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912Y1 - 지하 매설용 유수분리형 집수정 - Google Patents

지하 매설용 유수분리형 집수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912Y1
KR200252912Y1 KR2020010025080U KR20010025080U KR200252912Y1 KR 200252912 Y1 KR200252912 Y1 KR 200252912Y1 KR 2020010025080 U KR2020010025080 U KR 2020010025080U KR 20010025080 U KR20010025080 U KR 20010025080U KR 200252912 Y1 KR200252912 Y1 KR 200252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pipe
sump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만
Original Assignee
최수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만 filed Critical 최수만
Priority to KR2020010025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9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912Y1/ko

Links

Landscapes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양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 매설용 유수분리형 집수정에
관한 것으로 지하에 매설된 오일 탱크에서 누출 사고가 발생시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경보하고 물은 배출하여 탱크실 내에 물이 고여 발생하는 탱크의
부식을 방지하고 오일만 분리 회수함으로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지하 매설용 유수 분리형 집수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물이나 오일이 고여서 흘러가는 배수구와 이에 연결된
집수정에서 오일과 물이 유입되면 이를 비중차에 의하여 분리시켜 물만
배출하는 S형 물 배출관과 이 물과 오일을 매개로 센서 간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통해 신호를 발생하여 지하 오일 저장탱크에서 발생한 오일의
유출을 알려주는 수위 검출센서와 탱크 구조물 상부로부터 집수정의 오일만
회수 할 수 있는 위치에 관의 입구가 있어 부상된 오일만을 배출할 수 있도록
고안된 오일 유출관 및 구조물 상부로부터 바닥까지 연결되면서 배관의 끝이
완만하게 굽어 토사나 모래 유입으로 집수정의 기능이 저하 할 때 준설이
가능토록 고안된 준설관 등을 구비하여 오일 탱크의 오일 누출을 경보하고
오일만 분리 수거하도록 고안된 지하 매설용 유수 분리형 집수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하 매설용 유수 분리형 집수정 {THE LAYING CATCH BASIN WITH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
본 고안은 지하 유류 저장탱크의 오일 누유를 감지하고 이를 회수하기
위한 집수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탱크실 벽면의 균열로 물이
침투하면 물은 유수 분리기를 통하여 배출하여 탱크실에 고인 물로 인한
탱크의 부식을 방지하고 지하 탱크실에 오일탱크의 누유로 오일이 유출되면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경보하고 오일은 물로부터 부상 분리시켜 회수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 할 수 있도록 개량된 지하 매설용 유수 분리형 집수정에
관한 것이다
소방 관련 법규(소방 기술규칙 제199조)에 따르면 지하에 오일탱크를
설치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고 하나는 사방으로 방수 처리된 탱크실을
만들어 탱크를 묻는 방법과 다른 하나는 탱크가 들어 갈 수 있는 사방의
기둥이 있는 지하 구조물에 2중벽 탱크를 사용하여 흙 등으로 메우는 방법이다.이렇게 설치된 탱크 주변에는 오일이 새는지를 점검할 수 있는 누유 검사관을
매입식의 경우는 탱크 주변에 탱크 1개당 4개소를 설치 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2중벽 탱크의 경우는 탱크 자체의 2중벽 사이에 설치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 규정에 따른 문제점으로는 매입식의 경우는 누출된 오일이 탱크실 바닥부터
차 올라야 탱크 주변에 설치된 4개의 점검봉에도 오일이 침투되어 발견 될 수
있으므로 장시간 누유에도 발견되지 못할 경우가 많고 소방서 점검 주기에
따른 점검 실시로 누유 즉시 발견 될 가능성이 적다
또 오일이 누출되어도 회수 할 방법이 없어 이미 누출된 오일은 방수벽에
이상이 발생시 탱크 밖으로 유출되어 오염원으로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2중 탱크의 경우는 외벽의 탱크에 균열이 가면 오일 유출이 진행되어도
전혀 알 수 있는 길이 없고 외곽의 벽도 없어 곧바로 대규모 환경 오염 사고가
발생 할 수 있는 문제가 내재하고 있었다.
