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331B1 - 원유 이송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유 이송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331B1
KR101540331B1 KR1020130124278A KR20130124278A KR101540331B1 KR 101540331 B1 KR101540331 B1 KR 101540331B1 KR 1020130124278 A KR1020130124278 A KR 1020130124278A KR 20130124278 A KR20130124278 A KR 20130124278A KR 101540331 B1 KR101540331 B1 KR 101540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de oil
connection room
manifold
hull
oil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062A (ko
Inventor
김명기
서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4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3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원유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원유 이송 장치는, 선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원유를 저장하는 원유 탱크; 상기 원유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원유를 이송하기 위한 매니폴드; 상기 선체의 측벽에 형성된 원유 이송공; 및 상기 매니폴드와 연결되고, 상기 원유 이송공을 관통하여, 해수면 아래에서 상기 원유를 외부로 이송하는 원유 이송 호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유 이송 장치 및 시스템{OIL TRANSPORT APPARATUS AND SYSTEM}
본 발명은 원유 이송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유 수송 선박을 비롯한 선박은 해저의 지하에 존재하는 석유나 가스 등을 채취하여 육지로 수송할 수 있다. 채취한 원유는 선박에 구비된 원유 탱크에 저장된 채로 선박에 의해 항구로 이동된다. 선박은 항구에서 원유를 하역하고, 하역된 원유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수단에 의해 운반되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선박의 원유 탱크에 저장된 원유를 하역함에 있어서, 원유 탱크의 바닥에 잔존하는 원유를 완전히 하역하는 것은 시간 소모가 큰 작업에 해당한다.
공개특허 제2009-0028767호는 액화 천연 가스를 수송하기 위한 연결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유 수송 선박의 원유 탱크의 바닥에 잔존하는 원유의 하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원유 이송 장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유 수송 선박의 원유 탱크의 바닥에 잔존하는 원유의 하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원유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 이송 장치는, 선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원유를 저장하는 원유 탱크; 원유 탱크와 연결되고, 원유를 이송하기 위한 매니폴드; 선체의 측벽에 형성된 원유 이송공; 및 매니폴드와 연결되고, 원유 이송공을 관통하여, 해수면 아래에서 원유를 외부로 이송하는 원유 이송 호스를 포함한다.
상기 원유 이송 장치는, 상기 선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원유 이송 호스의 연결 부분을 수용하는 연결 룸(roo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룸은 제1 연결 룸 및 제2 연결 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룸과 상기 제2 연결 룸 사이에 형성된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룸은 상기 원유 이송공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룸은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원유 이송 호스의 연결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원유 이송 장치는, 상기 제2 연결 룸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룸으로의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연결 룸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는 해수 유입 방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유 이송 호스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룸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레일(rai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 이송 시스템은, 선체의 측벽에 형성된 원유 이송공; 터미널의 측벽에 형성된 송유관; 및 해수면 아래에 설치되고, 일단은 원유 이송공에 연결되고 타단은 송유관에 연결된 원유 이송 호스를 포함하고, 선체에 저장된 원유는, 해수면 아래에서 원유 이송 호스를 통해 터미널로 이송된다.
상기 원유 이송 시스템은, 상기 선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원유 이송 호스의 연결 부분을 수용하는 제1 룸(room); 및 상기 제1 룸으로의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제1 해수 유입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유 이송 시스템은, 상기 터미널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송유관과 상기 원유 이송 호스의 연결 부분을 수용하는 제2 룸; 및 상기 제2 룸으로의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제2 해수 유입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 이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A 영역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B 영역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 이송 시스템에서 원유를 하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유 이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 이송 장치에서 사용되는 원유 이송 호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원유 이송 호스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원유 이송 호스를 연결 룸에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제1 소자가 제2 소자에 "직접 연결"된다는 것은, 제1 소자와 제2 소자 사이에 다른 소자가 개재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 이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A 영역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c는 도 1a의 B 영역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 이송 시스템은 선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매니폴드(110), 터미널(200)의 내부에 형성된 송유관(210) 및 일단은 매니폴드(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송유관(210)에 연결된 원유 이송 호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선체(100)는 해저의 지하에 존재하는 석유나 가스 등을 채취하여 육지로 운반하는 선박, 예컨대, 원유 수송 선박의 선체일 수 있다. 선체(100)는 채취한 원유를 수송하는 동안 원유(160)를 저장할 수 있는 원유 탱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를 같이 참조하면, 선체(100)의 내부에는, 매니폴드(110) 및 연결 룸(120)이 형성될 수 있다. 매니폴드(110)는 원유 탱크(150)에 저장된 원유(160)를 원유 탱크(150)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매니폴드(110)의 일단은 원유 이송 호스(1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원유 탱크(150) 내부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룸(120)은 매니폴드(110)와 원유 이송 호스(140)의 연결 부분(170)을 수용하여, 연결 부분(170)에서 원유가 유출된 경우 해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선체(100)의 측벽에는 선체(100)의 외부와 연결 룸(120) 사이의 측벽을 관통하는 원유 이송공(130)이 형성될 수 있다. 원유 이송 호스(140)는 원유 이송공(130)을 관통하여 해수면 아래에서 원유(160)를 선체(100)의 외부로 이송 할 수 있다.
