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808B1 - 유수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유수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808B1
KR101953808B1 KR1020170126221A KR20170126221A KR101953808B1 KR 101953808 B1 KR101953808 B1 KR 101953808B1 KR 1020170126221 A KR1020170126221 A KR 1020170126221A KR 20170126221 A KR20170126221 A KR 20170126221A KR 101953808 B1 KR101953808 B1 KR 101953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uid
oil
storage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경
Original Assignee
정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미경 filed Critical 정미경
Priority to KR1020170126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 기름 배출관이 설치됨과 더불어 저면에는 물 배출관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오염수 저장탱크; 유체관로로 형성되며, 해당 관로를 흐르는 유체의 성분을 센싱하는 유체 감지센서가 구비된 메인 공급안내관;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을 따라 유동되는 물의 공급을 안내하며, 관로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된 물 안내용 분지관;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을 따라 유동되는 오염수나 기름의 공급을 안내하며, 그 끝단은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의 상면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관로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된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장치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연속적으로 흐르는 기름 성분이 포함된 오염수로부터 상기 기름 성분을 실시간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수 분리장치{oil separator}
본 발명은 유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흐르는 기름 성분이 포함된 오염수로부터 상기 기름 성분을 실시간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유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수 분리장치는 기름(혹은, 부유물)과 물이 혼합된 오염수로부터 상기 기름과 물을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제공되는 장치로써, 통상 기름을 많이 사용하는 음식점이나 기름의 수시적인 배출이 곤란한 선박 및 하수를 처리하는 하수처리장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수 분리장치는 물과 기름의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것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약품을 이용하는 방식이나 흡착포를 이용하여 기름만 흡수시켜 배출하는 방식 등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술된 각 방식 중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식의 유수 분리장치에 관련하여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74169호, 등록특허 제10-1703320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42198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각 방식 중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식의 유수 분리장치는 기름과 물이 혼합된 오염수를 저장탱크 내에 저장시킴으로써 서서히 분리되도록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무척 오려 걸려 하수와 같이 지속적으로 흐르는 오염수로부터 기름만 분리 배출하는 용도로의 사용에는 부적합하였다.
특히, 해양 사고로 인한 기름 누출로써 해양 오염이 진행될 때에는 단순히 약품이나 흡착포를 이용하는 방식만 사용되었고, 등록특허 제10-1136074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149398호에서와같이 해양에 유출된 기름을 회수하는 장치의 기술이 제공되었으나 사실상 실효성이 없을 뿐 아니라 처리에 한계가 있어서 실제 사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74169호 등록특허 제10-1703320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42198호 등록특허 제10-1136074호 등록실용신안 제20-0149398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적으로 흐르는 기름 성분이 포함된 오염수로부터 상기 기름 성분을 실시간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유수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수 분리장치는 물 혹은, 기름이나 물과 기름이 혼합된 오염수가 저장되며, 상면에는 기름이나 부유물이 배출되는 기름 배출관이 설치됨과 더불어 저면에는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관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오염수 저장탱크; 상기 물 혹은, 오염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유체관로로 형성되며, 해당 관로를 흐르는 유체의 성분을 센싱하는 유체 감지센서가 구비된 메인 공급안내관;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으로부터 분지되면서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을 따라 유동되는 물의 공급을 안내하며, 관로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된 물 안내용 분지관;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으로부터 분지되면서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을 따라 유동되는 오염수나 기름의 공급을 안내하며, 그 끝단은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의 상면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관로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된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안내용 분지관의 끝단은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 내의 저부 공간에까지 이르도록 연장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에 구비되는 감지센서는 메인 공급안내관을 따라 유동되는 유체의 흐름 속도를 확인하여 해당 유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플로우센서나, 유체의 빛 투과도를 확인하여 해당 유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투과도 감지센서 혹은, 유체의 색상을 확인하여 해당 유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색상 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배출관의 상측 끝단은 일부가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의 저면을 관통하여 오염수 저장탱크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에는 물의 최대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최대 수위감지센서 및 물의 최소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최소 수위감지센서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최소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물 배출관의 상측 끝단 위치에 비해서는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유수 분리장치는 물 혹은, 기름 성분으로 이루어진 유체가 공급될 경우 이로부터 기름 성분만 빠르게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으며, 이렇게 분리 배출되는 물의 기름 함유량은 최소화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유수 분리장치는 물과 기름 성분이 혼합되어 공급될 경우라도 상기 물로부터 기름 성분을 빠르게 분리하여 기름만 배출하거나 혹은, 물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써 기름 방제선이나 하수관로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흐르는 오염수로부터 물과 기름 성분을 분리하는 용도로의 사용에 적합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장치의 유수 분리를 위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각 상태별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유수 분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장치는 크게 오염수 저장탱크(100)와, 메인 공급안내관(200)과, 물 안내용 분지관(300)과,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400) 및 컨트롤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200)을 통해 유동되는 유체의 종류를 확인하여 해당 종류별로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의 서로 다른 위치로 해당 유체가 공급되도록 하면서 서로의 비중 차이에 따른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기름의 배출 혹은, 물의 배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연속적인 유체의 흐름에도 유수 분리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100)는 유체가 저장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탱크이다.
