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320B1 -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320B1
KR101703320B1 KR1020140167089A KR20140167089A KR101703320B1 KR 101703320 B1 KR101703320 B1 KR 101703320B1 KR 1020140167089 A KR1020140167089 A KR 1020140167089A KR 20140167089 A KR20140167089 A KR 20140167089A KR 101703320 B1 KR101703320 B1 KR 101703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eparator
sludge
separated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622A (ko
Inventor
허태준
Original Assignee
허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태준 filed Critical 허태준
Priority to KR102014016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32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유류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출된 비점오염원인 유류를 흡입하여 슬러지, 오수 및 유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획되며, 각각의 분리부에서 분리된 오수 및 슬러지를 배출하고 개별적으로 유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이동식 유류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유류분리장치{MOBILE OILS SEPARATOR}
본 발명은 이동식 유류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출된 비점오염원인 유류를 흡입하여 슬러지, 오수 및 유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획되며, 각각의 분리부에서 분리된 오수 및 슬러지를 배출하고 개별적으로 유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이동식 유류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류유출시 자연환경 및 생활에 많은 피해를 주며, 장기간에 거쳐 2차 3차 피해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유출된 유류는 펌프를 이용하여 흡입하고 있으나, 슬러지 및 오수 등이 혼합되어 사용이 불가능하고 하부의 유류를 흡입할 때는 많은 양의 슬러지가 혼합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출된 유류는 펌프를 이용하여 유류, 슬러지 및 오수 등의 이물질이 혼합된 상태로 흡입하게 되어 유류에 혼합된 슬러지 및 오수를 처리하기 위해 별도의 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제시된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270222호(2013.06.04) "유수분리장치"가 제시된바 있다.
하지만 제시된 기술은 유류에 혼합된 오수는 비중에 의해 분리할 수 있으나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많은 양의 유류를 흡입하여 원활히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입된 유류 및 오수를 내부에 저장할 수 있는 용량에 한계가 있어 많은 양의 유류를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류가 유출된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유류를 제거할 수 있으며, 제거된 유류를 비중에 의해 분리하여 오수 및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는 이동식 유류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흡입된 유류를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유류 및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분리된 유류를 개별적으로 저장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유류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이동 및 충격 등에 의해 저장된 유류에 유속 및 흐름이 발생해도 유류 및 슬러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며, 분리된 유류 및 슬러지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식 유류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마지막으로, 유입 및 유류를 검출하여 오수 및 슬러지가 유류에 혼합되어 개별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며, 슬러지 및 오수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이동식 유류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유류분리장치에 있어서, 슬러지 및 오수가 혼합된 유출 유류가 유입되는 유류유입관; 상기 유류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유류를 1차 분리시키는 제 1분리부와, 1차 분리된 오수를 공급받아 2차 분리시키는 제 2분리부와, 2차 분리된 오수를 공급받아 3차 분리시킨 후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수배출관이 형성된 제 3분리부로 구획되어 순차적으로 유류를 비중에 의해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류분리부; 상기 유류분리부에서 비중에 의해 상부로 부유된 유류를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제 1밸브가 형성된 유류흡입부; 상기 유류분리부에서 비중에 의해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제 2밸브가 형성된 슬러지배출관; 상기 유류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저장탱크; 상기 유류분리부와, 상기 유류저장탱크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류분리부는 제 1분리부, 제 2분리부 및 제 3분리부는 구획격판에 의해 분리되어 순차적으로 오수를 이동시키되, 상기 제 1분리부와 상기 제 2분리부에는 가이드 판이 포함되어 오수의 흐름을 조절하고, 상기 제 3분리부에는 격벽이 포함되어 오수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분리부의 상부에는 상기 유류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에 의해 유속 및 유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유도격판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분리부 및 제 3분리부에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유입되는 오수의 유속 및 흐름을 조절하여 오수에 함유된 유류 및 슬러지가 분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수분리판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분리부의 내부에는 상기 오수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오수에 함유된 미세유류 및 슬러지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류흡입부는 오수의 부력에 의해 상부로 부유할 수 있도록 상부에 부력통이 형성되어 오수의 