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203B1 -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203B1
KR100982203B1 KR1020100053166A KR20100053166A KR100982203B1 KR 100982203 B1 KR100982203 B1 KR 100982203B1 KR 1020100053166 A KR1020100053166 A KR 1020100053166A KR 20100053166 A KR20100053166 A KR 20100053166A KR 100982203 B1 KR100982203 B1 KR 100982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tank
separator
nip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준
남효준
Original Assignee
(주)클레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레슨 filed Critical (주)클레슨
Priority to KR1020100053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그 목적으로는 오염수가 메인유수분리기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출렁임 현상으로 수면이 유동할 때, 오일분리기를 구성하는 부구가 함께 유동하면서 수위조절너트 상단부를 수면에 항상 일치시키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오일의 연속 배출에 따른 메인유수분리기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 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를 개방 형성하면서 입구파이프(22) 및 출구파이프(24)를 각각 연결하는 메인탱크(4)와; 상기 메인탱크(4) 내부에 설치되면서 제3펌프(42)에 배출호스(40)로 연결되어 오일을 분리 배출하는 오일분리기(28,68,98,118,128)와; 상기 오일분리기(28,68,98,118,128)의 일 측에 설치되면서 오일을 여과하는 망사틀(52);로 메인유수분리기(2)를 구성한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탱크(4) 내부에 십자형 분리벽(6)을 설치하여 제1,2,3,4여과조(8,10,12,14)로 나누어 형성하고, 상기 제2,3여과조(10,12)에 위치한 분리벽(6) 상단부에는 오염수가 넘어갈 수 있도록 한 안내홈(16,18,20)을 형성하며, 상기 망사틀(52)은 제1,2,3,4여과조(8,10,12,14)에 배치하고, 상기 오일분리기(28,68,98,118,128)는 제1,2,3여과조(8,10,12)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Oil-water separation device type multi}
본 발명은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유수분리기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수의 출렁임 현상으로 수면이 유동하더라도, 오일분리기의 부구와 함께 유동하는 수위조절너트 상단부가 수면으로부터 2∼3mm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오일을 연속 배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메인유수분리기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 되게 하고, 또한 메인유수분리기의 제1,2,3,4여과조 수위가 단계적으로 낮아지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오염수가 다음 여과조로 낙하할 때 발생하는 거품에 의해 오일분리가 촉진될 수 있도록 한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는 각종 부품을 가공 및 세척할 때 오염수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오염수에는 많은 오일이 포함되어 있어서 그대로 방류하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됨으로 유수분리기를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한 후 방류하게 된다.
상기 유수분리기는 물과 기름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장치로서, 오염수로부터 오일을 최대한 분리하여 청정수로 배출할 수 있는 우수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KR 10-0080982 A 1999.11.15. "유수분리기"를 도 1a, 1b에서 살펴 보면, 먼저 본체(10)의 양측 하부에 입수구(11)와 정수배출구(15)가 형성되고, 본체(10) 내부에는 원심분리기(70)가 있는 침전조(20)와, 구획판(21,31) 사이에 물결플레이트(32) 다수 개를 고정 설치하고 있는 제1유수분리조(30)와, 구획판(41,81) 사이에 물결플레이트(42) 다수 개를 고정 설치하고 있는 제2유수분리조(40)와, 구획판(91) 일 측에 유분흡착부(52)를 설치하고 있는 여과조(50)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제1,2유수분리조(30,40) 사이에는 제1유통로(8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유수분리조(40)와 여과조(50) 사이에는 제2유통로(9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상기 입수구(11)를 통하여 침전조(20)로 유입되는 오폐수는 원심분리기(70)에 의해 폐유가 분리되면서 부상하게 되고, 상기 폐유는 제1유수분리조(30)에 설치된 구획판(21)의 상단부를 넘어 폐유수거구(33a)를 통해 스키머관(33)으로 진입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오폐수는 물결플레이트(32)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 다음, 상기 제1유통로(80)를 따라 다시 상승한 후 제2유수분리조(40)에 설치된 구획판(81)의 상단부를 넘게 된다.
