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043B1 -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043B1
KR102118043B1 KR1020170152567A KR20170152567A KR102118043B1 KR 102118043 B1 KR102118043 B1 KR 102118043B1 KR 1020170152567 A KR1020170152567 A KR 1020170152567A KR 20170152567 A KR20170152567 A KR 20170152567A KR 102118043 B1 KR102118043 B1 KR 102118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andfill
well
drainage system
reta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637A (ko
Inventor
오명학
박해용
권오순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52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0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5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매립지 내에 존재하는 보유수의 관리를 위하여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배수 시스템은 매립지에 설치되는 집수정과 집수정의 상부와 연결되며 보유수를 공급받아 수처리하는 수처리설비를 포함한다. 집수정은 보유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보유수 유출을 차단하는 제1 차단부와, 상부에 결합된 고정부와, 내부에 구비된 수중펌프와, 상기 수중펌프와 연결된 배출부와, 보유수를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매립지 내의 보유수 관리가 용이하고, 효율적인 집, 배수 시스템의 운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DRAINING SYSTEM USING COLLECTING WELL FOR WATER LEVEL MANAGEMENT IN LAND FILL SITE}
본 발명은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처분장 등 매립지 내의 보유수를 효과적으로 여과 및 배수하는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 매립지에서, 우수가 매립된 폐기물에 투입되어 발생하는 침출수는, 암반에 유입되는 경우 오염된 침출수가 토양과 지하수의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매립지 내부에 차수층 및 배수관 등의 시설물 설치를 법률로 규정하여 그 시공과 관리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가하고 있다.
따라서 폐기물 매립지에는 보유수 등을 효과적으로 모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견고한 내구력을 가진 구조의 암거 외 집, 배수 설비가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매립된 폐기물에 따라 수질이 변화될 수 있어 배출수를 적절히 처리하는 정화설비가 필요하다.
한편, 해상 처분장이란, 저투수성 해저지반의 상부에 호안구조물과 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연직차수공으로 구성되는 제방 형식의 차폐시설을 설치하고, 차폐시설 내부에 소각재, 비가연성 고형폐기물, 준설토 등을 매립하는 시설이다.
해상 처분장은, 해상에서 내부에 물이 존재하는 상태로 호안과 차수공이 설치되므로 차폐시설의 시공 후에도 내부에는 기존의 해수가 존재하며, 폐기물의 매립에 의하여 내부 수위가 증가할 수 있다. 해상 처분장의 수위가 해수의 수위보다 약간 낮도록 유지되어야 해저 지반에서의 물 흐름 방향이 해상 처분장의 외부에서 내부로 형성되어 해상 처분장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해상 처분장의 집, 배수설비는 해상처분장의 특수성에 따라 해상 처분장 내부의 수위가 지속적으로 적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 및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해상 처분장의 매립지는 폐지시까지 장기간에 걸친 집, 배수시스템이 요구되므로 집, 배수시스템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적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해상 처분장 내부의 수위는 기상 환경 및 매립지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해상 처분장 내 보유수의 상태 및 수위를 반영할 수 있는 경제적인 집, 배수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144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1507호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매립지 내의 보유수 등을 적정 상태로 정화하여 배수하기 위한 배수 시스템으로서, 특히 해상 처분장 내의 수위 및 수질 관리가 용이하며, 배수 시스템의 운용효율이 높은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해상 처분장 내에서 집, 배수시스템의 유지 및 관리에 있어서 안정성과 경제성이 뛰어난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은, 매립지에 설치되어 매립지 내의 보유수를 집수하는 집수정과, 상기 집수정과 연결되며 상기 집수정에서 집수된 보유수를 공급받아 수처리하는 수처리설비를 포함한다.