상부에서 부유된 유류를 흡입하는 흡입부재와, 상기 흡입부재가 수위에 의해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주름관이 형성되며, 유입된 유류를 상기 유류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유류이송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류분리부에는 구획된 상기 각 분리부에서 분리된 유류를 감지할 수 있는 유류감지수단과, 상기 제 1분리부로 유입되는 유류, 오수 및 슬러지를 감지하는 유입감지수단과, 상기 유류감지수단과 상기 유입감지수단에 유입 및 유류가 감지되면 상기 제 1밸브와 상기 제 2밸브를 개폐시키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상기 유류분리부에는 구획된 각각의 분리부에서 분리된 유류를 감지할 수 있는 유류감지수단과, 상기 유류감지수단에 의해 제 1밸브와 제 2밸브를 개폐시키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류감지수단에 유류가 감지되면, 상기 제 1분리부의 하부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오수에 함유된 벌크성분을 분해시켜 비중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디퓨져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유류분리장치에 따르면, 유류가 유출된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가능하여 유출유류를 흡입할 수 있으며, 흡입된 유류에 혼합되어 있는 오수 및 슬러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흡입된 유류는 순차적으로 다수번에 걸쳐 비중에 의해 유류 및 슬러지를 분리하고 분리된 유류는 개별적으로 저장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오수 및 슬러지는 외부로 배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저장된 유류가 비중에 의해 분리된 후 이동에 의해 재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며, 충격 및 우수의 흐름이 발생해도 유류 및 슬러지를 비중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유류의 유입 및 분리된 유류를 검출하여 저장되는 유류에 오수 및 슬러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오수의 상부에 부유된 유류는 오수의 수위에 따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오수에 함유된 유류의 벌크성분을 제거하여 오수를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유류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유류분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흡입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출된 유류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분리부의 다른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유류의 배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슬러지의 배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유류분리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유류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유류분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흡입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출된 유류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분리부의 다른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식 유류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출된 비점오염원인 유류를 흡입하여 슬러지, 오수 및 유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획되며, 각각의 분리부에서 분리된 오수 및 슬러지를 배출하고 개별적으로 유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이동식 유류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유출된 유류를 흡입하여 유류에서 신속하게 슬러지 및 오수를 분리할 수 있도록 유류유입관(10), 유류분리부(20), 유류흡입부(30), 유류저장탱크(50), 슬러지배출관(40), 이동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류유입관(10)은 유출된 유류가 펌프에 의해 흡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펌프에 의해 슬러지 및 오수가 유출된 유류에 혼합되어 흡입된다.
상기 유류분리부(20)는 상기 유류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된 유류를 1차 분리시키는 제 1분리부(20a)와, 1차 분리된 오수를 공급받아 2차 분리시키는 제 2분리부(20b)와, 2차 분리된 오수를 공급받아 3차 분리시킨 후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수배출관(21)이 형성된 제 3분리부(20c)로 구획되어 순차적으로 유류를 비중에 의해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유류유입관(10)은 상기 제 1분리부(20a)의 상부에서 유출유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오수배출관(21)은 상기 제 3분리부(20c)에서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오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유류유입관(10)보다는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오수의 유입 및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류분리부(20)는 제 1분리부(20a), 제 2분리부(20b) 및 제 3분리부(20c)로 구획되어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유류, 슬러지 및 오수를 비중에 의해 분리하고 분리된 오수는 상기 제 3분리부(20c)에서 상기 오수배출관(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부유된 유류는 개별적으로 저장하며 슬러지는 하부에 침전시켜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분리부(20a, 20b, 20c)는 오수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획격판(22)을 통해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구획격판(22)은 상기 제 1분리부(20a)에서 1차 분리된 오수는 상부에서 상기 제 2분리부(20b)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분리부(20b)에서 2차 분리된 오수는 하부에서 상기 제 3분리부(20c)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분리부(20a)의 상부에는 상기 유류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에 의해 유속 및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유도격판(24)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유도격판(24)은 상기 유류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의 