상기 이후로 폐유는 폐유수거구(43a)를 통하여 스키머관(43)으로 진입하게 되고, 오폐수는 물결플레이트(42)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 후 제2유통로(90)를 통하여 재차 상승한 다음 여과조(50)로 진입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폐유는 이동하면서 유분흡착부(52)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오폐수에 포함된 폐유는 유분흡착부(52)에 의해 여과되면서 정수배출구(15)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오폐수가 본체(10) 내부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출렁임 현상으로 수면이 유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수면으로 부상한 오일은 스키머관(33)으로 원할하게 진입하지 못하게 됨으로, 유수분리기의 효율성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침전조(20)에서만 원심분리기(70)에 의해 오폐수로부터 폐유가 원할하게 분리되고, 이후로는 폐유를 강제로 분리시키는 요건이 제공되지 않는 구조인 관계로, 오폐수는 폐유를 다량으로 포함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는 결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메인유수분리기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수의 출렁임 현상으로 수면이 유동하더라도, 오일분리기의 부구와 함께 유동하는 수위조절너트 상단부가 수면으로부터 2∼3mm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오일을 연속 배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메인유수분리기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 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둘째, 메인유수분리기의 제1,2,3,4여과조 수위가 단계적으로 낮아지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오염수가 다음 여과조로 낙하할 때 발생하는 거품에 의해 오일분리가 촉진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부를 개방 형성하면서 입구파이프(22) 및 출구파이프(24)를 각각 연결하는 메인탱크(4)와; 상기 메인탱크(4) 내부에 설치되면서 제3펌프(42)에 배출호스(40)로 연결되어 오일을 분리 배출하는 오일분리기(28,68,98,118,128)와; 상기 오일분리기(28,68,98,118,128)의 일 측에 설치되면서 오일을 여과하는 망사틀(52);로 메인유수분리기(2)를 구성한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탱크(4) 내부에 십자형 분리벽(6)을 설치하여 제1,2,3,4여과조(8,10,12,14)로 나누어 형성하고, 상기 제2,3여과조(10,12)에 위치한 분리벽(6) 상단부에는 오염수가 넘어갈 수 있도록 한 안내홈(16,18,20)을 형성하며, 상기 망사틀(52)은 제1,2,3,4여과조(8,10,12,14)에 배치하고, 상기 오일분리기(28,68,98,118,128)는 제1,2,3여과조(8,10,12)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3,4여과조(8,10,12,14)의 출구 측에는 통로(58)를 하부에 형성한 출구안내벽(56)이 각각 수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벽(6) 상단부에 형성된 안내홈(16,18,20)의 깊이를 순차적으로 깊게 형성함으로써, 제1,2,3,4여과조(8,10,12,14)의 각 수위가 단계적으로 낮아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염수가 메인유수분리기(2)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출렁임 현상으로 수면이 유동하면, 오일분리기(28)를 구성하는 부구(36)가 함께 유동하게 되는데, 따라서 수위조절너트(38) 상단부가 수면으로부터 2∼3mm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오일을 연속 배출시키게 됨으로, 메인유수분리기(2)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1,2,3여과조(8,10,12)의 출구 측에 위치한 안내홈(16,18,20)과 출구파이프(24)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제1,2,3,4여과조(8,10,12,14)의 수위가 단계적으로 낮아지게 되는데, 따라서 오염수가 다음 여과조로 이동할 때 낙하하면서 거품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거품은 오일 분리를 촉진시키는 촉진효과가 있게 된다.
도 1a, 1b 는 종래의 기술인 유수분리기를 나타낸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유수분리기의 전체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메인 유수분리기의 평면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메인 유수분리기의 사시도.
도 5a, 5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메인 유수분리기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인 오일 분리기의 제 1 실시 예 사시도.
도 7a, 7b, 7c 는 본 발명인 오일 분리기의 제 1 실시 예 사용 상태도.
도 8a, 8b 는 본 발명인 오일 분리기의 제 2 실시 예 상태도.
도 9 는 본 발명인 오일 분리기의 제 3 실시 예 상태도.
도 10 은 본 발명인 오일 분리기의 제 4 실시 예 상태도.
도 11 은 본 발명인 오일 분리기의 제 5 실시 예 상태도.
도 12a, 12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보조 유수분리기의 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12 에서 살펴 보면, 먼저 산업현장에서 가공 및 세척할 때 많이 발생하는 오염수는 보통 물과 기름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분리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오염수를 분리 배출하기 위해서 초기유수분리기(1)(도2참조)와 메인유수분리기(2)와 보조유수분리기(3)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초기유수분리기(1)에는 세척노즐(5)로부터 분사된 세정수가 안내판(7)을 통해 유입되어 저장되는 탱크(9)가 구성되고, 상기 탱크(9)의 측벽 하부에는 필터(11)가 설치되면서 제1펌프(13)를 연결하며, 제1펌프(13)는 세척노즐(5)에 연결된다.
상기 탱크(9) 내부에는 수면으로 부상한 오일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오일분리기(28)가 설치되면서 제2펌프(15)에 연결되고, 상기 제2펌프(15)는 입구파이프(22)로 메인유수분리기(2)에 연결된다.
상기 메인유수분리기(2)에는 상부를 개방한 직 사각형 모양의 메인탱크(4)(도3참조)가 구성되고, 상기 메인탱크(4)에는 분리벽(6)이 십자형으로 교차하면서 수직 설치된다. 이때 상기 분리벽(6)에 의해 메인탱크(4) 내부는 제1,2,3,4여과조(8,10,12,14)로 분리 형성된다.
상기 제1,2,3여과조(8,10,12)의 출구 측에 위치한 분리벽(6) 상단부에는 오염수가 넘어갈 수 있도록 한 안내홈(16,18,2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6,18,20) 각각은 제2,3,4여과조(10,12,14)로 갈수록 점차 깊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2,3,여과조(8,10,12)의 수위가 단계적으로 낮아지게 한다.
상기 제1여과조(8)의 입구 측 메인탱크(4) 상측 벽면에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22)가 관통하여 결합 되면서 수면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4여과조(14) 출구 측의 메인탱크(4) 벽면에는 출구파이프(24)가 관통하여 결합 되는데, 이때 상기 출구파이프(24)의 위치는 제3여과조(12)의 출구 측에 위치한 안내홈(20) 보다는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제4여과조(14)의 수위가 제3여과조(12)의 수위보다는 낮아지게 한다.