또 토목 구조물인 집수정은 물을 모아서 가두는 역할만 하고 있어 오일과
물을 분리 배출하거나 물을 일정량만 보관하거나 오일만 누유 되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탱크에 오일 유출 사고가 발생시 유출된 오일을 배수로를 따라
집수정에 포집하고 이를 센서로 실시간 인식하여 경보하므로 오일의
누출을 즉시 감시할 수 있으며 집수정에 설치된 유수분리기 기능을
통하여 오일만 분리 부상시켜 회수함으로서 누유로 인한 수질 및 토양
오염을 방지코자 한다 또 탱크실에 고인 물은 유수분리기를 통하여
배출함으로 고인 물로 인한 탱크의 부식을 방지하고 집수정 속으로
흘러 들어오는 모래나 토사로 집수정이 매립되어 폐기되는 현상을 준설관을통하여 해소한 매설용 유수 분리형 집수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매설용 유수 분리형 집수정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매설용 유수 분리형 집수정의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매설용 유수 분리형 집수정의 오일 유출관과
준설관을 한 개의 배관으로 구성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집수정 11 ----- 배수구
12 ----- 집수정 커버 19 ----- 준설용 배관
22 ----- 오일 유입구 23 ----- 준설용 배관입구
24 ----- 물 배출관 입구 25 ----- 물 배출관
28 ----- 물 배출관 노즐 29 ----- 오일 유출관
31a, 31b, ---- 봉수감지센서 31c ----- 오일감지센서
33 ----- 점검봉 34 ----- 다목적 배관
100 ---- 물 200 ---- 오일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물이나 오일이 고여서
흘러가는 배수로와 이에 연결된 집수정에서 오일과 물이 유입되면 이를
비중차에 의하여 분리시켜 물만 배출하는 S자형 물 배출관과 이 물과 오일을
매개로 센서 간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통해 신호를 발생하여 지하 오일
저장탱크에서 발생한 오일의 유출을 알려주는 센서와 탱크 구조물
상부로부터 집수정의 오일만 회수 할 수 있는 위치에 관의 입구가 있어
부상된 오일만을 배출할 수 있도록 고안된 오일 유출관 및 구조물 상부로
부터 바닥까지 연결되면서 배관의 끝이 완만하게 굽어 토사나 모래 유입으로
집수정의 기능이 저하 할 때 준설이 가능토록 고안된 준설관 등을 구비하여
탱크의 오일 누출을 인식하고 오일만 분리 수거하도록 고안된 지하 매설용
유수 분리형 집수정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매설용 유수 분리형 집수정(10)은 도1내지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물(100)이나 오일(200)이 흘러 고여 들 수 있는 배수로(11)와 이에
연결된 집수정(10)에서 이 집수정(10)은 초기에 오일(200)만 유입되어
흘러 나가는 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집수정(10)에 물(100)을 주입하여
물 배출관(25)에 물(100)이 배출되기 시작하는 높이(H1) 만큼 봉수를
유지한다 이 상태로 오일(200)과 물(100)의 혼합액이 담길 경우 오일(200)이
S자 배관의 수봉을 깨지 않고 배수로(11)에 잔류 할 수 있도록 적당한
배수로(11)의 높이와 충분한 집수정(10)의 크기를 갖는 구조물로 구성되어
오일(200)과 물(100)이 유입되면 집수정(10)의 하부에 연결되는 물 배출관(25)
에는 상기 물 배출관(25)를 통한 오일(200)의 유출을 방지하는 S자 배관부가
형성되어 비중이 무거운 물(100)은 이 트랩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고 비중이
가벼운 오일(200)은 물 위에 떠서 오일 유출관(29)을 통해 회수 할 수 있다.
또 하부 봉수감지센서(31a,31b)는 물 배출관 입구(24)의 상하에 설치되어물(100)을 매개로 하여 전류가 흘러 신호를 발생시켜 이 신호에 의하여 집수정(10)의 균열이나 이상으로 오일(200)이나 물(100)이 새거나 봉수가 물 배출관 입구(24)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봉수의 높이(H1) 보다 다소 높은 곳에 설치된 오일감지센서(31c)는
물(100)과 오일(200)의 혼합물이 유입되면 물(100)이 서서히 유출되면서
물(100)의 깊이와 비중이 이루는 수두압과 오일(200)의 깊이와 비중이 이루는
수두압이 평행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오일(200)의 비중이 물(100)보다 가벼워
집수정(10) 내의 물(100)과 오일(200)을 합한 높이는 처음의 물만의 높이(H1)
보다는 높아져 하부 봉수감지센서(31a) 와 오일감지센서(31c) 간에는
물(100)과 오일(200)을 매개로 한 전류가 흘러 신호가 발생되므로 지하매설
오일 탱크가 새어 오일(200)이 유출되는지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집수정(10)내 오일(200)의 유무는 상기에서와 같이
센서(31a,31b,31c)를 이용하거나 오일 유출관(29) 혹은 준설용 배관(19)을 통한
점검봉(33)으로도 오일(200)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집수정(10)에 오일(200)이 확인되면 구조물의 상부로부터
설치되어 집수정(10) 내의 봉수의 높이에 입구(22)가 설치된 오일
유출관(29)을 통하여 오일(200)만을 유출 할 수도 있고 또 이 오일
유출관(29)은 집수정내 봉수가 부족할 때 보충수 유입구로도 쓸 수 있다.
