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339B1 -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339B1
KR101555339B1 KR1020140132927A KR20140132927A KR101555339B1 KR 101555339 B1 KR101555339 B1 KR 101555339B1 KR 1020140132927 A KR1020140132927 A KR 1020140132927A KR 20140132927 A KR20140132927 A KR 20140132927A KR 101555339 B1 KR101555339 B1 KR 101555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torage tank
sludge
discharge pipe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태준
신민용
이승진
이은왕
Original Assignee
허태준
주식회사 지에스해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태준, 주식회사 지에스해양 filed Critical 허태준
Priority to KR1020140132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류저장탱크에서 유출된 유류를 신속히 감지하고 유출된 유류를 저장탱크로 흘러가도록 하며, 저장탱크에 저장된 이물질 및 오수가 함유된 유류를 비중을 통해 분리할 수 있는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OIL STORAGE TANK SPILL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류저장탱크에서 유출된 유류를 신속히 감지하고 유출된 유류를 저장탱크로 흘러가도록 하며, 저장탱크에 저장된 이물질 및 오수가 함유된 유류를 비중을 통해 분리할 수 있는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류저장시설은 유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하여 사용시 유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류저장시설은 비싼 설치비와 유지관리 비용이 발생하여 설치 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저장탱크의 부식이나 균열 등이 발생하여 내부에 저장된 유류가 외부노 유출되어 주변의 토양, 지하수 등으로 흘러들어가 토양오염 및 지하수오염들이 발생한다.
그리고 유출된 유류가 오수로 및 지상을 통해 외부하천에 흘러들어 하천오염 등이 환경문제가 발생하여 유출된 유류를 수거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많은 비용, 인력 및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유류저장시설과 관련된 관련법규에서는 해당 시설의 관리가 해당 유류저장탱크 및 그에 대해 연결되어 있어 배관에 대해서는 주기적으로 유출 검사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법규에 규정된 정기적인 유출검사가 제대로 이행하였다 하더라고 예상하지 못한 원인에 의해 유류 유출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제시된 기술로 한국공개특허 10-2010-0115502호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이 제시된바 있다.
상기 제시된 기술은 주유기 내부에서 누유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부품별 누유 상태 정보를 감시단말기로 전송하고, 누유 유출이 감시되면 신속히 A/S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제시된 기술은 유류 유출을 감시하여 신속한 대응을 하는 것으로 대응전에 유출된 유류대 대한 해결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유류 유출을 감지 후 정보를 전달받아 대응을 하기까지 유출된 유류에 대한 처리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단시간에 수리가 불가능할 경우 대량의 유류에 대한 처리 방법이 없으며, 유류의 유출을 감시하는 목적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를 검출하고 유류의 경로를 제어하여 저장탱크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유류를 수거하여 환경오염 방제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유출된 유류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 긴급대응이 가능하여 유출된 유류의 경로를 제어하여 긴급대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회수된 유류에 함유된 슬러지 및 오수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오수 