400), 유체 밸브(500), 제어부(600)

Claims (5)

  1. 머드, 물 및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유체 탱크;
    상기 유체 탱크 내의 상기 유체 저장 공간에서 상기 유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유체 레벨 측정부;
    상기 유체 탱크 내의 상기 유체 저장 공간에서 상기 유체에 포함된 상기 머드의 레벨을 측정하는 머드 레벨 측정부;
    상기 유체 탱크에 형성되는 전체 레벨 중 서로 다른 각각의 레벨과 대응하여 상기 유체 탱크와 각각이 연통하는 복수의 유체 튜브;
    상기 복수의 유체 튜브 각각을 개폐하는 복수의 유체 밸브; 및
    상기 머드의 레벨 및 상기 유체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유체 밸브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유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드 레벨 측정부는 상기 머드의 비중보다 낮은 비중을 가지는 유체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체 튜브는 상기 유체 탱크에 형성되는 전체 레벨 중 제1 레벨과 대응하여 상기 유체 탱크와 연통하는 머드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체 밸브는 상기 머드 튜브를 개폐하는 머드 밸브를 포함하는 유체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체 튜브는 상기 유체 탱크에 형성되는 전체 레벨 중 상기 제1 레벨보다 높은 레벨과 대응하여 상기 유체 탱크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유수 튜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체 밸브는 상기 유수 튜브 각각을 개폐하는 유수 밸브를 더 포함하는 유체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튜브는,
    상기 제1 레벨보다 높은 제2 레벨과 대응하여 상기 유체 탱크와 연통하는 제1 서브 유수 튜브;
    상기 제2 레벨보다 높은 제3 레벨과 대응하여 상기 유체 탱크와 연통하는 제2 서브 유수 튜브; 및
    상기 제3 레벨보다 높은 제4 레벨과 대응하여 상기 유체 탱크와 연통하는 제3 서브 유수 튜브
    를 포함하는 유체 관리 시스템.
KR1020110034878A 2011-04-14 2011-04-14 유체 관리 시스템 KR101284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878A KR101284864B1 (ko) 2011-04-14 2011-04-14 유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878A KR101284864B1 (ko) 2011-04-14 2011-04-14 유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242A KR20120117242A (ko) 2012-10-24
KR101284864B1 true KR101284864B1 (ko) 2013-07-09

Family

ID=4728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878A KR101284864B1 (ko) 2011-04-14 2011-04-14 유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8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171B1 (ko) * 2012-10-31 2019-01-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백업 기능을 가지는 브라인 및 베이스오일 공급 시스템과 브라인 및 베이스오일의 백업 공급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5379B2 (ja) * 1990-11-14 1998-04-02 株式会社東芝 汚泥引き抜き制御装置
JPH10113656A (ja) * 1996-10-14 1998-05-06 Akagi Plast:Kk 水の殺菌浄化装置
KR20090071359A (ko) * 2007-12-27 2009-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레인 저장 탱크의 머드 고착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5379B2 (ja) * 1990-11-14 1998-04-02 株式会社東芝 汚泥引き抜き制御装置
JPH10113656A (ja) * 1996-10-14 1998-05-06 Akagi Plast:Kk 水の殺菌浄化装置
KR20090071359A (ko) * 2007-12-27 2009-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레인 저장 탱크의 머드 고착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242A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leninger et al. Modelling and environmentally sound management of brine discharges from desalination plants
Manap et al.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dredging sediments–The requirement of developing nations
US106482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ed delivery of unknown fluids
KR101390821B1 (ko) 선박용 오수분리장치
US9163466B2 (en) Fluid diverter system for a drilling facility
AU20162777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bsea separation of produced water
KR101284864B1 (ko) 유체 관리 시스템
KR101953808B1 (ko) 유수 분리장치
KR101623094B1 (ko) 시추 선박의 벌크시스템
KR101167917B1 (ko) 선박의 빌지 시스템
JP5269541B2 (ja) 通船ゲート
JP2008179956A (ja) 淡水取水装置
KR101470743B1 (ko) 기름포집장치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AU2018453015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slop water treatment efficiency
KR102055401B1 (ko) 세미 리그선의 가설 발라스트 장치
US10590719B2 (en) Manifold assembly for a mineral extraction system
KR101563724B1 (ko) 머드 재생용 가스 제거장치
Nogueira et al. The Impact of Density Differences on the Hydraulic Design of Leveling Systems: The Case of New Large Sea Locks in IJmuiden and Terneuzen
KR20000002091U (ko)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장치
US20150307164A1 (en) Recessed barge design
KR20160000585A (ko) 시추선의 오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87178B1 (ko) 시추선의 머드핏 탱크 배출 배관 시스템
KR101067263B1 (ko) 유량 레벨 측정장치
KR200478223Y1 (ko) 해양구조물의 오픈 드레인 시스템
KR20150007085A (ko) 선박용 탱크의 레벨 측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용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