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594B1 -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594B1
KR100759594B1 KR1020060122420A KR20060122420A KR100759594B1 KR 100759594 B1 KR100759594 B1 KR 100759594B1 KR 1020060122420 A KR1020060122420 A KR 1020060122420A KR 20060122420 A KR20060122420 A KR 20060122420A KR 100759594 B1 KR100759594 B1 KR 100759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age
detection device
buoyancy
s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7281A (ko
Inventor
이성우
전인재
Original Assignee
이성우
전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우, 전인재 filed Critical 이성우
Priority to KR1020060122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59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20Measuring flow in sewer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수관과 우수관이 서로 오접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는, 오수관 및 우수관의 일측에 다수개로 구비되어 오수관과 우수관이 서로 오접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오접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에 있어서, 상기 오접 감지장치는 상기 오수관이나 우수관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구비되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오수나 우수의 유입으로 승강하는 부력수단과, 상기 부력수단의 승강을 통해 오수나 우수의 유입량을 확인하게 되는 계측수단과,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구비되어 부력수단과 계측수단의 상태를 확인하여 오접 여부를 감지하는 투시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분류식 하수관거, 오수관, 우수관, 오접 감지장치

Description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Misconnection sensing device for Separate sewer over f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a는 평상 시의 오접 감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관의 오접으로 인해 작동되는 오접 감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수관
11 : 맨홀
2 : 우수관
21 : 맨홀
3 : 오접 감지장치
31 : 연결관
32 : 지지수단
321 : 수평대
322 : 지지판
33 : 부력수단
331 : 부력통, 331a : 공간부
332 : 수직대
34 : 계측수단
341 : 2절 링크, 341a : 힌지 축
342 : 걸림턱
35 : 투시창
351 : 렌즈
4 : 계측편
41 : 방향 표시편
5 : 커버
51 : 뚜껑
52 : 관통공
53 : 내부 공간부
본 발명은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수관과 우수관이 서로 오접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거라 함은, 여러 하수구에서 하수를 모아 하수 처리장으로 내려 보내는 하수도관을 말하는 것이다.
특히 분류식 하수관거는 빗물이나 오수를 별도의 관으로 나누어 배제하는 관거로서 빗물과 오수를 동일관으로 배제하는 합류식 관거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현재는 이 방법이 장려되고 있다.
즉 분류식 하수관거에 의한 오수를 유입시키는 방법은 오수와 우수를 다른 관을 이용하여 우수는 하천으로 오수 라인은 체계적으로 연결하여 하수 종말처리장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분류식 하수관거를 시공함에 있어서 설계 및 시공 작업의 오류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분류식 하수관거의 시공 설계시 분류식 오수관은 식별이 용이하도록 별도의 표시가 되도록 설계가 되어야 하는데 잘못된 설계에 의해 작업자가 분류식 오수관과 우수관을 상호 오접하게 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또한 시공 작업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오수관과 우수관을 상호 오접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오수가 흘러가는 오수관과 빗물이 흘러가는 우수관에 대한 오접이 원인이 되어 우수관을 통해서 오수가 하천이나 바다로 그냥 방류되어 하천 및 바다의 오염을 일으키거나, 우수가 오수관으로 유입되어 범람으로 인해 하수 처리장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미 부실하게 설치된 분류식 하수관거를 보수하는데 드는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염료 및 연막을 이용한 조사 방법들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사 수단들은 오접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가 쉽지 않으며 오접이 발생된 부분을 찾기 위해 기존에 설치된 관이 드러날 때까지 흙을 파내야 함으로서 재시공에 필요한 인력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오수관과 우수관의 오접 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으므로 이미 매설된 하수관거를 드러내지 않고도 쉽게 감지할 수 있는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수관 및 우수관의 일측에 다수개로 구비되어 오수관과 우수관이 서로 오접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오접 감지장치 를 포함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에 있어서, 상기 오접 감지장치는 상기 오수관이나 우수관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구비되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오수나 우수의 유입으로 승강하는 부력수단과, 상기 부력수단의 승강을 통해 오수나 우수의 유입량을 확인하게 되는 계측수단과,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구비되어 부력수단과 계측수단의 상태를 확인하여 오접 여부를 감지하는 투시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a는 평상 시의 오접 감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b는 관의 오접으로 인해 작동되는 오접 감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는 오수관(1) 및 우수관(2)의 일측에 다수개로 구비되어 오수관(1)과 우수관(2)이 서로 오접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오접 감지장치(3)를 포함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에 있어서, 상기 오접 감지장치(3)는 상기 오수관(1)과 우수관(2)이 서로 오접되어 관 내부의 수위량이 증가하면서 작동되는 것으로 연결관(31)과, 부력수 단(33)과, 계측수단(34)과, 투시창(35)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오수관(1)과 우수관(2)에는 다수의 맨홀(11,21)이 구비되며, 상기 맨홀(11,21)은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관(1) 및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관(2)들이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올려지는 맨홀뚜껑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오접 감지장치의 각 구성들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연결관(31)은 상기 오수관(1)이나 우수관(2)에 수직으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 연결관(31)의 하단은 상기 오수관(1) 및 우수관(2)에 직접 접합을 통해 고정한다.