결국, 상기 안내홈(16,18,20)과 출구파이프(24)는 점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상기 제1,2,3,4여과조(8,10,12,14)는 수위가 단계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1여과조(8)의 앞 측에는 수위에 따라 유동하면서 오일을 분리 배출하는 제 1 실시 예인 오일분리기(28)가 설치되는데, 상기 오일분리기(28) (도6참조)는 상단부에 숫나사(30)를 형성하는 니쁠(nipple)(32)과, 상기 니쁠(32)에 동일한 각도로 나누어 배치된 3개의 아암(34)에 각각 연결되면서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36)와, 상기 숫나사(30)에 나사 결합 되는 수위조절너트(38),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부구(36)는 수면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니쁠(32)은 수면 아래에 수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위조절너트(38)의 상단부는 수면으로부터 2∼3 mm 정도 아래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오일과 오염수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하여, 상기 니쁠(32) 하부에는 오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출호스(40)가 연결되고, 상기 배출호스(40)는 수면 아래로 배치되면서 메인탱크(4)의 벽면을 관통하여 결합 되며, 상기 배출호스(40)의 끝단 부에는 제3펌프(42)가 연결되고, 제3펌프(42)는 보조유수분리기(3)에 연결되면서 조작부(44)를 연결하고 있는 제어부(46)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배출호스(40)는 플렉시블(flexible)한 피브이씨(PVC)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써, 상기 오일분리기(28)가 수면에서 수류와 수위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여과조(8)(도5a참조)의 중간 측에 위치한 메인탱크(4)의 내부 벽면과 분리벽(6)의 상,하부에는 3개의 가이더(guider)(48)와 포켓(50)이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기울어지게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더(48)와 포켓(50)에는 오일을 여과하는 망사틀(52) 3개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면서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망사틀(52)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크린망사 또는 타공판으로 만들어지게 되고, 상기 망사틀(52)은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손잡이를 상단부에 설치하고 있게 된다.
상기 망사틀(52)의 일 측에는 오일을 오염수로부터 신속히 분리시키는 오일분리촉진부재(54)가 위치하면서 메인탱크(4)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오일분리촉진부재(54)는 제어부(46)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오일분리촉진부재(54)는 초음파진동기, 기포발생기, 바이브레이터(vibrator)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오일분리촉진부재(54)는 망사틀(52)의 일 측이 아닌 망사틀(52)의 타 측에 배치할 수 있는데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상기 오일분리촉진부재(54)는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계속하여, 상기 제1여과조(8)의 출구 측에는 출구안내벽(56)이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분리벽(6)으로 부터 이격 되는데, 이때 상기 출구안내벽(56)의 상단부는 수면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출구안내벽(56)의 하부에는 오염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 통로(58)를 관통 형성한다.
상기 제2여과조(10)는 전술한 제1여과조(8)와 같은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제2여과조(10)의 입구에 오일분리기(28)가 설치되면서 제3펌프(42)에 연결되고, 상기 오일분리기(28)의 일 측에는 망사틀(52)이 가이더(48)와 포켓(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망사틀(52)의 일 측에는 오일분리촉진부재(54)가 메인탱크(4)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제어부(46)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여과조(10)의 출구 측에는 하부에 통로(58)를 형성한 출구안내벽(56)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3여과조(12)는 전술한 제1여과조(8)와 같은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제3여과조(12) 입구에 오일분리기(28)가 설치되면서 제3펌프(42)에 연결되고, 상기 오일분리기(28)의 타 측에는 망사틀(52)이 가이더(48)와 포켓(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망사틀(52)의 타 측에는 오일분리촉진부재(54)가 메인탱크(4)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제어부(46)에 연결되고, 상기 제3여과조(12)의 출구 측에는 하부에 통로(58)를 형성한 출구안내벽(56)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4여과조(14)는 전술한 제1여과조(8)와 동일한 구조로써, 상기 제4여과조(14)의 입구에 망사틀(52)이 가이더(48)와 포켓(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기 제4여과조(14)의 출구 측에는 하부에 통로(58)를 형성한 출구안내벽(56)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1,2,3여과조(8,10,12) 각각에는 분사노즐(17)이 제4펌프(19)로 