및 유류를 재활용할 수 있는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류저장시설의 주변에 설치되어 유류탱크에서 유출된 유류를 오수로를 통해 공급받아 유출된 유류를 처리하는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있어서, 상기 오수로에서 공급받은 슬러지 및 오수등이 함유된 유류를 저장하여 비중에 의해 슬러지, 오수 및 유류를 1차 분리시키는 제 1저장탱크와; 상기 제 1저장탱크에 연결된 오수배출관을 통해 1차 분리된 오수를 공급받으며, 오수에 함유된 슬러지 및 유류를 비중에 의해 2차 분리시킨 오수를 상기 오수로로 배출시키는 방류관이 형성된 제 2저장탱크와; 상기 제 1저장탱크와 제 2저장탱크에서 분리되어 상부로 부유된 유류를 흡입하는 유류배출관을 통해 유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유류저장탱크와; 상기 제 1저장탱크와 제 2저장탱크에서 분리되어 하부로 침전된 슬러지를 흡입하는 슬러지배출관을 통해 슬러지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슬러지저장탱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류저장시설의 주변에서 유류유출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유류유출을 감지하여 관제센터에 긴급조치신호를 수신하고 외부에 유류유출을 경고하는 경보를 발령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저장탱크와 제 2저장탱크의 내부에는 분리된 슬러지와 오수의 각 수위를 측정하는 측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배출관에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수위에 따라 개폐되어 오수 및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부에 의해 유류유출이 감지되면, 상기 오수로를 차단하여 유출된 유류를 상기 제 1저장탱크로 흘러가도록 제어하는 오수차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저장탱크와 제 2저장탱크의 하부면은 슬러지가 배출되는 상기 슬러지배출관 방향으로 하향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저장탱크와 상기 제 2저장탱크에서 상기 유류저장탱크로 유류를 배출하는 상기 유류배출관은 흡입된 유류 및 오수의 수위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러지저장탱크의 하부에는 저장된 슬러지에서 오수를 분리하여 오수로로 배출할 수 있는 오수분리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에 따르면, 유출된 유류를 신속하게 확인하여 유출된 유류를 신속하게 가이드하여 저장탱크에서 수거할 수 있어 유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저장탱크에 수거된 유류는 비중에 의해 분리하여 분리된 유류, 우수, 슬러지를 개별적으로 저장 및 배출하여 분리된 유류 및 우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를 확인하여 관제센터와 유류저장시설 주변에 유출사실을 경보하여 유류유출에 대하여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출된 유류가 저장탱크 내부에서 비중에 의해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의 검출과 측정에 의한 제어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출된 유류가 저장탱크 내부에서 비중에 의해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의 검출과 측정에 의한 제어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류저장탱크에서 유출된 유류를 신속히 감지하고 유출된 유류를 가이드하여 저장탱크로 흘러가도록 하며, 저장탱크에 저장된 이물질 및 오수가 함유된 유류를 비중을 통해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유류저장시설(100)의 주변에 설치되어 유출된 유류를 수거하여 슬러지 및 오수를 분리하기 위해 제 1저장탱크(10), 제 2저장탱크(20), 유류저장탱크(30), 슬러지저장탱크(40)로 구성된다.
제 1저장탱크(10)는 상기 오수로(110)에서 공급받은 슬러지 및 오수등이 함유된 유류를 저장하여 비중에 의해 슬러지, 오수 및 유류를 1차 분리시킨다.
제 2저장탱크(20)는 제 1저장탱크(10)에 연결된 오수배출관(21)을 통해 1차 분리된 오수를 공급받으며, 오수에 함유된 슬러지 및 유류를 비중에 의해 2차 분리시킨 오수를 오수로(110)로 배출시키는 방류관(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에 저장된 슬러지는 비중에 의해 오수의 하부에 침전되어 분리되고 유류는 비중에 의해 오수의 상부에 부유되어 분리된다.
