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659B1 - 유수분리기 - Google Patents

유수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659B1
KR102558659B1 KR1020210008021A KR20210008021A KR102558659B1 KR 102558659 B1 KR102558659 B1 KR 102558659B1 KR 1020210008021 A KR1020210008021 A KR 1020210008021A KR 20210008021 A KR20210008021 A KR 20210008021A KR 102558659 B1 KR102558659 B1 KR 102558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il
tank
partition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392A (ko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호 filed Critical 김성호
Priority to KR1020210008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65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역류나 와류를 억제한 상태로 물을 안정적으로 체류시켜 물에 포함된 기름을 용이하게 분리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본체(21)의 내부 일측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연장되는 구획판(32)에 의해 일정 면적으로 구획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32)의 상부로 오버플로잉되도록 된 투입조(30)와; 상기 구획판(32)을 흘러넘친 물이 기름과 분리되어 흐르도록 물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구획판(32)의 전방에 배치된 분리판(33)과; 상기 분리판(33)을 통과한 물과 기름을 각각 수용하도록 상기 수조본체(21)의 내부 타측에 일정 면적의 박스형태로 구비된 물수용부(41)와 기름배출구(25)로 이루어진 분리배출조(40)와; 상기 분리배출조(40)의 물수용부(41) 내에 설치되어 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수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수분리기{Oil-water separator}
본 발명은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교란이나 와류를 억제한 상태로 물을 안정적으로 체류시켜 물에 포함된 기름을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일반 가정 등에서 사용되는 생활용수나 공장의 오폐수를 배출 처리하는 과정에서는 환경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해 물에 포함되는 화학물질과 오일성분을 필터링하여 배출하도록 규제화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 클 뿐만 아니라 폐필터를 폐기처리함에 따른 2차 오염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식당 등에서는 음식을 만드는 과정이나 그릇 등을 씻는 과정에서 싱크대를 통해 배출되는 폐기하수를 수용하도록 분리수조를 연결하고, 이 분리수조에 수용된 폐기하수 중에 포함된 기름이 비중차에 의해 자연적으로 부상되어 분리 배출이 가능하도록 된 유수분리기를 설치하는데, 이러한 종래의 유수분리기는 대개 일정 크기로 된 분리수조 내에 복수개의 분리판을 설치하여 물을 일정 시간 체류시키는 과정에서 비중차에 의해 기름을 부상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수분리기 중에서 구조가 복잡한 유수분리기는 분리판 자체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부피가 커서 식당의 주방과 같은 좁고 복잡한 공간에 비치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반면, 구조가 간단한 유수분리기는 유입되는 폐수의 교란이나 와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여 상당한 분량의 기름성분이 수면 위로 부상하지 못하고 미분 또는 유화상태로 물 속에 분산되어 잔류하는데, 이러한 미분 또는 유화상태의 기름성분은 물과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물과 함께 그대로 배출되므로, 유수분리를 통한 폐수 방류의 감소라는 본래의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웠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9429호(2014. 04. 25)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 유입된 폐수의 교란이나 와류를 억제하고 안정적으로 체류시켜 물 속에 포함된 미분 또는 유화된 기름성분을 효과적으로 부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수조 내에 투입하는 방식이나 흐름방향을 개선하여 안정화된 상태로 기름을 부상시켜 분리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유수분리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측에 물이 투입되는 유입구(23)가 형성되고, 타측에 물과 기름이 구분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물배출구(24)와 기름배출구(25)가 형성된 통형태의 수조본체(21)와;