연결되면서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분사노즐(17)의 노즐부는 메인탱크(4)의 내부 벽면 측을 향하여 45도 상향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17)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해 수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수류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한 오일은 한쪽으로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4펌프(19)(도2참조)는 초기유수분리기(1)에 설치된 필터(11)와 제1펌프(13) 사이의 파이프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보조유수분리기(3)(도12b참조)에는 상부를 개방한 탱크(23)가 구성되고, 상기 탱크(23) 내부에는 제1,2격벽(25,27)이 간격을 두면서 순차적으로 수직 설치되어 저수조(29), 분류조(31), 배출조(33)를 나누어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저수조(29) 상부에는 제3펌프(42)에 연결한 입구파이프(35)를 배치하면서 탱크(23)의 측벽에 관통 결합하고, 상기 배출조(33) 바닥에는 메인유수분리기(2)의 제4여과조(14)에 연결한 출구파이프(37)를 수직 설치한다. 이때, 상기 출구파이프(37)의 상단부에는 높이 조절을 할 수 있게 한 너트(39)를 나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제1격벽(25)의 상단부 일측에는 오염수가 넘어갈 수 있도록 한 상부통로(41)를 절취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2격벽(27)의 하단부에는 오염수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한 하부통로(43)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분류조(31)의 중간에는 수면으로 부상한 오일만 배출되는 안내공(45)이 탱크(23)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45)에는 오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홈통(47)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보조유수분리기(3)의 안내공(45)은 상부통로(4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출구파이프(37)의 너트(39) 상단부는 안내공(45)보다 2∼3mm 정도 낮게 위치하도록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 분류조(31)와 배출조(33)의 수위는 동일하고, 상기 저수조(29)의 수위보다는 분류조(31)와 배출조(33)의 수위가 낮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미 도시한 세척기에서 세척노즐(5)을 통하여 세척을 실시하면 오염수는 안내판(7)을 통해 초기유수분리기(1)의 탱크(9)로 유입되고, 이후로 오염수에 포함된 오일은 물과의 비중 차이로 분리되면서 수면으로 부상하게 되고, 이러한 오일은 오일분리기(28)를 통하여 제2펌프(15)에 의해 메인유수분리기(2)로 보내어지게 된다. 그리고, 일부 오염수는 필터(11)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세정수 형태로 제1펌프(13)에 의해 다시 세척노즐(5)로 보내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입구파이프(22)(도5a참조)를 통하여 오염수가 메인유수분리기 (2)로 공급되면서 제1여과조(8)로 낙하하면, 오일은 물과의 비중 차이로 분리되면서 수면으로 부상하게 되고, 오염수는 수류에 의해 3개의 망사틀(52)을 연속적이고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상기 이후로, 오염수는 여전히 오일이 포함된 상태에서 출구안내벽(56)에 부딪치면서 하부에 형성된 통로(58)를 수류에 의해 통과하게 되고, 이후로 오염수는 분리벽(6) 상단부에 형성된 안내홈(16)을 넘어서 제2여과조(10)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염수는 제1여과조(8)의 수위보다 제2여과조(10)의 수위가 낮은 관계로 낙하하면서 거품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거품에 의해 오일분리가 촉진된다.
상기와 같이 제2여과조(10)로 유입된 오염수는 포함된 오일이 물로부터 분리되면서 부상하여 있게 되고, 오염수는 계속하여 수류에 의해 3개의 망사틀(52)을 연속적이고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재차 여과되며, 이후로 오염수는 여전히 오일을 일부 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 출구안내벽(56)에 부딪치며 하부에 형성된 통로(58)를 수류에 의해 통과한 다음, 상기 오염수는 분리벽(6)(도3참조) 상단부에 형성된 안내홈(18)을 넘어서 제3여과조(12)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여과조(10)의 출구 측에 위치한 분리벽(6)의 안내홈(18) 깊이는 제1여과조(8)의 출구 측에 위치한 분리벽(6)의 안내홈(16) 깊이보다는 깊은 관계로, 상기 제1여과조(8)의 수위보다는 제2여과조(10)의 수위가 조금 낮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3여과조(12)로 유입된 오염수는 포함된 오일이 물로부터 분리되면서 부상하여 있게 되고, 오염수는 계속하여 수류에 의해 3개의 망사틀(52)을 연속적이고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재차 여과되며, 이후로 오염수는 여전히 오일을 일부 포함한 상태에서 출구안내벽(56)에 부딪치며 하부에 형성된 통로(58)를 수류에 의해 통과한 다음, 상기 오염수는 분리벽(6) 상단부에 형성된 안내홈(20)을 넘어서 제4여과조(14)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여과조(12)의 출구 측에 위치한 분리벽(6)의 안내홈(20) 깊이는 제2여과조(10)의 출구 측에 위치한 분리벽(6)의 안내홈(18) 깊이보다는 깊은 관계로, 상기 제2여과조(10)의 수위보다는 제3여과조(12)의 수위가 조금 낮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4여과조(14)로 유입된 오염수는 포함된 오일이 물로부터 분리되면서 부상하여 있게 되고, 오염수는 수류에 의해 3개의 망사틀(52)을 연속적이고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재차 여과된다.