유속을 저하시켜 내부에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유류유입관(10)의 통해 유입되는 오수가 충돌하여 하부로 유도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유류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가 상기 유도격판(24)을 통해 유속 및 흐름을 조절하여 상기 제 1분리부(20a)에 저장되어 있는 유류에 용이하게 이동하여 상기 제 1분리부(20a)에서 저장된 유류의 흐름을 억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분리부(20a)에 저장된 유류는 유입되는 유류에 의해 유속 및 흐름 등에 영향을 적게 받아 안정적으로 비중에 의해 유류 및 슬러지를 분리하고 분리된 유류 및 슬러지가 유속 및 흐름에 의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분리부(20a)에서 상기 제 2분리부(20b)로 유류 및 슬러지를 분리하여 오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판(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23)은 상기 제 1분리부(20a)에서 1차 분리된 오수가 상기 구획격판(22)에 의해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구획격판(22)의 상부를 통해 상기 제 2분리부(20b)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오수의 상부에 분리된 유류가 상기 제 2분리부(20b)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획격판(22)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판(23)에 의해 하부에 있는 오수가 이동하여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구획격판(22)의 상부를 통해 상기 제 2분리부(20b)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분리부(20b)에서 2차 분리된 오수는 상기 구획격판(22)에 의해 하부에서 상기 제 3분리부(20c)로 오수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3분리부(20c)에서는 3차 분리된 오수를 상기 오수배출관(21)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오수배출관(21)의 전면에는 격벽(25)이 포함되어 오수가 하부에서부터 상기 오수배출관(2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유류 및 슬러지가 상기 오수배출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분리부(20c)에는 상기 오수배출관(21)으로 배출되는 오수에 함유된 미세유류 및 슬러지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27)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27)는 상기 제 3분리부(20c)에서 3차 분리된 오수가 상기 오수배출관(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필터(27)를 걸쳐 오수 내에 함유된 미세유류 및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분리부(20b) 및 제 3분리부(20c)에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유입되는 오수의 유속 및 흐름을 조절하여 오수에 함유된 유류 및 슬러지가 분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수분리판(26)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부에서 낙하되는 오수는 "/" 형상의 상기 유수분리판(26)에 충돌하여 유속을 저하시키며 하부에서 유입되는 오수는 ""\"형상의 상기 유수분리판(26)에 충돌하여 유속을 저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유수분리판(26)에 의해 유입된 유류를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오수의 흐름에 의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유수분리판(26)은 유입되는 오수의 흐름 및 방향을 조절하여 저장된 오수의 흐름에 방해받지 않으며,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흐름을 개별적으로 차단하여 비중에 의해 유류 및 슬러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류흡입부(30)는 상기 유류분리부(20)에서 비중에 의해 상부로 부유된 유류를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제 1밸브(3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류흡입부(30)는 오수의 부력에 의해 상부로 부유할 수 있도록 상부에 부력통(31a)이 형성되며, 상기 부력통(31a)에 의해 오수의 상부로 부유된 유류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재(31)와 상기 흡입부재(31)가 수위에 의해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주름관(32)이 형성되며, 유입된 유류를 상기 유류저장탱크(50)로 이송하는 유류이송관(33)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흡입부재(31)의 상부에는 유류가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확장된 호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밸브(34)는 유입된 유류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된다.
또한, 상기 각 분리부(20a, 20b, 20c)에는 상기 유류흡입부(30)가 상오수의 수위에 따라 상부의 일정위치에서 상하이동하며 유류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2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8)은 상기 각 분리부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유류흡입부(30)가 형성되어 일정위치에서 오수의 부력에 의해 상하이동하여 오수의 수위가 낮아도 일정높이에 고정되어 유류를 흡입할 수 있으며, 오수의 수위가 높으면 상부로 이동하여 유류를 흡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8)에는 비중에 의해 분리된 유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공(28a)이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재(31)에 분리된 유류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러지배출관(40)은 유류분리부(20)에서 비중에 의해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제 2밸브(4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각 분리부(20a, 20b, 20c)의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밸브(41)는 상기 유류분리부(20)의 하부에 일정량 이상 슬러지가 침전되면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러지배출관(40)을 통해 슬러지를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해 상기 각 분리부(20a, 20b, 20c)의 하부는 상기 슬러지배출관(40) 방향으로 하향경사면이 형성되어 비중에 의해 상기 슬러지배출관(40) 방향으로 슬러지가 유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류저장탱크(50)는 상기 유류흡입부(30)에 의해 흡입된 유류를 저장한다.