또한, 집수정은 보유수가 상기 집수정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보유수가 집수정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차단부와, 제1 차단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집수정을 매립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집수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정으로 집수된 보유수를 배출하는 수중펌프와, 집수정의 상단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수중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처리설비와 연결된 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수처리설비는 상기 보유수의 오염물을 여과하는 반응매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집수정은 상기 유입부의 하부에 보유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 차단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입부에는 매립지의 보유수의 고형물을 여과하는 여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차단부에는 보유수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수씰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중펌프와 배출부를 연결하는 선상에는 보유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집수정은 내부관과 외부관으로 구성된 이중관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여재는 내부관과 외부관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집수정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정 내의 보유수 수위 또는 상기 보유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수중펌프는 상기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감지센서의 보유수 수위 측정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집수정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수처리설비는 복수개의 집수정과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에 의하면, 매립지 내에 존재하는 보유수를 효과적으로 집수하여 매립지반의 조기안정화에 효과가 있고, 특히 해상 처분장 내의 보유수를 적정 수위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해상 처분장 내의 적정수위면을 기준으로 보유수를 집수할 수 있으므로 배수 시스템의 유지 및 관리에 안정적이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집수된 보유수를 수처리시설로 공급하는데 있어서 보유수가 다시 매립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배수 시스템의 운용효율이 높다.
또한, 유입부에 구비된 여재와 수처리설비에 구비된 반응매질을 통하여 2차에 걸쳐 보유수를 여과하므로 보유수의 오염도 저감이 가능하고, 여과된 보유수가 배출되는 내수연못 등 저류지의 환경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해상 처분장에서 보유수를 해상 처분장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정화설비에서의 오염물질 처리 부하를 감소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처분장 내에 설치된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은, 매립지(L)에 설치되어 매립지(L) 내의 보유수(W)를 집수하는 집수정(100) 및 상기 집수정(100)과 연결되며 상기 집수정(100)에서 집수된 보유수(W)를 공급받아 수처리하는 수처리설비(6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집수정(100)은 매립지(L) 내에 설치된다. 상기 집수정(100)은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매립지(L)에 매설 또는 관입될 수 있다. 상기 집수정(100)은 매립지(L)의 하부에 존재하는 차수층(C)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매설 또는 관입될 수 있다.
상기 집수정(100)은 관체형상으로, 상기 매립지(L) 내로 관입 또는 매설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집수정(100)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부로 매립지(L)의 보유수(W)가 유입된다. 상기 집수정(100)은 단일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유입부(200) 및 제1 차단부(300)로 나뉘어 형성된 후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집수정(100)은, 상기 보유수(W)가 상기 집수정(100)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부(200)와, 상기 유입부(2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된 보유수(W)가 상기 집수정(100) 외부로 유출되는것을 차단하는 제1 차단부(300)와 상기 제1 차단부(3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집수정(100)을 매립지(L)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4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200)는 상기 매립지(L) 내에 존재하는 보유수(W)가 수평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집수정(100)에서 상기 유입부(200)의 상하방향 길이는 매립지의 상태 및 상기 집수정(100)의 매설깊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에는 유입되는 보유수(W)를 여과하는 여재(2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여재(210)에서 상기 보유수(W)가 일차적으로 여과되며, 상기 여과작용으로 유입된 보유수(W)에 포함된 고형물을 걸러내므로 상기 수중펌프(5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수처리설비에서의 정화 및 여과작용의 부하를 저감시킨다. 상기 여재(210)는 자갈(211) 따위로 구성될 수 있고, 격자형상의 스크린(212) 또는 다공성물질인 반응매질(6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여재(210)는 상기 유입부(200)의 내주면에 구비된 자갈(211)과 상기 유입부(200)의 내부 중심에 높이방향으로 구비된 스크린(2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갈(211)로 이루어진 팩은 상기 보유수(W)의 여과작용을 하는 한편, 상기 매립지(L) 하부에서 상기 집수정(100)으로 가해지는 축방향 하중에 저항하여 상기 집수관(100)의 변형을 감소시킨다.