상기와 같은 오염수는 제1,2,3,여과조(8,10,12)에 설치된 오일분리기(28)를 통하여 오일을 분리 제거한 상태에서 망사틀(52)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오염수에 포함된 오일 농도는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상기 이후로, 오염수는 출구안내벽(56)에 부딪치면서 하부에 형성된 통로(58)를 수류에 의해 통과한 다음, 상기 출구파이프(24)를 통하여 초기유수분리기(1)의 탱크(9)로 보내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초기유수분리기(1)의 탱크(9)는 메인유수분리기(2)의 메인탱크(4) 보다 낮은 위치에 있게 됨으로, 상기 오염수는 낙차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4여과조(14)의 출구 측에 위치한 출구파이프(24)의 위치는 제3여과조(12)의 출구 측에 위치한 분리벽(6)의 안내홈(20) 보다 아래에 배치된 관계로, 상기 제3여과조(12)의 수위보다는 제4여과조(14)의 수위가 조금 낮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오염수가 공급되어 제1,2,3,4여과조(8,10,12,14)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때 조작부(44)(도2참조)에서 시작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46)는 제3펌프(42)와 오일분리촉진부재(54)에 작동명령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2,3여과조(8,10,12)의 수위에 부상하여 있는 오일은 제3펌프(42)의 흡입력에 의해 오일분리기(28)(도5참조)를 구성하는 수위조절너트(38)의 상단부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고, 이후로 오일은 니쁠(32)과 배출호스(40)를 따라 보조유수분리기(3)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일이 물로부터 분리되어 외부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수위가 변하거나 출렁임 현상으로 수면이 유동하게 되면, 상기 오일분리기(28)를 구성하는 부구(36)가 수면을 따라 유동하게 됨으로, 상기 수위조절너트(38)도 함께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위조절너트(38)의 상단부는 수면 보다 2∼3 mm 정도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오일분리기(28)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수의 수류에 의해 밀려져 망사틀(52) 앞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일분리기(28)가 변동되는 수위 및 수류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은, 상기 오일분리기(28)에 연결되는 배출호스(40)가 플렉시블한 피브이씨(PVC) 재질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때, 상기 수위조절너트(38)의 상단부가 수면 위에 있게 되면, 도 7a,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조절너트(38)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위조절너트(38)의 상단부가 수면 보다 2∼3 mm 정도 아래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수면에 부상하여 있으면서 망사틀(52) 앞 측으로 수류에 의해 몰려 있게 되는 오일은, 배출호스(40)를 통하여 전달되는 제3펌프(42)의 흡입력에 의해 수위조절너트(38)로 연속 유입되면서 보조유수분리기(3)로 보내어지게 된다.
동시에, 상기 제4펌프(19)에 의해 초기유수분리기(1)로부터 제1,2,3여과조(8,10,12)에 설치된 분사노즐(17)(도5b참조)을 통하여 세정수가 저압으로 분사되면, 상기 세정수는 메인탱크(4)의 내부벽면에 부딪치면서 상향한 후 역 방향으로 저속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수면에 부상한 오일은 수류에 의해 이동하면서 오일분리기(28) 쪽으로 모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인 오일은 오일분리기(28)에 의해 신속하고도 더 많은 양의 오일이 배출된다.
상기 이후로, 세정수는 수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메인탱크(4)의 타측 벽면에 부딪치면서 아래로 이동한 다음, 다시 바닥을 따라 이동하여 분사노즐(17)이 위치한 곳 까지 이동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어부(46)의 명령에 의해 초음파진동자, 기포발생기, 바이브레이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오일분리촉진부재(54)가 작동하게 되면, 망사틀(52)을 통과한 오염수에 잔류하는 오일이 물로부터 분리가 촉진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오염수가 통로(58)를 통해 다음 여과조로 이동하여 낙하하면 오일은 물로부터 분리되어 수면 위로 부상하여 있게 되고, 이후로 오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위조절너트(38)로 유입되면서 배출호스(40)를 따라 미 도시한 저장탱크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염수가 제1,2,3,4여과조(8,10,12,1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망사틀(52)을 연속하여 통과하게 되면, 상기 망사틀(52)의 여과기능은 점차적으로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망사틀(52)(도5a참조)의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서 분리하여 세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망사틀(52)의 손잡이를 잡고 메인탱크(4) 상부로 당기면 하부는 포켓(50)으로부터 이탈하면서 가이더(48)를 따라 상부로 이동한 후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망사틀(52)은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망사 사이에 존재하는 오일을 분리시키고, 이후로 상기 망사틀(52)은 가이더(48)를 통해 하방으로 삽입하여 포켓(50)에 결합한 다음 재 사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인 오일분리기(68)를 도 8a에서 살펴 보면, 먼저 오일분리기(68)에는 배출호스(40)의 끝단 부에 결합 되면서 메인탱크(4)의 측벽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연결관(82)이 구성되는데, 상기 연결관(82)의 수직부 외주 면에는 안내홈(84)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82)에는 니쁠(72)이 상단부에 숫나사(70)를 형성하면서 슬립 결합 된다.
상기 니쁠(72)에는 안내홈(84)에 선단부를 삽입하면서 스토퍼 기능을 하는 고정나사(80)가 체결되고, 상기 니쁠(72)에는 아암(74) 3개가 동일한 각도로 나누어져 설치되면서 부구(76)를 각각 연결한다.
또한, 상기 니쁠(72)의 상단부에 형성된 숫나사(70)에는 오일의 유입을 안내하는 수위조절너트(78)가 나사 결합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인 오일분리기(68)의 작용을 도 8b에서 살펴 보면, 먼저 상기 오일분리기(68)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3여과조(8,10,12)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위가 변하게 될 경우, 상기 부구(76)는 수면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구(76)를 아암(74)으로 연결한 니쁠(72)은 연결관(82)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니쁠(72)이 승강하게 될 때, 상기 고정나사(80)는 안내홈(84)을 따라 이동하면서 니쁠(72)과 부구(76)의 승강 범위를 한정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인 오일분리기(98)를 도 9에서 살펴 보면, 먼저 오일분리기(98)에는 배출호스(40)의 끝단 부에 니쁠(102)이 결합 되면서 상단부에 숫나사(100)를 형성하고, 상기 니쁠(102)에는 아암(104) 3개가 동일한 각도로 나누어져 설치되면서 부구(106)를 각각 연결한다.