상기 유입구(23) 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조본체(21)의 내부 일측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연장되는 구획판(32)에 의해 일정 면적으로 구획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23)를 통해 유입된 물이 수용되어 상기 구획판(32)의 상부로 오버플로잉되도록 된 투입조(30)와;
상기 구획판(32)을 흘러넘친 물이 기름과 분리되어 흐르도록 물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구획판(32)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단이 상기 구획판(32)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기름이 위로 통과됨과 동시에 하단이 상기 수조본체(21)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물이 밑으로 통과되도록 중간에서 직립하는 분리판(33)과, 배출측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분리판(33)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유도판(34)을 포함하는 안정화조(31)와;
상기 안정화조(31)를 통과한 물과 기름을 각각 수용하도록 상기 수조본체(21)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며, 수조의 저면과 이격되거나 하부가 개방된 전방벽(45)과 이 전방벽(45)의 하부에 수밀하게 형성된 저면판(46)과, 상기 저면판(46) 또는 전방벽(45)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유입공(43)과, 이 하단유입공(43)에 결합되어 직립연장되는 배수관체(51)를 포함하여 전방벽(45)의 하부로 유입된 물이 하단유입공(43)과 배수관체(51)을 통해 상향하여 흘러서 물배출구(24)로 배출되도록 된 물수용부(41)와, 격벽(47)에 의해 상기 물수용부(41)와 구획되어 물수용부(41)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며 전방벽(48) 상단이 절취되거나 개구된 기름투입구(44)를 통해 기름이 유입되고 상기 기름배출구(25)를 통해 기름을 배출시키는 기름수용부(42)로 이루어진 분리배출조(40)와;
상기 분리배출조(40)의 물수용부(41)의 배수관체(51)에 결합되어 관형태로 수직연장되며 물수용부(41)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조절관체(52)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조(30)에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상기 투입조(30)의 단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된 수평판(35)이 구비되고; 상시 수평판(35)의 상면에는 상기 유입구(23)를 통해 연장되는 입수관(10)이 관통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수평판(35)의 하부로 출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수분리기의 수조본체(21)를 투입조(30)와, 안정화조(31) 및 분리배출조(40)의 세 부분으로 구성하고, 투입조(30)로 투입된 기름을 함유하는 폐수를 직립한 분리판(33)과 경사유도판(34)을 구비한 안정화조(31)로 흘려서 유속을 저감시키고 체류시간을 늘리면서 안정화시켜서 물 속에 잔류되어 있던 미분화 또는 유화된 기름성분을 최대한 물과 분리하여 부상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의 장치에 의해 다량의 기름성분이 함유된 폐수를 효율좋게 유수분리하여 배출수의 청정도가 높게 유지되는 유수분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리판(33)을 통과한 물과 기름을 각각 수용하도록 분리배출조(40)를 수조의 수조본체(21)의 내부 타측에 형성하고, 이 분리배출조(40)의 일측에 형성된 물수용부(41)를 수조의 저면과 이격되거나 하부가 개방된 전방벽(45)과 이 전방벽(45)의 하부에 수밀하게 형성된 저면판(46)과, 상기 저면판(46) 또는 전방벽(45)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유입공(43)과, 이 하단유입공(43)에 결합되어 직립연장되는 배수관체(51)를 포함하여 전방벽(45)의 하부로 유입된 물이 하단유입공(43)과 배수관체(51)을 통해 상향하여 흘러서 물배출구(24)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비중차이에 의해 기름성분이 물의 상부로 부상하고 상대적으로 기름성분이 적은 수조 하측의 물을 분리배출조(40)의 하부로 도입하여 배수관체(51)를 통해 상향흐름으로 배출함으로써, 배출되는 물의 기름 함량을 더욱 낮출 수 있어서, 배출수의 청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기름은 물수용부(41)와 나란히 배치된 기름수용부(42)의 상단을 통해 유입시켜서, 물과 기름의 배출경로를 분리함으로써, 물수용부(41)에 배치된 수위조절수단(50)에 기름찌거기나 스컴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눌러붙어서 막히거나 높이조절에 대한 작동불량이 될 가능성이 낮고 청소도 빈번하게 할 필요가 없어서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물수용부(41)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조절관체(52)에 