상기 이동부(60)는 상기 유류분리부(20)와, 상기 유류저장탱크(50)가 안착되어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60)는 상기 유류분리부(20)와 상기 유류저장탱크(50)가 안착되는 베이스(61)와 상기 베이스(6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61)를 이동시키는 바퀴(62)와, 상기 베이스(61)를 용이하게 이동하기 위한 손잡이(6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류 흡입시 고정시켜 이동을 제안할 수 있도록 고정장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유류분리부(20)와 상기 유류저장탱크(50)는 상기 이동부(60)에 의해 유출유류가 발생한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유출유류를 흡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류분리부(20)는 원형,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부(60)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류가 유출된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펌프 등을 통해 유출유류와 함께 슬러지 및 오수가 혼합되어 흡입된다.
따라서 펌프를 통해 상기 유류유입관(10)로 유입된 유류, 슬러지 및 오수는 상기 제 1분리부(20a)의 내부에서 비중에 의해 1차 분리하여 슬러지는 하부로 침전시키고 유류는 상부로 부유된다.
여기서 상기 유도격판(24)에 의해 상기 유류유입관(10)로 유입되는 유류의 낙하 및 유속에 의해 상기 제 1분리부(20a)에 저장된 유류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유류유입관(10)에서 낙하되는 오수가 충돌하여 유속을 저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1분리부(20a)에 저장된 유류, 슬러지 및 오수에 흐름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 및 유류가 오수에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분리부(20a)에서 일정 수위에 도달한 오수는 상기 구획격판(22)에 의해 제 2분리부(20b)로 이동되며, 상기 제 2분리부(20b)에서 비중에 의해 2차 분리하여 슬러지는 하부로 침전시키고 유류는 상부로 부유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2분리부(20b)에서 2차 분리된 오수는 상기 구획격판(22)에 의해 하부에서 상기 제 3분리부(20c)로 이동하여 비중에 의해 오수를 3차 분리한 후 상기 오수배출관(21)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즉, 1차, 2차 및 3차 분리된 오수에서 유류 및 슬러지를 순차적으로 제거한 후 제 3분리부(20c)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오수배출관(21)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수배출관(21)은 사용환경에 따라 배수로, 하수로 및 하천 등으로 배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 2분리부(20b) 및 상기 제 3분리부(20c)에는 선택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상기 유수분리판(26)에 의해 상부 및 하부에서 유입되는 유류가 충돌되어 유속을 저하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저장된 오수가 충격 및 유속에 의해 흐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용이하게 슬러지 및 유류가 분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수분리판(26)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유입된 오수가 상기 유수분리판의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비중에 의해 분리시켜 슬러지는 하부에 침전되어 모이도록 이루어지고 유류는 오수의 상부로 부유시킨다.
그리고 상기 유류분리부(20)에서 분리된 유류는 오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상기 유류흡입부(30)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유류저장탱크(50)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유류흡입부(30)는 상기 각 분리부(20a, 20b, 20c)에서 개별적으로 유류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분리부(20a, 20b, 20c)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유류저장탱크(50)로 유류를 이동시키되, 상기 제 1밸브(34)에 의해 상기 유류저장탱크(50)에 선택적으로 유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는 일정량 이상 침전되면 상기 슬러지배출관(40)을 통해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각 분리부(20a, 20b, 20c)에 개별적으로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분리부(20a, 20b, 20c)에 결합되며, 상기 제 2밸브(41)의 개폐를 통해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각 분리부(20a, 20b, 20c)는 상기 슬러지배출관(40) 방향으로 하향경사면이 형성되어 침전되는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배출관(40)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유류의 배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슬러지의 배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류분리부(20)에는 구획된 상기 각 분리부(20a, 20b, 20c)에서 분리된 유류를 감지할 수 있는 유류감지수단(72)과, 상기 제 1분리부(20a)로 유입되는 유류를 검출하는 유입감지수단(71)과, 상기 유입감지수단(71)과 상기 유류감지수단(72)을 통해 유입 및 유류를 감지하여 제 1밸브(34)와 제 2밸브(41)를 개폐시키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유류감지수단(72)은 상기 각 분리부(20a, 20b, 20c)에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일정 수위 이상에서 유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감지수단(71)은 상기 제 1분리부(20a)로 유입되는 오수, 슬러지 및 유류를 감지한다.