상기 니쁠(102)의 숫나사(100)에는 오일의 유입을 안내하는 레듀서(108)가 하부에 형성한 암나사부(110)로 나사 결합 된다.
상기 오일분리기(98)의 기능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레듀서(108)는 입구가 큰 확관으로 형성된 관계로 보다 많은 양의 오일을 유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인 오일분리기(118)를 도 10에서 살펴 보면, 먼저 오일분리기(118)에는 배출호스(40)의 끝단 부에 니쁠(102)이 결합 되면서 상단부에 숫나사(100)를 형성하고, 상기 니쁠(102)에는 아암(104) 3개가 동일한 각도로 나누어져 설치되면서 부구(106)를 각각 연결한다.
상기 니쁠(102)의 숫나사(100)에는 오일의 유입을 안내하는 호퍼(120)가 하부에 형성한 암나사부(122)로 나사 결합 된다.
상기 오일분리기(118)의 기능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호퍼(120)는 입구가 확대되어 있는 관계로 보다 많은 양의 오일을 유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인 오일분리기(128)를 도 11에서 살펴 보면, 먼저 오일분리기(128)에는 배출호스(40)의 끝단 부에 니쁠(130)이 결합 되고, 상기 니쁠(130)에는 슬리브(132)가 승강 가능하게 미끄럼 결합 되며, 상기 슬리브(132)에는 아암(134) 3개가 동일한 각도로 나누어져 설치되고, 각각의 아암(134)에는 부구(136)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132)에는 고정역할을 하는 고정나사(138) 3개가 동일한 각도로 나누어져 배치되면서 나사 결합 된다.
이때, 상기 부구(136)가 수면에 부상할 수 있도록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고정나사(138)를 풀어 슬리브(132)를 상향 또는 하향시켜 위치를 조정한 다음, 상기 고정나사(138)를 체결함으로써 조정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오일분리기(128)의 기능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3펌프(42)에 의해 보조유수분리기(3)(도12a참조)로 보내어진 오염수는 입구파이프(35)를 통하여 탱크(23)의 저수조(29)로 낙하하게 되고, 이후로 오염수는 제1격벽(25)의 상부통로(41)를 통해 분류조(31)로 넘어가게 된다.
상기 이후로, 오염수는 분류조(31)에서 수면으로 부상한 오일은 안내공(45)을 통해 홈통(47)으로 배출되고, 나머지 오염수는 제2격벽(27)의 하부통로(43)를 통해 배출조(33)로 이동한 다음 상기 너트(39)를 통하여 출구파이프(37)를 따라 메인유수분리기(2)의 제4여과조(14)로 보내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초기유수분리기 2:메인유수분리기
3:보조유수분리기 4:메인탱크
5:세척노즐 6:분리벽
7:안내판 8:제1여과조
9,23:탱크 10:제2여과조
11:필터 12:제3여과조
13:제1펌프 14:제4여과조
15:제2펌프 16,18,20:안내홈
17:분사노즐 19:제4펌프
22:입구파이프 24:출구파이프
25:제1격벽 26:입구안내벽
27:제2격벽 28,68,98,118,128:오일분리기
29:저수조 30,70:숫나사
31:분류조 32,72:니쁠
33:배출조 34,74:아암
35:입구파이프 36,76:부구
37:출구파이프 38,78:수위조절너트
39:너트 40:배출호스
41:상부통로 42:제3펌프
43:하부통로 44:조작부
45:안내공 46:제어부
47:홈통 48:가이더
50:포켓 52:망사틀
54:오일분리촉진부재 56:출구안내벽
58:통로 80;고정나사
82:연결관 84:안내홈

Claims (16)

  1. 상부를 개방 형성하면서 입구파이프(22) 및 출구파이프(24)를 각각 연결하는 메인탱크(4)와;
    상기 메인탱크(4) 내부에 설치되면서 제3펌프(42)에 배출호스(40)로 연결되어 오일을 분리 배출하는 오일분리기(28,68,98,118,128)와;
    상기 오일분리기(28,68,98,118,128)의 일 측에 설치되면서 오일을 여과하는 망사틀(52);로 메인유수분리기(2)를 구성한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탱크(4) 내부에 십자형 분리벽(6)을 설치하여 제1,2,3,4여과조(8,10,12,14)로 나누어 형성하고, 상기 제2,3여과조(10,12)에 위치한 분리벽(6) 상단부에는 오염수가 넘어갈 수 있도록 한 안내홈(16,18,20)을 형성하며,
    상기 망사틀(52)은 제1,2,3,4여과조(8,10,12,14)에 배치하고, 상기 오일분리기(28,68,98,118,128)는 제1,2,3여과조(8,10,12)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여과조(8,10,12,14)의 출구 측에는 통로(58)를 하부에 형성한 출구안내벽(56)이 각각 수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6) 상단부에 형성된 안내홈(16,18,20)의 깊이를 순차적으로 깊게 형성함으로써, 제1,2,3,4여과조(8,10,12,14)의 각 수위가 단계적으로 낮아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기(28)는
    배출호스(40)에 연결되면서 상단부에 숫나사(30)를 형성하는 니쁠(32)과,
    상기 니쁠(32)에 아암(34)으로 연결되면서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36)와,
    상기 니쁠(32)의 숫나사(3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되면서 오일의 유입을 안내하는 수위조절너트(38),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호스(40)를 피브이씨 재질의 플렉시블한 호스로 만듦으로써, 상기 오일분리기(28)가 제1,2,3여과조(8,10,12)에서 수류 또는 수위에 따라 자유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기(68)는
    배출호스(40)에 연결되면서 외주면에 안내홈(84)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한 연결관(82)과,
    상기 연결관(82)에 슬립 결합 되면서 상단부에 숫나사(70)를 형성하는 니쁠(72)과,
    상기 니쁠(72)의 측벽에 체결되면서 선단부가 안내홈(84)에 삽입되어 스토퍼 기능을 하는 고정나사 (80)와,
    상기 니쁠(72)에 아암(74)으로 연결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76)와,