이와 같은 오염수 저장탱크(100)는 사각 박스형의 통체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100)가 저장하는 유체라 함은 물이나 기름 혹은, 물과 기름이 혼합된 오염수, 부유물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100)의 상면에는 기름이나 부유물이 배출되는 기름 배출관(110)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100)의 저면에는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관(12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기름 배출관(110)에는 컨트롤러(500)의 제어를 받아 동작되면서 상기 기름 배출관(11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이하, “제1개폐밸브”라 함)(111)가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물 배출관(120)에는 컨트롤러(500)의 제어를 받아 동작되면서 상기 물 배출관(120)을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이하, “제2개폐밸브”라 함)(121)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물 배출관(120)의 경우 그의 상측 끝단 일부가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100)의 저면을 관통하여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물 배출관(120)이 돌출되는 거리만큼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에 물이 잔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부로 유입되는 기름이 물 배출관(120)으로 곧장 배출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100)에는 물의 최대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최대 수위감지센서(130) 및 물의 최소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최소 수위감지센서(14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최소 수위감지센서(140)는 상기 물 배출관(120)의 상측 끝단 위치에 비해서는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최대 수위감지센서(130)는 물이 기름 배출관(110)을 통해 배출됨을 방지하면서도 물의 배출을 제어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최소 수위감지센서(140)는 기름이 물 배출관(120)을 통해 배출됨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즉, 상기 최대 수위감지센서(130)에 의한 수위 센싱이 이루어질 경우 제1개폐밸브(111)가 기름 배출관(110)을 차단하도록 동작됨과 더불어 제2개폐밸브(121)는 물 배출관(120)을 개방하도록 동작되고, 상기 최소 수위감지센서(140)에 의한 수위 센싱이 이루어질 경우 제2개폐밸브(121)가 물 배출관(120)을 차단하도록 동작된다.
이때, 상기 최대 수위감지센서(130)의 경우 투과도를 확인하는 투과도 센서 혹은, 유체의 성분을 분석하는 성분 센서가 될 수도 있고, 상기 최소 수위감지센서(140)는 통상의 수위센서가 될 수 있다. 즉, 최대 수위감지센서(130)의 경우는 기름 성분이 존재하는 부위에 위치되기 때문에 기름과 물의 투과도 차이나 성분 차이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최소 수위감지센서(140)의 경우는 단순히 물의 수위만 감지하면 되기 때문에 통상적인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로만 구성하여도 상관없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200)은 상기 물 혹은, 오염수 등의 유체 공급을 안내하는 유체관로이다.
이와 같은 메인 공급안내관(200)은 하수관로에 연결될 수도 있고, 기름을 배출하는 업체나 기름을 포함하는 오염수를 배출하는 업체의 유체 배출관에 연결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200)에는 관로를 흐르는 유체의 성분을 센싱하는 유체 감지센서(21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200)을 따라 유동되는 유체의 성분(종류) 확인을 통해 해당 유체를 후술될 물 안내용 분지관(300) 혹은,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400)으로 선택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유체 감지센서(210)가 메인 공급안내관(200)을 따라 유동되는 유체의 흐름 속도를 확인하여 해당 유체의 성분을 판단하는 플로우센서로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기름 함유량이 많을수록 유체의 흐름 속도가 느려진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상기 유체의 흐름 속도를 토대로 기름 함유량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기름 함유량이 많지 않더라도 부유물이 많거나 혹은, 여타 오염 성분들이 많아서 유체의 흐름 속도가 통상의 하수에 비해 느려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 감지센서는 유체의 빛 투과도를 확인하여 해당 유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투과도 감지센서 혹은, 유체의 색상을 확인하여 해당 유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색상 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기한 플로우센서와 투과도 감지센서 및 색상 감지센서 중 둘 이상이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물 안내용 분지관(300) 및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400)은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200)으로부터 분지되는 관로이다.