더불어 플랜지 이음을 통해 상기 오수관(1)과 우수관(2)을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력수단(33)은 상기 연결관(31)의 내부에 구비되며 지지수단(32)에 의해 지지되어 오수나 우수의 유입으로 승강한다.
상기 부력수단(33)은, 내부에 공간부(331a)가 형성된 부력통(331)과, 상기 부력통(331)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수단(32) 내부에 슬라이딩되는 수직대(332)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수단(32)은 상기 연결관(31)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대(321)와, 상기 수평대(32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수직대(332)의 양측을 지지하는 양 지지판(32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오수관(1)과 우수관(2)이 오접된 경우에는 관 내의 수위가 높아지면 서 상기 부력수단(33)이 상승하게 된다.
특히 상기 부력통(331)은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삼각형상으로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수직대(332)의 상단에는 상기 부력수단(33)의 승강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계측편(4)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계측편(4)은 빛을 내도록 야광층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계측편(4)의 상부에는 방향 표시편(41)이 더 구비되며 상기 방향 표시편(41)을 통해 관 내 물 흐름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계측수단(34)은 상기 부력수단(33)의 승강을 통해 오수나 우수의 유입량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계측수단(34)은, 상기 부력수단(33)의 양측 상부에 구비되며 힌지 축(341a)을 통해 접철되는 2절 링크(341)와, 상기 연결관(31)의 내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2절 링크(341)의 하강을 방지하는 다수의 걸림턱(34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오수관(1)과 우수관(2)의 오접으로 인해 관 내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부력수단(33)이 상승하면서 부력수단(33)의 수직대(332)에 연결된 2절 링크(341)도 동반 상승하게 된다. 특히 상기 2절 링크(341)는 상승 시 걸림턱(342)에 걸리면서 내측으로 접철되어 상승이 원활히 진행되고, 걸림턱(342)을 통과하고 난 후에는 다시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원래 상태로 복귀한 2절 링크(341)는 상기 걸림턱(342)에 의해 하강이 방지됨으로서 상기 2절 링크(341)와 걸림턱(342)의 위치는 물론 관 내의 수위 정도를 확인하여 오접 여부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관(31)의 상부에는 부력수단(33)과 계측수단(34)의 상태를 확인하여 오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투시창(35)이 구비된다.
상기 투시창(35)은 중앙에 구비된 렌즈(351)를 포함하는 판으로 구성되되, 연결관(31)의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의 판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접 감지장치의 외부에는, 상기 오접 감지장치(3)를 보호하도록 상부에 구비된 뚜껑(51)을 포함하고 관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52)이 형성된 커버(5)가 더 구비된다. 특히 상기 커버(5)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부(53)를 포함하며, 흙의 압력에 잘 견딜 수 있도록 강도가 강한 재질의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5)없이도 오접 감지장치(3)를 매설할 수도 있지만 오접 감지장치(3)의 연결관(31)의 파손을 예방하기 위해 커버(5)를 더 설치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오수관(1)과 우수관(2)간에 오접이 발생되지 않은 평상 시에는, 정상적으로 오수관(1)에는 오수가 흐르고 우수관(2)에는 빗물이 흘러가는 것이다.
이에 오접 감지장치(3)는 오수관(1)이나 우수관(2)의 수위에 상응되는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관의 오접 감지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평상 시 오접 감지장치(3)의 계측수단(34)이 어느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지 알고 있어야 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관(1)과 우수관(2)이 서로 오접된 경우에는, 오수관(1)과 우수관(2) 중 어느 하나의 관의 수위가 증가하면 오접 감지장치(3)의 부력수단(33)과 계측수단(34)의 2절 링크(341)는 상승하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오수관과 우수관에 설치된 각각의 오접 감지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수관(1)에 설치된 오접 감지장치(3)의 경우에는, 우수로 인해 많은 양의 빗물이 우수관(2)을 통해 하천 등으로 배출되어야 하지만 상기 오수관(1)에 우수관(2)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빗물이 오수관(1)으로 유입되면서 오수관(1)의 수위가 증가하여 부력수단(33)과 계측수단(34)의 2절 링크(341)가 상승한다. 즉 평상 시 오수관(1)에 흐르는 오수에다가 우수로 인한 빗물이 합쳐지면서 오수관(1) 내의 수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계측수단(34)의 2절 링크(341)가 평상 시 위치보다 높이 이동한 것을 확인함으로서 관이 오접되었다는 것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우수관(2)에 설치된 오접 감지장치(3)의 경우에는, 평상 시의 우수관(2)에는 거의 빗물이 없는 상태이지만 상기 우수관(2)에 오수관(1)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오수가 우수관(2)으로 유입되면서 우수관(2)의 수위가 증가하여 부력수단(33)과 계측수단(34)의 2절 링크(341)가 상승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계측수단(34)의 2절 링크(341)가 평상 시 위치보다 높이 이동한 것을 확인함으로서 관이 오접되었다는 것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의상 오수관(1)과 우수관(2)을 함께 도시하였으며 이는 오수관(1) 혹은 우수관(2)인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는, 오수관과 우수관의 오접 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으므로 이미 매설된 하수관거를 드러내지 않고도 쉽게 감지해냄으로서 재시공에 필요한 인력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의 오접 여부를 오접 감지장치를 통해 신속히 감지함으로서 오수에 의한 하천 및 바다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수가 오수관으로 유입되어 분류식 하수 처리장의 하수 처리 용량을 초과하여 분류식 하수 처리의 목적을 상실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6)