상기 제1 차단부(300)는 상기 유입부(2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부(200)로 유입된 보유수(W)가 집수정(10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수중펌프(500)의 유량 확보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제1 차단부(300)는 상기 유입부(200)와 상기 집수정(100)의 내부에서 연통되며, 상기 유입부(200)로 유입된 보유수(W)는 상기 집수정(100)의 내부에서 상기 매립지(L)에 존재하는 보유수의 수위와 같은 높이가 된다. 상기 제1 차단부(300)에서 상기 유입된 보유수(W)의 수평방향 유출을 차단하므로 상기 수중펌프(500)의 유량 확보가 용이해 진다.
상기 제1 차단부(300)는 차수성 소재로 형성된 집수정(100)의 측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 차단부(300)는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집수관(100)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차수성 소재로 형성된 차수씰(310)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부(300)의 내측 단면적은 상기 유입부(200)의 내측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유입부(200)의 상부는 내측이 상기 집수정(100)의 중심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수정(100) 내에 설치된 수중펌프(500)의 유량 확보가 용이해진다. 상기 유입부(200)의 내측 단면적, 상기 제1 차단부(300)의 내측 단면적 및 상기 하향경사 각도는 매립지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제1 차단부(3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정을 상기 매립지의 상부에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집수정(100)과 일체로 연결되거나 별도 제작 후 상기 집수정(10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40)는 튜브 형태의 케이싱일 수 있다.
상기 집수정(100)의 내부에는 유입된 보유수(W)를 배출하기 위한 수중펌프(500) 및 상기 집수정(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수중펌프(50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처리설비(600)와 연결된 배출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중펌프(500), 상기 배출부(160) 및 상기 수처리설비(600)는 파이프 등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파이프 등에는 보유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5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중펌프(500)는 상기 집수정(100) 내부에 설치되므로, 상기 집수정(100)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상기 수중펌프(5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보유수(W)로 냉각시킬 수 있고, 펌프양정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수중펌프(500)는 상기 매립지(L)의 보유수(W)의 수위보다 높게 설치될 수 있으나, 상기 매립지(L)의 수위관리면(M)보다 같거나 약간 낮은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160)는 일측이 상기 수중펌프(50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처리설비(600)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160)를 통하여 상기 집수된 보유수가 상기 집수정(10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부(160)는 상기 집수정(10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60)는 상기 집수정(100)의 상부에 상기 집수정(100)의 내외부가 관통되는 개구부일 수 있고, 상기 집수정(100)의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510)는 상기 수중펌프(500), 상기 배출부(160) 및 상기 수처리설비(600)가 연결되는 선상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 선은 파이프 등일 수 있다. 상기 보유수(W)는 우수 등 자연환경과 매립된 폐기물에 따라 수위가 변동될 수 있으며, 상기 보유수(W)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500)의 작동은 중단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510)는 상기 수중펌프(500)를 일시적으로 중단한 경우 상기 수중펌프(500)와 상기 배출부(160)를 연결하는 파이프 등에 구비되어 보유수(W)의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보유수(W)의 낙하로 인한 상기 수중펌프(500)의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 집수정(100)의 내부에는 상기 집수정(100) 내의 보유수(W) 수위 또는 상기 보유수(W)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감지센서(150)(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감지센서(15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500)가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센서(150)는 집수정(100)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정(100) 내부에 유입된 보유수의 수위(H), 상기 보유수(W)의 오염정도 및 상기 유입부(200)에 구비된 여재(210)의 여과상태 등을 측정한다.
상기 감지센서(15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중펌프(500)보다 높은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립지 배수 시스템은 상기 감지센서(150)의 측정값을 모니터링하는 별도의 모니터링 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센서(150)는 상기 수중펌프(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감지센서(150)를 통해 상기 관리수위면(M)을 기준으로 상기 집수정(100)내에 집수된 보유수(W) 수위가 높은 경우 상기 수중펌프(500)는 작동하고, 상기 보유수(W) 수위가 낮은 경우 상기 수중펌프(500)는 작동이 중단된다.
상기 체크밸브(510)는 상기 수중펌프(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수중펌프(500)의 작동이 중단된 경우 상기 체크밸브(510)는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매립지(L) 내의 보유수(W)의 변동에 따라 유동적으로 배수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효율성이 높게 된다.