이와 같은 물 안내용 분지관(300)은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200)으로부터 분지되면서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200)을 따라 유동되는 물의 공급을 안내하는 관로이고, 상기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400)은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200)으로부터 분지되면서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200)을 따라 유동되는 오염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관로이다.
이때, 상기 물 안내용 분지관(300) 및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400) 중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200)으로부터 분지되는 부위에는 개폐밸브(310,410)가 각각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물 안내용 분지관(300)의 분지 부위에는 컨트롤러(500)의 제어를 받아 물 안내용 분지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이하, “제3개폐밸브”라 함)(310)가 구비되고, 상기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400)의 분지 부위에는 컨트롤러(500)의 제어를 받아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40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이하, “제4개폐밸브”라 함)(410)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제3개폐밸브(310) 및 제4개폐밸브(410)는 수동 조작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 안내용 분지관(300)의 끝단이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의 저부에까지 이르도록 연장되게 설치됨을 제시한다. 즉, 기름의 비중이 물의 비중에 비해 높기 때문에 기름이 물 위에 떠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기름의 상부로부터 물이 공급될 경우 이 물의 양이 적을 경우 해당 물은 기름을 곧바로 통과하지 못하고 기름 위에 일정 시간동안 떠 있는 현상이 발생되어 기름을 떠올리는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기름 위의 물이 기름 배출관(110)을 통해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상기 물 안내용 분지관(300)의 끝단을 사실상 물이 위치된 곳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게 형성함으로써 추가로 공급되는 물이 기름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곧장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의 물이 저장된 위치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컨트롤러(500)는 각 관로(110,120,300,400)에 설치되는 각각의 개폐밸브(111,121,310,410)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는 오염수 저장탱크(100)에 구비되는 최대 수위감지센서(130) 및 최소 수위감지센서(140)와, 메인 공급안내관(200)에 구비되는 유체 감지센서(210)로부터 센싱된 값을 제공받아 이를 토대로 각 개폐밸브(111,121,310,41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장치에 의한 실시간적이면서도 연속적인 유수 분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처리하고자 하는 유체가 메인 공급안내관(200)을 따라 유입되면 해당 메인 공급안내관(200)에 구비된 유체 감지센서(210)는 상기 유체의 성분(종류)을 확인하여 제3개폐밸브(310) 및 제4개폐밸브(4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유체가 물 안내용 분지관(300) 혹은,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400) 중 어느 한 분지관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한다.
즉, 상기 유체 감지센서(210)에 의해 감지된 유체의 종류가 기름임으로 확인된다면 이 정보를 제공받는 컨트롤러(500)는 물 안내용 분지관(300)이 폐쇄된 상태를 이루도록 제3개폐밸브(310)의 동작을 제어함과 더불어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400)은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제4개폐밸브(4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제1개폐밸브(111)는 기름 배출관(110)을 개방하도록 동작됨과 더불어 제2개폐밸브(121)는 물 배출관(120)을 차단하도록 동작된다.
이로써,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200)을 따라 유동되는 유체는 상기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400)을 통해 오염수 저장탱크(100)의 상면을 통과하면서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로 제공되며, 이의 과정에서 상기 유체 중 기름 성분은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의 유체 중 상층부에 떠오르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반면, 메인 공급안내관(200)을 따라 유동되는 유체의 종류가 물임으로 확인된다면 이 정보를 제공받는 컨트롤러(500)는 물 안내용 분지관(300)이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제3개폐밸브(310)의 동작을 제어함과 더불어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400)은 폐쇄된 상태를 이루도록 제4개폐밸브(4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제1개폐밸브(111)는 기름 배출관(110)을 개방하도록 동작됨과 더불어 제2개폐밸브(121)는 물 배출관(120)을 차단하도록 동작된다.
