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3299A - 유수(油水)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유수(油水)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3299A
KR19980073299A KR1019970008491A KR19970008491A KR19980073299A KR 19980073299 A KR19980073299 A KR 19980073299A KR 1019970008491 A KR1019970008491 A KR 1019970008491A KR 19970008491 A KR19970008491 A KR 19970008491A KR 19980073299 A KR19980073299 A KR 19980073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hamber
water
inlet
secondary ref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이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열 filed Critical 이동열
Priority to KR1019970008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3299A/ko
Publication of KR19980073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299A/ko

Links

Landscapes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유수 분리장치에 관한분야.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주지된 바와같이 종래의 유수 분리장치는 주로 흡착식 휠터를 사용하여 물에 떠있는 기름등을 흡수시키도록 한것이기에, 휠터교체에 따른 비용 및 번거로움이 컸던 것이고, 휠터선단에 적절하지 못할경우는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것임.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물과 기름이 혼합된 폐수를 비중과 중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무동력으로 완벽하게 선별 및 분리가능케한 것임.
4. 발명의 중용한 용도.
세차장, 주유소 및 오일등을 취급하는 업체나 각종 정비업소에서 설치사용함.

Description

유수(油水) 분리장치
본발명은 물과 기름이 혼합된 폐수를 비중과 중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휠터등의 교체없이 무동력으로 완벽하게 선별 및 분리가능케한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차장, 주유소등을 비롯하여 각종오일이나 기름등을 취급하는 업체의 하수관등에 연결설치하여 배출되는 폐수를 분리하고 분리된 기름등은 따로 수거처리 하고, 물은 자연적으로 흘러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하천이나 강등의 수질오염등을 크게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종래에도 물과 기름을 분리선별하도록 된 유수 분리장치가 다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흡착식 휠터를 사용하여 물에 섞여있는 기름등을 흡수시킴으로써 걸러낼 수 있도록 한 것이기에 정기적으로 휠터교체를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랐고, 또 이에따른 인력과 비용 또한 재법들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유수분리장치는 사용시 기름의 점도등에 따라 점도별로 휠터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사용중 교환주기를 경과할 경우 유입되는 폐수가 제대로 처리되지 못하고 넘치는 경우도 있으며, 휠터자체가 기름점도와 알맞게 선정되지 않을 경우는 기름과 물이 제대로 분리되지 못하게 되는 폐단도 따르게 된다.
한편 세차장, 주유소등을 비롯하여 기름을 취급하는 각종업소들은 폐수처리장등을 설치사용하도록 법적으로 강제하고 있고, 이에따라 대부분의 허가업소에서는 어쩔 수 없이 위와같은 처리시설등을 해놓고는 있지만 유지 및 보수비가 제법많이 들기 때문에 대부분의 업소에서는 제대로 사용하지 않고있어 사실상 있으나 마나한 시설로 볼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물과 기름이 혼합된 폐수를 비중과 중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이 흐르는 과정에서 기름만을 따로 손쉽게 추출하고, 물은 그대로 순환배출되게 하며, 휠터등을 전혀 이용하지 않고 물이 흐르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완벽하게 오일등이 분리되게 함으로써 유지 및 관리에 따른 비용 및 어려움등이 전혀없게 하고, 더불어 수질어염을 크게 예방할 수 있도록한 유수분리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발명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로서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것임
제 2 도는 본발명의 상측부 횡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A-A'선 확대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B-B'선 단면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C-C'선 단면도
제 6 도는 본발명의 요부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분리된 오일량이 만수위상태로 되면 작동하는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것임.