터미널(200)은 원유 수송 선박이 원유(160)를 하역할 수 있는 육지와 연결된 구조물로서, 예컨대, 선박이 정박할 수 있는 항구일 수 있다. 터미널(200)은 원유 수송 선박으로부터 공급받은 원유(160)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물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c를 같이 참조하면, 터미널(200) 내부에는, 송유관(210) 및 연결 룸(220)이 형성될 수 있다. 송유관(210)은 원유 수송 선박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유(160)를 필요에 따라 다른 곳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연결 룸(220)은 송유관(210)과 원유 이송 호스(140)의 연결 부분(270)을 수용하여, 연결 부분(270)에서 원유가 유출된 경우 해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터미널(200)의 측벽에는 터미널(200)의 외부와 연결 룸(220) 사이의 측벽을 관통하는 원유 이송공(2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 이송 시스템에서 원유를 하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와 도 2를 같이 참조하면, 원유 탱크(150)에 저장된 원유(160)를 원유 탱크(150)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매니폴드(110)와, 원유(160)를 공급 받는 송유관(210)은 모두 해수면 아래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일단은 매니폴드(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송유관(210)에 연결된 원유 이송 호스(140) 역시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 이송 시스템에서, 원유(160)의 이송은 해수면 아래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선체(100)로부터 터미널(200)로 원유(160)가 이송됨에 따라, 원유 탱크(150) 내에 저장된 원유(160)의 양은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선체(100)는 해수면을 기준으로 수직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선체(100)가 해수면 위쪽으로 더 떠오르면, 매니폴드(110)의 수직 위치는 송유관(210)의 수직 위치보다 높게 된다. 따라서, 원유 탱크(150)의 바닥에 잔존하는 원유를 터미널(100)로 이송, 즉, 하역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유 이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유 이송 장치에서, 도 1a의 A 영역에 도시되었던 연결 룸(120)은 제1 연결 룸(124), 제2 연결 룸(122) 및 제1 연결 룸(124)과 제2 연결 룸(122) 사이에 형성된 격벽(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룸(124)은 선체(100)의 측벽을 관통하는 원유 이송공(130)과 연결되고, 제2 연결 룸(122)은 매니폴드(110)와 원유 이송 호스(140)의 연결 부분(170)을 수용할 수 있다. 원유 이송 호스(140)는 제1 연결 룸(124)과 제2 연결 룸(122) 사이에 형성된 격벽(125)을 관통하여 선체(100)의 외부로 연장된다. 즉, 격벽(125)에는 원유 이송 호스(140)가 관통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 따르면, 격벽(125)는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유 이송 장치는, 제2 연결 룸(122)에 연결되고, 제2 연결 룸(122)으로의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해수 유입 방지 장치(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해수 유입 방지 장치(128)는 제2 연결 룸(122)의 압력을 수압보다 높게 유지시켜 해수가 제2 연결 룸(122)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수 유입 방지 장치(128)는 제2 연결 룸(122)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는 불활성 기체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불활성 기체는 제2 연결 룸(122)에 연결된 주입구(126)를 통해 불활성 기체 발생 장치로부터 공급되어 제2 연결 룸(122)의 공기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유 이송 장치에서, 도 1a의 B 영역에 도시되었던 연결 룸(220)은 제1 연결 룸(224), 제2 연결 룸(222) 및 제1 연결 룸(224)과 제2 연결 룸(222) 사이에 형성된 격벽(2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내용과 유사하게, 제1 연결 룸(224)은 선체(100)의 측벽을 관통하는 원유 이송공(230)과 연결되고, 제2 연결 룸(222)은 송유관(210)과 원유 이송 호스(140)의 연결 부분(270)을 수용할 수 있다. 원유 이송 호스(140)는 제1 연결 룸(224)과 제2 연결 룸(222) 사이에 형성된 격벽(225)을 관통하여 터미널(200)의 외부로 연장된다. 한편, 도 3a에 도시된 내용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유 이송 장치는, 제2 연결 룸(222)에 연결되고, 제2 연결 룸(222)으로의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해수 유입 방지 장치(2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 이송 장치에서 사용되는 원유 이송 호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원유 이송 호스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매니폴드(110)와 송유관(210)에 연결되는 원유 이송 호스(140)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44)는 원유 이송 호스(140)를 연결 룸(120, 220)에 밀어 넣는 경우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원유 이송 