이로써,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200)을 따라 유동되는 유체는 상기 물 안내용 분지관(300)을 통해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의 저부 공간으로 직접 공급되며, 이로써 비중 차이로 인해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에서 물로부터 분리되어 있던 기름 성분은 유체 중의 상층부에 존재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단순히 물의 추가 공급에 의해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의 전체적인 유체 수위만 점차 높아지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만일, 메인 공급안내관(200)을 따라 유동되는 유체의 종류가 물과 기름 성분이 거의 반반씩 혼합된 상태임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해당 유체가 물 안내용 분지관(300)을 통해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로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기름 성분의 경우는 물 내로 공급된다 하더라도 빠르게 물 위로 떠오르지만 물의 경우 기름이 쌓여있는 부위의 상측으로 공급될 경우 해당 기름을 뚫고 가라앉는 것이 사실상 느리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한편, 전술된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상기 유체 중 상층부에 존재하는 기름 성분의 수위가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의 상면에까지 이르렀음을 최대 감지센서로부터 확인하게 되면 제1개폐밸브(111)를 제어하여 기름 배출관(110)을 폐쇄한 후 메인 공급안내관(200)을 통해 물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물은 기름이 포함되지 않은 물이며, 이로써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의 기름은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400)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의 상면과 연통된 기름 배출관(110)을 통해서만 배출된다. 이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은 기름 성분의 배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도중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최대 수위감지센서(130)에 의해 해당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의 유체 중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대 수위에 이르렀음이 확인될 경우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한 제2개폐밸브(121)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물 배출관(120)을 개방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의 유체 중 물은 물 배출관(120)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의 유체 수위는 점차 낮아지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함께, 상기와 같이 물 배출관(120)을 통한 물의 배출이 진행되는 도중 최소 수위감지센서(140)에 의해 해당 오염수 저장탱크(100) 내의 유체 중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소 수위에 이르렀음이 확인된다면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한 제2개폐밸브(121)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물 배출관(120)이 폐쇄되어 더 이상의 물 배출은 이루어지지 않고 전술된 유체(물 혹은, 기름 성분)의 유입 과정이 반복해서 수행된다.
결국, 본 발명의 유수 분리장치는 물 혹은, 기름 성분으로 이루어진 유체가 공급될 경우 이로부터 기름 성분만 빠르게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으며, 이렇게 분리 배출되는 물의 기름 함유량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유수 분리장치는 물과 기름 성분이 혼합되어 공급될 경우라도 상기 물로부터 기름 성분을 빠르게 분리하여 기름만 배출하거나 혹은, 물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써 기름 방제선이나 하수관로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흐르는 오염수로부터 물과 기름 성분을 분리하는 용도로의 사용에 적합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100. 오염수 저장탱크 110. 기름 배출관
111. 제1개폐밸브 120. 물 배출관
121. 제2개폐밸브 130. 최대 수위감지센서
140. 최소 수위감지센서 200. 메인 공급안내관
210. 유체 감지센서 300. 물 안내용 분지관
310. 제3개폐밸브 400. 오염수 안내 분지관
410. 제4개폐밸브 500. 컨트롤러

Claims (5)

  1. 물이나 기름 혹은, 물과 기름이 혼합된 오염수가 저장되며, 상면에는 기름이나 부유물이 배출되면서 제1개폐밸브가 설치된 기름 배출관이 구비됨과 더불어 저면에는 물이 배출되면서 제2개폐밸브가 설치된 물 배출관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오염수 저장탱크;
    상기 물 혹은, 오염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유체관로로 형성되며, 해당 관로를 흐르는 유체의 성분을 센싱하는 유체 감지센서가 구비된 메인 공급안내관;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으로부터 분지됨과 더불어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의 상면을 관통하여 그 끝단이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 내의 저부 공간에까지 이르도록 연장되게 설치되며, 관로에는 제3개폐밸브가 구비된 물 안내용 분지관;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으로부터 분지됨과 더불어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의 상면을 관통하여 그 끝단이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 내의 상측 공간에 위치되게 설치되며, 관로에는 제4개폐밸브가 구비된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
    오염수 저장탱크에 구비되는 최대 수위감지센서와 최소 수위감지센서 및 메인 공급안내관에 구비되는 유체 감지센서로부터 센싱된 값을 제공받아 상기 각 개폐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물 배출관의 상측 끝단은 일부가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의 저면을 관통하여 오염수 저장탱크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체 감지센서를 통해 메인 공급안내관을 따라 유동되는 유체의 종류가 물임을 확인할 경우 물 안내용 분지관이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제3개폐밸브의 동작을 제어함과 더불어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은 폐쇄된 상태를 이루도록 제4개폐밸브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유체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유체의 종류가 기름임으로 확인되면 물 안내용 분지관이 폐쇄된 상태를 이루도록 제3개폐밸브의 동작을 제어함과 더불어 오염수 안내용 분지관은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제4개폐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며, 제1개폐밸브는 기름 배출관을 개방하도록 동작됨과 더불어 제2개폐밸브는 물 배출관을 차단하도록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공급안내관에 구비되는 감지센서는
    메인 공급안내관을 따라 유동되는 유체의 흐름 속도를 확인하여 해당 유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플로우센서나, 유체의 빛 투과도를 확인하여 해당 유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투과도 감지센서 혹은, 유체의 색상을 확인하여 해당 유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색상 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에는 물의 최대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최대 수위감지센서 및 물의 최소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최소 수위감지센서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최소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물 배출관의 상측 끝단 위치에 비해서는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장치.