    상기 니쁠(72)의 숫나사(7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되면서 오일의 유입을 안내하는 수위조절너트(78),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82)은 메인탱크(4)의 측벽에 관통시켜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나사(80)는 선단부가 안내홈(8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정함으로써, 상기 부구(76)와 니쁠(72)이 연결관(82)에서 수위를 따라 함께 승강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기(98)는
    배출호스(40)에 연결되면서 상단부에 숫나사(100)를 형성하는 니쁠(102)과,
    상기 니쁠(102)에 아암(104)으로 연결되면서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106)와,
    상기 니쁠(102)의 숫나사(10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암나사부(110)로 나사 결합 되면서 오일의 유입을 안내하는 레듀서(108),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기(118)는
    배출호스(40)에 연결되면서 상단부에 숫나사(100)를 형성하는 니쁠(102)과,
    상기 니쁠(102)에 아암(104)으로 연결되면서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106)와,
    상기 니쁠(102)의 숫나사(10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암나사부(110)로 나사 결합 되면서 오일의 유입을 안내하는 호퍼(120),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기(128)는
    배출호스(40)에 연결되는 니쁠(130)과,
    상기 니쁠(130)에 승강 가능하게 미끄럼 결합 되는 슬리브(132)와,
    상기 슬리브(132)에 아암(134)으로 연결되면서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136)와,
    상기 슬리브(132)에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면서 슬리브(132)를 니쁠(130)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138),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여과조(8,10,12,14)에 위치하는 메인탱크(4)의 내부 벽면과 분리벽(6)에 가이더(48)와 포켓(50)을 각각 기울어지게 설치하고, 상기 가이더(48)와 포켓(50)에는 망사틀(52)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면서 기울어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틀(52)은 스크린망사 또는 타공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여과조(8,10,12) 각각의 바닥에는, 오일을 오염수로부터 신속히 분리시키는 초음파진동기, 기포발생기, 바이브레이터 중 어느 하나로 된 오일분리촉진부재(5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여과조(8,10,12) 내부에는 제4펌프(19)를 연결한 분사노즐(17)이 벽면 측으로 향하여 상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펌프(42)에 보조유수분리기(3)의 탱크(23)를 연결하고, 상기 탱크(23) 내부에는 상부통로(41)를 형성한 제1격벽(25)과 하부통로(43)를 형성한 제2격벽(27)을 순차적으로 수직 설치하여 저수조(29), 분류조(31), 배출조(33)로 나누어 형성하며,
    상기 저수조(29) 상부에는 제3펌프(42)에 연결한 입구파이프(35)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조(33) 바닥에는 메인유수분리기(2)의 제4여과조(14)에 연결한 출구파이프(37)를 수직 설치하며,
    상기 분류조(31)의 중간에는 수면으로 부상한 오일만 배출되는 안내공(45)을 관통 형성하는 특징으로 한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45)은 상부통로(4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출구파이프(37) 상단부는 안내공(45)보다 2∼3mm 정도 낮게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분류조(31)와 배출조(33)의 수위는 동일하게 하고, 상기 저수조(29)보다는 분류조(31)와 배출조(33)의 수위가 낮게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KR1020100053166A 2010-06-07 2010-06-07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KR100982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166A KR100982203B1 (ko) 2010-06-07 2010-06-07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166A KR100982203B1 (ko) 2010-06-07 2010-06-07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203B1 true KR100982203B1 (ko) 2010-09-14

Family

ID=4301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166A KR100982203B1 (ko) 2010-06-07 2010-06-07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203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396B1 (ko) * 2011-05-23 2013-01-03 최진혁 폐수 정화장치
KR101265288B1 (ko) * 2012-11-29 2013-05-16 (주)다흥 기름회수 처리장치
CN103420518A (zh) * 2013-08-19 2013-12-04 宋汶芸 油水分离装置
EP2778407A1 (en) * 2011-10-14 2014-09-17 GD Energy Services, S.A.U. Facility for treating thermal oils in solar thermal plants
KR20160063622A (ko) * 2014-11-27 2016-06-07 허태준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KR101931780B1 (ko) * 2016-07-15 2018-12-21 (주)거도 유수분리장치
CN110040817A (zh) * 2019-05-28 2019-07-23 上海绿潮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油水分离处理系统中自动聚油装置