제 7 도는 본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체, 2 : 유입구, 3 : 최수구, 4 : 오일부유실, 5 : 1차정련실, 6 : 2차정련실, 7 : 오일선별실, 8 : 오일탱크, 9 : 순환수문실, 10 : 오일공급통로, 11 : 부구, 12 : 와이어, 13 : 유입구개폐밸브, 14 : 워엄기어, 15 : 워엄휠, 16 : 축, 17 : 베벨기어, 18 : 연동축, 19 : 개폐판, 20 : 베벨기어, 51 : 벽면, 61',61' : 걸름망, 62,63 : 격판, 64 : 잠수관, 71 : 유입공, 72 : 잠수관, 73 : 오일토출관, 74 : 보호실, 75 : 퇴유실, 91 : 토출관, 92 : 격벽, 93 : 격벽, 94 : 잠수관, 100 : 부유전실
유입구(2)와 퇴수구(3)가 설치된 동체(1) 내부의 유입구(2)측 하부에 오일부 유실(4)을 설치하고, 상기 오일부유실(4) 외곽에 부유전실(100)을, 그리고 맞은편 상측에 1차 및 2차정련실(5)(6)과 오일선별실(7) 그리고 오일탱크(8)와 순환수문실(9)을 형성함으로써, 유수분리장치를 구성하였는데,
상기 유입구(2)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오일공급통로(10)와 부구(11) 및 와이어(12)로써 연결된 유입개폐밸브(13)를 설치하되, 와이어(12) 선단에 워엄기어(14)를 설치하여, 이 워엄기어(14)가 워엄휠(15), 축(16), 베벨기어(17)로 구성된 연동축(18)을 작동시키게 하고, 상기 연동축(18)은 개폐판(19)과 연결설치된 베벨기어(20)을 동작시키도록 구성하여 분리선별된 오일량이 만수위로 되면 폐수의 유입을 자동으로 종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오일부유실(4)은 유입구(2)의 직하부에 설치구성하되, 유입구(2)보다 다소 낮게 형성하였고, 오일부유실(4) 맞은편에 형성된 1, 2차정련실(5)(6) 및 오일선별실(7) 그리고 오일탱크(8)와 순환수문실(9)은 상호 적절히 연동되도록 유기적으로 구성하되,
1차정련실(5)은 하부가 개방되고, 2차정련실(6)과 경계를 이루는 벽면(51)은 약간 낮게 형성하여 수위가 벽면(51)을 넘어서면 2차정련실(6)로 물이 유입될 수 있게 하였으며,
2차정련실(6)은 내부에 상·하 두장의 걸름망(61)(61')을 설치하고 하부는 경사지게 두개의 격판(62)(63)을 설치하여 격판(62)은 유수분리를 주목적으로 설치구성하고, 격판(63)은 분리선별된 오일통로의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설치구성한 것이며 2차정련실(6) 일측에 오일선별기(7)과 연결되도록 잠수관(64)을 설치하였다.
오일선별실(7)은 1, 2차정련실(5)(6)의 높이보다 다소 낮게 형성하되, 상면 일측에 유입공(71)을 가진 잠수관(72)을 설치하고, 타측 상면에 오일토출관(73) 및 토출된 오일이 다시 물과 섞이는것을 예방토록 보호실(74)을 설치하며, 상기 보호실(74) 일측에 퇴유실(75)을 설치하여 퇴유실(75)이 오일공급통로(10) 및 오일탱크(8)와 연결되게 하고, 퇴유실(75) 상측에는 유입구개폐밸브(13)와 연결된 부구(11)가 설치되게 하였다.
순환수문실(9)은 2차정련실(6)을 통과한 물이 토출되도록 토출관(91)을 설치하고, 중앙부에는 약간 낮은 격벽(92)을 설치하되, 격벽(92) 전방에 오일선별실(7)과 통하는 구멍(93) 및 잠수관(94)을 설치하여, 오일선별실(7) 내부의 순수한 물이 이곳을 통하여 토출되어 퇴수구(3)로 퇴수가능토록 하였으며, 오일선별실(7)의 상측을 단차되게 [즉, 순환수문실(9) 하측에 위치한 부분이 낮게 형성됨] 형성됨으로써 오일선별실(7)로 유입된 물과 기름중 순수한 물만이 토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구성중 오일탱크(8)는 동체(1)로부터 분리구성하여도 되고, 동체의 형상 또한 원형은 물론 사각형, 육각형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 7 도에서 보는바와같이 정련실을 3차(또는 4차) 정련실로 나누어 구성할수도 있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5',5는 정련실, 51'은 벽면.