KR1020170126221A 2017-09-28 2017-09-28 유수 분리장치 KR101953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221A KR101953808B1 (ko) 2017-09-28 2017-09-28 유수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221A KR101953808B1 (ko) 2017-09-28 2017-09-28 유수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808B1 true KR101953808B1 (ko) 2019-05-23

Family

ID=66680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221A KR101953808B1 (ko) 2017-09-28 2017-09-28 유수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8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778B1 (ko) * 2021-12-30 2022-07-15 에코매직 주식회사 유증기 액화회수처리장치
WO2023128279A1 (ko) * 2021-12-29 2023-07-06 장섭근 유출 기름 회수선
WO2023128324A1 (ko) * 2021-12-30 2023-07-06 에코매직 주식회사 유증기 액화회수처리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저유 어셈블리 유닛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802A (ja) * 1996-12-20 1998-06-30 Yokogawa Paionitsukusu Kk 簡易油水分離装置
KR200149398Y1 (ko) 1997-05-02 1999-06-15 최삼규 바다에 오염된 기름의 회수장치
KR200374169Y1 (ko) 2004-10-21 2005-01-25 안영찬 오염수정화장치
KR200442198Y1 (ko) 2007-03-23 2008-10-16 정병훤 유수분리기
KR20110013564A (ko) * 2011-01-21 2011-02-09 최동민 흡입관과 배출관을 장착한 유수분리용 탱크
KR101136074B1 (ko) 2011-09-27 2012-04-17 김중근 수상 유류 회수장치
KR101703320B1 (ko) 2014-11-27 2017-02-22 허태준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802A (ja) * 1996-12-20 1998-06-30 Yokogawa Paionitsukusu Kk 簡易油水分離装置
KR200149398Y1 (ko) 1997-05-02 1999-06-15 최삼규 바다에 오염된 기름의 회수장치
KR200374169Y1 (ko) 2004-10-21 2005-01-25 안영찬 오염수정화장치
KR200442198Y1 (ko) 2007-03-23 2008-10-16 정병훤 유수분리기
KR20110013564A (ko) * 2011-01-21 2011-02-09 최동민 흡입관과 배출관을 장착한 유수분리용 탱크
KR101136074B1 (ko) 2011-09-27 2012-04-17 김중근 수상 유류 회수장치
KR101703320B1 (ko) 2014-11-27 2017-02-22 허태준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279A1 (ko) * 2021-12-29 2023-07-06 장섭근 유출 기름 회수선
KR102420778B1 (ko) * 2021-12-30 2022-07-15 에코매직 주식회사 유증기 액화회수처리장치
WO2023128324A1 (ko) * 2021-12-30 2023-07-06 에코매직 주식회사 유증기 액화회수처리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저유 어셈블리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808B1 (ko) 유수 분리장치
CN112924618A (zh) 一种油田动态结垢阻垢评价装置及评价方法
KR20150109085A (ko) 빗물 여과장치
KR101729580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CN110177608A (zh) 石油监测系统
JP5995149B2 (ja) 漏洩検知装置
CN103787005B (zh) 一种油罐区自动隔油排水系统
JP6577267B2 (ja) ガス検知システム
CN204493848U (zh) 污水排放浮力控制阀
NO20110993A1 (no) Skummeinnretning
KR20130127830A (ko) 압력 변화에 따라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2-bed type 여과필터
CN208553232U (zh) 一种密闭式油罐脱水系统
CN205252608U (zh) 油水分离装置
RU17131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ренирования подтоварной воды из резервуара
JP2016090375A (ja) 水位計測構造及び水位計測方法
KR101652669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JP2008179956A (ja) 淡水取水装置
KR101606687B1 (ko) 이종 유체 분리 배출 장치
CN206876675U (zh) 有害可燃气体用安全检测装置
CN205258079U (zh) 污水处理装置
US2082827A (en) Drain pipe system
CN218973899U (zh) 水质取样器与水质取样系统
JP7265913B2 (ja) 地下浸透防止設備
KR101555339B1 (ko)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KR101284864B1 (ko) 유체 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