호스(14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4)는 원유 이송 호스 내부(142)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그 단면이 곡선으로 형성된 돌출부(144)를 도시하였지만, 돌출부(144)의 단면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a 및 도 5b는 원유 이송 호스를 연결 룸에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연결 룸(120)은 원유 이송 호스(140)의 돌출부(144)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레일(302, 304, 306, 308)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302, 304, 306, 308)은 연결 룸(120)의 벽면에 형성되어 돌출부(144)가 형성된 원유 이송 호스(140)를 미리 정해진 경로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원유 이송 호스(140)는 레일(302, 304, 306, 308)을 따라 이동함을 알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 레일(302, 304, 306, 308)은 4 개로 구성되지만, 레일(302, 304, 306, 308)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돌출부(144)를 구비한 원유 이송 호스(140)와 연결 룸(120, 220)에 구비된 레일(302, 304, 306, 308)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원유 이송 호스(140)를 삽입하는 경우에, 해수의 유입 없이 지정된 경로로 원유 이송 호스(140)를 밀어 넣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원유 탱크(150)에 저장된 원유(160)를 원유 탱크(150)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매니폴드(110)를 선체(100)의 갑판 위가 아닌 해수면 아래에 위치시킴으로서, 원유 이송용 펌프의 토출 압력(discharge pressure)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선체(100)로부터 터미널(200)로 원유(160)가 이송됨에 따라, 선체(100)가 해수면 위쪽으로 더 떠오르고 매니폴드(110)의 수직 위치는 송유관(210)의 수직 위치보다 높게 되어, 원유 탱크(150)의 바닥에 잔존하는 원유를 터미널(100)로 이송, 즉, 하역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선박 110: 매니폴드
120, 220: 연결 룸 122, 222: 제2 연결 룸
124, 224: 제1 연결 룸 125, 225: 격벽
126, 226: 주입구 128, 228: 해수 유입 방지 장치
130: 230: 원유 이송공 140: 원유 이송 호스
142: 원유 이송 호스 내부 144: 돌출부
150: 원유 탱크 160: 원유
170, 270: 연결 부분 200: 터미널
210: 송유관 302, 304, 306, 308: 레일

Claims (9)

  1. 선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원유를 저장하는 원유 탱크;
    상기 원유를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원유 탱크의 측벽을 통하여 삽입된 매니폴드;
    상기 매니폴드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선체의 측벽에 형성된 원유 이송공;
    상기 매니폴드와 연결되고, 상기 원유 이송공을 관통하여, 해수면 아래에서 상기 원유를 외부로 이송하는 원유 이송 호스; 및
    상기 선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원유 이송 호스의 연결 부분을 수용하는 연결 룸(room)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 룸은 제1 연결 룸 및 제2 연결 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룸과 상기 제2 연결 룸 사이에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는 원유 이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룸은 상기 원유 이송공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룸은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원유 이송 호스의 연결 부분을 수용하는 원유 이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룸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룸으로의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연결 룸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는 해수 유입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원유 이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유 이송 호스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룸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레일(rail)을 포함하는 원유 이송 장치.
  7. 선체의 내부에 구비된 원유 탱크의 측벽을 통하여 매니폴드가 삽입되고, 상기 매니폴드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선체의 측벽에 형성된 원유 이송공;
    터미널의 측벽에 형성된 송유관;
    해수면 아래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원유 이송공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송유관에 연결된 원유 이송 호스;
    상기 터미널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송유관과 상기 원유 이송 호스의 연결 부분을 수용하는 연결 룸; 및
    상기 연결 룸으로의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해수 유입 방지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선체에 저장된 원유는, 해수면 아래에서 상기 원유 이송 호스를 통해 상기 터미널로 이송되는 원유 이송 시스템.