또한 본발명의 동체(1) 유입구(2)에 별도의 침전조를 설치사용하면 모래나 비중이 물보다 무거운 이물질등을 사전에 걸러낼수 있게되는 것이기에 유수분리 효과를 한차원 더 높일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발명을 세차장이나 주유소 및 각종정비업소에 설치사용할 때는 먼저 사용하기전에 물을 동체(1) 내부로 공급시켜 순환시키는데, 이 물의 유입과정을 잠깐 살펴보면,
유입구(2)로 들어간 물은 제일먼저 유입구(2)측 하부에 설치된 오일부유실(4)로 공급되어 넘치게 되고, 넘친물은 부유전실(100)을 서서히 채우다가 수위가 점차 높아지게 되면 1차 정련실(5)을 먼저 통과하게 되고 이어서 수위가 벽면(51) 보다 높아지는 시점부터 2차 정련실(6)로 넘치면서 오일선별실(7)의 상면에 형성된 유입공(71)으로도 공급되며, 2차정련실(6)의 수위가 높아져서 적어도 수위가 잠수관(64)의 상면 수위보다 높아지면, 잠수관(64)을 통해서도 물이유입되어 오일선별실(7)의 수위도 2차정련실의 수위와 거의 같은 높이로 되고, 2차정련실(6)의 물은 순환수문실(9)로도 유입되어 결국 격벽(92)을 넘어 퇴수구(3)로 배출되게 되며, 이때 오일선별실(7) 내부의 물도 잠수관(94)을 구멍(93)을 통하여 배출되므로 물의 공급을 중단하였을때는 동체(1) 내부의 수위가 퇴수구(3) 높이와 유사해지게 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는 더이상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위상태에서 오일등이 혼합된 물을 유입구(2)측으로 흘러보내면 제일먼저 오일부유실(4)로 폐수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오일부유실(4) 내부에 물이 차있는 상태인데다가 기름의 비중이 물보다 낮으므로 대부분의 기름이 오일부유실(4)을 넘쳐흐르게 되고, 넘친 기름은 부유전실(100) 상측수면위에 떠있게 된다.
또한 유입구(2)로 들어온 폐수의 양만큼 물이 배출될 수 밖에 없는데, 이때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과정을 거쳐 빠져나가게 되고, 부유전실(100)에 떠있던 오일은 그대로 떠있다가 부유전실(100)의 수위가 점차 낮아지면 물과함께 유압공(71)을 통하여 오일선별(7)로 들어가게 되고, 들어간 즉시 오일선별실(7) 내부 상측에 떠있게 된다. 또 이상황에서 또다시 폐수가 공급되면 오일선별실(7)내부로 물이 공급되는데, 이때 2차정련실(6)의 잠수관(64)을 통해서도 오일선별실(7)로 물이공급되므로, 공급되는 물의 양만큼, 오일선별실(7) 내부의 기름이 오일토출관(73)으로 토출되게 하고, [이때 오일토출관(73)으로 토출된 기름은 보호실(74)의 일측에 형성된 퇴유실(75)로 자동배출되어 오일탱크(8)로 모아지게 됨] 더불어 퇴수구의 높이와 같은 수위로 될때까지 퇴수구(3)로 물만 배출되게 되며, 유입되는 폐수의 종단과 퇴수되는 물의 양에 의해 동체(1) 내부의 수위가 점차낮아지면 부유전실(100)의 수위상부에 있던 오일이 낮아지는 수위에의해 함께 하강하다가 오일선별실(7)에 형성된 유입공(71)을 통하여 오일선별실(7) 내부로 유입되어 오일선별실(7)로 들어오는 물의 양이 많아지면 다시 오일토출관(75)으로 토출되게 되어 오일탱크(8)로 분리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2차정련실(6) 내부에는 내부에 상·하걸름망(61)(61')을 설치하였기에 부유하는 이물질등을 이곳에서 안정적으로 걸려줄 수 있게 되고, 더불어 걸름망(61)(61')이 분해가능하여 손쉽게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2차정련실(6) 하측에 격판(62)을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만에 하나라도 2차정련실(6)로 오일이 유입(오일이 2차정련시로 유입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함)된 상태에서 2차정련실(6)의 물이 거의빠져 나가고 이어서 새로 폐수가 공급되었을때 높아지는 수위와 함께 격판(62) 상면을 타고 오일이 다시 올라가도록 함으로써, 물이 제법 빠지더라도 오일이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된다.