아울러 상기 유류감지수단(72)은 상기 유류흡입부(30)의 하단에 형성되어 유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밸브(34)는 상기 각 분리부(20a, 20b, 20c)에서 유류를 흡입하는 상기 흡입부재(31)의 유입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2밸브(41)는 상기 각 분리부(20a, 20b, 20c)에서 침전된 슬러지를 흡입하는 슬러지배출관(40)의 유입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각 분리부(20a, 20b, 20c)에서 분리된 유류와 침전된 슬러지를 개별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유입감지수단(71)에 의해 유입되는 오수, 슬러지 및 유류가 검출되면 상기 제 1밸브(34) 및 상기 제 2밸브(41)를 폐쇄한 후, 유류감지수단에 유류가 감지되면 상기 제 1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각 분리부(20a, 20b, 20c)에서 유류를 흡입하여 상기 유류저장탱크(50)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유입감지수단(71)과 상기 유류감지수단(72)에 유입되는 유류 및 비중에 의해 분리된 유류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 2밸브(41)를 개방시켜 내부에 침전된 슬러지 및 오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입감지수단(71)과 상기 유류감지수단(72)을 통해 유입 및 유류를 감지하여 상기 제 1밸브(34) 및 상기 제 2밸브(41)를 개폐시켜 내부에 저장된 유류, 슬러지 및 오수를 비중에 의해 분리하여 저장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분리부(20a)에 형성되어 상기 유류감지수단(72)에 유류가 감지되면, 하부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오수에 함유된 벌크성분을 분해한 후 비중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작동되는 디퓨져(8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디퓨져(80)는 상기 제 1분리부(20a)의 하부에 형성되되, 작동시 침전된 슬러지가 오수에 혼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유류감지수단(71)에 의해 분리된 유류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70)를 통해 작동되어 오수에 함유된 벌크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출유류를 흡입하게 되면 상기 유입감지수단(71) 및 유류감지수단(72)을 통해 유입되는 유류와 비중에 의해 분리된 유류를 검출하여 상기 제 1밸브(34) 개폐하여 상기 유류흡입부(30)에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 2밸브(41)를 개폐하여 상기 유류분리부(20)에 침전된 슬러지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오수에 함유된 벌크성분을 분리시켜 오수에 유류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유류유입관 20: 유류분리부
20a: 제 1분리부 20b: 제 2분리부
20c: 제 3분리부 21: 오수배출관
22: 구획격판 23: 가이드판
24: 유도격판 25: 격벽
26: 유수분리판 27: 필터
28: 하우징 28a: 관통공
30: 유류흡입부 31: 흡입부재
31a: 부력통 32: 주름관
33: 유류이송관 34: 제 1밸브
40: 슬러지배출관 41: 제 2밸브
50: 유류저장탱크 60: 이송부
61: 베이스 62: 바퀴
63: 손잡이 70: 제어부
71: 유입감지수단 72: 유류감지수단
80: 디퓨져

Claims (8)

  1. 슬러지 및 오수가 혼합된 유출 유류가 유입되는 유류유입관(10);
    상기 유류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된 유류를 1차 분리시키는 제 1분리부(20a)와, 1차 분리된 오수를 공급받아 2차 분리시키는 제 2분리부(20b)와, 2차 분리된 오수를 공급받아 3차 분리시킨 후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수배출관(21)이 형성된 제 3분리부(20c)로 구획되어 순차적으로 유류를 비중에 의해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 1분리부(20a), 제 2분리부(20b) 및 제 3분리부(20c)는 구획격판(22)에 의해 분리되어 순차적으로 오수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 1분리부(20a)와 상기 제 2분리부(20b)에는 오수의 흐름을 조절하는 가이드판(23)과, 상기 제 2분리부(20b) 및 상기 제 3분리부(20c)에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유입되는 오수의 유속 및 흐름을 조절하여 오수에 함유된 유류 및 슬러지가 분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수분리판(26)과 상기 제 3분리부(20c)에는 오수의 흐름을 조절하고 오수에 함유된 미세유류 및 슬러지를 정화하는 필터(27)가 구비된 격벽(25)이 형성된 유류분리부(20);
    상기 유류분리부(20)의 내부에서 부력에 의해 부유하도록 상부에 부력통(31a)과 비중에 의해 부유된 유류를 선택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제 1밸브(34)가 형성된 흡입부재(31)와, 상기 흡입부재(31)가 부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주름관(32)이 형성되며, 흡입된 유류를 이송하는 유류이송관(33)으로 이루어진 유류흡입부(30);
    상기 유류분리부(20)에서 비중에 의해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제 2밸브(41)가 형성된 슬러지배출관(40);
    상기 유류흡입부(30)에 의해 흡입된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저장탱크(50);
    상기 유류분리부(20)와, 상기 유류저장탱크(50)가 안착 되는 베이스(61)와 상기 베이스(61)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퀴(62)와 상기 베이스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63)로 이루어진 이동부(60);로 이루어지 되,