의해 조절함에 따라, 물수용부(41)와 구획된 기름수용부(42)로 흐르는 기름의 종류나 축적량 또는 점도 등에 의해 기름층의 두께(T)가 달라지는 경우에 수위를 조절하여 기름성분을 완전하게 배출 처리하는 데에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투입조(30) 후단에 형성된 안정화조(31)에는 구획판(32)보다 낮은 분리판(33)이 구비되어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분리판(33)의 전방에 역방향으로 된 경사유도판(34)이 구비되어 물의 체류시간을 늘림에 따라 물에 포함된 기름성분을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조(30) 내에 수평판(35)이 구비됨에 따라, 유입구(23)를 통해 물이 쏟아지는 경우에도 상기 수평판(35)에 의해 물이 튀거나 와류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기름성분을 부상시키거나 기름성분이 분리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판(33)의 상부에 하향 경사진 수면유지판(36)이 구비됨에 따라, 수량이나 유속이 불규칙한 경우에 상기 분리판(33)을 흘러넘치는 물이나 기름성분의 수면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수면상에 부상하여 축적된 기름성분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수분리기(20)는 일정 크기의 사각박스 형태로 된 수조본체(21)가 구비되는데, 이 수조본체(21)는 상면에 커버(22)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22)의 일측 코너를 관통하여 물이 투입되는 유입구(23)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조본체(21)의 타측면에는 물과 기름을 구분하여 배출시키도록 된 물배출구(24)와 기름배출구(25)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수조본체(21)의 다른 측면의 바닥에 근접되어 수조 내의 물을 빼내기 위한 드레인밸브(26,27)가 구비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 2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본체(21)는 복수개의 패널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기 유입구(23) 측에 구획판(32)에 의해 일정 면적으로 구획된 투입조(30)와, 투입조(30)의 후단에 인접배치된 안정화조(31)와, 이 안정화조(31)의 후단이며 수조본체(21)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물배출구(24)와 기름배출구(25) 측에 대응되어 배치된 분리배출조(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입조(30)는 수조본체(21)의 내부 일측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연장되는 구획판(32)에 의해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투입조(30)의 단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된 수평판(35)이 구비되는데, 이 수평판(35)은 투입조(3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로 그 상면을 관통하여 유입구(23)를 통해 연장되는 입수관(10)이 결합된다.
이 투입조(30) 후단의 안정화조(31)의 중간에는 구획판(32)에 비해 높이가 낮고 하단이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직립하는 분리판(33)이 구비된다. 이 분리판(33)은 투입조(30)에서 넘어온 교란된 물의 흐름을 차단, 정체시켜서 와류의 발생을 억제시키면서 물 속에 혼합된 미분화 또는 유화된 기름성분이 물과 분리되어 부상하는 것을 촉진하고, 부상된 기름성분은 분리판(33)의 상단을 통해 흘러 넘기고, 기름성분이 상당한 수준으로 제거된 물은 분리판(33)의 하단을 통해 흐르도록 한다. 또한, 안정화조(31)의 배출측 하단에는 상기 분리배출조(40)로부터 분리판(33)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된 경사유도판(34)이 구비된다. 이 경사유도판(34) 역시 물의 진행을 억제하고 체류시간을 늘려서 물 속에 함유된 기름성분이 최대한 부상하도록 한다.
삭제
한편, 상기 분리배출조(40)는 상기 수조본체(21)의 내부 타측벽에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일정 높이에 박스형태로 구비되어 물과 기름을 각각 수용하도록 된 것으로, 이는 일정량의 물이 수용되어 상기 물배출구(24)를 통해 배출되도록 일정 면적으로 된 물수용부(41)와, 이 물수용부(41)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구획 형성되어 상기 기름배출구(25)를 통해 기름을 배출시키도록 수거하는 기름수용부(42)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물수용부(41)는 상기 안정화조(31)를 통과하여 기름성분이 제거된 수조 하부의 물이 유입되도록 수조본체(21)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며, 수조의 저면과 이격되거나 하부가 개방된 전방벽(45)과, 이 전방벽(45)의 하부에 수밀하게 형성된 저면판(46)과 이 저면판(46)에 형성된 하단유입공(43)을 포함하여 전방벽(45)의 하부로 유입된 물이 하단유입공(43)에 결합된 배수관체(51)를 상향하여 흘러서 상기 물배출구(24)로 배출되도록 된다.