KR102240311B1 (ko) * 2020-08-18 2021-04-14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휘발성유기화합물 응축 및 회수 장치
KR102414528B1 (ko) * 2021-07-16 2022-06-28 이문성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KR20220105392A (ko) * 2021-01-20 2022-07-27 김성호 유수분리기
CN116924516A (zh) * 2023-09-18 2023-10-24 山西圣弗兰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油污水用气浮分离装置
CN117886489A (zh) * 2024-03-18 2024-04-16 福建英辉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污水处理用隔油池
CN117886489B (zh) * 2024-03-18 2024-06-04 福建英辉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污水处理用隔油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299A (ko) * 1997-03-10 1998-11-05 이동열 유수(油水) 분리장치
KR100415405B1 (ko) 1995-12-15 2004-03-19 가부시키 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유화 오일-함유폐수에서물과오일을분리하는방법및장치
KR100697688B1 (ko) 2006-09-01 2007-03-20 주식회사 화인 유수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405B1 (ko) 1995-12-15 2004-03-19 가부시키 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유화 오일-함유폐수에서물과오일을분리하는방법및장치
KR19980073299A (ko) * 1997-03-10 1998-11-05 이동열 유수(油水) 분리장치
KR100697688B1 (ko) 2006-09-01 2007-03-20 주식회사 화인 유수 분리 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396B1 (ko) * 2011-05-23 2013-01-03 최진혁 폐수 정화장치
EP2778407A1 (en) * 2011-10-14 2014-09-17 GD Energy Services, S.A.U. Facility for treating thermal oils in solar thermal plants
EP2778407A4 (en) * 2011-10-14 2014-12-31 Gd Energy Services S A U APPENDIX FOR THE PREPARATION OF THERMAL OILS IN SOLAR THERMAL PLANTS
KR101265288B1 (ko) * 2012-11-29 2013-05-16 (주)다흥 기름회수 처리장치
CN103420518A (zh) * 2013-08-19 2013-12-04 宋汶芸 油水分离装置
KR20160063622A (ko) * 2014-11-27 2016-06-07 허태준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KR101703320B1 (ko) * 2014-11-27 2017-02-22 허태준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KR101931780B1 (ko) * 2016-07-15 2018-12-21 (주)거도 유수분리장치
CN110040817A (zh) * 2019-05-28 2019-07-23 上海绿潮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油水分离处理系统中自动聚油装置
KR102240311B1 (ko) * 2020-08-18 2021-04-14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휘발성유기화합물 응축 및 회수 장치
KR20220105392A (ko) * 2021-01-20 2022-07-27 김성호 유수분리기
KR102558659B1 (ko) * 2021-01-20 2023-07-21 김성호 유수분리기
KR102414528B1 (ko) * 2021-07-16 2022-06-28 이문성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CN116924516A (zh) * 2023-09-18 2023-10-24 山西圣弗兰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油污水用气浮分离装置
CN116924516B (zh) * 2023-09-18 2024-01-09 山西圣弗兰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油污水用气浮分离装置
CN117886489A (zh) * 2024-03-18 2024-04-16 福建英辉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污水处理用隔油池
CN117886489B (zh) * 2024-03-18 2024-06-04 福建英辉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污水处理用隔油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203B1 (ko)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CN106554100B (zh) 油污水处理设备及其处理方法
US9725334B2 (en) Rapid flotation device for water laden with suspended matter,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CN206793112U (zh) 桶式油水分离器
JP2019010645A (ja) 移送システム
CN103613157B (zh) 一种气浮除油装置
CN109292878A (zh) 一种污水处理浮选设备
KR20100023207A (ko) 부력식 스컴 제거장치
CN211705996U (zh) 一种矩形高负荷沉降系统
JP3811887B2 (ja) 洗浄処理装置
CN202945075U (zh) 组合气浮装置
CN211706002U (zh) 一种二沉池用链条张紧装置和沉降系统
CN202078772U (zh) 一种阻油及油水分离装置
JP2007090291A (ja) 水の濾過装置
CN208964630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三相分离器
CN207462735U (zh) 一种再生混凝土污水沉淀池
KR200258000Y1 (ko) 순환여과식 포말분리장치
CN202064222U (zh) 废纸脱墨多级浮选槽
JP2010115599A (ja) スカム回収処理装置
CN201288073Y (zh) 一种废水处理气浮池
CN2475727Y (zh) 气浮污水处理装置
JP2008055361A (ja) 油水分離装置
CN217480114U (zh) 一种水面漂浮垃圾及藻类自动清理装置
CN105347566A (zh) 一种含油废水的处理装置
CN117623444B (zh) 一种沥青烟气污水除油回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