상기 수처리설비(600)는 상기 집수정(100)에서 집수된 보유수(W)를 공급받는다. 상기 수처리설비(600)에는 상기 보유수(W)의 오염물을 여과하는 반응매질(6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응매질(610)은 여과능력이 확보되는 충진재로서 다공성 물질일 수 있으며, 종류 및 형상이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처리설비(600)를 통하여 집수된 보유수(W)를 여과하여, 배출되는 보유수(W)에 대한 오염도 저감이 가능하므로 매립지(L) 내의 내수연못(P) 등 저류지의 환경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해상 처분장에서 보유수(W)를 해상 처분장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정화설비(F)에서의 오염물질 처리 부하를 감소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수정(100)을 이용한 매립지(L)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집수정(100)은 매립지(L)의 크기 및 상태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집수정(100)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집수정(100)은 하나 또는 복수의 수처리설비(6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집수정(100)에서 집수된 보유수(W)는 하나의 수처리설비(600)로 공급되어 수처리설비(600)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의 개요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집수정(100)은 상기 유입부(2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매립지(L)에 존재하는 보유수(W)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 차단부(4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2 차단부(400)의 구성은 상기 제1 차단부(300)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부(200), 상기 제1 차단부(300) 및 상기 제2 차단부(400)는 상기 집수정(100)의 내부에서 연통된다. 상기 유입부(200)로 유입된 보유수(W)는 중력에 의해 상기 제2 차단부(400)의 내부를 채우고, 상기 제2 차단부(400)는 유입된 보유수(W)의 수평방향 유출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수중펌프(500)는 상기 제2 차단부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유입부(200) 및 상기 제2 차단부(400)의 경계면은 상기 집수정(100)이 상기 매립지(L)에 매설 또는 관입되었을 때 상기 매립지(L)의 관리수위면(M)과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수위면(M)을 기준으로 상기 관리수위면(M)을 초과하는 보유수(W)만 상기 집수정(100)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해상 처분장 내에서 적정수위의 유지가 용이하고, 과도한 집, 배수설비의 운용이 없으므로 안정적인 배수 시스템 운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100)의 유입부(200), 제1 차단부(300), 고정부(140), 배출부(160), 감지센서(150), 여재(210), 자갈(211), 스크린(212), 차수씰(310), 수중펌프(500), 체크밸브(510), 수처리설비(600), 반응매질(610)은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과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집수정(100)은 내부관(110)과 외부관(120)으로 구성된 이중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관(110)과 외부관(120)의 사이에는 수용공간(130)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30)에는 상기 여재(210) 또는 차수씰(31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중관 형태의 집수정(100)은 전부 또는 일부에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내부관(110)과 외부관(120)은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부(200)는 상기 내부관(110), 외부관(120) 및 상기 수용공간(130)에 구비된 여재(2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차단부(300) 및 상기 제2 차단부(400)는 상기 외부관(120), 내부관(110) 및 상기 수용공간(130)에 구비된 차수씰(31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공간(130)에 구비된 상기 여재(210)는 착탈가능하여 상기 유입부(200)의 여과능력이 저하된 경우 상기 여재(210)의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100)의 고정부(140), 배출부(160), 감지센서(150), 여재(210), 자갈(211), 스크린(212), 차수씰(310), 수중펌프(500), 체크밸브(510), 수처리설비(600), 반응매질(610)은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과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100)의 유입부(200), 제1 차단부(300), 제2 차단부(400)는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과 그 기능이 동일하다.