또한 지하에 설치되는 탱크실은 방수층이 파손되거나 오일 탱크에서
누유가 발생하면 이 물(100)과 오일(200)의 흐름을 따라 흙이나 모래가
함께 집수정(10) 속에 유입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퇴적되어 종국에는
집수정(10)의 기능을 마비시키는데 오일 유출관(29)에 보충수를 주입했을 때
오일 유출 신호에 장시간 불이 들어오면 물 배출관(25)이 퇴적물에 의하여
막혀 배수가 원할하지 못함을 나타낸다 이럴 경우에는 준설용 배관(19)이
집수정(10)의 바닥까지 닿아 있으므로 준설 장비를 활용하여 집수정(10)
내부의 준설 작업을 실시하여 원활한 기능을 유지 할 수 있다.
도3은 오일 유출관(29)과 준설용 배관(19)을 한 개의 배관(34)으로 구성
하여 활용할 수 있는 예를 보여 준다.설명되지 않은 12번은 집수정의 커버로 내식성이 강한 재질로 구성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지하에 매설되는 유류 저장탱크에
누유가 발생하면 점검 주기에 따라 점검봉(33)을 활용하여 육안으로
측정하여 인식하던 오일(200)의 유출 사실을 센서(31a,31b,31c)와
물 배출관(25)을 통하여 실 시간으로 오일(200)만의 누출을 인식하고 회수 할
수 있으므로 오일 누출로 인한 수질 및 토양 오염의 방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소량이라도 유출 사실이 발견되면 사용이 중지되고 대규모 토목
작업이 실시되던 지하 유류 저장소에 오일 유출관(29)을 활용하여 유출
오일(200)을 회수 함으로서 지속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탱크실 내에서 상부나 측면 방수층에 문제가 생겨 물(100)이
유입되면 바닥에서부터 차오르는 물(100)로 인해 오일 탱크의 조기부식
현상이 심화되었으나 집수정(10)에 설치된 물 배출관(25)에 의해
물(100)은 배출되므로 탱크실에 차오르는 물(100)로 인한 탱크 부식에
의한 조기 폐기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Claims (5)

  1. 물(100)이나 오일(200)이 고여서 흘러가는 배수로(11)와 이에 연결된
    집수정(10)에 있어서 이 집수정(10)은 오일(200)이 집수정(10) 내에서 수봉을
    깨지 않고 물 배출관의 입구(24) 보다 높은 위치에 머물수 있는 충분한 집수정(10)의 크기와 배수로(11)의 높이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며 하부에 연결되어 비중차에
    의하여 물(100)만 배출하는 S형 물 배출관(25); 이 물(100)과 오일(200)을 매개로 센서 간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통해 신호를 발생하여 지하 오일 저장탱크에서
    발생한 오일의 유출을 알려주는 센서(31a,31b,31c); 탱크 구조물 상부로부터
    집수정의 오일(200)만 회수 할 수 있는 위치에 관의 입구(22)가 있어 부상된
    오일(200)만을 배출할 수 있도록 고안된 오일 유출관(29); 구조물 상부로부터
    바닥까지 연결되면서 배관의 끝이 완만하게 굽어 토사나 모래 유입으로
    집수정(10)의 기능이 저하 할 때 준설이 가능토록 고안된 준설용 배관(19) 등을
    구비하여 오일탱크의 오일 누출을 인식하고 오일(200)만 분리 수거하도록 고안된
    지하 매설용 유수 분리형 집수정
  2. 제1항에 있어서 물 배출관(25)은 준설용 배관(19)이나 오일 유출관(29)
    보다는 굵어 보충수 유입시 물(100)의 배출이 늦어 센서(31a,31c)
    간의 도통에 따른 신호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관의 하부 위치가
    준설배관(19)의 입구(23) 높이(H2)보다 높고 상부는 오일유출관(29)의
    입구(22)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여 준설이 자연스럽게 진행되면서 항상
    일정한 물(100) 높이(H1)를 유지하여 오일(200) 유입시 오일 배출관(29)에는
    늘 오일(200)만 고일 수 있도록 크기를 가지며 관의 노즐이 아래로 향하도록
    굽어 물(100)의 침투를 방지하고 직각 원형이 아닌 빗금형 타원으로 형성(28)되어 흙과 접촉면을 확대하여 빠른 배수가 이루어 지도록 고안된 S자형 물 배출관(25)을 갖춘 지하 매설용 유수 분리형 집수정
  3. 제1항에 있어서 물 배출관 입구(24)의 상,하부에 봉수감지센서(31a,31b)가
    설치되어 집수정(10)의 균열이나 이상으로 물 배출관 입구(24) 이하로
    봉수가 내려가는지를 감시 할 수 있으며 봉수의 높이(H1)보다 다소 높은
    위치에 오일감지센서(31c)가 설치되어 비중이 가벼운 오일(200)이 유입되면 수위가
    높아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오일(200)의 유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31a,31b,31c)를 갖춘 지하 매설용 유수 분리형 집수정
  4. 제1항에 있어서 오일 유출관(29)과 준설용 배관(19)을 한 개의
    배관(34)으로 구성하여 오일(200)의 유출 및 집수정(10) 준설 작업이
    가능토록 구성된 배관을 갖춘 지하 매설용 유수 분리형 집수정