또한 상기 오수배출관(21)과 상기 방류관(22)은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내부의 수위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오수배출관(21) 및 상기 방류관(22)은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 내부에서 비중에 의해 유류와 슬러지가 분리된 오수를 용이하게 유입될 있는 위치에 결합되며, 유입된 오수는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 저장탱크(20) 내부에서 오수가 증가하는 수위를 따라 상승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류저장탱크(30)는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의 내부에서 비중에 의해 분리되어 상부로 부유된 유류를 흡입하는 유류배출관(31)을 통해 유류를 공급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유류배출관(31)은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오수의 상부에 부유된 유류만을 흡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 내부에서 유류를 배출하는 상기 유류배출관(31)은 흡입된 유류 및 오수의 수위에 따라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류배출관(31)은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제 2저장탱크(20) 내부에 삽입되어 유류가 흡입되는 끝단부분에 부력통(32)이 형성되며, 상기 부력통(32)의 하부에는 상기 주름부(33)가 형성되어 상기 유류배출관(31)이 부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여 오수의 수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부력통(32)은 오수의 비중에 의해 상부로 부상하여 상기 유류배출관(31)의 끝단이 오수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유류의 비중에 의해 하부로 가라앉아 유류의 내부에 잠기도록 형성되어 오수에서 분리되어 상부로 부유된 유류만을 흡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러지저장탱크(40)는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에서 분리되어 하부로 침전된 슬러지를 흡입하는 상기 슬러지배출관(41)을 통해 슬러지를 공급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제 2저장탱크(20)의 하부면은 슬러지가 배출되는 상기 슬러지배출관(41) 방향으로 하향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의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배출관(41)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에는 유류에 함유된 슬러지와 오수를 분리시킨 후 분리되어 상부에 부유된 유류는 상기 유류저장탱크(30)에 저장하며,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는 상기 슬러지저장탱크(40)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저장탱크(40) 내부에 슬러지와 함께 저장된 오수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슬러지저장탱크(40)의 하부에는 저장된 슬러지에서 오수를 분리하여 오수로(110)로 배출할 수 있는 오수분리부(4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수분리부(42)는 상기 슬러지저장탱크(40)의 하부에 형성되어 누적된 슬러지에 함유된 오수를 중력에 의해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필터, 거름망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오수분리부(42)에 저장된 오수는 상기 오수로(110)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방류관(22)에 연결되어 오수를 배출하거나, 오수로에 직접설치되어 오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류저장시설(100)의 주변에서 유류유출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감지부(60)와, 상기 감지부(60)에 의해 유류유출을 감지하여 관제센터에 긴급조치신호를 수신하고 외부에 유류유출을 경고하는 경보를 발령하는 제어부(7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60)에 의해 유류유출이 감지되면, 상기 오수로(110)를 차단하여 유출된 유류를 상기 제 1저장탱크(10)로 흘러가도록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제어하는 오수차단부(120)가 설치된다.
즉, 유류저장시설(100)에서 유류유출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관제센터에 유출신호를 수신하고 주변에 경보를 발령하여 신속하게 유지보수 및 대처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류저장시설(100) 주변에 설치된 오수로(110)는 평상시 오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유류유출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상기 오수로(110)를 차단하여 제 1저장탱크(10)로 유류를 흘려보낼 수 있도록 이루어져 초기대처 시간에 유출된 유류가 상기 오수로(110)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 환경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제 2저장탱크(20)의 내부에는 분리된 슬러지와 오수의 각 수위를 측정하는 측정부(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50)에 의해 측정된 수위에 따라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슬러지배출관(41)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오수 및 슬러지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개폐되는 밸브(5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 내부에 분리된 오수, 슬러지의 수위에 따라 개폐되어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에서 분리된 유류는 오수의 상부에서 항시 배출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오수와 슬러지는 측정된 수위에 따라 상기 밸브(51)를 개폐하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에 침전된 슬러지는 오수의 배출과 동시에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으나, 오수 및 유류의 배출이 끝난 후 슬러지만 따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류저장시설(100)에서 유출된 유류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류저장시설(100)의 노후 및 사고등에 의해 부식 및 균열이 발생하여 저장된 유류가 외부로 유출되면, 유출된 유류가 상기 오수로(110)로 흘러들어가 주변환경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오수로(110)를 따라 상기 제 1저장탱크(10)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나, 평상시 우수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오수로(110)에는 유류의 유출여부에 따라 상기 오수로(110)를 차단하는 상기 오수차단부(12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유류저장시설(100) 주변에 상기 감지부(60)를 설치하여 유류유출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0)가 신호를 수신하면, 관제센터에 긴급조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유류저장시설(100) 주변에 경보를 발령하여 신속하게 초기대응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감지부(60)에 의해 유류유출을 감지되면 상기 제 1저장탱크(10)로 유류가 흘러가도록 상기 오수로(110)를 차단하는 상기 오수차단부(120)를 작동시켜 주변으로 유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 1저장탱크(10)로 유출유류를 흘려보낸다.