100 : 집수정 110 : 내부관
120 : 외부관 130 : 수용공간
140 : 고정부 150 : 감지센서
160 : 배출부 200 : 유입부
210 : 여재 211 : 자갈
212 : 스크린 300 : 제1 차단부
310 : 차수씰 400 : 제2 차단부
500 : 수중펌프 510 : 체크밸브
600 : 수처리설비 610 : 반응매질
M : 관리수위면 W : 보유수
L : 매립지 F : 정화설비
P : 내수연못

Claims (10)

  1. 매립지에 설치되어 매립지 내의 보유수를 집수하는 집수정; 및
    상기 집수정과 연결되며 상기 집수정에서 집수된 보유수를 공급받아 수처리하는 수처리설비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정은,
    상기 보유수가 상기 집수정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유수가 상기 집수정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차단부;
    상기 제1 차단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집수정을 상기 매립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집수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정으로 집수된 보유수를 배출하는 수중펌프; 및
    상기 집수정의 상단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수중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처리설비와 연결된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에는 상기 매립지의 보유수의 고형물을 여과하는 여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부는,
    내부관, 외부관, 및 상기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여재는 상기 수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교체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차단부의 내측 단면적은 상기 유입부의 내측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지 배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설비는 상기 보유수의 오염물을 여과하는 반응매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지 배수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은 상기 유입부의 하부에 보유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 차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지 배수 시스템.
  4. 삭제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에는 보유수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수씰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지 배수 시스템.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펌프와 상기 배출부가 연결되는 선상에는 상기 보유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지 배수 시스템.
  7. 삭제
  8.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은 상기 집수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정 내의 보유수 수위 또는 상기 보유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지 배수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펌프는 상기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감지센서의 보유수 수위 측정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지 배수 시스템.
  10.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수처리설비는 상기 복수개의 집수정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지 배수 시스템.
KR1020170152567A 2017-11-15 2017-11-15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 KR102118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567A KR102118043B1 (ko) 2017-11-15 2017-11-15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567A KR102118043B1 (ko) 2017-11-15 2017-11-15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637A KR20190055637A (ko) 2019-05-23
KR102118043B1 true KR102118043B1 (ko) 2020-06-02

Family

ID=6668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567A KR102118043B1 (ko) 2017-11-15 2017-11-15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0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78B1 (ko) * 2012-02-15 2012-06-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수 취수정 막힘 수류 회복 시설 및 방법
KR101611447B1 (ko) * 2015-11-03 2016-04-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 처분장의 침출수 배출 시스템 및 침출수 배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36Y1 (ko) * 2009-10-23 2012-05-25 박동연 굴삭 공사에 수반되는 지하 수위 저하용 진공 펌프 배수 장치
KR20150022198A (ko) * 2013-08-22 2015-03-04 케스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토양오염지역 및 매립지 침출수 자동 배출시스템
KR101611507B1 (ko) 2015-11-03 2016-04-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 처분장에 설치되는 집수관 및 집수관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78B1 (ko) * 2012-02-15 2012-06-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수 취수정 막힘 수류 회복 시설 및 방법
KR101611447B1 (ko) * 2015-11-03 2016-04-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 처분장의 침출수 배출 시스템 및 침출수 배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637A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38940B2 (en) Storm drain filter
KR101252736B1 (ko)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349613B1 (ko) Lid 기법적용 선진모래여과장치
JPWO2008142879A1 (ja) 除塵管理枡
KR101558239B1 (ko) 빗물 여과장치
KR1010897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100958295B1 (ko) 우수활용이 가능한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20100114354A (ko) 초기 우수처리장치
KR100927631B1 (ko)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JP4909721B2 (ja) 雨水貯留浸透施設
KR102118043B1 (ko)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
KR101649039B1 (ko) 친환경 빗물받이
KR100983160B1 (ko)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KR101042731B1 (ko) 지층수를 상수원 원수로 사용하는 우물통 구조의 취수원 저장장치
KR101926744B1 (ko)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KR101906905B1 (ko) 매립지 보유수의 배수 시스템
KR101311288B1 (ko) 초기우수처리시설의 정체수 배수장치
KR102092168B1 (ko)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 및 관리방법
RU243592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рения направления с циркуляцией и защиты почвы при строительстве скважины
JP6359203B2 (ja) 海上処分場の浸出水排出システム及び浸出水排出方法
JP2012072598A (ja) 雨水処理施設
KR101271423B1 (ko) 지중침투형 빗물여과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92279B1 (ko) 반응성 여과설비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JP6198446B2 (ja) 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
KR101274100B1 (ko)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