한편 본발명의 유수분리기 동체(1)는 원통형뿐만 아니라 사각, 육각등 어떤 형태로도 가능하여 설치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적절히 선택사용할 수 있으며 오일탱크(8)을 동체(1)로부터 분리시킨 구성으로 하더라도 전혀 문제가 없다.
그리고 퇴유실(75) 상측부에 유입구개폐밸브(13)와 연결된 부구(11)를 설치하였음으로 오일탱크(8)에 오일이 가득차서 더이상 오일유입이 불가능한 시점이 되면 부구(11)가 오일에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와이어(12)가 워엄기어(14)를 밀어내면서 워엄기어(14) 및 베벨기어(17)를 회전시킴에 따라 베벨기어(20)가 회전되어 개폐판(19)이 배출공(2')을 막아주게 되며, 따라서 유입되는 물을 차단시켜주어 유수분리기 자체의 오동작을 예방하게되는데, 이는 오일탱크(8)내의 오일을 수거하면 자동적으로 부구가 하강하면서 개폐판(19)이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발명은 세차장, 주유소 및 각종정비업소에 설치하여 물과 기름이 혼합된 폐수를 비중과 중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완벽하게 선별 및 분리 가능케함으로써, 종래 휠터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유지비용이 전혀 들지않고 고장이 전혀 없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더불어 하천이나 강등의 수질오염등을 크게 예방할 수 있게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유입구(2)와 퇴수구(3)가 설치된 동체(1)내부의 유입구(2)측 하부에 오일부유실(4)을 설치하고, 상기 오일부유실(4) 외곽에 부유전실(100)을 그리고 맞은편 상측에 1차 및 2차정련실(5)(6)과 오일선별실(7) 그리고 오일탱크(8)와 순환수문실(9)을 형성함으로써, 유수분리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유입구(2) 선단부에는 유입구개폐밸브(13)를 설치하고, 이직하부에 오일부유실(4)을 유입구(2) 보다 다소 낮게 형성하며, 맞은편(4)에 1, 2차정련실(5)(6) 및 오일선별실(7) 그리고 오일탱크(8)와 순환수문실(9)을 상호 적절히 연통되도록 유기적으로 구성하는데, 1차정련실(5)은 하부가 개방되어 부유전실(100)과 통하도록 하고, 2차정련실(6)과 경계를 이루는 벽면(51)은 약간 낮게 형성하여 1차정련실(5)의 수위가 벽면(51)을 넘어서면 2차정련실(6)로 물이 유입될 수 있게 하였으며,
    2차정련실(6) 일측에 오일선별실(7)과 연결되도록 잠수관(64)을 설치하고, 오일선별실(7)은 1, 2차정련실(5)(6)의 높이보다 다소 낮게 형성하되 상면일측에 유입공(71)을 가진 잠수관(72)을 설치하고 타측상면에 오일토출관(73) 및 보호실(74)을 설치하며, 상기 보호실(74) 일측에 퇴유실(75)을 설치하여 퇴유실(75)이 오일공급통로(10) 및 오일탱크(8)와 연결되게 하고,
    순환수문실(9)은 2차정련실(6)을 통과한 물이 토출되도록 토출관(91)을 설치하고, 중앙부에는 약간 낮은 격벽(92)을 설치하되, 격벽(92) 전방에 오일선별실(7)과 통하는 구멍(93) 및 잠수관(94)을 설치하며, 오일선별실(7)의 상측을 단차지게 형성하되, 순환수문실(9) 하측부위를 낮게 함으로써, 잠수관(94)으로 오일이 섞이지 않은 순수한 물이 나갈수 있도록 하여, 물과 오일이 비중과 중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휘터등을 전혀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유수분리가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장치.