아울러 유출된 유류가 상기 오수로(110)로 원활히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유류저장시설 주변에 유로(111)를 설치하여 오수로(110)로 유출된 유류가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수로(110)를 통해 유출된 유류가 유입된 상기 제 1저장탱크(10)는 유출된 유류를 저장하며, 유출된 유류에 함유된 슬러지 및 오수를 비중, 중력 등의 현상을 이용하여 슬러지는 오수의 하부로 침식시키고 유류는 오수의 상부로 부상하여 1차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저장탱크(10)에서 1차 분리되어 슬러지와 유류가 제거된 오수를 상기 제 2저장탱크(20)로 배출시킨다.
상기 제 2저장탱크(20)는 상기 제 1저장탱크(10)에서 1차 분리된 오수를 공급받아 저장시킨 후 제 1저장탱크(10)와 동일한 방법으로 1차 분리된 오수에 함유된 슬러지, 오수 및 유류를 2차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제 2저장탱크(20)에서 2차 분리를 통해 슬러지와 유류가 제거된 오수는 상기 방류관(22)을 통해 오수로로 배출한다.
또한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에서 분리되어 상부에 부유한 유류는 상기 유류배출관(31)을 통해 흡입되어 상기 유류저장탱크(30)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유류배출관(31)은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 내부에서 오수의 수위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어 유류만 흡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슬러지와 오수가 제거된 유류를 저장하며, 상기 유류저장시설(100)의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상기 유류저장탱크(30)에 저장된 유류를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의 내부에서 비중에 의해 오수의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는 상기 슬러지배출관(41)을 통해 슬러지를 공급하여 상기 슬러지저장탱크(40)에 저장시킨다.
이때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의 하부면은 슬러지를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슬러지배출관(41) 방향으로 하향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는 경사면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슬러지배출관(41)이 결합한 위치로 침전된다.
또한 상기 슬러지저장탱크(40)의 내부에는 슬러지에 함유되어 흡입된 오수를 분리하여 오수로(110)로 배출할 수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슬러지저장탱크(40)에 저장된 오수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오수만 하부로 떨어져 슬러지가 제거된 오수를 상기 오수로(110)로 배출시켜 오수를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슬러지저장탱크(40) 내부에 오수와 유류성분이 제거된 슬러지를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제 1저장탱크 20: 제 2저장탱크
21: 오수배출관 22: 방류관
30: 유류저장탱크 31: 유류배출관
32: 부력통 33: 주름부
40: 슬러지저장탱크 41: 슬러지배출관
42: 오수분리부 50: 측정부
51: 밸브 60: 감지부
70: 제어부 100: 유류저장시설
110: 오수로 111: 유로
120: 오수차단부

Claims (7)

  1. 유류저장시설의 주변에 설치되어 유류탱크에서 유출된 유류를 오수로를 통해 공급받아 유출된 유류를 처리하는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있어서,
    상기 오수로(110)에서 공급받은 슬러지 및 오수가 함유된 유류를 저장하여 비중에 의해 슬러지, 오수 및 유류를 1차 분리시키는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1저장탱크(10)에 연결된 오수배출관(21)을 통해 1차 분리된 오수를 공급받으며, 오수에 함유된 슬러지 및 유류를 비중에 의해 2차 분리시킨 오수를 상기 오수로(110)로 배출시키는 방류관(22)이 형성된 제 2저장탱크(20)와;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제 2저장탱크(20)에서 분리되어 상부로 부유된 유류를 흡입하는 유류배출관(31)을 통해 유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유류저장탱크(30)와;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에서 분리되어 하부로 침전된 슬러지를 흡입하는 슬러지배출관(41)을 통해 슬러지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슬러지저장탱크(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오수배출관(21)과 상기 방류관(22)은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 내부의 수위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 오수를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로 절곡되며,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상기 제 2저장탱크(20)에 형성된 상기 유류배출관(31)은 오수의 수위에 따라 부유될 수 있도록 끝단부분에 형성된 부력통(32)과 상기 부력통(32)의 하부에는 주름관(33)이 형성된 유류배출관(31)으로 이루어져 오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이동하며, 유류를 흡입할 수 있도록 가변되며,