  1. 오수관(1) 및 우수관(2)의 일측에 다수개로 구비되어 오수관(1)과 우수관(2)이 서로 오접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오접 감지장치(3)를 포함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에 있어서,
    상기 오접 감지장치(3)는,
    상기 오수관(1)이나 우수관(2)에 연결되는 연결관(31)과,
    상기 연결관(31)의 내부에 구비되며 지지수단(32)에 의해 지지되어 오수나 우수의 유입으로 승강하는 부력수단(33)과,
    상기 부력수단(33)의 승강을 통해 오수나 우수의 유입량을 확인하게 되는 계측수단(34)과,
    상기 연결관(31)의 상부에 구비되어 부력수단(33)과 계측수단(34)의 상태를 확인하여 오접 여부를 감지하는 투시창(3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수단(33)은,
    내부에 공간부(331a)가 형성된 부력통(331)과,
    상기 부력통(331)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수단(32) 내부에 슬라이딩되는 수직대(3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332)의 상단에는,
    상기 부력수단(33)의 승강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계측편(4)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32)은,
    상기 연결관(31)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대(321)와,
    상기 수평대(32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부력수단(33)의 양측을 지지하는 양 지지판(32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수단(34)은,
    상기 부력수단(33)의 양측 상부에 구비되며 힌지 축(341a)을 통해 접철되는 2절 링크(341)와,
    상기 연결관(31)의 내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2절 링크(341)의 하강을 방지하는 다수의 걸림턱(34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접 감지장치(3)의 외부에는,
    상기 오접 감지장치(3)를 보호하도록 상부에 구비된 뚜껑(51)을 포함하고 관 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52)이 형성된 커버(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
KR1020060122420A 2006-12-05 2006-12-05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 KR100759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420A KR100759594B1 (ko) 2006-12-05 2006-12-05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420A KR100759594B1 (ko) 2006-12-05 2006-12-05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281A KR20070017281A (ko) 2007-02-09
KR100759594B1 true KR100759594B1 (ko) 2007-09-18

Family

ID=4162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420A KR100759594B1 (ko) 2006-12-05 2006-12-05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5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5521A (en) 1978-09-05 1980-04-01 Fitzgerald Joseph C Volumetric flow measuring device
JPH03238324A (ja) * 1990-02-16 1991-10-24 Nippon Miyuu Kk 液面指示方法
US5983736A (en) 1998-07-02 1999-11-16 Brooklyn Un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the flow of liquids in a gas pi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5521A (en) 1978-09-05 1980-04-01 Fitzgerald Joseph C Volumetric flow measuring device
JPH03238324A (ja) * 1990-02-16 1991-10-24 Nippon Miyuu Kk 液面指示方法
US5983736A (en) 1998-07-02 1999-11-16 Brooklyn Un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the flow of liquids in a gas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281A (ko) 200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7772A (en) Device for detecting leaks in underground fluid tanks
US5460032A (en) Impoundment leak detection, location, and containment system
RU2622570C2 (ru) Система обнаружения подводных утечек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такой системы
JP5716123B1 (ja) 汚水排出システム
US20140227035A1 (en) Well pad drain and containment recovery system
US4770028A (en) Hydrocarbon tank leak detection system
KR100759594B1 (ko)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
US6881953B2 (en) Method of tracing drains
KR100801684B1 (ko)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KR101542236B1 (ko) 부력을 이용하는 월류방지장치 및 운영방법
KR100537356B1 (ko) 하수관로의 누수탐지장치
KR20040104093A (ko)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KR100577847B1 (ko)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
CN209782249U (zh) 一种湿气工艺管线的集液及排液装置
KR101187263B1 (ko) 오수통 준설기의 효율적인 진공력 활용을 위한 슬러지 적재량 표시장치
KR100574169B1 (ko) 하수관로 균열감시장치
JP4521313B2 (ja) 水位計装置
KR20050029528A (ko) 하수 맨홀에서의 하수 시료 자동 채취 장치
KR101555339B1 (ko)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JP4098041B2 (ja) 構造物の相対位置検出装置
KR200335202Y1 (ko) 하수 맨홀에서의 하수 시료 자동 채취 장치
KR200252912Y1 (ko) 지하 매설용 유수분리형 집수정
CN219841951U (zh) 管道沉降检测装置
KR102309964B1 (ko) 맨홀 부공기압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험방법
CN214737365U (zh) 用于跨越环境敏感区的公路桥梁桥面排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