  2. 1차, 2차정련실(5)(6)을 3차이상으로 나누어 구성함으로써 보다 완벽한 유수분리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장치.
  3. 오일탱크(8)를 별도로 형성하거나 분리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장치.
  4. 유입구(2) 선단부에 오일공급통로(10)와 부구(11) 및 와이어(12)로써 연결된 유입구개폐밸브(13)를 설치하되, 와이어(12) 선단에 워엄기어(14)를 설치하여 이 워엄기어(14)가 워엄휠(15), 촉(16), 베벨기어(17)로 구성된 연동축(18)을 작동시키게 하고, 상기 연동축(18)은 개폐판(19)과 연결설치된 베벨기어(20)를 동작시키도록 구성하여 분리선별된 오일량이 만수위로 되면 폐수의 유입을 자동으로 종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장치.
  5. 2차정련실(6) 내부에 거르망(61)(61')을 분리가능토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장치.
  6. 유입구(2)측에 통상의 침전조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장치.
  7. 2차정련실(6) 하측에 유수분리를 주목적으로 하는 격판(62)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장치.
KR1019970008491A 1997-03-10 1997-03-10 유수(油水) 분리장치 KR19980073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491A KR19980073299A (ko) 1997-03-10 1997-03-10 유수(油水)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491A KR19980073299A (ko) 1997-03-10 1997-03-10 유수(油水)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299A true KR19980073299A (ko) 1998-11-05

Family

ID=6598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491A KR19980073299A (ko) 1997-03-10 1997-03-10 유수(油水)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32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337B1 (ko) * 2000-08-31 2004-02-05 이귀주 자연순환식 유수분리 장치
KR100982203B1 (ko) * 2010-06-07 2010-09-14 (주)클레슨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KR101694233B1 (ko) * 2015-11-12 2017-01-09 신진 엠.티.테크 주식회사 폐절삭유의 유수분리장치
CN111453229A (zh) * 2020-05-20 2020-07-28 李坤隆 水下储油设施以及水下储油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337B1 (ko) * 2000-08-31 2004-02-05 이귀주 자연순환식 유수분리 장치
KR100982203B1 (ko) * 2010-06-07 2010-09-14 (주)클레슨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KR101694233B1 (ko) * 2015-11-12 2017-01-09 신진 엠.티.테크 주식회사 폐절삭유의 유수분리장치
CN111453229A (zh) * 2020-05-20 2020-07-28 李坤隆 水下储油设施以及水下储油方法
CN111453229B (zh) * 2020-05-20 2024-04-30 李坤隆 水下储油设施以及水下储油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075B1 (ko)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
CN205095472U (zh) 沉降除油罐及采出水处理系统
CN106621484A (zh) 沉降除油罐、采出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106554100A (zh) 油污水处理设备及其处理方法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486105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CN107569876A (zh) 用于对污水中的小粒径沉淀物进行处理的沉淀装置
US7540954B2 (en)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KR101545448B1 (ko) 초기우수의 수처리 시스템
KR101729580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EP3228596A1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CN107583328B (zh) 用于污水预处理中的进水过滤机构
KR19980073299A (ko) 유수(油水) 분리장치
CN112093999A (zh) 一种油污废水的处理方法
KR100923632B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CN208151112U (zh) 分层式污水处理设备
CN101486516B (zh) 雨水排水管用非点污染物质清除机器
SK154794A3 (en) Separator of sludge and oil
CN110862135B (zh) 一种油、泥、水静态三相分离装置
CN107585809B (zh) 用于污水预处理中的排水装置
CN207361916U (zh) 带集油回流装置的餐饮污水处理设备
CN206173118U (zh) 油污水处理设备
CN112093998A (zh) 一种油污废水的处理装置
CN201175596Y (zh) 自动油水分离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