    상기 슬러지저장탱크(40)의 하부에는 저장된 슬러지에서 오수를 분리하여 오수로로 배출할 수 있는 필터, 거름망으로 이루어진 오수분리부(42)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저장시설(100)의 주변에서 유류유출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감지부(60)와, 상기 감지부(60)에 의해 유류유출을 감지하여 관제센터에 긴급조치신호를 수신하고 외부에 유류유출을 경고하는 경보를 발령하는 제어부(7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제 2저장탱크(20)의 내부에는 분리된 슬러지와 오수의 각 수위를 측정하는 측정부(50)가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배출관(41)에는 상기 측정부(50)에 의해 측정된 수위에 따라 개폐되어 오수 및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51)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60)에 의해 유류유출이 감지되면, 상기 오수로(110)를 차단하여 유출된 유류를 상기 제 1저장탱크(10)로 흘러가도록 제어하는 오수차단부(1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저장탱크(10)와 제 2저장탱크(20)의 하부면은 슬러지가 배출되는 상기 슬러지배출관(41) 방향으로 하향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40132927A 2014-10-02 2014-10-02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KR101555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927A KR101555339B1 (ko) 2014-10-02 2014-10-02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927A KR101555339B1 (ko) 2014-10-02 2014-10-02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339B1 true KR101555339B1 (ko) 2015-09-23

Family

ID=5424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927A KR101555339B1 (ko) 2014-10-02 2014-10-02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3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1322A (ja) * 2000-06-23 2002-01-08 Aisin Seiki Co Ltd 汚濁水浄化装置
KR200445480Y1 (ko) 2009-01-15 2009-08-04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슬러지 저장호퍼용 원격 위치변경 배수 장치
KR101184693B1 (ko) * 2012-05-21 2012-09-24 허태준 유류저장시설 유출차단시스템
KR101390821B1 (ko) * 2012-04-13 2014-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오수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1322A (ja) * 2000-06-23 2002-01-08 Aisin Seiki Co Ltd 汚濁水浄化装置
KR200445480Y1 (ko) 2009-01-15 2009-08-04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슬러지 저장호퍼용 원격 위치변경 배수 장치
KR101390821B1 (ko) * 2012-04-13 2014-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오수분리장치
KR101184693B1 (ko) * 2012-05-21 2012-09-24 허태준 유류저장시설 유출차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1213B1 (en) Stormwater pretreatment and disposal system
KR101268864B1 (ko) 이물질 배출장치
US10927019B2 (en) Oil monitoring system
EA001162B1 (ru) Система дренажа резервуара для хранения жидкости
EP3064476A1 (en) Separator for the separation of oil and/or gasoline from contaminated water
KR101184693B1 (ko) 유류저장시설 유출차단시스템
JP5995149B2 (ja) 漏洩検知装置
KR101522817B1 (ko) 우수상태를 육안식별이 가능한 초기우수배제시스템의 투명관로
KR101953808B1 (ko) 유수 분리장치
KR101555339B1 (ko)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KR101193270B1 (ko) 오일 저장 탱크의 수분 배출 시스템
KR101605533B1 (ko) 유체 유출 경보 방법
KR100544491B1 (ko)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
US9410865B2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leak tightness of a tank
US11474066B2 (en) Foldable and intrinsically safe plate capacitive sensors for sensing depth of solids in liquids and sensing depth of two different types of liquids in hazardous locations
KR20040104093A (ko)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US10571447B2 (en) Fluid flow separation chamber for separating hydrocarbons from a fluid, method, and system of using the same
US20070119764A1 (en) Enhanced separation tank with pH control
JP2011153842A (ja) 冠水検出センサ
KR100464640B1 (ko) 처리액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오염물질 분리장치
KR102227887B1 (ko)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그 배수방법
US11298636B2 (en) Oil monitoring system
KR100759594B1 (ko)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
KR200252912Y1 (ko) 지하 매설용 유수분리형 집수정
KR101773174B1 (ko) 유류정화기능을 갖는 유류저장 및 공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