그리고 기름수용부(42)는 격벽(47)에 의해 상기 물수용부(41)와 구획되어 물수용부(41)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며 전방벽(48) 상단이 절취되거나 개구된 기름투입구(44)를 통해 기름이 유입되고 상기 기름배출구(25)를 통해 기름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기름수용부(42)의 전방벽(48)은 물수용부(41)의 전방벽(45)과 동일하게 수조본체(21)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지만, 기름배출구(25)의 설치 높이를 낮추어서 기름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면 수조본체(21)의 저면과 이격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분리배출조(40)의 물수용부(41)의 하단유입공(43)에 결합되어 직립하는 배수관체(51)에는 물수용부(41)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관형태의 수위조절수단(50)이 구비되는데, 이를 포함한 본 발명의 세부적인 구성과 작동상태 등을 도 3과 도 4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입수관(10)을 통해 투입되는 물은 수평판(35)의 하부로 출수되는 구조로, 이로 인해 다량의 물이 쏟아지더라도 상기 수평판(35)에 의해 물이 과도하게 튀는 것을 방지하여 투입조(30) 상에 수용되는 물에 교란이나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로써 기름입자가 미분화 또는 유화되어 물에 혼합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이에 의해 기름의 부상을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수면상에 축적된 기름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투입조(30)의 구획판(32)으로 오버플로우된 기름을 함유한 물은 이에 인접한 안정화조(31)로 유입된다. 이 안정화조(31)의 중간에 직립설치된 분리판(33)은 상단이 구획판(32)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속을 저감시켜서 체류시간을 연장시키며, 이에 따라 물 속에 분포된 미분화 또는 유화된 기름성분이 물과 분리되어 수면 위로 부상하는 것을 촉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면에 부상된 기름은 분리판(33)의 상부로 흘러 분리배출조(40)의 기름수용부(42)의 기름투입구(44)로 흐르게 된다. 한편, 안정화조(31)에서 기름성분이 대폭 제거된 물은 분리판(33)의 하부의 수조본체(21)의 바닥과의 이격공간을 통해 아래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분리판(33)의 상부에는 물의 진행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되는 분리배출조(40)를 향해 하향 경사진 수면유지판(36)이 구비되는데, 이 수면유지판(36)은 물과 기름이 통과되는 과정에서 롤링이 심해지거나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여 물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수면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안정화조(31) 내의 수면상의 기름은 전술된 바와 같은 수면유지판(36)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진행하여 분리배출조(40)의 전방벽(48) 상단의 기름투입구(44)를 통해 기름수용부(42) 내에 수용되어 기름배출구(25)를 통해 분리 배출되고, 분리판(33)의 하단을 통해 저류되는 물은 상기 분리배출조(40)의 물수용부(41)의 전방벽(45)의 하단을 통해 유입되어 수위조절수단인 조절관체(52)를 통해 유입되어 오버플로우되어 물배출구(24)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물과 기름이 각각 분리배출조(40)에서 구분되어 각각 하부 및 상부로 유입되므로, 기름이나 스컴이 수위조절수단인 조절관체(52)에 부착되어 눌러붙거나 막히지 않으므로, 수위조절수단이 원활하게 작동되고 유지보수나 청소의 필요성이 줄어들어서 편리하다. 또한, 안정화조(31) 내에서 물과 기름이 비중차에 의해 상대적으로 기름성분이 적게 포함된 수조 하측의 물을 배수관체(51)의 하단으로 유입시켜 상향 배출하므로, 그만큼 배출수에 함유되는 기름성분이 더욱 적게되어 유수분리효과가 개선된다.