  8. 선체의 내부에 구비된 원유 탱크의 측벽을 통하여 매니폴드가 삽입되고, 상기 매니폴드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선체의 측벽에 형성된 원유 이송공;
    터미널의 측벽에 형성된 송유관;
    해수면 아래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원유 이송공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송유관에 연결된 원유 이송 호스;
    상기 선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원유 이송 호스의 연결 부분을 수용하는 연결 룸; 및
    상기 연결 룸으로의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해수 유입 방지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선체에 저장된 원유는, 해수면 아래에서 상기 원유 이송 호스를 통해 상기 터미널로 이송되는 원유 이송 시스템.
  9. 삭제
KR1020130124278A 2013-10-18 2013-10-18 원유 이송 장치 및 시스템 KR101540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278A KR101540331B1 (ko) 2013-10-18 2013-10-18 원유 이송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278A KR101540331B1 (ko) 2013-10-18 2013-10-18 원유 이송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062A KR20150045062A (ko) 2015-04-28
KR101540331B1 true KR101540331B1 (ko) 2015-07-30

Family

ID=5303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278A KR101540331B1 (ko) 2013-10-18 2013-10-18 원유 이송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686A (ko) 2017-12-26 2019-07-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커플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6838A (ja) * 2004-10-15 2008-05-22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極低温流体海中移送システム
US20080236703A1 (en) * 2007-03-29 2008-10-02 Chevron U.S.A. Inc. System for transferring fluids between floating vessels using flexible conduit and releasable mooring system
KR20090028767A (ko) * 2006-07-13 2009-03-19 소시에떼 유로피엔느 딘게니에르 메카니끄-유로딤 선박의 마니폴드와 같은 고정 배관과 액체수송용 연성관(flexible pipe) 단부의 연결 장치
KR101258925B1 (ko) * 2010-10-12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6838A (ja) * 2004-10-15 2008-05-22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極低温流体海中移送システム
KR20090028767A (ko) * 2006-07-13 2009-03-19 소시에떼 유로피엔느 딘게니에르 메카니끄-유로딤 선박의 마니폴드와 같은 고정 배관과 액체수송용 연성관(flexible pipe) 단부의 연결 장치
US20080236703A1 (en) * 2007-03-29 2008-10-02 Chevron U.S.A. Inc. System for transferring fluids between floating vessels using flexible conduit and releasable mooring system
KR101258925B1 (ko) * 2010-10-12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686A (ko) 2017-12-26 2019-07-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커플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062A (ko)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9639B2 (en) Large volume subsea chemical storage and metering system
CN107850262B (zh) 船用密封隔热罐
KR101036625B1 (ko) 선박용 밸러스트 시스템
KR20130105640A (ko) 호스 릴이 구비된 플랫폼
KR101540331B1 (ko) 원유 이송 장치 및 시스템
AU2014367346B2 (en) Subsea filler line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various fluids through a master flow conduit
US10189553B2 (en) Water intake system and floating vessel equipped with such a system
KR102418121B1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KR102473947B1 (ko) Lng 재기화 선박
KR20110096879A (ko) 안티 힐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US10793350B2 (en) Subsea storage unit, system and method
US11994240B2 (en) Insulating cover for a submerged element of a fluid exploitation facility in a body of water, facility and associated method
KR200487932Y1 (ko) 선박의 발라스트 시스템
US20230052668A1 (en) Insulating cover for a submerged element of a fluid exploitation facility in a body of water, facility and associated method
KR101802203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KR20140065588A (ko) 가스 하이드레이트 적하 장치 및 방법
KR20150104908A (ko)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
KR20150120701A (ko) Lng 저장탱크의 빌지 처리장치
KR101516288B1 (ko) 해저 구조체 내부의 기름 분리 선박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4810B1 (ko) 누출 기름 처리장치
KR101498245B1 (ko) 잔유 액체화물 하역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60019721A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운송방법
KR20160113406A (ko) Lng 탱크의 누출 lng 배출장치
OA17814A (en) Method for injecting fluids into an underwater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