  5. 제1항에 있어서 봉수감지센서(31a,31b) 나 오일감지센서(31c) 없이
    점검봉(33)을 통한 육안 측정으로 집수정(10)내의 봉수의 유출이나 오일(200)의
    유입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된 지하 매설용 유수 분리형 집수정
KR2020010025080U 2001-08-18 2001-08-18 지하 매설용 유수분리형 집수정 KR200252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080U KR200252912Y1 (ko) 2001-08-18 2001-08-18 지하 매설용 유수분리형 집수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080U KR200252912Y1 (ko) 2001-08-18 2001-08-18 지하 매설용 유수분리형 집수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912Y1 true KR200252912Y1 (ko) 2001-11-26

Family

ID=7310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080U KR200252912Y1 (ko) 2001-08-18 2001-08-18 지하 매설용 유수분리형 집수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9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0278A (zh) * 2018-02-12 2018-06-22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埋地卧式油罐的防渗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0278A (zh) * 2018-02-12 2018-06-22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埋地卧式油罐的防渗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7772A (en) Device for detecting leaks in underground fluid tanks
US4810131A (en) Landfill leachate collection and leak detection sump system
RU2583031C2 (ru) Система локализации и регулирования жидкостей
US6431793B1 (en) Containment system for spills
US20140227035A1 (en) Well pad drain and containment recovery system
US5092709A (en) Landfill site with leachate collection
KR200252912Y1 (ko) 지하 매설용 유수분리형 집수정
US4935726A (en) Drainage system monitoring apparatus
US6599058B1 (en) Landfill leachate collection apparatus
US8454267B2 (en) Seamless, double walled sump
US8156969B2 (en) Underground storage tank with sediment trap
KR200283721Y1 (ko) 지하 매설용 유류 저장탱크
Thiel et al.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leakage control of exposed geomembrane-lined ponds
JP2009074285A (ja) 雨水貯留浸透施設への雨水供給配管構造
KR100823240B1 (ko) 초기우수처리시설의 유지관리방법 및 장치
JP2004033862A (ja) 油水分離装置
KR102080708B1 (ko) 자유상유류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유상유류 제거 방법
US7160467B2 (en) Oil-water separator
JP2004049959A (ja) 廃棄物処分場の遮水壁および汚染水拡散防止管理方法
RU66702U1 (ru) Система для очистки загрязненного нефтью ил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м грунта
KR102118043B1 (ko)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
RU63719U1 (ru) Система для очистки загрязненного нефтью ил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м грунта
KR200394714Y1 (ko) 주유소용 유수감지장치
KR100759594B1 (ko)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
HU194957B (en) Method for inspecting and early observing th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existing dangerous chemical agent and fuel storing sett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