이때에 상기 분리배출조(40)의 하단측에는 상기 분리판(33) 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유도판(34)이 구비되어 물의 진행을 억제함에 따라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경사유도판(34)은 물의 진행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하향 경사됨으로 인해, 물의 일부가 상기 물수용부(41) 내에 곧바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수조본체(21) 내에서 더 체류되어 기름을 최대한 부상시킬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를 더 부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리배출조(40)의 물수용부(41) 상에 수위조절수단인 조절관체(50)가 구비되어 수조본체(21) 내의 전체적인 수위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위조절수단은 간단한 관체의 연결구조로 컴팩트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물수용부(41)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연장되는 배수관체(51)는 그 하단이 분리배출조(40)의 하부로 길게 돌출되거나 별도의 유입관을 연결하여 수조본체(21)의 바닥에 근접된 상태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여 수중의 기름성분이 최소로 포함된 상태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조절관체(52)는 상하단이 개방된 단관체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배수관체(51)에 연통되도록 체결됨에 따라, 그 상단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구조로, 상단에 별도의 손잡이가 더 형성되어 조임이나 풀림작업 상의 편리함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위조절수단은 상기 조절관체(52)의 조절에 따라 전체적인 관높이(H)가 조절되어 수위를 조절하게 되고, 이에 의해 수면 상에 축적된 기름을 기름배출구(25)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도 4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체(51)에 나사결합된 조절관체(52)를 조여서 관높이(H)가 낮아지면 물이 그만큼 쉽게 조절관체(52)의 상단으로 배출되어 수조본체(21) 내의 전체적인 수위가 낮아지고, 조절관체(52)를 풀어서 관높이(H)가 높아지면 관로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증가된 관높이(H)에 이르도록 지속적으로 수조본체(21) 내에 충전되므로 수위가 높아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절관체(52)의 높이조절을 통해 수위를 조절하게 되면 기름의 종류나 점도 또는 축적량 등에 따라 기름투입구(44)를 통해 전체적으로 배출하는 데에 편리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수조본체(21)의 수위가 낮아 수면상에 축적된 기름층의 두께(T)가 기름투입구(44)의 하단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면 기름이 전체적으로 기름투입구(44)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수면상에 기름이 일부 잔류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상기 조절관체(52)를 조절하여 관높이(H)를 높여 주면 수조본체(21) 내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기름을 전체적으로 기름투입구(44) 내로 용이하게 유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입수관 20: 유수분리기
21: 수조본체 22: 커버
23: 유입구 24: 물배출구
25: 기름배출구 26,27: 드레인밸브
31: 투입조 32: 구획판
33: 분리판 34: 경사유도판
35: 수평판 36: 수면유지판
40: 분리배출조 41: 물수용부
42: 기름수용부 43: 하단유입공
44: 기름투입구 51: 배수관체
52: 조절관체 H: 관높이
T: 기름층의 두께

Claims (4)

  1. 일측에 물이 투입되는 유입구(23)가 형성되고, 타측에 물과 기름이 구분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물배출구(24)와 기름배출구(25)가 형성된 통형태의 수조본체(21)와;
    상기 유입구(23) 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조본체(21)의 내부 일측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연장되는 구획판(32)에 의해 일정 면적으로 구획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23)를 통해 유입된 물이 수용되어 상기 구획판(32)의 상부로 오버플로잉되도록 된 투입조(30)와;
    상기 구획판(32)을 흘러넘친 물이 기름과 분리되어 흐르도록 물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구획판(32)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단이 상기 구획판(32)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기름이 위로 통과됨과 동시에 하단이 상기 수조본체(21)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물이 밑으로 통과되도록 중간에서 직립하는 분리판(33)과, 배출측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분리판(33)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유도판(34)을 포함하는 안정화조(31)와;