    상기 유류흡입부(30)가 내부에 상하이동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유류분리부(2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며, 비중에 의해 분리된 유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공(28a)이 형성된 하우징(2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리부(20a)의 상부에는 상기 유류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에 의해 유속 및 유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유도격판(24)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분리부(20)는 구획된 상기 각 분리부(20a, 20b, 20c)에서 분리된 유류를 감지할 수 있는 유류감지수단(72)과, 상기 제 1분리부(20a)로 유입되는 유류, 오수 및 슬러지를 감지하는 유입감지수단(71)과, 상기 유류감지수단(72)과 상기 유입감지수단(71)에 유입 및 유류가 감지되면 상기 제 1밸브(34)와 상기 제 2밸브(41)를 개폐시키는 제어부(7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감지수단(72)에 유류가 감지되면, 상기 제 1분리부(20a)의 하부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오수에 함유된 벌크성분을 분해시켜 비중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디퓨져(8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KR1020140167089A 2014-11-27 2014-11-27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KR101703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089A KR101703320B1 (ko) 2014-11-27 2014-11-27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089A KR101703320B1 (ko) 2014-11-27 2014-11-27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622A KR20160063622A (ko) 2016-06-07
KR101703320B1 true KR101703320B1 (ko) 2017-02-22

Family

ID=5619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089A KR101703320B1 (ko) 2014-11-27 2014-11-27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808B1 (ko) 2017-09-28 2019-05-23 정미경 유수 분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03B1 (ko) * 2010-06-07 2010-09-14 (주)클레슨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KR101446272B1 (ko) * 2014-02-17 2014-10-02 (주) 한길산업 유수분리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209B1 (ko) * 2008-04-28 2010-10-18 세일산업(주) 오일이 함유된 토양을 처리하기 위한 이동식 오일분리장치
KR101390821B1 (ko) * 2012-04-13 2014-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오수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03B1 (ko) * 2010-06-07 2010-09-14 (주)클레슨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KR101446272B1 (ko) * 2014-02-17 2014-10-02 (주) 한길산업 유수분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808B1 (ko) 2017-09-28 2019-05-23 정미경 유수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622A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302B1 (ko) 고액분리장치
US5204000A (en) Tank for separating water and hydrocarbon fuels from contaminated water
KR101317000B1 (ko)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AU2014352938B2 (en) Biofiltration with enhanced sludge handling
US20050040118A1 (en) Apparatus for trapp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matter
JP2018517560A (ja) 油水分離器
KR20120024520A (ko) 다중 구조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 침전조
EA026266B1 (ru) Динамический сепаратор частиц
KR101689142B1 (ko) 승강식 스키머를 갖는 스컴 제거 장치
JP6316156B2 (ja) 沈殿池
KR101446272B1 (ko) 유수분리기
KR101703320B1 (ko)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KR101715564B1 (ko) 고효율 기체용해탱크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KR101632166B1 (ko)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KR102222553B1 (ko)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
KR20150024026A (ko) 부유물 제거장치
KR102003120B1 (ko) 지하수 함양 용수 모래 제거 시스템
KR101892942B1 (ko) 수처리용 침전조
US7357860B1 (en) Skimmer system
KR100707828B1 (ko) 토양 속의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하는 장치
US9884774B1 (en) Highly retentive automatically skimmable tank
KR100964178B1 (ko) 자동분리 배수장치
KR101799745B1 (ko) 원형 침사 유분 제거 시스템
CN110652764A (zh) 分离装置
KR102190506B1 (ko) 고로용 수질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