    상기 안정화조(31)를 통과한 물과 기름을 각각 수용하도록 상기 수조본체(21)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며, 수조의 저면과 이격되거나 하부가 개방된 전방벽(45)과 이 전방벽(45)의 하부에 수밀하게 형성된 저면판(46)과, 상기 저면판(46) 또는 전방벽(45)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유입공(43)과, 이 하단유입공(43)에 결합되어 직립연장되는 배수관체(51)를 포함하여 전방벽(45)의 하부로 유입된 물이 하단유입공(43)과 배수관체(51)을 통해 상향하여 흘러서 물배출구(24)로 배출되도록 된 물수용부(41)와, 격벽(47)에 의해 상기 물수용부(41)와 구획되어 물수용부(41)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며 전방벽(48) 상단이 절취되거나 개구된 기름투입구(44)를 통해 기름이 유입되고 상기 기름배출구(25)를 통해 기름을 배출시키는 기름수용부(42)로 이루어진 분리배출조(40)와;
    상기 분리배출조(40)의 물수용부(41)의 배수관체(51)에 결합되어 관형태로 수직연장되며 물수용부(41)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조절관체(52)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조(30)에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상기 투입조(30)의 단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된 수평판(35)이 구비되고; 상시 수평판(35)의 상면에는 상기 유입구(23)를 통해 연장되는 입수관(10)이 관통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수평판(35)의 하부로 출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08021A 2021-01-20 2021-01-20 유수분리기 KR102558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021A KR102558659B1 (ko) 2021-01-20 2021-01-20 유수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021A KR102558659B1 (ko) 2021-01-20 2021-01-20 유수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392A KR20220105392A (ko) 2022-07-27
KR102558659B1 true KR102558659B1 (ko) 2023-07-21

Family

ID=8270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021A KR102558659B1 (ko) 2021-01-20 2021-01-20 유수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6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03B1 (ko) * 2010-06-07 2010-09-14 (주)클레슨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KR101270222B1 (ko) * 2011-12-29 2013-06-04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유수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879B1 (ko) * 2008-03-25 2010-07-22 권중천 자가 응집기능의 장방형 침전시스템
KR20140049429A (ko) 2012-10-17 2014-04-25 서정수 유수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03B1 (ko) * 2010-06-07 2010-09-14 (주)클레슨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KR101270222B1 (ko) * 2011-12-29 2013-06-04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유수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392A (ko)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2645A (en) Two-stage oil skimmer separator
US6676832B2 (en) Surface water purifying catch basin
CN102985369A (zh) 用于低排放应用的分离器
US20100213119A1 (en) Stormwater plug flow separation system
RU2098164C1 (ru) Сепаратор для жидкостей
KR102558659B1 (ko) 유수분리기
US20060219629A1 (en) Oil and water separator
JP5944682B2 (ja) 油分離槽
CA2636016C (en) Continuous flow oil water separator
JPH0647990Y2 (ja) グリース阻集器
JP2006118342A (ja) 油水分離装置
US10300406B1 (en) Variable flow immiscible liquid separator for in-ground applications
CZ313494A3 (en) Sludge and oil separator
DE19632911C3 (de) Flüssigkeitsabscheider mit Separationsvorrichtung
JP4157700B2 (ja) 油水分離油脂回収装置
JP7072776B2 (ja) 分離装置
EP0890381B1 (en) Separator for immiscible liquids
JP3062561B2 (ja) 油水分離装置
CN216584428U (zh) 自分离油水分离箱
JP2000015002A (ja) 汚水処理装置
US11819783B1 (en) Modular weir for fluid separation apparatus and system
US11524250B1 (en) Fluid waste filtration system with grease and garbage traps
JP7345745B2 (ja) 阻集器
CN116078789B (zh) 一种节能环保式的餐厨垃圾收集处理装置
JP7343745B2 (ja) 阻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